KR100825415B1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15B1
KR100825415B1 KR1020070108397A KR20070108397A KR100825415B1 KR 100825415 B1 KR100825415 B1 KR 100825415B1 KR 1020070108397 A KR1020070108397 A KR 1020070108397A KR 20070108397 A KR20070108397 A KR 20070108397A KR 100825415 B1 KR100825415 B1 KR 100825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re
fire extinguishing
out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0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되며, 콘센트(C)에 인접되도록 벽면(1)에 매입설치되는 하우징(100)과; 내부에 소화분말(E)이 저장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E)이 배출되는 배출구(211)가 상기 콘센트(C)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배출구(211)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본체(21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배출구(211)를 개방하는 개폐판(220)과,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S1)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E)을 배출구(211)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220)이 하우징(100)의 내부면에 걸려 배출구(211)를 막도록 구성된 소화기구(200)와; 상기 소화기구(200)에 연결되어 소화기구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S2)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300)와; 상기 벽면(1) 또는 콘센트(C)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0)와; 상기 감지기구(4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 상기 제어유닛(500)에 연결된 알람기구(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주변에 화재 발생을 알리며, 초기에 화재진압을 하여 대형화재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Fire alarm of an apartmen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주변에 경보음을 전달하며,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벽체에 콘센트가 설치된다. 상기 콘센트는 누전 또는 기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재발생시 즉각적으로 주변에 화재발생 사실을 알리기가 어려우며, 또한 초기진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형화재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야간에는 사람들이 화재발생을 직접확인하기가 어려워, 화재발생에 따른 대피를 할 수 없으므로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콘센트에 화재가 발생할 시, 주변에 화재 발생을 알리며, 초기에 화재진압을 하여 대형화재 막을 수 있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며, 콘센트에 인접되도록 벽면에 매입설치되는 하우징과; 내부에 소화분말이 저장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콘센트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출구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본체가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본체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폐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을 배출구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하우징의 내부면에 걸려 배출구를 막도록 구성된 소화기구와; 상기 소화기구에 연결되어 소화기구가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소화기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벽면 또는 콘센트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와; 상기 감지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된 알람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면(1)에 매입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화기구(200)와; 상기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S2)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300)와; 상기 콘센트(C)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0)와; 상기 감지기구(4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 상기 제어유닛(500)에 연결된 알람기구(600)로 구성되어, 주변에 화재 발생을 알리며, 초기에 화재진압을 하여 대형화재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알람장치는, 벽면(1)에 매입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화기구(200)와; 상기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S2)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 치(300)와; 상기 콘센트(C)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0)와; 상기 감지기구(4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상기 제어유닛(500)에 연결된 알람기구(6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형상으로 구성되며, 콘센트(C)의 상부에 인접되도록 벽면(1)에 매입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상하면에는 상기 고정장치(300)가 내설되는 삽입부(I)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I)는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삽입설치되는 소화기구(200)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구(200)는 내부에 소화분말(E)이 저장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E)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배출구(211)에 구비된 개폐판(220)과,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S1)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E)을 배출구(211)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내부에 저장부(240)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특히, 상기 삽입부(I)의 사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11)는 상기 콘센트(C)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본체(21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본체(210)의 내부에는 소화분말(E)이 콘센트(C)쪽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경사면(212)이 형성되어, 저장부(240)에 저장된 소화분말(E) 이 배출구(211)를 통해 콘센트(C)를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10)의 상하면에는 상기 고정장치(300)가 결합되는 걸림턱(2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개폐판(220)은 본체의 배출구(211)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배출구(211)를 개폐하는 것으로,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측면에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걸려 외측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배출구(211)를 막고,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면 개폐판(220)이 회동되면서 배출구(211)를 개방한다.
상기 제2스프링(S2)은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소화기구 본체(210)의 배면사이에 끼워져,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고정장치(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부(I) 내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플런저(310)가 하우징(100)의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소화기구 본체(210)의 걸림턱(213)과 맞물려 소화기구(200)가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제어유닛(50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310)가 삽입부(I) 내부로 삽입되어 플런저(310)와 걸림턱(213)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감지기구(400)는 콘센트(C)에 구비된 열감지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콘센트(C)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제어유닛(500)에 전송하므로써, 제어유닛(500)이 콘센트에 화재가 발생되었는 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유닛(500)은 상기 감지기구(400)의 신호에 따라 콘센트(C)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장치(300)와 알람기구(40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알람기구(6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된 스피커 및 발광장치로 구성되어, 제어유닛의 신호에 따라 소리와 빛으로 경고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를 나타낸 작동도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누전 등에 의해 콘센트(C)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감지기구(400)의 신호에 의해 제어유닛(500)이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300)를 작동시켜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알람기구(600)를 작동시켜 소리와 빛을 이용하여 주변에 화재발생을 알린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소화기구(200)가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판(220)이 회동되어 배출구(211)를 개방하고, 상기 피스톤(230)에 의해 가압된 소화분말(E)이 배출구(211)를 통해 콘센트(C)로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소화장치는, 벽면(1)에 설치되는 콘센트(C)의 주위에 배치되어, 콘센트(C)가 누전 또는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게 초기진화를 할 수 있어서 대형화재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즉각적으로 주변에 화재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어서,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가 벽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0 ; 하우징 200 ; 소화기구
300 ; 고정장치 400 ; 감지기구
500 ; 제어유닛 600 ; 알람기구
S2 ; 제2스프링 E ; 소화분말

