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823B1 -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823B1
KR102285823B1 KR1020200165626A KR20200165626A KR102285823B1 KR 102285823 B1 KR102285823 B1 KR 102285823B1 KR 1020200165626 A KR1020200165626 A KR 1020200165626A KR 20200165626 A KR20200165626 A KR 20200165626A KR 102285823 B1 KR102285823 B1 KR 10228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or
control panel
detec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민
장지숙
Original Assignee
(주)청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보 filed Critical (주)청보
Priority to KR1020200165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각 화재감지기에 각각 고유 번호를 할당하여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하고, 동시에 이들 화재감지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제어반과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 하나의 화재수신반으로도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기와 제어반 사이의 배선을 최소화하여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를 감지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 특히, CCTV를 통해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저장하지 않고 버퍼링하면서 보여주다가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 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미리 정한 시간 동안의 영상을 저장하게 구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할 때의 상황을 확인하여 원인규명 등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휴대단말로 상황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FRAME DETEC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에 고유 번호를 부여한 다음 직렬로 연결하여 제어함으로써,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를 결선할 때 결선수를 줄여 오결선에 의한 오동작이나 기기의 파손 등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들 화재감지기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는 근무자와 더불어 무선 방식을 통해 휴대단말로도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화재감지 상황을 쉽고 신속하게 전파하여 짧은 시간에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화재 예방이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연기나 열 그리고 불꽃 등이 발생했을 때 여기서 발생한 파장이나 불꽃의 흔들림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이다. 이에, 이러한 화재 감지기는 화재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03174호
불꽃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불꽃 감지 장치는 배터리에서 발생한 직류 전원을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펄스 생성기에서 생성된 펄스를 이용하여,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불꽃 감지기; 및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피드백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직류-직류 변환기가 원하는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감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908863호
불꽃 감지기의 복수 유효 감지 거리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불꽃 감지기가 복수의 감지 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나의 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설정하고자 하는 유효 감지 거리의 개수에 해당하는 증폭 회로를 구현하여 하나의 유효 감지 거리가 하나의 증폭회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불꽃 감지기 본체의 외부에서 특정한 전압을 인가함으로 인하여 불꽃 감지기의 유효 감지 거리를 설정하여 항상 최적의 조건에서 화염의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불꽃 감지기의 복수 유효 감지 거리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2022404호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는 도플러의 특성을 이용한 센서와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용접, 전열기 등의 비화재 요소와 사람 등의 이동체를 감지하여 사람이나 비화재 요소로 인한 화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도플러센서와 다양한 파장대의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불꽃 감지기에 사람이 접근했을 때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고, 난방기기 등의 비화재 요소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오동작 정보를 방재 시스템에 전달하는 위험성을 방지함으로써 불꽃 감지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화재 현장에 미대피한 사람의 감지 정보를 활용하여 인명 구조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불꽃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화재 발생을 감지하려고 설치하는 불꽃 감지기는 감시 공간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된다. 이때, 이들 각 불꽃 감지기는 제어반과 병렬 형태로 연결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어 신호를 받는다.
(2) 이에, 기존의 불꽃감지장치는 하나의 화재감지기에 적어도 6가닥의 전선을 배선해야 하므로, 배선에도 어려움이 있다. 즉, 하나의 화재감지기에는, 예를 들어서, 적어도 전력선 2가닥, 통신선 2가닥, 그리고 제어선 2가닥을 배선해야 하는데, 감시 공간이 넓거나 길 때는 이에 비례하여 화재감지기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어 그만큼 배선에도 어려움이 있다.
(3) 또한, 불꽃 감지기에 연결한 배선이 제어반에도 순서대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처럼 배선수가 늘어남에 따라 배선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가 발생한다.
(4) 이처럼 배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화재나 불꽃을 감지할 때 실제 화재나 불꽃이 발생한 곳과 불꽃을 감지한 곳으로 인식한 곳이 일치하지 않아 화재가 더 크게 번질 우려가 있다.
(5) 그리고 이처럼 배선이 많아짐에 따라 유지보수할 때도 각 화재감지기와 제어반 사이를 확인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수리나 보수가 필요할 때도 긴 시간이 필요하다.
