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871B1 -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871B1
KR102618871B1 KR1020210104734A KR20210104734A KR102618871B1 KR 102618871 B1 KR102618871 B1 KR 102618871B1 KR 1020210104734 A KR1020210104734 A KR 1020210104734A KR 20210104734 A KR20210104734 A KR 20210104734A KR 102618871 B1 KR102618871 B1 KR 10261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inkler
housing
open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682A (ko
Inventor
안상걸
Original Assignee
안상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걸 filed Critical 안상걸
Priority to KR102021010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8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부에 물이 배출되는 살수구(11)와 감열부(4)가 설치되는 개폐공(12)이 형성된 하우징(1); 하우징(1) 상부에 결합되어 가압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P)과 연결되는 나사결합부(2); 하우징(1)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수구(11)를 밀폐하고 개폐구(12)를 폐쇄하되, 주변온도가 감열부재(42)의 파열온도를 초과하면 감열부재(42)가 파열되어 살수구(11)와 개폐구(12)가 개방되게 하는 감열부(4);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되, 감열부(4)의 파열 시 하우징(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살수구(11)에서 방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5); 를 포함하고, 하우징(1)의 상면에는 환상의 요입홈(13); 이 형성되고, 요입홈(13) 내부에는 환상의 패킹(6); 이 삽입 설치되되, 패킹(6)의 상단부가 요입홈(13)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결합부(2)에 결합되는 배관과 접촉하여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과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에 패킹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누수가 발생하거나, 살수구가 완전 개방되어 수화수가 살수되면 관리자에게 즉각 통보되게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누수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Fire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에 패킹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누수가 발생하거나, 살수구가 완전히 개방되어 수화수가 살수되면 관리자에게 즉각 통보되게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누수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sprinkler)’란 물을 흩어서 뿌리는 기구를 말하는데, 작물이나 잔디에 물을 주는 농업용이나, 건물의 천장에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물을 뿜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용으로도 사용된다.
특히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상부, 즉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화재 발생 시 소화수가 발화점 전체에 뿌려지면서, 화재의 초기 진화를 통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문화시설,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등이나, 유동이 많고 상품 및 제품이 많은 판매시설, 운수시설, 물류터미널 및 창고시설, 방사선 폐기물의 저장이나 특수가연물의 저장시설 및 아파트, 공동주택, 고층건축물, 교육시설, 기숙사, 복합 건축물이나, 의료기관, 노유자 시설, 수련시설, 보호감호소, 교도소, 구치소 및 그 지소, 보호관찰소, 갱생보호시설, 치료감호시설, 보호시설 등에는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소방용 스프링클러는 방호대상물, 설치장소 등에 따라서 폐쇄형 헤드와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폐쇄형 헤드에는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이 있으며, 개방형 헤드에는 일제살수식이 있는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옥내판매시설, 숙박업소 등에는 주로 습식 폐쇄형 헤드가 주로 사용된다.
즉, 종래의 습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가압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에 의해 감열부가 파열되면서 살수구가 개방됨에 따라 배관 내의 소화수가 살수구를 통해 분출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습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가압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과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에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데,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옥내판매시설, 숙박업소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습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특성상, 누수 발생 시 각종 생활집기의 침수 피해가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습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제조과정에서 감열부의 불량 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감열부가 갑자기 파열되면서 의도하지 않게 살수구가 개방되어 소화수가 살수되더라도, 관리자가 이를 즉시 인지하지 못하여 배관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밸브를 즉시 단속하지 못하는 경우에 장시간 소화수가 살수되면서 침수 피해가 가중되는 단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828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과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에 패킹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가 발생하거나, 살수구가 완전히 개방되어 수화수가 살수되면 관리자에게 즉각 통보되게 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중심부에 물이 배출되는 살수구(11)와 감열부(4)가 설치되는 개폐공(12)이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 상부에 결합되어 가압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P)과 연결되는 나사결합부(2);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수구(11)를 밀폐하고 개폐구(12)를 폐쇄하되, 주변온도가 감열부재(42)의 파열온도를 초과하면 감열부재(42)가 파열되어 살수구(11)와 개폐구(12)가 개방되게 하는 감열부(4);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되, 감열부(4)의 파열 시 하우징(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살수구(11)에서 방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5);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의 상면에는 환상의 요입홈(13); 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3) 내부에는 환상의 패킹(6); 이 삽입 설치되되, 패킹(6)의 상단부가 요입홈(13)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결합부(2)에 결합되는 배관과 접촉하여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감열부(4)는,
