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481A -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 Google Patents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481A
KR20170076481A KR1020150186782A KR20150186782A KR20170076481A KR 20170076481 A KR20170076481 A KR 20170076481A KR 1020150186782 A KR1020150186782 A KR 1020150186782A KR 20150186782 A KR20150186782 A KR 20150186782A KR 20170076481 A KR20170076481 A KR 2017007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ire
adapte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187B1 (ko
Inventor
윤창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87B1/ko
Priority to CN201611197462.2A priority patent/CN106913978B/zh
Publication of KR2017007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를 캐비닛에 연결하여 캐비닛 내부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기 또는 전자기기 설비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화재에 의한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어댑터 연결부; 상기 어댑터 연결부에 끼워지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와 연통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연결호스와 연통되며, 소화기가 장착될 수 있는 소화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Fire Fighting Facility for Inside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를 캐비닛에 연결하여 캐비닛 내부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각종 플랜트에는 적게는 수 개에서 많게는 수 십개 이상의 전기 또는 전자기기 설비가 마련된 캐비닛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캐비닛은 전기 또는 전자기기의 이상으로 캐비닛 내부 화재가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 경우 전기 또는 전자기기실 전체의 화재로 번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전기 또는 전자기기실 전체로 화재가 번지는 경우는 복수 개의 캐비닛에서 화재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했다기보다 특정 캐비닛의 화재가 주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캐비닛의 초기 진화에 성공한다면 큰 재산 손실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캐비닛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하면 캐비닛 화재의 초기 발견 및 진화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대부분의 발전소 또는 각종 플랜트에 설치되는 전기 또는 전자기기 캐비닛은 보안 및 안전사고방지를 위해 시건장치를 이용하여 캐비닛을 열 수 없도록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캐비닛을 열 수 있는 열쇠는 특정 사람에 의해 별도로 관리되고 있다. 이처럼 캐비닛을 열 수 있는 열쇠를 특정 사람이 관리함에 따라, 캐비닛 근처에 있는 사람이 캐비닛의 화재를 발견하더라도 열쇠를 가지고 있지 않아 초기 진화에 실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 내부에 소화 설비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캐비닛 내부의 소화 설비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와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며, 화재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캐비닛 내부 소화 설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캐비닛 내부에 소화 설비를 설치하는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발전소 또는 각종 플랜트에는 적게는 수 개에서 많게는 수 십개 이상의 전기 또는 전자기기 설비가 마련된 캐비닛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캐비닛 각각에 캐비닛 내부 소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 설비의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 설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관리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닛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를 캐비닛에 연결하여 캐비닛 내부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는,
내부에 전기 또는 전자기기 설비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화재에 의한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어댑터 연결부; 상기 어댑터 연결부에 끼워지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와 연통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연결호스와 연통되며, 소화기가 장착될 수 있는 소화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의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댑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 내부에는, 고리모양의 와셔와, 일단이 상기 와셔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어댑터 연결부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으며,상기 통공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제1홈이 마련되고, 상기 통공 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일 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 내부 표면은 개스킷으로 덮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의 상기 소화기 장착부는 상기 소화기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호스와 연통되어 있는 장착공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분리되는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제2항우징의 일단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타단은 분리되어 있어,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공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상기 장착공 내부 표면은 신축성 있는 재질의 부재로 덮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의 상기 화재 감지부는,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연기 감지부; 화재에 의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연기 감지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작동되는 라이트 및 사이렌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 감지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는 릴레이 구동방식으로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기 감지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연기 감지부 또는 상기 온도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에 의해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을 작동시킬 수 있는 테스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는 상기 어댑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기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액을 상기 캐비닛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 상기 연결관 중간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기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소화액의 분사압을 조절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버퍼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의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 공기가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방출구를 덮으면서 상기 캐비닛에 결합 되어 있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압력 증가에 의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캐비닛과 자석을 통해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 외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를 캐비닛에 연결하여 캐비닛 내부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캐비닛 내부 화재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는 설비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는 기존에 이미 배치된 소화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화재 설비 관리가 용이하며, 내용연한이 된 소화기 교체시에도 본 설비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화재 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장착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장착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를 캐비닛에 연결하여 캐비닛 내부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는 캐비닛(110), 화재 감지부(120), 어댑터 연결부(130), 어댑터(140), 연결호스(150), 소화기 장착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10)은 내부에 전기 또는 전자기기 설비(11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캐비닛(110)은 보안 및 안전사고 방지의 목적으로 시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닛(110)을 열 수 없도록 24시간 운영되며, 특정한 사람이 열쇠를 별도로 관리하게 된다.