(6) 한편, 기존의 불꽃감지장치는 하나의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반이 1:1 형태로 구성해야 하므로, 불꽃감지장치의 규모가 엄청나게 커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어반으로는 제어하기가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3174호 (등록일: 2020.04.16) 한국등록특허 제10-1908863호 (등록일: 2018.10.10) 한국등록특허 제10-2022404호 (등록일: 2019.09.1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에 각각 고유 번호를 할당하여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하고, 동시에 이들 화재감지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제어반과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화재수신반으로도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기와 제어반 사이의 배선을 최소화하여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를 감지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CCTV를 통해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저장하지 않고 버퍼링하면서 보여주다가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 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미리 정한 시간 동안의 영상을 저장하게 구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할 때의 상황을 확인하여 원인규명 등을 명확하게 할 수 있게 한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반과 미리 등록한 관리자의 휴대단말 사이에 무선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제어반에서 이루어지는 연산과 데이터 처리 결과 등을 휴대단말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한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은, 고유 번호가 할당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10); 상기 화재감지기(10)에서 검출한 신호와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반(20); 상기 제어반(20)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10)를 관리하고 출력 신호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30); 상기 제어반(20)에 연결되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게 하는 화재수신반(40);을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지기(10)는,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20)과 폐회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화재감지기(10)는, 불꽃이나 연기 그리고 열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감지 부분을 촬영하는 CCTV;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20)은, 상기 화재감지기(10)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1); 상기 입력부(21)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22); 상기 제어기(22)의 제어로 화재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수신반(40)으로 출력 신호를 송출하는 출력부(23); 상기 제어기(22)의 제어 상태와 제어 신호 그리고 입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선과 무선으로 출력하는 통신모듈(24); 및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2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반(20)은, 상기 화재감지기(10)를 통해 해당 감지 구역을 계속해서 촬영하되 저장하지 않고 버퍼링하되, 상기 화재감지기(10)에서 화재 감지 신호가 있으면, 이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시간 이전의 촬영 영상부터 저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를 직렬 형태로 연결해서 관리하므로,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쉽다.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을 확장할 때도 화재감지기를 추가해서 직렬 형태로 연결함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시스템을 확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이에, 각 화재감지기에 화재수신반을 배치하거나, 이들 사이에 연결하는 배선을 현저하게 줄여 시스템 구축 비용을 줄이면서도 시스템을 쉽고 편리하게 구축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4) 화재감지기에서 촬영한 영상은 바로 저장장치에 저장하지 않고 버퍼링하다가 화재를 감지한 순간부터 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한 용량을 줄이면서도 화재 등이 발생한 원인 등을 쉽고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5) 제어반에는 화재감지기로 검출한 신호와 처리 내용 등을 디스플레이로 보여주거나, 무선 방식을 이용해서 휴대단말로도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제어 상황을 확인하면서도 원거리 제어도 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의 #3번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한 것으로 가정하여 검출 신호가 제어반으로 송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10), 제어반(20), 디스플레이(30), 그리고 화재수신반(4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화재감지기(10)는 각각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제어반(20)에서 식별할 수 있게 구성되고,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10)는 직렬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화재수신반(40)으로도 운용하면서도 화재감지기(10)와 제어반(20) 사이를 쉽게 구축하여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10)는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불꽃이나 연기 그리고 열을 감지하는 센서와, 감지 구역을 촬영하는 CCTV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면서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화재에 대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기(10)에서 촬영한 영상은 버퍼링하여 미리 입력된 영상이 우선 삭제가 되게 구성하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반(20)의 제어로 화재가 발생하기 전 미리 정한 시간 이전의 영상부터 저장해 놓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원인 등을 쉽고 편리하게 규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반(20)은 이처럼 화재감지기(10)와 통신하면서 받은 검출 데이터와 처리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30)로 보여주면서, 이와 함께 무선 방식을 통해 휴대단말(T)로도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관리자나 작업자가 화재감지기(10)나 디스플레이(30)에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화재 발생이나 안전 상태를 등을 휴대단말(T)로도 쉽게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는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할 제어반(20)과 통신할 수 있는 휴대단말로, 무선 방식으로 제어반(20)과 통신할 수 있고 제어 데이터나 검출 결과를 볼 수 있게 제작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휴대단말로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PDA, 노트북, 랩톱, 휴대전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포스트 PC(Post PC), 피처폰, 넷북,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노트 패드 그리고 PDA를 예로 들 수 있다.
