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54B1 -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54B1
KR102121854B1 KR1020200011779A KR20200011779A KR102121854B1 KR 102121854 B1 KR102121854 B1 KR 102121854B1 KR 1020200011779 A KR1020200011779 A KR 1020200011779A KR 20200011779 A KR20200011779 A KR 20200011779A KR 102121854 B1 KR102121854 B1 KR 10212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권
Original Assignee
(주)지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지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1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323Thermally-sensitive members making use of shape memory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방재관의 누수를 감지하여 이를 주변으로 알리는 누수감지유닛(100)과; 누수감지유닛(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이를 주변으로 알리는 화재감지유닛(2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소방수(물)의 유출 및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시설물관리가 보다 용이해지고, 특히 배터리 전원의 무분별한 소모를 제한할 수 있어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석재/소방배관/철판 등의 설치대상부위에 상관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Fire-fighting device that can detect leaks from fire pipes}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방수는 소방배관의 노후 또는 파손, 기타 소방수를 사용하는 장치의 밸브 고장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나, 관리자는 엄청난 양의 누수가 있기 전에는 조금씩 새는 소방수의 누수에 대해서는 확인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소방수의 누수는 금방 확인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만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수(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하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43481호(수돗물 누수 경보장치)가 있으며, 여기에는 물흐름 감지수단에서 물흐름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해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상으로 물흐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누수가 진행됨을 경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내부에서 물 흐름이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기준 값을 통해 누수 여부를 검출할 수는 있으나, 예를 들어 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보가 울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감지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누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감지가 전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단편화된 기술 즉, 누수감지나 화재감지처럼 기능에 제한에 있어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4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방수(물)의 누수 및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시설물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방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너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너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방배관과 연결너트 사이에서 새어나오는 누수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집수조의 하면에 형성되는‘C’자 형상의 탄성을 갖춘 클램프와;
집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감지해 출력하는 물감지센서와;
집수조에 설치되며 물감지센서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경광과 경고음을 방출하는 알림수단과;
물감지센서와 알림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된 누수감지유닛: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상면에는 함몰부가 마련되고, 함몰부가 마련된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부가 마련된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 양측면으로부터 대향되게 돌출된 PCB거치부, 함몰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기구설치대로 구성된 불연단열재질로 제작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어 양단부가 PCB거치부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단자부를 갖춘 인쇄회로기판과;
일단부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제작된 스위치부와;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부와 스위치부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와;
고정기구설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램프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되, 내부에는 적층된 양면테이프가 수용되고, 양면테이프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호형의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 수납부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 수납부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양면테이프를 떠받치는 승강판, 수납부에 수용되어 승강판을 미는 스프링, 수납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된 고정기구로 이루어진 화재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소방수(물)의 유출 및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시설물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스위치부와 단자부 및 배터리가 개회로(開回路)를 이루고 있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화재발생시에는 열에 의해 스위치부와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와 함께 폐회로(閉回路)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이 무분별한 소모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송신부 및 스피커를 통해 주변으로 화재신호 및 화재경보음을 출력함에 따라 관리자 및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화재의 신속하게 진압 및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소방배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서 누수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서 화재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소방배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서 누수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는 크게 누수감지유닛(100)과 화재감지유닛(2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소방수(물)의 유출 및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시설물관리가 보다 용이해지고, 특히 배터리 전원의 무분별한 소모를 제한할 수 있어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석재/소방배관/철판 등의 설치대상부위에 상관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누수감지유닛(100)은 거치대(110)와 집수조(120), 클램프(130), 물감지센서(140), 전원공급부(160) 및 알림수단(150)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전원공급부(160) 및 알림수단(150)을 감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투명한 보호커버(170)가 더 보강된다.
상기 거치대(110)는 소방배관(P)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너트(N)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너트(N)의 외면으로 끼워져 집수조(120)가 연결너트(N)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너트(N)와 집수조(120)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거치대(110)의 일부(상부)는 절개되어 있어, 이 절개된 부분을 통해 소방배관(P)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고, 소방배관(P)에 끼운 다음 연결너트(N)의 외면으로 끼워넣게 되면 연결너트(N)에 거치대(110)가 자연스럽게 결합된다.
상기 집수조(12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통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거치대(110)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너트(N)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방배관(P)과 연결너트(N) 사이에서 새어나오는 소방수(물)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추후 집수조(120)에 집수된 소방수(물)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집수조(120)에는 드레인용 마개가 더 보강된다.
