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24B1 -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 Google Patents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24B1
KR102298824B1 KR1020210024505A KR20210024505A KR102298824B1 KR 102298824 B1 KR102298824 B1 KR 102298824B1 KR 1020210024505 A KR1020210024505 A KR 1020210024505A KR 20210024505 A KR20210024505 A KR 20210024505A KR 102298824 B1 KR102298824 B1 KR 10229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mount
outer case
injection hole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2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이나 천정에 탈착이 가능하게 접합되는 접합면에 대응되는 면의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분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정면에서 분사홀의 외주연 일측에 부착되어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사홀 외주연에 부착되어 주위의 탄소량을 감지하는 탄소량 감지 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사홀 외주연에 부착되어 주위의 가스량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접합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하는 히팅 코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출구가 분사홀에 연통하도록 고정되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소화제가 압축 저장되며, 출구가 개방되면서 일정 압력으로 분사홀을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소화제 분사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탄소량 감지 센서와 상기 가스 센서와 상기 히팅 코일 및 상기 소화제 분사기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밸브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체크되면 상기 히팅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체크되거나 감지되는 탄소량이 설정량 이상으로 체크되면 경고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소화제 분사기를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가스 센서를 통해 설정량 이상의 가스량이 체크되면 상기 경고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MULTI-PURPOSE FIRE ALARM DEVICE FOR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와 탄소량 감지 센서와 가스 센서를 통해 화재나 가스 누출 및 동파 발생을 미연에 체크하여 이를 경고하여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재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기존의 소방설비에 추가적으로 더 설치하거나 소방설비가 없는 열악한 환경의 건물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건축물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인명, 재산상의 많은 피해를 가져오므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여 최초 발생된 장소에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건물 내에는 화재감지기, 화재발신기, 화재경보기 및 소화전을 기본적으로 갖추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여 중앙제어실 또는 화재발신기와 벨 경보기에 신호를 보내어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전을 작동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 신축되는 건물이나 고층건물에는 건물의 천장이나 벽등에 화재경보기를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화재경보기의 작동에 의하여 화재발생을 곧 알 수 있게 되므로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특히 시공된 지 오래된 기존의 건물이나 밀집된 재래 상가 또는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는 공사 중인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들은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이를 알 수 있게 되어 막대한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재경보기는 단순히 화재를 경보하는 데에만 사용되었고, 누전, 도난 등의 상황에 대해 다각도로 경보를 알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제안된 등록특허 제1739543호(2017.05.18.)의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에서는 소방용 설비부와 다목적 소방용 화재 감지부 및 다목적 소방화재 제어부를 구비하면서 다목적 소방화재 제어부는 복합 화재분석부와 누수경보 발생부를 포함하고, 복합 화재분석부는 화재신호 분석부와 영상 분석부 및 음량 분석부를 포함하며, 누수경보 발생부에 포함되는 누수 감지모듈은 하부 절연체와 상부 절연체로서 이루어지고, 하부 절연체는 제1 하부전극과 제2 하부전극 및 제3 하부전극으로 형성되도록 한 바 있다.