상기 화재 감지부(120)는 상기 캐비닛(110)에 마련되며 화재에 의한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 감지부(120)는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연기 감지부(121), 화재에 의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122),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기 온도 감지부(122)에 의해 작동되는 라이트(123) 및 사이렌(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기 온도 감지부(122)는 릴레이 구동방식으로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을 작동시킬 수 있다. 릴레이 구동 방식은 코일에 전류를 흘려 전자석 방식을 이용하여 접점을 붙이고 떼는 방식이다.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가 발생하거나, 캐비닛 온도가 높아지면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기 온도 감지부(122)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릴레이 구동부(126)에 마련되어 있는 접점이 연결된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126)의 접점이 연결되면, 전기가 흐르게 되어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126)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기 온도 감지부(122)는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기 감지부(121) 또는 상기 온도 감지부(122) 중 어느 하나의 감지에 의해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이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기 감지부(121)가 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온도 감지부(122)와 상관없이 상기 라이트(123)와 상기 사이렌(124)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온도 감지부(122)가 온도를 감지하면,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관없이 상기 라이트(123)와 상기 사이렌(12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기 온도 감지부(122)가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과 병렬로 연결되어 가능한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화재가 났을 때 신속하게 화재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연기 감지부(121)와 상기 온도 감지부(122)는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연기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은 상기 캐비닛(110) 외부에 마련되며, 사람의 눈에 잘 뛰는 곳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 감지부(120)는 플랜트의 PCL(Programmble Logic Controller)과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PCL과 상기 DCS는 플랜트 전체를 관리하는 제어 설비이다. 상기 화재 감지부(120)는 상기 PCL 또는 상기 DCS에 연동될 수 있는 디지털 접점을 제공하여 플랜트 제어설비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플랜트 제어설비에 상기 화재 감지부(120)를 연결하여 화재가 났을 때 상기 화재 감지부(120)와 연결된 플랜트 제어설비로 화재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화재 감지부(120)는 테스트 스위치(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스위치(125)는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의 작동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테스트 스위치(125)를 누르게 되면 상기 라이트(123)와 상기 사이렌(124)은 작동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 스위치(125)를 통해 상기 라이트(123) 및 상기 사이렌(124)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부(120)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131)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의 상기 통공(131)을 통해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180)의 소화액이 상기 캐비닛(110)로 내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댑터(140)는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호스(150)는 상기 어댑터(140)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호스(150)는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와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는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화기(180)가 장착되는 곳이다.
즉,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에 통상의 소화기(180)가 장착되어, 상기 소화기(180)에서 나오는 소화액이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연결호스(150)를 통해 상기 어댑터(14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140)로 이동한 상기 소화기(180)의 소화액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140)는 상기 연결호스(15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140)가 회전할 때 상기 연결호스(150)는 회전하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댑터(14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연결호스(15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댑터(14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의 상기 통공(13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어댑터(140)가 상기 통공(131)에 끼워져 고정되기 위해, 상기 어댑터(14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14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31)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14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홈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어댑터(140)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 내부에는 고리모양의 와셔(134)와 일단이 상기 와셔(134)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13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의 상기 통공(131)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141)가 끼워질 수 있는 제1홈(13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통공(131) 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141)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13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홈(132)과 상기 제2홈(133)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홈(132)과 상기 제2홈(133)은 일 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다. 즉, 상기 통공(131) 일단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1홈(132)에 상기 어댑터(140)의 상기 돌기(141)가 먼저 끼워지게 된다. 그 이후 상기 어댑터(140)를 밀어서 돌리면 상기 돌기(141)는 상기 제1홈(132)에서 상기 통공(131) 내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홈(132)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홈(133)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홈(132)과 상기 제2홈(133)은 연결되어 있으면서, 일 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돌기(141)를 상기 제1홈(132)에 넣은 후 밀어서 돌려 상기 제2홈(133)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어댑터(140)를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와셔(134)와 상기 스프링(135)은 상기 어댑터(140)를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 연결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고리 모양의 상기 와셔(134)는 상기 스프링(135)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140)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 끼워질 때 상기 어댑터(140)와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어댑터(140)를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 내부로 밀면, 상기 와셔(134)도 같이 밀리면서 상기 스프링(135)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140)를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 내부로 밀어서 돌리면 상기 어댑터(140)는 고정되고, 이때 상기 스프링(135)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프링(135)의 힘에 의해 상기 어댑터(140)의 상기 돌기(141)는 상기 제2홈(133)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어댑터(140)를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서 분리할 때는 상기 어댑터(140)를 조금 밀면서 돌린다. 