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292B1 -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292B1
KR100980292B1 KR1020100026639A KR20100026639A KR100980292B1 KR 100980292 B1 KR100980292 B1 KR 100980292B1 KR 1020100026639 A KR1020100026639 A KR 1020100026639A KR 20100026639 A KR20100026639 A KR 20100026639A KR 100980292 B1 KR100980292 B1 KR 10098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automatic fire
unit
stor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0002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방출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약제방출부의 소화약제 방출을 시작하고, 그 화재 발생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지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고, 보다 신속,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지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 및 기록할 수 있고, 보다 신속,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캐비닛형 자동소화기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다양한 소화용 고압가스(CO2, FM-200, BLEND-A, INERGEN등)등이 충전되어 화재인식 방법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각부 센서가 해당 접점에 접점되며 접점유무에 따라 릴레이(relay)가 연동하여 동작되므로 해당 소화기의 기동장치를 동작시켜 소화동작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동작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식의 소화 제어 시스템은 소방장비의 접점 유무에 따른 상황판단 정보만을 전달하므로 실제 상황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고, 외부인의 무단 조작으로 인한 파손 사고를 방지할 수 없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감지 시 화재 발생 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함과 동시에 외부 영상 및 소리를 기록하여 화재 발생 지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고, 이를 중앙통제센터에 전송하여 보다 신속,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수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뿐만 아니라 도어 개방, 외부 충격, 사람의 접근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외부 영상 및 소리를 기록하여 외부인의 무단 조작으로 인한 자동소화기의 개문, 파손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 지역에서 화재 발생, 도어 개방, 외부 충격, 사람의 접근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그로부터 발생하는 경보음을 근접 지역에 위치한 자동소화기가 인식하여 화재 발생 지역뿐만 아니라 근접 지역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통제센터가, 한번 방출되면 회수가 불가능한 소화약제의 방출을 통제하여 소화약제방출부의 오작동을 최소화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방출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약제방출부의 소화약제 방출을 시작하고, 그 화재 발생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 감지 시각, 소화약제 방출 시각, 소화약제방출버튼 작동 시각, 도어부 개방 감지 시각, 외부 충격 감지 시각 또는 사람의 존재 감시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기록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 외부의 불꽃을 감지하는 적외선불꽃감지부 및 외부의 연소가스를 감지하는 연소가스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약제방출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화약제방출버튼이 작동되면, 소화약제방출부의 소화약제 방출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 외부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부 및 외부케이스와 도어부가 접하는 접면부에 설치되어 도어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스위치에 의해 도어부 개방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충격센서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자동소화기 외부의 존재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적외선센서부에 의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부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되, 화재 발생, 도어부 개방, 외부 충격 또는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거나 소화약제방출버튼이 작동되면, 그 감지 또는 작동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메모리카드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부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메모리카드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경보음 및 경보조명을 발생시키는 경보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기기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마이크부로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소리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마이크부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마이크부로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소리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보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수치보다 소리가 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소화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자동소화기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중앙통제센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통제센터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소화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에는 나머지 자동소화기에 포함된 소화약제방출부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카메라 촬영 영상, 마이크부 녹음 소리 및 이벤트기록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센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자동소화기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중앙통제센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센터는, 자동소화기의 식별정보 및 설치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정보를 저장하는 소화기정보DB 및 제어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카메라 촬영 영상 및 마이크부 녹음 소리가 자동소화기정보 및 상기 이벤트기록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상황기록DB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센터는, 자동소화기의 식별정보와 