따라서, 화재나 그 외의 지진이나 누수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상황 경보를 알려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 대응과 건축물의 유지 보수에 만전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화재경보기를 위해서는 열 감지모듈과 온도 감지모듈과 아크 감지모듈과 연기 감지모듈, 영상 촬영모듈과 음향 감지모듈 및 지지 감지모듈과 같은 다양한 감지모듈이 사용되어야만 하므로 매우 복잡하고 지나치게 많은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헌 1) 등록특허 제1739543호(2017.05.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온도와 탄소량을 감지하는 센서와 함께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화재와 가스누출 및 동파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나 가스 누출 사고 및 동파가 의심되는 위치에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위치 변경이 용이토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는, 벽면이나 천정에 탈착이 가능하게 접합되는 접합면에 대응되는 면의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분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정면에서 분사홀의 외주연 일측에 부착되어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사홀 외주연에 부착되어 주위의 탄소량을 감지하는 탄소량 감지 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분사홀 외주연에 부착되어 주위의 가스량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접합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하는 히팅 코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출구가 분사홀에 연통하도록 고정되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소화제가 압축 저장되며, 출구가 개방되면서 일정 압력으로 분사홀을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소화제 분사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탄소량 감지 센서와 상기 가스 센서와 상기 히팅 코일 및 상기 소화제 분사기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밸브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체크되면 상기 히팅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체크되거나 감지되는 탄소량이 설정량 이상으로 체크되면 경고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소화제 분사기를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가스 센서를 통해 설정량 이상의 가스량이 체크되면 상기 경고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내부로 충전지가 내장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전원 충전잭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경고수단은 벨 또는 버저 또는 스피커로서 구비되어 상기 콘트롤러에 저장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러는 배터리 용량이 소진되면 상기 경고수단을 통해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를 저장된 음성 신호에 의해 일정 주기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나 가스 누출 예상 위치 및 동파가 예상되는 수도전이나 수도 계량기 등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설치수를 결정 및 가감할 수가 있어 화재 및 가스 누출을 알려주도록 하면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가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설비가 전혀 갖추어지지 않은 매우 열악한 환경의 건물에도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안전성 향상과 더불어 인명 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천정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수도관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10)와 온도 센서(20)와 탄소량 감지 센서(30)와 가스 센서(40)와 히팅 코일(50)과 소화제 분사기(60)과 전원 공급부(70) 및 콘트롤러(8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외부 케이스(10)는 내부로 일정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으로는 벽면이나 천정에 탈착이 가능하게 평판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벽면이나 천정에 밀착되는 평판의 판면에는 양면 테이프(11) 등이 접착되도록 하고, 양면 테이프(11)가 접착되는 접합면과 대응되는 면의 중앙에는 일정 직경으로 분사홀(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외부 케이스(10)의 벽면이나 천정에 접합되는 접합면과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면의 중앙은 일정 직경으로 내부와 관통되도록 하여 분사홀(12)이 형성되게 한다.
이렇게 분사홀(12)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의 정면에서 분사홀(12)의 외주연 일측에는 주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20)가 부착되도록 한다.
온도 센서(20)가 구비되는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 외주연으로는 온도 센서(20)와 함께 주위의 탄소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량 감지 센서(30)가 부착되도록 한다.
탄소량 감지 센서(30)는 주위에서 감지되는 탄소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주로 탄소량은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이 통상 화염에 의해 발생되는 비교적 높은 수치의 탄소량을 측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공기 중의 미세한 탄소량은 측정이 않되고, 화염 발생에 의한 비교적 높은 수치의 탄소량에 대해서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온도 센서(20)와 탄소량 감지 센서(30)를 통해 주위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할 수가 있게 된다.
온도 센서(20)와 탄소량 감지 센서(30)와 함께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 외주연부에는 가스 센서(40)도 구비되도록 한다.
가스 센서(40)는 통상 도시가스로 주로 사용하는 LNG나 LPG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외부 케이스(10)의 정면으로 설치되는 온도 센서(20)와 탄소량 감지 센서(30) 및 가스 센서(40)와는 달리 접합면측으로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히팅 코일(50)이 구비되도록 한다.
히팅 코일(50)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게 되는 구성이며, 특히 수도전 또는 수도관 또는 수도계량기에 고정되는 부위가 발열되게 하여 직접적으로 동결이 방지되도록 한다.
외부 케이스(10)의 정면과 접합면측으로 형성되는 구성과는 달리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출구가 분사홀(12)과 연통되도록 하면서 고정되게 소화제 분사기(60)가 구비된다.