상기 클램프(130)는 집수조(1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화재감지센서(200)와 누수감지센서(100)를 착탈가능하게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본 모양이‘C’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으로 끼워지는 화재감지센서(200)의 수납부(271)를 물어서 고정할 수 있게 탄성을 갖추고 있다.
일 예로, 상기 클램프(130)의 하방으로 개구된 부분을 통해 수납부(271)를 배치한 다음 수납부(271)를 강제로 밀어 넣게 되면, 클램프(130)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수납부(271)가 삽입되고, 삽입된 수납부(271)는 클램프(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고정된다.
특히, 상기 클램프(130)의 외주면에는 설치대안내부(131)가 마련되는데, 여기서 설치대안내부(131)는 수납부(271)가 착탈될 때 고정기구설치대(213)를 가이드하면서 내측으로 인입된 고정기구설치대(213)의 이동을 제한하여 클램프(130)로부터 수납부(271)가 이탈(측방향으로 빠지는 문제)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납부(271)가 고정기구설치대(213)의 돌기(축)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감지센서(140)는 공지의 센서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저수조(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방배관(P)과 연결너트(N) 사이에서 새어나온 물이 저수조(120)에 집수되면 이를 감지해 알림수단(150)을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알림수단(150)은 경광등과 스피커가 조합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저수조(120)의 측면에 설치되며, 물감지센서(140)에 의해 동작되어 외부로 경광(警光)과 경고음(警告音)을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공지의 건전지로, 알림수단(150)에 인접되게 저수조(120)의 측면에 설치되어 물감지센서(140)와 알림수단(15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알림수단(150)과 전원공급부(16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70)가 더 보강 구비되며, 보호커버(170)는 저수조(12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70)에는 알림수단(150)의 음향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상기 소방배관(P)과 연결너트(N) 사이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면, 새어나온 소방수(물)이 낙하되어 저수조(120)에 집수되고, 이 집수된 물을 물감지센서(140)가 감지하여 알림수단(150)을 동작시키게 되며, 알림수단(150)은 물감지센서(140)에 의해 동작되어 외부로 경광과 경고음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경광과 경고음을 통해 현장으로 신속하게 출동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화재감지유닛(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서 화재감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화재감지유닛(200)은 케이스(210)와 인쇄회로기판(220), 스위치부(230), 배터리(240), 송신부(250), 스피커(260) 및 고정기구(270)로 구성되어 고정기구(270)를 매개로 누수감지유닛(100)의 클램프(13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가압고정됨으로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화재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불연단열재를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서, 본체부(211)와 PCB거치부(212) 및 고정기구설치대(21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1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인쇄기로기판(220:PCB)과 스위치부(230), 배터리(240), 송신부(250) 및 스피커(2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11)의 상면 중간에는 하방으로 단차지게 함몰된 함몰부(2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함몰부(211a)가 마련된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부(211b:구멍)가 마련되며, 본체부(211)의 하면에는 한 쌍의 스위치부(230)가 관통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211)에 함몰부(211a)와 관통부(211b)를 마련해 줌으로서 본체부(211)의 내부에 배치된 송신부(250) 및 스피커(260)로부터 방출되는 신호 및 음향이 고정기구(270)에 방해를 받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11)의 내부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PCB거치부(2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PCB거치부(212)에는 인쇄회로기판(22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11)의 상면에는 함몰부(211a)를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기구설치대(213)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기구설치대(213)에는 고정기구(27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기구설치대(213)에는 돌기(축)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기구(270)의 외주면에는 돌기(축)가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기구(270)는 구멍을 매개로 고정기구설치대(213)의 돌기(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기구설치대(213)는 수납부(271)가 클램프(130)에 인입될 때 클램프(130)의 설치대안내부(131)를 따라 이동되어 수용되는데, 이에 의해 고정기구설치대(213)의 이동을 제한하여 클램프(130)로부터 수납부(271)가 이탈(측방향으로 빠지는 문제)되는 것이 방지되며, 수납부(271)가 고정기구설치대(213)의 돌기(축)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은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양단부가 PCB거치부(212)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의 하면 양단부에는 단자부(221)가 인출되고, 단자부(2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부(230)는 특정온도가 되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를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210)에 한 쌍의 스위치부(230)가 설치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10)에 설치된 스위치부(230)의 일단부는 케이스(210)의 하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위치부(230)의 일단부는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221)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240)는 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송신부(250) 및 스피커(26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스위치부(230)와 단자부(221) 및 배터리(240)가 개회로(開回路)를 이루고 있어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화재발생시에는 열에 의해 스위치부(230)와 단자부(2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240)와 함께 폐회로(閉回路)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배터리(240)의 전원이 무분별하게 소모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240)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터리(240)는 통상의 건전지이며, 일 예로서 배터리(240)는 인쇄회로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건전지소켓에 끼워진다.