설치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정보 및 경보전달정보를 저장하는 소화기정보DB를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자동소화기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소화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한 자동소화기의 자동소화기정보 중 경보전달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자동소화기에 포함된 경보기기 또는 소화약제방출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개시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감지 시 화재 발생 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함과 동시에 외부 영상 및 소리를 기록하여 화재 발생 지역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고, 이를 중앙통제센터에 전송하여 보다 신속,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상황 발생 시 수동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뿐만 아니라 도어 개방, 외부 충격, 사람의 접근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외부 영상 및 소리를 기록하여 외부인의 무단 조작으로 인한 자동소화기의 개문, 파손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지역에서 화재 발생, 도어 개방, 외부 충격, 사람의 접근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그로부터 발생하는 경보음을 근접 지역에 위치한 자동소화기가 인식하여 화재 발생 지역뿐만 아니라 근접 지역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통제센터가, 한번 방출되면 회수가 불가능한 소화약제의 방출을 통제하여 소화약제방출부의 오작동을 최소화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은 자동소화기(1)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통제센터(3)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는데, 중앙통제센터(3)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각 자동소화기(1)와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자동소화기(1)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통제센터(3)는 자동소화기(1)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각종 DB(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소화기(1)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로 본 발명에 포함되며, 설치된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내부 설치된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밸브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킴으로써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소화기(1)는 소화약제방출부(10), 감지부(11), 카메라(12), 제어부(13)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소화약제방출부(10)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가스 등의 소화약제를 내부에 보유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제어부(13)의 명령에 의해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하는 개방밸브 및 이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감지부(11)는 화재 발생 시 여러가지 외부 요인을 측정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111), 외부의 불꽃을 감지하는 적외선불꽃감지부(113), 외부의 연소가스를 감지하는 연소가스감지부(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감지부(11)는 외부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에 도달하거나, 외부에 불꽃이 감지되거나 외부 연소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이 일어났다고 판단하며 이를 제어부(13)에 보고한다.
저장부(18)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며, 추후 마이크부(17)에 의해 녹음된 소리도 저장된다.
카메라(12)는 자동소화기(1)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는 장치로, 그 촬영은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이루어지며, 촬영되는 영상은 일정 시간동안 저장부(18)에 저장되고, 저장된 지 일정 시간이 경과한 영상은 용량 확보를 위하여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여,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일정시간 저장부(18)에 보존한다.
또한, 제어부(13)는 감지부(11)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약제방출부(10)의 개방밸브를 작동시켜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하고, 그 화재 발생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한다.
촬영되는 영상이 저장부(18)에 보전되는 시간이 5분, 화재 발생 감지 시 그 후 촬영할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결국 화재 발생 감지 기준으로 5분 전부터, 화재 발생 감지 기준으로 10분 후 되는 시간까지의 촬영 영상이 저장부(18)에 저장된다.
이러한 촬영시간은 저장부(18)의 내부 메모리 및 확장가능한 외부 메모리의 크기와 영상 및 음성 저장의 품질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결국, 15분의 촬영시간을 갖는 영상이 저장부(18)에 저장되고, 화재 발생 시점의 외부 상황을 물론이고, 화재 발생 전후의 상황까지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3)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encording)하여 중앙통제센터(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은 중앙통제센터(3)에 의해서 상황기록DB(미도시)에 저장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자동소화기(1)가 설치된 지역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중앙통제센터(3)에 전송함으로써, 제어시스템 관리자로 하여금 정확한 상황 판단 및 효율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소화약제방출버튼(30)을 더 포함한다.
소화약제방출버튼(30)은 자동소화기(1)기 내부에 설치되며, 소화약제차단버튼(31)과 한 조를 이루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13)는 소화약제방출버튼(30)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면, 소화약제방출부(10)의 소화약제 방출을 시작한다.
또한, 소화약제차단버튼(31)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소화약제의 방출을 중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서 자동소화기(1)의 소화약제 방출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급박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사용자가 신속하게 소화약제를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외부케이스(22), 도어부(20) 및 스위치(33)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스(22)는 상기 자동소화기(1)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화재로부터 내부에 포함된 자동소화기(1)의 구성 요소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어부(20)는 외부케이스(22)의 개폐를 수행하는 것으로, 자동소화기(1)의 수동조작, 점검 등을 위해서 개방된다.
스위치(33)는 도어부(20)와 외부케이스(22)가 접하는 접면부에 설치되어 도어부(20)의 개폐를 감지한다.