상기 어댑터(140)를 돌리면, 상기 어댑터(140)의 상기 돌기(141)가 상기 제2홈(133)에서 나오게 되고, 상기 스프링(135)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제1홈(132)으로 상기 돌기(141)가 쉽게 빠져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35)은 원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리 모양의 상기 와셔(134)의 주변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135)은 상기 통공(131)을 막지 않기 위해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의 상기 통공(131) 내부 표면은 개스킷(미도시)로 덮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스킷(미도시)은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소재이다. 상기 통공(131) 내부 표면을 상기 개스킷(미도시)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서 상기 소화기(180)의 소화액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는 상기 소화기(180)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는 상기 소화기(18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호스(150)와 연통되어 있는 장착공(161)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162)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62)은 제1하우징(163)과 상기 제1하우징(163)과 분리되는 제2하우징(16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하우징(163)의 일단과 상기 제2하우징(164)의 일단은 힌지(165)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63)과 상기 제2하우징(164)의 타단은 분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164)은 상기 힌지(165)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16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소화기(180)를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에 장착할 때, 상기 제2하우징(164)을 회전시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소화기(180)를 상기 제1하우징(163)에 올려놓고 상기 제2하우징(164)을 다시 회전시키면 상기 소화기(180)가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16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63)에 대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소화기(180)를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에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180)를 상기 소화기 장착부(160)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제1하우징(163)과 상기 제2하우징(164)을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장치(166)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166)는 상기 제1하우징(163)과 상기 제2하우징(164)을 결합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166)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공(161)은 상기 하우징(162)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장착공(161)의 입구는 좁고, 내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161)이 상기 연결호스(150)와 만나는 지점은 다시 좁아져 상기 장착공(161)의 단면 형상은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161)의 내부 표면은 신축성 있는 재질의 부재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착공(161)에는 다양한 크기의 노즐을 갖는 소화기(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161)의 형상이 상기 하우징(162) 내부로 갈수록 넓어짐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노즐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공(161)의 내부 표면이 신축성 있는 재질의 부재로 덮혀 있어 상기 장착공(161) 보다 크기가 큰 노즐을 갖는 소화기(180)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신축성 있는 재질의 부재는 라텍스 또는 스펀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는 방출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출구(170)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110) 내부 공기가 방출될 수 있는 구멍이다. 상기 방출구(170)는 덮개부(171)로 덮혀 있다.
상기 덮개부(171)는 상기 캐비닛(110)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덮개부(171)가 분리되면, 상기 방출구(170)를 통해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나면 높은 온도에 의해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캐비닛(110)이 손상될 위험이 있으며, 높은 압력으로 인해 사람이 다칠 수도 있다. 상기 방출구(170)는 상기 캐비닛(110)의 공기를 밖으로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71)와 상기 캐비닛(110)은 자석(172)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강도가 약한 자석(172)으로 상기 덮개부(171)를 상기 캐비닛(110)에 결합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높은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자석(172)에 의한 힘보다 커질때, 상기 덮개부(171)가 상기 캐비닛(110)으로 부터 분리된다.
상기 덮개부(171) 외부에는 손잡이(17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73)를 통해 필요시 사람이 직접 상기 덮개부(171)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캐비닛(11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71)는 상기 캐비닛(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측이 상기 캐비닛(110)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압력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71)와 상기 캐비닛(110)의 결합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출구(170)로 상기 캐비닛(110) 내부의 공기가 방출될 수 있으면, 다양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는 연결관(112), 분사노즐(113), 매니폴드(114), 버퍼탱크(1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2)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와 연결되며,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112)은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서 다양한 갈래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소화가 필요한 지점으로 다양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13)은 상기 연결관(112)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기(180)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액을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이다. 