소화제 분사기(60)는 내부에 일정량의 소화제가 압축 저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출구는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이 출구는 개폐밸브(61)의 개폐작용에 의해 개폐되어 내부에 채워지는 소화제가 일정 분사압에 의해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소화제 분사기(60)의 분사홀(12)에 연통되는 출구가 개폐밸브(61)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면서 내부에 압축 저장되어 있던 소화제가 일시에 분사되도록 하며, 특히 소화제의 분사각은 최대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이렇게 공급되는 전원을 온도 센서(20)와 탄소량 감지 센서(30)와 가스 센서(40)와 히팅 코일(50) 및 소화제 분사기(60)의 개폐밸브(61)에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7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70)는 충전지가 내장되도록 하여 전원 충전잭(71)을 통해 외부로부터 충전지에 충전되게 할 수도 있고, 배터리 교체가 가능하게 배터리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70)는 외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다양한 감지 모듈들과 작동 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70)를 통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온도 센서(20)와 탄소량 감지 센서(30)와 가스 센서(4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와 탄소량 및 가스량을 체크하도록 콘트롤러(8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콘트롤러(80)에서는 화재 발생 및 동파를 판단하는 기준값이 되는 온도값이 미리 설정되도록 하고,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나 악취에 혼합되어 있는 탄소량의 일정값이 설정되도록 하며, 가스 누출 시 발생되는 가스량의 일정값이 설정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콘트롤러(80)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탄소량 및 가스량에 따라 히팅 코일(50)이나 소화제 분사기(60)의 개폐밸브(61) 또는 경고수단(81)이 작동되도록 한다.
경고수단(81)은 콘트롤러(80)에 연결되는 벨 또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저장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되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시에는 이를 소리로서 알려주도록 한다,.
다만, 수도전이나 수도관 또는 수도계량기의 동파는 별도의 경고 신호가 없이 히팅 코일(50)이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작동 온 상태가 되도록 하며, 배터리 용량이 소진되면 경고수단(81)을 통해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를 콘트롤러(80)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일정 주기로 출력되게 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 매립 설치하지 않고 화재 발생 가능한 최대한 근접한 위치와 가스 누출이 우려되는 위치 및 동파 가능한 위치에 필요로 하는 수만큼 부착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및 동파 발생이 우려되는 위치의 천정이나 벽에 간단히 양면 테이프(11) 등의 이면지를 떼어내고 천정(R)이나 벽면(W) 또는 동파가 우려되는 수도전이나 수도관(P) 또는 수도 계량기에 부착 또는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또는 동파가 우려되는 위치에 본 발명의 화재경보기를 부착시키게 되면 화재가 발생 시 화재의 열기로 인해 온도 센서(20)에서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탄소량 감지 센서(30)로부터 연기 등으로부터 설정값 이상의 탄소량이 감지되면 콘트롤러(80)에서는 그 즉시 경고수단(81)을 작동시켜 화재 발생 또는 가스 누출을 알리는 동시에 소화제 분사기(60)의 개폐밸브(61)를 개방시켜 압축 저장된 소화제가 순간적으로 소화제 분사기(60)의 출구와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소화제를 분사시키는 화재경보기를 다수 구비시키게 되면 각 화재경보기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제에 의해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 수 있거나 화재의 확산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아파트나 빌딩에는 통상 천정에 화재경보기와 스프링쿨러 등이 이미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의 작동을 위해서는 천정까지 화재가 확산되어야만 하므로 조기 진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화재경보기나 스프링쿨러가 설치되지 않은 소방설비가 열악한 건물에서는 화재 발생에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재경보기를 필요한 갯수만큼 간단히 구입하여 필요한 위치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조기 경보 및 진화가 가능하므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소방설비가 전혀 갖추어지지 않은 쪽방촌과 같은 대단히 열악한 환경에서도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화재로부터 보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가스 누출이 가능한 곳이면 어디에나 설치가 가능하고, 일정 이상의 가스 누출이 감지되면 경고수단(81)을 통해 알려주게 되므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동절기에 동파가 예상되는 수도관(P)이나 수도전 또는 외부의 수도계량기에 본 발명을 연결시키고, 온도 센서(2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체크되면 그 즉시 히팅 코일(50)이 가열되도록 하여 히팅 코일(50)을 통해 상수관이나 수도전 또는 외부의 수도계량기를 가열시켜 동파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건축물의 어디에든 쉽게 부착시킬 수가 있고,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에 의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노후화나 고장에 따른 교체가 매우 용이하므로 사용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쉬운 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안전성이 열악한 환경의 건축물에도 누구나 쉽게 설치 가능하고, 건축물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좀더 안전한 사고 관리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외부 케이스
11 : 양면 테이프 12 : 분사홀
20 : 온도 센서
30 : 탄소량 감지 센서
40 : 가스 센서
50 : 히팅 코일
60 : 소화제 분사기
61 : 개폐밸브
70 : 전원 공급부
71 : 전원 충전잭
80 : 콘트롤러
81 : 경고수단
R : 천정
W : 벽면
P : 수도관

Claims (4)