이때, 스위치(33)는 기기의 운동 행정 중 정해진 위치에서 물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검출 스위치인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되, 스위치(33)에 의해 도어부(20) 개방이 감지되면 도어부(20) 개방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는데, 상술한 화재 발생 감지 시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따라서, 도어부(20)가 개방되는 경우에 그 상황이 자동적으로 영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자동소화기(1)의 파손, 오작동, 강제 개문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4)를 도어부(20)를 개방하지 않고도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명창 내부에는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해 카메라(1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충격센서(35)를 더 포함한다.
충격센서(35)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로, 자동소화기(1)의 외부케이스(22), 도어부(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충격센서(35)는 자동차 분야에서 도난 방지, 에어백 사용을 위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피에조(piezo)센서, 가속도센서 등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일정량 이상의 충격량이 가해지는 경우에 외부 충격으로 감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되, 충격센서(35)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면 그 충격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는데, 이는 상술한 화재 발생 감지 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자동소화기(1)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그 전후 상황을 녹화하여 기록할 수 있으므로, 소화기의 파손, 미허가 조작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적외선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적외선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자동소화기(1)로부터 일정 반경에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장치로,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13)에 보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되, 적외선센서부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그 사람의 존재를 감시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는데, 이는 상술한 화재 발생 감지 시와 동일하다.
이러한 적외선센서부는 외부의 사람을 감지하여야 하고, 주로 사람은 도어부(20)로 다가오기 때문에, 도어부(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동소화기(1)로 접근하는 사람에 대한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허가받지 않은 자에 의한 자동소화기(1)의 파손, 강제조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마이크부(1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부(17)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인 상황 파악을 위해 필요한 자동소화기(1)의 주변 소리를 입력받아 녹음하게 되며, 현재 녹음 시점부터 일정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18)에 저장하여 보존하며, 저장된 지 일정 시간이 경과한 소리는 용량확보를 위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13)는 마이크부(17)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18)에 저장하되, 감지부(11)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그 화재 발생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18)에 저장한다.
따라서,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과 함께 외부의 소리를 함께 녹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카메라 촬영 시간과 같이 녹음되는 소리가 보존되는 시간이 5분, 화재 발생 감지 시 그 후 녹음할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결국 화재 발생 감지 기준으로 5분 전부터, 화재 발생 감지 기준으로 10분 후 되는 시간까지의 외부 소리가 저장부(18)에 저장된다.
이러한 제어부(18)의 동작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부(20) 개방이 감지된 경우, 충격센서(35)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감지된 경우, 적외선센서부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소화약제방출버튼(30)이 작동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메모리카드리더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카드리더기는 내부에 삽입되는 메모리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메모리카드에 데이터를 쓰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가능한 메모리카드는 SD 카드, 미니 SD 카드 등이 바람직하나, 그 포맷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메모리카드리더기를 이용하여 리더기 내부에 삽입된 메모리카드에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이크부(17)에 의해 녹음된 소리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의 동작은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뿐만 아니라, 도어부(20) 개방이 감지된 경우, 충격센서(35)에 의해 외부 충격이 감지된 경우, 적외선센서부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등의 특정 상황에 의하여 자동소화기(1)와 중앙통제센터(3)를 네트워크 연결하는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외부 상황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경보기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경보기기는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경보음 및 경보조명을 발생시키며, 경보음 및 경보조명이 외부로 방출되어야 하므로, 외부케이스(22) 또는 도어부(20)의 외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보음 발생을 위한 외부 스피커(미도시) 및 경보조명 발생을 위한 조명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3)는 감지부(11)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기기의 작동을 개시하여, 경보기기로 하여금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조명장치의 점등 등을 통한 경보조명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13)는 카메라(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되, 상기 마이크부(17)로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소리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18)에 저장하고, 마이크부(17)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18)에 저장하되, 상기 마이크부(17)로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소리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18)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경보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수치보다 소리가 큰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 중 적어도 하나의 자동소화기(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경보음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8)는 이러한 경보음이 마이크부(17)에 입력되면 외부의 영상 및 소리를 저장부(18)에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특정 지역 내 설치된 자동소화기(1a)에 화재 발생, 도어 개방, 외부 충격, 사람의 접근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자동소화기(1a)가 그 주위의 상황을 녹화함과 동시에 상기 자동소화기(1a)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자동소화기들(1b, 1c...)이 전체적으로 외부 이벤트 상황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통제센터(3)를 거치지 않고 근접 거리에 위치한 자동소화기(1)의 경보음만으로도, 외부 상황을 영상 및 소리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이벤트 발생 시로부터 최대한 신속하게 외부 상황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은 자동소화기(1)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자동소화기(1)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중앙통제센터(3)를 더 포함한다.