상기 분사노즐(113)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소화가 필요한 지점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114)는 상기 연결관(112) 중간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기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액의 분사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114)는 상기 연결관(112)이 갈래를 이루는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114)는 3구 TEE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관(112)이 세 갈래로 나누어지는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소화기(180) 소화액의 분사압은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퍼지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매니폴드(114)를 이용하면 상기 소화기(180)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이 분사압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소화액이 적절히 퍼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114)의 상세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버퍼탱크(115)는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의 상기 통공(131)과 연통되며, 상기 통공(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버퍼탱크(115)는 상기 소화기(180)의 소화액의 압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소화기(180)의 소화액의 압력이 너무 커지면 상기 연결관(112)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상기 버퍼탱크(115)는 소화액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여 상기 연결관(112)에 소화액이 일정하게 흐를 수 있도록 보조한다. 즉, 상기 매니폴드(114)와 상기 버퍼탱크(115)를 통해 상기 연결관(112)에 흐르는 소화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캐비닛(1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감지부(120)에 의해 화재가 알려지게 된다. 화재가 알려지면, 일반적인 소화기(180)를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에 마련되어 있는 소화기 장착부(160)에 장착하고 어댑터(140)를 어댑터 연결부(130)에 연결하여 소화기(180)를 통해 소화액을 분사함으로써 캐비닛(110) 내부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캐비닛은 열쇠를 특정한 사람이 관리하기 때문에 캐비닛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있었다. 화재의 초기 진압 실패는 대형 화재 사고로 연결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100)는 캐비닛(110)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여, 통상 사용되는 소화기(180)를 캐비닛(110)에 연결하여 캐비닛(110) 내부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캐비닛(110) 내부 화재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100)는 설비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캐비닛 화재 설비는 캐비닛 내부에 화재 설비를 마련해야 하는바, 그 비용이 비싸고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100)는 기존에 이미 배치된 소화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화재 설비 관리가 용이하며, 내용연한이 된 소화기 교체시에도 본 설비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화재 설비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모든 발전소 및 플랜트에서는 수많은 전기 또는 전자기기 캐비닛을 사용하고 있지만, 캐비닛이 잠겨 있어 초기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100)는 기존에 비치된 통상의 소화기를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초기 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100)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캐비닛 내부 화재 설비(100)는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의 상기 통공(131)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홈(133)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홈(136)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홈(136)은 상기 통공(131) 내부에서 상기 제2홈(133)이 상기 제1홈(13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3홈(136)은 상기 어댑터(140)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홈(136)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제1홈(132)에 상기 어댑터(140)의 상기 돌기(141)를 끼우고 힘을 가하면서 돌린다. 상기 제1홈(132)에 끼워져 있는 상기 돌기(141)는 상기 제2홈(133)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홈(133)으로 이동한 상기 돌기(141)는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135)에 의해 힘을 받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어댑터(140)를 놓으면(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135)의 힘에 의해 상기 제2홈(133)에 있던 상기 돌기(141)는 상기 제3홈(136)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어댑터(140)는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에 빠지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 어댑터(140)를 분리할 때는 상기 어댑터(14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제3홈(136)에 있던 상기 돌기(141)는 상기 제2홈(133)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140)를 돌리면, 상기 제2홈(133)으로 이동한 상기 돌기(141)는 상기 제1홈(132)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어댑터(140)가 상기 어댑터 연결부(13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10...캐비닛
112...연결관 113...분사노즐
114...매니폴드 115...버퍼탱크
120...화재 감지부 121...연기 감지부
122...온도 감지부 123...라이트
124...사이렌 125...테스트 스위치
130...어댑터 연결부 131...통공
132...제1홈 133...제2홈
134...와셔 135...스프링
140...어댑터 141...돌기
150...연결호스 160...소화기 장착부
161...장착공 162...하우징
163...제1하우징 164...제2하우징
165...힌지 166...결합장치
170...방출구 171...덮개부
172...자석 173...손잡이
180...소화기

Claims (17)

  1.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소화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로서,
    내부에 전기 또는 전자기기 설비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화재에 의한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어댑터 연결부;
    상기 어댑터 연결부에 끼워지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와 연통되는 연결호스; 및
    상기 연결호스와 연통되며, 소화기가 장착될 수 있는 소화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호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통공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연결부 내부에는, 고리모양의 와셔와,
    일단이 상기 와셔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어댑터 연결부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제1홈이 마련되고, 상기 통공 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제2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일 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홈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 내부 표면은 개스킷으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장착부는 상기 소화기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호스와 연통되어 있는 장착공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분리되는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단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타단은 분리되어 있어,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상기 장착공 내부 표면은 신축성 있는 재질의 부재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연기 감지부;