가. 화재감지기
화재감지기(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화재 감시가 필요한 일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일정 영역에서 화재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불꽃이 발생했는지 검출하기 위한 감지기이다. 여기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화재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연기나 불꽃 그리고 열 등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는, 열이나 연기보다 실제 화재에서 발생한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를 이용함으로써, 연기나 열 등을 감지할 때보다 더 빠르고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화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10)는, 불꽃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식별하는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때에 따라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광원과 화재 시 광원을 분리·인식하여 화재 식별력을 높일 수 있게 제작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재감지기(10)로는 자외선 감지기(UV), 자외선/적외선 감지기(UV/IR), 그리고 적외선 감지기(IR3)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는 감시 공간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를 장착해서 사용하게 되므로, 이들 각 화재감지기(10)에는 고유 번호를 할당하고, 할당된 고유번호를 통해 후술할 제어반(20)에서 이를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는 직렬 형태로 연결해서 제어반(20)과 폐곡선 형태로 회로 구성이 되게 구성함으로써, 화재를 감지한 화재감지기(10)가 어느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고유 번호를 할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할당은 무선 모듈을 이용해서 각 화재감지기(10)와 후술할 제어반(20)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거나, 화재감지기(10)를 연결한 것과 같은 방식의 직렬 형태로 데이터 선을 연결해서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3번 화재감지기(10)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그 관련 신호가 #2번과 #1번을 통해 후술할 제어반(20)으로 송출되는 예를 화살표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10)는 화재가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기능인 불꽃이나 연기 그리고 열을 감지하는 센서 이외에 감지 부분을 촬영하여 저장하게 하거나 촬영한 영상으로 불꽃이나 화재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CCTV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재감지기(10)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촬영해서 관리자나 감시자가 후술할 디스플레이(30)를 통해서도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촬영한 영상을 통해 화재 원인 등을 확인할 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CCTV로 촬영한 영상은 바로 저장하지 않고 일정 기간 버퍼링이 이루어지게 하여 먼저 버퍼링된 부분이 먼저 지워지면서 계속해서 버퍼링이 이루어지게 하고, 만일 화재 발생 등으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를 감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예를 들어서, 10분 전, 30분 전, 1시간 전, 또는 2시간 전과 같이 미리 정해 놓은 시간부터 계속해서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원인이나 이유 등을 규명하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나. 제어반
제어반(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화재감지기(10)에서 검출한 화재 신호와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후술할 디스플레이(30)나 휴대단말(T)로 출력해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반(20)에는, [도 2]와 같이, 입력부(21), 제어기(22), 출력부(23), 통신모듈(24), 그리고 예비전원부(25)가 포함된다.
1. 입력부
입력부(21)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화재감지기(10)에서 검출된 신호를 제어반(20)으로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입력부(21)는 화재 발생 여부와 감시 구역의 영상을 따로 입력받을 수도 있고, 감시 구역의 영상을 후술할 제어기(22)에서 입력받게 하여 이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과 발생 위치 등을 분석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2. 제어기
제어기(22)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입력부(21)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시켜 줄 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으로 송출할 수 있게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22)는 후술할 예비전원부(25)도 함께 제어하여 화재 등으로 주전원이 단전되거나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어기(22)의 제어는 후술하는 구성을 통해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3. 출력부
출력부(23)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제어기(22)에 수신받은 신호를 처리하고 그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경고하고 화재에 대비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출력부(23)는 후술할 화재수신반(40)에 연결되어 제어기(22)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했을 때 화재 경보 등을 할 수 있게 구성된다.
4. 통신모듈
통신모듈(24)은, [도 2]와 같이, 제어기(22)에서 연산한 결과를 디스플레이(30)와 휴대단말(T) 등으로 출력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24)은 휴대단말(T)과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이용자나 관리자가 필요한 내용을 출력하여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4)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40)나 휴대단말(T)을 이용해서도 필요한 명령을 제어기(22)로 출력해서 필요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5. 예비전원부
예비전원부(25)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제어반(2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정전 등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예비로 전원 공급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어반(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화재감지기(10)에서 검출한 신호를 연산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30) 등을 통해 보여주고, 때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화재수신반(40)을 통해 경고할 수 있게 한다.