상기 살수구(11)를 밀폐하는 밀폐부재(41);
상기 밀폐부재(41)의 하부와 하우징(1)의 바닥면 간에 설치되어 밀폐부재(41)가 살수구(11)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감열부재(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밀폐부재(41),
소정 두께의 원판형으로 되되, 지름이 살수구(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부(411);
상기 플랜지부(411)의 상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외경이 살수구(11)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살수구(11) 내부로 삽입되어 살수구(11)를 밀봉하는 플러그부(412);
탄성을 가진 연질 소재로 되되, 플랜지부(411)의 상면에 안착되게 환상으로 형성되어 살수구(11)에 대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밀폐시트(4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감열부재(42)는 밀폐부재(41)의 플러그부(412) 저면과, 하우징(1)의 바닥면 간에 설치되어 밀폐부재(41)가 살수구(11)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감열부재(42)는 온도 상승에 따라 파열되는 소재로 되어 주변온도가 감열부재(42)의 파열온도를 초과하면 파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상기 요입홈(13) 내부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7);
상기 누수감지부(7)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누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제어모듈(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하는 유수감지부(91);
상기 유수감지부(91)에서 감지된 감지값을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살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제어모듈(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상기 유수감지부(9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수감지부(91)의 동작 시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하는 온도센서부(92);
상기 온도센서부(92)의 측정값을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화재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제어모듈(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여 전원이 필요한 주요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수발전부(10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과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에 패킹을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수가 발생하거나, 살수구가 완전히 개방되어 수화수가 살수되면 관리자에게 즉각 통보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헤드의 고장으로 인한 누수나 살수 시 시설물의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으로 인한 살수 시 신속한 초동 대응을 통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하우징(1), 나사결합부(2), 감열부(4), 디플렉터(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은 금속재로 되되, 중심부 상측에 배관(P)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는 살수구(11)가 형성되고, 중심부 하단에는 개폐공(12)이 형성된다.
이때, 개폐공(12)은 감열부(4)에 의해 폐쇄되며, 감열부(4)의 파열 시 개방되면서,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플렉터(5)가 개폐공(12)을 통해 하우징(1)의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나사결합부(2)는 하우징(1)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되, 나사결합부(2)는 관체로 되어 내경부가 살수구(11)와 연통되게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의 단부에 나사결합부(2)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화수가 하우징(1)의 살수구(11)를 통해 배출 가능케 된다.
상기 감열부(4)는 하우징(1)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수구(11)를 밀폐하고 개폐구(12)를 폐쇄하여, 주변온도가 감열부재(42)의 파열온도를 초과하면 파열되어 살수구(11)가 개방되도록 밀폐부재(41), 감열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41)는 살수구(11)를 밀폐하도록 플랜지부(411), 플러그부(412), 밀폐시트(413)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411)는 소정 두께의 원판형으로 되되, 지름이 살수구(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부(412)는 플랜지부(411)의 상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플러그부(412)의 외경은 살수구(11)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플러그부(412)가 살수구(11)의 하단 개구부를 통해 살수구(11)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살수구(11)가 밀폐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시트(413)는 탄성을 가진 연질 소재로 되어 플랜지부(411)의 상면에 안착되게 환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살수구(11)에 대한 밀폐력이 향상되어 수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열부재(42)는 밀폐부재(41)의 플러그부(412) 저면과, 하우징(1)의 바닥면 간에 설치되어 밀폐부재(41)가 살수구(11)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1)의 개폐공(12)를 폐쇄한다.