    화재에 의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연기 감지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작동되는 라이트 및 사이렌을 포함하며,
    상기 연기 감지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는 릴레이 구동방식으로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부와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연기 감지부 또는 상기 온도 감지부 중 어느 하나의 감지에 의해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및 상기 사이렌을 작동시킬 수 있는 테스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소화기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액을 상기 캐비닛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
    상기 연결관 중간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기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소화액의 분사압을 조절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연결부의 상기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버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캐비닛 내부 공기가 방출될 수 있는 방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방출구를 덮으면서 상기 캐비닛에 결합 되어 있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압력 증가에 의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캐비닛과 자석을 통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외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20150186782A 2015-12-24 2015-12-24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182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782A KR101825187B1 (ko) 2015-12-24 2015-12-24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CN201611197462.2A CN106913978B (zh) 2015-12-24 2016-12-22 用于机柜内部的灭火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782A KR101825187B1 (ko) 2015-12-24 2015-12-24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481A true KR20170076481A (ko) 2017-07-04
KR101825187B1 KR101825187B1 (ko) 2018-02-02

Family

ID=5935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782A KR101825187B1 (ko) 2015-12-24 2015-12-24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5187B1 (ko)
CN (1) CN10691397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225A (zh) * 2017-10-12 2017-12-29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中压开关设备
CN109275298A (zh) * 2018-11-09 2019-01-25 安徽顺开电气有限公司 一种防火电气柜及其防火方法
CN113745680A (zh) * 2021-08-30 2021-12-03 无锡隆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消防功能的锂电池箱
KR102544996B1 (ko) * 2023-01-31 2023-06-20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전기설비용 소화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2655B (zh) * 2018-08-31 2020-06-19 河南省云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气体消防组件的机柜
CN109718497B (zh) * 2019-02-25 2024-01-23 志纳电器有限公司 一种消防泵自动巡检控制设备
KR102131622B1 (ko) * 2019-08-26 2020-07-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드래프트 방지용 도어손잡이
CN111010828B (zh) * 2019-12-24 2021-04-02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带有阻燃灭火功能的分格式自动化电气控制柜
KR20210124619A (ko) * 2020-04-07 2021-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화재 진압 장치
CN111589015A (zh) * 2020-06-05 2020-08-28 东阳坪洲电动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防爆灭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6A (ja) * 1994-06-30 1996-01-16 Sony Corp 電子機器の消火方法および消火器搭載装置
JPH08322958A (ja) * 1995-06-01 1996-12-10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取り付け構造
KR200388714Y1 (ko) * 2005-04-21 2005-07-01 이동우 소방 호스용 연결구
KR200399329Y1 (ko) * 2005-06-17 2005-10-25 조용훈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JP2007268006A (ja) * 2006-03-31 2007-10-18 Nohmi Bosai Ltd 火源注入式消火装置
KR101296832B1 (ko) * 2012-04-03 2013-08-14 와이에스(주) 소방노즐용 호스 꼬임 방지 조립체
KR101286756B1 (ko) * 2012-11-22 2013-07-16 주식회사 테크노믹스 소화장치
JP2014195646A (ja) * 2013-03-05 2014-10-16 ニッショウ機器株式会社 消火用具
CN105160794B (zh) * 2015-10-14 2019-02-12 国家电网公司 低压配电柜火灾报警防护装置及温度检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225A (zh) * 2017-10-12 2017-12-29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中压开关设备
CN107528225B (zh) * 2017-10-12 2023-08-04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中压开关设备
CN109275298A (zh) * 2018-11-09 2019-01-25 安徽顺开电气有限公司 一种防火电气柜及其防火方法
CN113745680A (zh) * 2021-08-30 2021-12-03 无锡隆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消防功能的锂电池箱
KR102544996B1 (ko) * 2023-01-31 2023-06-20 주식회사 리모빌리티 전기설비용 소화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13978B (zh) 2020-03-10
CN106913978A (zh) 2017-07-04
KR101825187B1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87B1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US5864287A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US102322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leak
US6195002B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US20210331016A1 (en) Internally mounted device for the supervision of a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519876B1 (ko) 화재감지 및 소방기능을 가지는 배전반
BG113294A (bg) Автоматична система за охлаждане и пожарогасене
KR100825253B1 (ko) 유기용매 사용기기의 폭발방지장치
AU2014289979A1 (en) Tool and method for draining a fire sprinkler system and a fire sprinkler
CN213964934U (zh) 一种新型双信号反馈悬挂式灭火装置
KR20040096713A (ko) 공통배관을 이용한 가스계 겸용 물분무 소화설비시스템
CN210845054U (zh) 一种自动灭火配电柜
JP2014064702A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102243460B1 (ko) 화재 진압 시스템
CN219149080U (zh) 一种泵驱式全氟己酮自动灭火装置
CN217642317U (zh) 一种具有智能灭火功能的电气柜
KR200492350Y1 (ko) 자동소화기의 소화제 누출감지장치
CN209612048U (zh) 一种扑救仪控电子控制柜间火灾的消防系统
CN211461853U (zh) 一种用于网络机柜的灭火装置
KR102618871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CN211383584U (zh) 消防喷淋器、器具和消防喷淋系统
KR102298824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