다.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화재감지기(10)에서 검출한 신호나 제어신호, 충전 상태나 통신 상태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로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디스플레이, HTPS(High Temperature Poly-Silicon), 그리고 DMD(Digital Micromirror Displa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라. 화재수신반
화재수신반(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어반(20)의 제어를 받아 연산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경고음을 발생하게 해서 경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화재수신반(40)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를 직렬 형태로 연결해서 화재를 감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쉬우면서도 시스템을 확장할 때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0: 화재감지기
20: 제어반
21: 입력부
22: 제어기
23: 출력부
24: 통신모듈
25: 예비전원부
30: 디스플레이
40: 화재수신반

Claims (4)

  1. 고유 번호가 할당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10); 상기 화재감지기(10)에서 검출한 신호와 영상을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반(20); 상기 제어반(20)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10)를 관리하고 출력 신호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30); 상기 제어반(20)에 연결되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처리하게 하는 화재수신반(40);을 포함하되,
    상기 화재감지기(10)는,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20)과 폐회로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는, 불꽃이나 연기 그리고 열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감지 부분을 촬영하는 CCTV;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반(20)은, 상기 화재감지기(10)의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1); 상기 입력부(21)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22); 상기 제어기(22)의 제어로 화재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수신반(40)으로 출력 신호를 송출하는 출력부(23); 상기 제어기(22)의 제어 상태와 제어 신호 그리고 입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선과 무선으로 출력하는 통신모듈(24); 및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2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반(20)은,
    상기 화재감지기(10)를 통해 해당 감지 구역을 계속해서 촬영하되 저장하지 않고 버퍼링하되,
    상기 화재감지기(10)에서 화재 감지 신호가 있으면, 이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시간 이전의 촬영 영상부터 저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KR1020200165626A 2020-12-01 2020-12-01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KR10228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26A KR102285823B1 (ko) 2020-12-01 2020-12-01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26A KR102285823B1 (ko) 2020-12-01 2020-12-01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823B1 true KR102285823B1 (ko) 2021-08-04

Family

ID=7731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626A KR102285823B1 (ko) 2020-12-01 2020-12-01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321B1 (ko) * 2022-11-22 2024-05-28 정희섭 화재 감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92B1 (ko) * 2010-03-25 2010-09-0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1905678B1 (ko) * 2018-05-03 2018-10-11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DTHi(디티하이)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ICT기반 화재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08863B1 (ko) 2017-10-27 2018-12-13 주식회사 플레임텍 불꽃 감지기의 복수 유효 감지 거리 설정 장치
KR102022404B1 (ko) 2019-04-09 2019-09-18 주식회사 비에스엘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
KR102103174B1 (ko) 2018-11-28 2020-05-29 주식회사엘디티 불꽃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92B1 (ko) * 2010-03-25 2010-09-0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영상방범 및 상황기록 기능을 갖는 자동소화기의 제어시스템
KR101908863B1 (ko) 2017-10-27 2018-12-13 주식회사 플레임텍 불꽃 감지기의 복수 유효 감지 거리 설정 장치
KR101905678B1 (ko) * 2018-05-03 2018-10-11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DTHi(디티하이)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ICT기반 화재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03174B1 (ko) 2018-11-28 2020-05-29 주식회사엘디티 불꽃 감지 장치
KR102022404B1 (ko) 2019-04-09 2019-09-18 주식회사 비에스엘 복합센서 모듈의 불꽃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321B1 (ko) * 2022-11-22 2024-05-28 정희섭 화재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019B1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US10748009B2 (en) System for maintaining a confined space
US7940709B2 (en) Service provision at a network access point
CN109139115B (zh) 一种井下数据采集终端、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14008Y1 (ko)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37007B1 (ko)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5083B1 (ko) 중앙 통제가 가능한 통합 환경 감시 시스템
KR101983738B1 (ko) 현장 제어반의 원격 제어 시스템
US20200020213A1 (en) Emergency lighting, evacuation, and rescue routing with power over-ethernet
KR102285823B1 (ko) 화재감지기 제어 시스템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JP6243046B2 (ja) 誘導灯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625606B1 (ko) Cctv 관리 시스템
KR100862538B1 (ko) 화재수신기의 통합 감시 시스템
US9542831B2 (en) Audible/visible evacuation notification device
KR101733530B1 (ko) 감시 관제 장치의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보안 플랫폼 시스템
KR20070018485A (ko)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야간 화재 및 침입자 경고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US20160240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erts regarding occupancy conditions
TW201837875A (zh) 災害警報逃生指引系統與逃生指引控制模組
JP2006302054A (ja) 監視装置
KR20160104332A (ko) 영상 장치를 이용한 긴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19212020A (ja) 避難誘導サーバ、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避難誘導方法
KR20190064855A (ko) 비상조명 겸용 cctv led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