상기 송신부(250)는 인쇄회로기판(220)에 설치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송신부(250)를 통해 송신된 신호는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전달되며,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260)는 인쇄회로기판(220)에 설치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향을 방출하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스피커(26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들을 수 있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시설물관리자의 경우에는 음향이 발생되는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기구(270)는 고정기구설치대(2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램프(130)와 함께 누수감지유닛(100)과 화재감지유닛(200)을 상호 연결해주는 매개체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화재감지유닛(200)이 누수감지유닛(100)에 설치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에는 고정기구(270)를 이용해 케이스(210)를 특정장소에 매달아두거나 거치해두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기구(270)는 수납부(271)와 커버(272), 승강판(273), 스프링(274), 양면테이프(T) 및 자석(M)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271)는 고정기구설치대(2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누수감지유닛(100)의 클램프(13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되, 내부에는 낱장의 양면테이프(T)가 적층되게 수용되고, 상면 일측에는 낱장의 양면테이프(T)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271a)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관(예:소방배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면테이프(T)를 매개로 부착되는 호형의 접촉부(27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72)는 수납부(271)의 상면에 배치되어 개구부(271a)를 개폐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납부(271)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판(27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납부(271)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양면테이프(T)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274)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납부(271)에 수용되어 승강판(273)을 밀어 낱장의 양면테이프(T)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석(M)은 커버(272)의 반대편 즉, 수납부(271)의 하면에 고정된다.
일 예로서, 상기 화재감지유닛(200)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고정기구(270)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는데, 고정기구(270)가 설치될 부위가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수납부(271) 및 커버(272)의 상면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한 다음 콘크리트 면에 부착해 설치하면 되고, 고정기구(270)가 설치될 부위가 철판인 경우에는 고정기구(270)에 설치된 자석(M)을 매개로 설치하면 되며, 고정기구(270)가 설치될 부위가 소방배관인 경우에는 접촉부(271b)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한 다음 관(예:소방배관)에 부착하면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고정기구(270)가 설치될 부위를 고려해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층된 양면테이프(T)가 승강판(273)과 스프링(274)에 의해 들어올려 짐에 따라 수납부(271)로부터 인출하기가 매우 수월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소방배관(P)과 연결너트(N)의 노후나 외부 충격에 의해 이음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된 소방수(물)는 낙하하여 집수조(120)에 집수되게 되고, 이때 집수된 물을 물감지센서(140)가 감지하여 알림수단(150)을 동작시키게 되며, 알림수단(150)은 물감지센서(140)에 의해 동작되어 외부로 경광과 경고음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경광과 경고음을 통해 현장으로 신속하게 출동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230)의 일단부는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221)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40)는 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송신부(250) 및 스피커(26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송신부(250)는 화재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송신된 신호는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수신되며, 화재신호를 수신받은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스피커(260)는 화재경보음을 주변으로 방출하여 주변사람들에게 알려주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소방수(물)의 유출 및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주변으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시설물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스위치부(230)와 단자부(221) 및 배터리(240)가 개회로(開回路)를 이루고 있어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화재발생시에는 열에 의해 스위치부(230)와 단자부(2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240)와 함께 폐회로(閉回路)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240)의 전원이 무분별한 소모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240)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250) 및 스피커(260)를 통해 주변으로 화재신호 및 화재경보음을 출력함에 따라 관리자 및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화재의 신속하게 진압 및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누수감지유닛 110: 거치대 120: 집수조
130: 클램프 131: 설치대안내부 140: 물감지센서
150: 알림수단 160: 전원공급부 200: 화재감지유닛
210: 케이스 211: 본체부 211a: 함몰부
211b: 관통부 212: PCB거치부 213: 고정기구설치부
220: 인쇄회로기판 221: 단자부 230: 스위치부
240: 배터리 250: 송신부 260: 스피커
270: 고정기구 271: 수납부 272: 커버
273: 승강판 274: 스프링 T: 양면테이프
M: 자석 P: 소방배관 N: 연결너트

Claims (1)

  1. 소방배관(P)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너트(N)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110)와;
    거치대(110)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너트(N)의 하부에 배치되어 소방배관(P)과 연결너트(N) 사이에서 새어나오는 누수를 집수하는 집수조(120)와;
    집수조(120)의 하면에 형성되는‘C’자 형상의 탄성을 갖춘 클램프(130)와;
    집수조(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감지해 출력하는 물감지센서(140)와;
    집수조(120)에 설치되며 물감지센서(140)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경광과 경고음을 방출하는 알림수단(150)과;