중앙통제센터(3)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특정 자동소화기(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나머지 자동소화기(1)의 경보기기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센터(3)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특정 자동소화기(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나머지 자동소화기(1)의 소화약제방출부(10)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화재가 일정 지역에서 발생하면 화재의 특성상 빠르게 다른 지역으로 불이 옮겨가게 된다.
따라서 어느 특정 지역의 자동소화기(1)만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도 전체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고 있는 중앙통제센터(3)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근접 지역의 자동소화기(1)로부터 경보음, 경보조명, 소화약제 방출을 발생시켜 불이 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미리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을 알려 신속히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화약제의 경우 한번 방출되면 이를 회수하기가 어렵고 방출 지역에 대한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그 오작동이 최대한 방지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소화약제의 방출에 대한 통제를 중앙통제센터(3)에서 수행함으로써 그 오작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는 이벤트기록정보를 저장부(18)에 저장한다.
이벤트기록정보는 감지부(1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시간을 나타내는 화재 발생 시각, 방출부(10)가 소화약제를 방출한 시간을 나타내는 소화약제 방출 시각 또는 소화약제방출버튼(30)의 작동 시각, 스위치(33)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부 개방 시각, 충격센서(35)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충격 감지 시각, 적외선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사람의 존재 감지 시각 등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소화기(1)의 작동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화재 등의 이벤트 발생 시 그 원인 및 작동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저장부(28)에 저장된 카메라(12) 촬영 영상, 마이크부(17)에 의해 녹음된 소리 및 상기 이벤트기록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센터(3)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촬영 영상 및 마이크부 녹음 소리를 저장부(18)에 저장하는 동시에, 중앙통제센터(3)로 전송하여 상황기록DB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소화기(1)가 화재, 강제 개문, 파손 등으로 손상을 입어 그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중앙통제센터(3)에서는 그 영상, 소리, 이벤트기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통신부(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5)는 RS-232, RS-422, RS-485, CAN 통신, LAN 통신 및 광통신과 같은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중앙통제센터(3)와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통제센터(3)는 소화기정보DB(미도시) 및 상황기록DB(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소화기정보DB에는 제어 시스템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 각각에 대한 정보(자동소화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자동소화기정보는 각 소화기의 식별정보(각 소화기를 구별할 수 있는 아이디, 번호 등), 각 소화기의 설치 위치(제 1구역, 가공 챔버 등), 관리자 정보, 점검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기록DB는 자동소화기(1)로부터 제어부(13)에 의해 전송되는 카메라 촬영 영상 및 마이크부 녹음 소리가 상기 자동소화기정보 및 상기 이벤트기록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상술한 예에서 15분의 촬영시간을 갖는 영상 및 녹음 소리가 저장부(18)에 저장되는데, 소화기의 식별번호, 설치 위치가 저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영상 및 녹음 소리 정보를 각 소화기의 식별정보, 설치 위치, 작동기록 등의 부가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추후 검색 및 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통제센터(3)는 소화기정보DB를 더 포함하고, 소화기정보DB에는 상술한 정보 외에 경보전달정보가 더 저장된다..
경보전달정보는 화재 발생 신호를 각 근접지역 및 중요지역에 따라 신속히 전파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는 각 소화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식별되며 특정 자동소화기(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자동소화기를 지칭하도록 입력되어 있다.