Claims (1)

  1. 전면이 개구되며, 콘센트(C)에 인접되도록 벽면(1)에 매입설치되는 하우징(100)과;
    내부에 소화분말(E)이 저장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소화분말(E)이 배출되는 배출구(211)가 상기 콘센트(C)의 설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배출구(211) 둘레면에 힌지결합되어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본체(21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배출구(211)를 개방하는 개폐판(220)과,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스프링(S1)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소화분말(E)을 배출구(211)쪽으로 밀어내는 피스톤(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21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220)이 하우징(100)의 내부면에 걸려 배출구(211)를 막도록 구성된 소화기구(200)와;
    상기 소화기구(200)에 연결되어 소화기구가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제2스프링(S2)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소화기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300)와;
    상기 벽면(1) 또는 콘센트(C)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기구(400)와;
    상기 감지기구(4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장치(300)를 제어하는 제어유 닛(500)과;
    상기 제어유닛(500)에 연결된 알람기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20070108397A 2007-10-26 2007-10-26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0825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397A KR100825415B1 (ko) 2007-10-26 2007-10-26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397A KR100825415B1 (ko) 2007-10-26 2007-10-26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415B1 true KR100825415B1 (ko) 2008-04-29

Family

ID=3957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397A KR100825415B1 (ko) 2007-10-26 2007-10-26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1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45B1 (ko) * 2016-07-13 2016-11-09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공간 소방용 경보장치
KR101720184B1 (ko) 2016-11-25 2017-03-27 (주)대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KR101786053B1 (ko) * 2016-12-06 2017-10-17 태양기술단(주)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KR101824100B1 (ko) 2017-07-25 2018-01-31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1845490B1 (ko) * 2017-02-20 2018-04-05 동양컨설턴트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KR101856103B1 (ko) * 2017-07-17 2018-05-10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101910316B1 (ko) * 2018-01-11 2018-10-19 장용일 유종 알람장치
KR102004876B1 (ko) 2019-01-09 2019-07-29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장치
KR102165093B1 (ko) 2020-07-27 2020-10-13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175A (ja) * 1993-03-01 1994-09-13 Yutaka Totsuka ガスコンロ火災自動消火装置
KR19990002439U (ko) * 1997-06-24 1999-01-25 정인하 자동소화장치
JP2005006833A (ja) 2003-06-18 2005-01-13 Akito Sasaki 消火器
KR200425949Y1 (ko) 2006-06-14 2006-09-11 노영환 관절사이폰관이 구비된 발화점 감지 자동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175A (ja) * 1993-03-01 1994-09-13 Yutaka Totsuka ガスコンロ火災自動消火装置
KR19990002439U (ko) * 1997-06-24 1999-01-25 정인하 자동소화장치
JP2005006833A (ja) 2003-06-18 2005-01-13 Akito Sasaki 消火器
KR200425949Y1 (ko) 2006-06-14 2006-09-11 노영환 관절사이폰관이 구비된 발화점 감지 자동소화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445B1 (ko) * 2016-07-13 2016-11-09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공간 소방용 경보장치
KR101720184B1 (ko) 2016-11-25 2017-03-27 (주)대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KR101786053B1 (ko) * 2016-12-06 2017-10-17 태양기술단(주)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KR101845490B1 (ko) * 2017-02-20 2018-04-05 동양컨설턴트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KR101856103B1 (ko) * 2017-07-17 2018-05-10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101824100B1 (ko) 2017-07-25 2018-01-31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1910316B1 (ko) * 2018-01-11 2018-10-19 장용일 유종 알람장치
KR102004876B1 (ko) 2019-01-09 2019-07-29 (주)하이텍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장치
KR102165093B1 (ko) 2020-07-27 2020-10-13 (주)조은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82410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101856103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101010110B1 (ko)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KR102165093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KR101111159B1 (ko) 소화기 거치대
US11406855B2 (en) Dynamic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i'hereof
KR10172018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KR100807742B1 (ko) 배전선 및 소방설비를 탑재 보호하는 지중배관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0980292B1 (ko)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2331467B1 (ko) 서버랙용 자동소화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121854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04876B1 (ko) 건축물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장치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JP6890054B2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KR101786053B1 (ko)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AU2010268345B2 (en) Holder for fire extinguisher
KR10184549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장치
KR102379362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KR2006002577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20220159883A (ko)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543162B2 (ja) ガス系消火設備の操作箱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0485456Y1 (ko) 기동 용기함의 수전 및 솔레노이드밸브 부착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