    물감지센서(140)와 알림수단(15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로 구성된 누수감지유닛(100):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상면에는 함몰부(211a)가 마련되고, 함몰부(211a)가 마련된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부(211b)가 마련된 본체부(211), 본체부(211)의 내부 양측면으로부터 대향되게 돌출된 PCB거치부(212), 함몰부(211a)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2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기구설치대(213)로 구성된 불연단열재질로 제작된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수용되어 양단부가 PCB거치부(212)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단자부(221)를 갖춘 인쇄회로기판(220)과;
    일단부는 케이스(210)의 하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2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221)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제작된 스위치부(230)와;
    인쇄회로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부(221)와 스위치부(230)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0)와;
    인쇄회로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50)와;
    인쇄회로기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260)와;
    고정기구설치대(2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램프(130)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되, 내부에는 적층된 양면테이프(T)가 수용되고, 양면테이프(T)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271a)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면테이프(T)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호형의 접촉부(271b)가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271), 수납부(271)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271a)를 개폐하는 커버(272), 수납부(271)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양면테이프(T)를 떠받치는 승강판(273), 수납부(271)에 수용되어 승강판(273)을 미는 스프링(274), 수납부(271)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M)으로 구성된 고정기구(270)로 이루어진 화재감지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200011779A 2020-01-31 2020-01-3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12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9A KR102121854B1 (ko) 2020-01-31 2020-01-3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9A KR102121854B1 (ko) 2020-01-31 2020-01-3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54B1 true KR102121854B1 (ko) 2020-06-12

Family

ID=7108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79A KR102121854B1 (ko) 2020-01-31 2020-01-31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631B1 (ko) * 2020-09-11 2021-01-12 (주)지아이건설기술그룹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시스템
CN117357845A (zh) * 2023-12-07 2024-01-09 江苏润泽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捆扎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0792A (ja) * 2009-09-24 2010-01-28 Hochiki Corp 火災警報機
KR101143481B1 (ko) 2012-02-09 2012-05-08 유백천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101216135B1 (ko) * 2011-07-28 2013-01-02 (주)서한에프앤씨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KR101732161B1 (ko) * 2016-08-12 2017-05-04 이수기술단(주)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761721B1 (ko) * 2016-08-17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761723B1 (ko) * 2016-08-12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20190079789A (ko) * 2017-12-28 2019-07-08 김부현 스탬프형 테이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0792A (ja) * 2009-09-24 2010-01-28 Hochiki Corp 火災警報機
KR101216135B1 (ko) * 2011-07-28 2013-01-02 (주)서한에프앤씨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KR101143481B1 (ko) 2012-02-09 2012-05-08 유백천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101732161B1 (ko) * 2016-08-12 2017-05-04 이수기술단(주)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761723B1 (ko) * 2016-08-12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사용이 용이한 소방호스를 갖춘 소방장치
KR101761721B1 (ko) * 2016-08-17 2017-07-28 이수기술단(주)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20190079789A (ko) * 2017-12-28 2019-07-08 김부현 스탬프형 테이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631B1 (ko) * 2020-09-11 2021-01-12 (주)지아이건설기술그룹 공동주택의 소방배관시스템
CN117357845A (zh) * 2023-12-07 2024-01-09 江苏润泽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捆扎机
CN117357845B (zh) * 2023-12-07 2024-02-23 江苏润泽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捆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854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206116B1 (ko) 모드선택 기능을 갖춘 옥내소화전
JP3188944U (ja) 位置表示灯付発信機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JP2009515242A (ja) 電気装置のラックにおける火災検知装置
KR101233463B1 (ko) 소화기 받침대
KR10182410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KR20170076481A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1856103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101732161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165093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CA2833691C (en) Water column supervisory switch
KR20120006308U (ko) 선박용 소방 장비의 보관함
KR102121847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N106097633A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系统
JP2014239850A (ja) 消火器と消火器を用いたシステム
AU2010268345B2 (en) Holder for fire extinguisher
KR20050064510A (ko) 원격제어 소방시스템
JP6890054B2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100267257B1 (ko) 음성 발신 및 백라이트 기능을 갖는 소화전 시스템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TWI566212B (zh) 公共急救設備
US7020520B2 (en) Defibrillator enclosu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