이때, 중앙통제센터(3)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1a, 1b...1x)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소화기(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한 자동소화기(1)의 자동소화기정보 중 경보전달정보를 참조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지 못한 나머지 자동소화기(1) 중 해당 자동소화기(1)에 포함된 경보기기 또는 소화약제방출부(10)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개시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우선 경보전달정보에 자동소화기 1a(식별번호)가 자동소화기 1b를 가리키고, 자동소화기 1b는 1a, 1c, 1d를 가리키고, 자동소화기 1d는 1c와 1e를 가리킨다고 가정한다.
이때 자동소화기 1a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자동소화기 1a의 감지부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중앙통제센터(3)는 자동소화기 1a의 화재 발생 신호를 입수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전달정보를 참조하여 중앙통제센터(3)는 자동소화기 1a가 지칭하는 자동소화기 1b의 경보기기 또는 소화약제방출부(10)의 작동을 개시하고, 다시 자동소화기 1b가 가리키는 자동소화기 1a, 1c, 1d 중 작동되지 않은 자동소화기 1c, 1d의 경보기기 또는 소화약제방출부(10)의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다시 자동소화기 1d가 가리키는 자동소화기 1c와 1e 중 작동되지 않은 자동소화기 1e의 경보기기 또는 소화약제방출부(10)의 작동을 개시한다.
상술한 경보전달의 동작은 중앙통제센터(3)가 각 자동소화기(1)의 제어부(13)에 작동개시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각 작동개시신호는 순차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갖고 각 자동소화기(1)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정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역시 상기 경보전달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각 자동소화기(1)의 작동 시각을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소화기(1)는 디스플레이부(24) 및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전원 공급 상태와 자동/수동 모드 여부와 예비전원 상태 및 화재발생, 이상상태 발생, 소화가스방출, 통신상태 등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및 LCD로 이루어진다.
전원부는 AC110/220V전압을 보호계전기인 NFB(No FuseBreaker) 또는 ELB(Earth Leakage Breaker)를 거쳐서 정전압회로, 정류회로, 충전회로를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동소화기 3 : 중앙통제센터
10 : 소화약제방출부 11 : 감지부
12 : 카메라 13 : 제어부
18 : 저장부 20 : 도어부
22 : 외부케이스 24 : 디스플레이부

Claims (17)

  1.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소화약제방출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약제방출부의 소화약제 방출을 시작하고, 그 화재 발생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 감지 시각, 소화약제 방출 시각, 소화약제방출버튼 작동 시각, 도어부 개방 감지 시각, 외부 충격 감지 시각 또는 사람의 존재 감시 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기록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
    외부의 불꽃을 감지하는 적외선불꽃감지부; 및
    외부의 연소가스를 감지하는 연소가스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약제방출버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화약제방출버튼이 작동되면, 소화약제방출부의 소화약제 방출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스;
    외부케이스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부; 및
    외부케이스와 도어부가 접하는 접면부에 설치되어 도어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스위치에 의해 도어부 개방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충격센서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자동소화기 외부의 존재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적외선센서부에 의해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7.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녹음하는 마이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부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되, 화재 발생, 도어부 개방, 외부 충격 또는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거나 소화약제방출버튼이 작동되면, 그 감지 또는 작동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리더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카드리더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부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되,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그 감지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경보음 및 경보조명을 발생시키는 경보기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기기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중 현재 촬영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마이크부로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소리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촬영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마이크부에 의해 녹음되는 소리 중 현재 녹음 시점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마이크부로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크기를 갖는 소리가 입력되면 그 입력 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까지의 녹음된 소리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보기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수치보다 소리가 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자동소화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자동소화기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중앙통제센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통제센터는,
    복수개의 자동소화기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소화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에는 나머지 자동소화기에 포함된 소화약제방출부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카메라 촬영 영상, 마이크부 녹음 소리 및 이벤트기록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기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중앙통제센터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센터는,