  1. 일측은 화재 발생이나 가스 누출 및 동파 발생이 우려되는 위치의 벽면이나 천정에 탈착이 가능하게 양면 테이프(11)에 의해 접합되고, 접합면에 대응되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면의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분사홀(12)이 형성되도록 하는 외부 케이스(10);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이 형성되는 정면에서 분사홀(12)의 외주연 일측에 부착되어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0):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 외주연에 부착되어 주위의 탄소량을 감지하는 탄소량 감지 센서(30);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분사홀(12) 외주연에 부착되어 주위의 가스량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40);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접합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수도관에 연결되도록 하는 히팅 코일(50);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출구가 분사홀(12)에 연통하도록 고정되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소화제가 압축 저장되며, 출구가 개방되면서 일정 압력으로 분사홀(12)을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소화제 분사기(60);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일측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온도 센서(20)와 상기 탄소량 감지 센서(30)와 상기 가스 센서(40)와 상기 히팅 코일(50) 및 상기 소화제 분사기(60)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밸브(6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충전지가 내장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충전잭(71)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70);
    화재 발생에 의해 상기 온도 센서(2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체크되면 상기 히팅 코일(5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체크되거나 감지되는 탄소량이 설정량 이상으로 체크되면 경고수단(81)이 작동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소화제 분사기(60)를 통해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며, 가스 누출에 의해 상기 가스 센서(40)를 통해 설정량 이상의 가스량이 체크되면 상기 경고수단(81)이 작동되도록 하는 콘트롤러(80);
    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경고수단(81)은 벨 또는 버저 또는 스피커로서 구비되어 상기 콘트롤러(80)에 저장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콘트롤러(80)는 배터리 용량이 소진되면 상기 경고수단(81)을 통해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를 저장된 음성 신호에 의해 일정 주기로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4505A 2021-02-24 2021-02-24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10229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05A KR102298824B1 (ko) 2021-02-24 2021-02-24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05A KR102298824B1 (ko) 2021-02-24 2021-02-24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824B1 true KR102298824B1 (ko) 2021-09-07

Family

ID=7779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505A KR102298824B1 (ko) 2021-02-24 2021-02-24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896A (ko) * 2014-07-16 2016-01-29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9543B1 (ko) 2016-11-14 2017-05-24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101853919B1 (ko) * 2017-09-29 2018-05-02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다목적 화재 경보기
KR20190023613A (ko) * 2017-08-29 2019-03-08 다온 주식회사 수신부 일체형 자동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896A (ko) * 2014-07-16 2016-01-29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스마트 문화재 소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9543B1 (ko) 2016-11-14 2017-05-24 (주)건창기술단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20190023613A (ko) * 2017-08-29 2019-03-08 다온 주식회사 수신부 일체형 자동소화장치
KR101853919B1 (ko) * 2017-09-29 2018-05-02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다목적 화재 경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CA2262464A1 (en) Hazard detection, warning, and response system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CN213555021U (zh) 一种锂电池生产线消防系统
KR101863100B1 (ko) Iot기반 전통시장 화재 확장 예방시스템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KR20040027534A (ko)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WO2020051972A1 (zh) 一种智能消防系统
KR20120001141A (ko) 화재 모니터링 설비
CN106345092A (zh) 智能化高层建筑消防监控系统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298824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KR20220116883A (ko) 배전반 또는 분전반용 자동소화장치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2017023452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および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016179034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JP6216488B2 (ja) 消火設備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524779B1 (ko) 금연구역 소화 시스템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CN210845054U (zh) 一种自动灭火配电柜
JP3948858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