감열부재(42)는 온도 상승에 따라 파열되는 소재로 되어 주변온도가 감열부재(42)의 파열온도(약 40 내지 70℃)를 초과하면 파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여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감열부재(42)가 파열됨으로써 감열부재(42)에 의한 밀폐부재(41)의 지지가 해제되면서 배관 내의 소화수의 압력에 의해 밀폐부재(41)가 하우징(1)의 살수구(11)에서 이탈하고, 그로 인해 살수구(11)가 개방되어 살수구(11)를 통해 소화수가 방출됨과 동시에 하우징(1)의 개폐공(12)이 개방되면서 소화수의 살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디플렉터(5)는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되, 감열부(4)의 파열 시 하우징(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살수구(11)에서 방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도록 주벽에 방사형으로 분산공(51)이 형성된다.
따라서, 감열부재(42)가 파열되면서 밀폐부재(41)의 지지가 해제되어 소화수의 압력에 의해 밀폐부재(41)가 하우징(1)의 살수구(11)에서 이탈하면서 디플렉터(5)가 하강하면, 디플렉터(5)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부(52)가 하우징(1)의 바닥면에 거치되면서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된 분산공(51)을 통해 소화수가 방사형으로 분산됨에 따라 발화점 전체에 고르게 뿌려지면서, 화재의 초기 진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배관과 하우징(1) 간 누수를 방지하도록 요입홈(13), 패킹(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입홈(13)은 하우징(1)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의 환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킹(6)은 환상으로 되어 요입홈(13)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때, 패킹(6)의 상단부는 요입홈(13)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관에 나사결합부(2)가 나사 결합되었을 때, 배관의 하단부와 요입홈(13) 간에 패킹(6)이 압축되면서 밀폐력이 더욱 향상되어 배관과 하우징(1) 간 누수가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누수 발생 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하도록 누수감지부(7), 제어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감지부(7)는 하우징(1)의 요입홈(13)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배관과 하우징(1) 간 누수 발생으로 인해 요입홈(13)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면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모듈(8)은 누수감지부(7)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아 누수 여부를 판별하고, 누수로 판별되면, 관리자에게 누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도록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수단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G, 3G, 4G, LTE, 5G 등 이동통신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8)과 동일한 통신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를 관리자가 휴대할 경우에, 배관과 하우징(1)이 결합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감지부(7)에 의해 즉시 감지되고, 그 감지값이 제어모듈(8)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됨에 따라 관리자는 누수 상태를 즉각 인지하여 누수의 해결을 위한 유지, 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누수로 인한 각종 생활집기의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는 감열부(4)의 파열에 의한 소화수의 살수 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하도록 유수감지부(91), 온도센서부(92), 제어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감지부(91)는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감열부(4)의 파열에 의한 소화수의 살수 시 발생하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한다.
상기 온도센서부(92)는 유수감지부(9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수감지부(91)의 동작 시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한다.
따라서 온도센서부(92)는 유수감지부(91)와 연동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모듈(8)은 유수감지부(91)의 감지값과 온도센서부(92)의 측정값을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살수 상태와 화재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도록 통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모듈(8)은 사전 저장된 기준값과, 유수감지부(91)에서 제공하는 감지값을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살수 상태인 것으로 판독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제어모듈(8)은 사전 저장된 기준값과, 온도센서부(92)에서 제공하는 온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화재 발생 상태인 것으로 판독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경고한다.