    자동소화기의 식별정보 및 설치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정보를 저장하는 소화기정보DB; 및
    제어부에 의하여 전송되는 카메라 촬영 영상 및 마이크부 녹음 소리가 자동소화기정보 및 상기 이벤트기록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상황기록D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센터는,
    자동소화기의 식별정보와 설치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소화기정보 및 경보전달정보를 저장하는 소화기정보DB; 를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자동소화기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동소화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을 감지한 자동소화기의 자동소화기정보 중 경보전달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자동소화기에 포함된 경보기기 또는 소화약제방출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20100026639A 2010-03-25 2010-03-25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098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639A KR100980292B1 (ko) 2010-03-25 2010-03-25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639A KR100980292B1 (ko) 2010-03-25 2010-03-25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292B1 true KR100980292B1 (ko) 2010-09-06

Family

ID=4300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639A KR100980292B1 (ko) 2010-03-25 2010-03-25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2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927B1 (ko) * 2012-01-13 2012-08-31 주식회사 가윤시스템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WO2019045160A1 (ko) * 2017-08-29 2019-03-07 다온 주식회사 수신부 일체형 자동소화장치
KR20190123364A (ko) * 2018-04-09 2019-11-01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KR20210073837A (ko) * 2019-12-11 2021-06-21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KR102285823B1 (ko) * 2020-12-01 2021-08-04 (주)청보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KR102541532B1 (ko) * 2022-09-30 2023-06-13 주식회사 물꼬방재기술 소방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136A (ja) 1997-03-18 1998-09-29 Hochiki Corp 火災検出消火システム
KR20040099979A (ko) * 2003-05-21 2004-12-02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80887B1 (ko) * 2004-06-29 2005-04-0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디지털 실시간 화재 예측 진단 소화시스템
KR100615672B1 (ko) 2006-05-10 2006-08-28 주식회사 센텍 Xy축 투영그래프를 이용한 화재 감시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화재 감시방법과 화재 감시방법이 구현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136A (ja) 1997-03-18 1998-09-29 Hochiki Corp 火災検出消火システム
KR20040099979A (ko) * 2003-05-21 2004-12-02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80887B1 (ko) * 2004-06-29 2005-04-0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디지털 실시간 화재 예측 진단 소화시스템
KR100615672B1 (ko) 2006-05-10 2006-08-28 주식회사 센텍 Xy축 투영그래프를 이용한 화재 감시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화재 감시방법과 화재 감시방법이 구현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927B1 (ko) * 2012-01-13 2012-08-31 주식회사 가윤시스템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WO2019045160A1 (ko) * 2017-08-29 2019-03-07 다온 주식회사 수신부 일체형 자동소화장치
KR20190123364A (ko) * 2018-04-09 2019-11-01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KR102055360B1 (ko) * 2018-04-09 2019-12-13 주식회사 씨엔 이지에스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KR20210073837A (ko) * 2019-12-11 2021-06-21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KR102363658B1 (ko) * 2019-12-11 2022-02-15 김진영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KR102285823B1 (ko) * 2020-12-01 2021-08-04 (주)청보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KR102541532B1 (ko) * 2022-09-30 2023-06-13 주식회사 물꼬방재기술 소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292B1 (ko)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CN107681741B (zh) 一种智能充电柜及其使用方法
JP5231057B2 (ja) 物品収納装置
KR101111159B1 (ko) 소화기 거치대
CN108780598A (zh) 用于无线灾害火灾探测和犯罪预防的具有便携式灯的社会安全网络系统
US94462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suppression
JP6278463B2 (ja) ガス系消火設備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13984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777396B1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101529909B1 (ko)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CN201156283Y (zh) 一种摄像自动灭火报警系统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JP2022150911A (ja) 蓄電池設備室の消火システムおよび消火方法
JP2006086582A (ja) 携帯型防犯カメラ
CN110424801B (zh) 一种无人车库管理系统
KR100573218B1 (ko) 자동소화설비 원격제어장치
TW201409410A (zh) 兼具照明及拍攝功能的警示設備及其偵測方法
KR102421708B1 (ko) 실내 정보를 출력하는 방화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3313875B2 (ja) 消火設備
JP4034642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7060550A (ja) 監視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記録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