상기 통신수단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2G, 3G, 4G, LTE, 5G 등 이동통신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8)과 동일한 통신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를 관리자가 휴대할 경우에, 배관과 하우징(1)이 결합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감지부(7)에 의해 즉시 감지되고, 그 감지값이 제어모듈(8)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됨에 따라 관리자는 누수 상태를 즉각 인지하여 누수의 해결을 위한 유지, 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누수로 인한 각종 생활집기의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8)은 하우징(1)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하우징(1)과 분리 구성되어 누수감지부(7), 유수감지부(91), 온도센서부(92)와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모듈(8)이 하우징(1)에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 없이도 유수감지부(91), 온도센서부(92) 및 제어모듈(8)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유수발전부(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수발전부(100)는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전기를 주요부인 유수감지부(91), 온도센서부(92) 및 제어모듈(8)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 없이도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독립적인 무선 운용이 가능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하우징 11: 살수구
12: 개폐공 13: 요입홈
2: 나사결합부 4: 감열부
41: 밀폐부재 411: 플랜지부
412: 플러그부 413: 밀폐시트
42: 감열부재 5: 디플렉터
51: 분산공 6: 패킹
7: 누수감지부 8: 제어모듈
91: 유수감지부 92: 온도센서부
100: 유수발전부 P: 배관

Claims (5)

  1. 중심부에 물이 배출되는 살수구(11)와, 감열부(4)가 설치되는 개폐공(12)이 형성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 상부에 결합되어 가압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P)과 연결되는 나사결합부(2);
    상기 하우징(1)의 하부에 설치되어 살수구(11)를 밀폐하고 개폐구(12)를 폐쇄하되, 주변온도가 감열부재(42)의 파열온도를 초과하면 감열부재(42)가 파열되어 살수구(11)와 개폐구(12)가 개방되게 하는 감열부(4);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되, 감열부(4)의 파열 시 하우징(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살수구(11)에서 방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5);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의 상면에는 환상의 요입홈(13); 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3) 내부에는 환상의 패킹(6); 이 삽입 설치되되, 패킹(6)의 상단부가 요입홈(13)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결합부(2)에 결합되는 배관과 접촉하여 압착되며,
    상기 요입홈(13) 내부에 설치되어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7);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하는 유수감지부(91);
    상기 유수감지부(9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수감지부(91)의 동작 시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모듈(8)에 제공하는 온도센서부(92); 및,
    상기 누수감지부(7)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누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경고하고, 유수감지부(91)에서 감지된 감지값을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살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며, 온도센서부(92)의 측정값을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화재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제어모듈(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열부(4)는,
    상기 살수구(11)를 밀폐하는 밀폐부재(41);
    상기 밀폐부재(41)의 하부와 하우징(1)의 바닥면 간에 설치되어 밀폐부재(41)가 살수구(11)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감열부재(42);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41),
    소정 두께의 원판형으로 되되, 지름이 살수구(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부(411);
    상기 플랜지부(411)의 상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외경이 살수구(11)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살수구(11) 내부로 삽입되어 살수구(11)를 밀봉하는 플러그부(412);
    탄성을 가진 연질 소재로 되되, 플랜지부(411)의 상면에 안착되게 환상으로 형성되어 살수구(11)에 대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밀폐시트(4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여 전원이 필요한 주요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수발전부(10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210104734A 2021-08-09 2021-08-09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261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734A KR102618871B1 (ko) 2021-08-09 2021-08-09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734A KR102618871B1 (ko) 2021-08-09 2021-08-09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82A KR20230022682A (ko) 2023-02-16
KR102618871B1 true KR102618871B1 (ko) 2023-12-27

Family

ID=8532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734A KR102618871B1 (ko) 2021-08-09 2021-08-09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8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665A (ja) * 2002-09-27 2004-04-15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128236B1 (ko) * 2009-07-31 2012-03-23 김봉이 스프링클러 장치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200492692Y1 (ko) * 2020-07-27 2020-11-25 정희섭 수분센서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8Y1 (ko) 2009-09-30 2012-01-05 주식회사 태경하이테크 스프링클러헤드
KR101184678B1 (ko) * 2010-06-25 2012-09-20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퓨즈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883877B1 (ko) * 2016-12-13 2018-08-01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유수검지장치가 구비된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665A (ja) * 2002-09-27 2004-04-15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128236B1 (ko) * 2009-07-31 2012-03-23 김봉이 스프링클러 장치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200492692Y1 (ko) * 2020-07-27 2020-11-25 정희섭 수분센서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82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US20030075343A1 (en) Dry sprinkler
MX2008011510A (es) Sistema de extincion de incendios.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CN103370103A (zh) 喷洒器以及用于测试喷洒器的方法
KR101063857B1 (ko)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US20180289997A1 (en) Temperature-sensing and automatic on and off fire extinguishing device
KR102618871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US6926023B2 (en) Automatic air release system with shutoff valve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28586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CN108591582A (zh) 简易型预作用装置
KR10226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CN209019836U (zh) 一种感温分配阀喷头装置
CN208565752U (zh) 简易型预作用装置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10228890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용수 공급시스템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CN205516139U (zh) 一种预作用报警阀组结构
KR10230016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KR102273307B1 (ko)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KR10227409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200300648Y1 (ko) 자동확산소화기
KR102298824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