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071B1 -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071B1
KR100456071B1 KR10-2002-0019008A KR20020019008A KR100456071B1 KR 100456071 B1 KR100456071 B1 KR 100456071B1 KR 20020019008 A KR20020019008 A KR 20020019008A KR 100456071 B1 KR100456071 B1 KR 100456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fire
pump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410A (ko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3781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560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02-001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0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주거 또는 상가용 건축물의 수도라인에 스프링클러를 직결되게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시 소화수가 자동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거용 건축물의 수도배관(5)에 직결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0)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20)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파이프배관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저수조내의 소방수를 압송하는 펌프(30)와, 상기 파이프배관상에 분기되게 설치되어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40)와, 상기 압력스위치가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함에 따라 펌프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상기 파이프배관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주변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터져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60)로 구성된 간이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수도배관(5)과 파이프배관(7)을 연결배관(71)으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배관에 체크밸브(72)를 설치하고 펌프(30)와 연결된 파이프배관(7)상에도 연결배관(71)을 통해 파이프배관(7)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저수조(10)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7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Rotary small scale sprinkler for water supply}
본 발명은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주거 또는상가용 건축물의 수도라인에 스프링클러를 직결되게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시 소화수가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발생시 소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는 설비로서, 화재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함과 동시에 경보기능을 가지므로 오동작하는 경우가 적어 백화점, 시장, 호텔, 병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대규모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한 스프링클러설비는 건물내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스프링클러 헤드의 주변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터지므로 분지관을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사방으로 분사되면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의 구성은 특수합급의 용융성 퓨즈(열감지수단 ) 또는 그 외의 작동매체를 이용하여 압축된 구조로 조립된 부품이 설정된 주위온도에서 퓨즈 또는 그 외 매체의 변화가 시작되어 작동 온도에 도달하면 조립된 부품이 이탈된 후 살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대형 건축물이 아닌 주거용 소형 건축물에서는 별도의 스프링클러의 설치를 의무화하지 않고 있음은 물론 스프링클러의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고 별도의 소화기나 기타 소화장비를 구비하여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간단하게 진압할 수 있을 정도의 불의의 화재로 인해 많은 재산과 인명을 잃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출원인에 의해 가정에서도 신속하게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간이 스프링클러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226898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1는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의 저수조(10)는 건축물의 기존 수도배관(5) 또는 별도 물공급 배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물유입부(11)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 하부 일측으로는 물배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조(10)의 내측 상부에는 수도배관(5)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20)는 저수조(10)의 내측 상부에 수도배관(5)을 통해 유입 되는 물의 양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부구(21)가 밸브(22)의 개폐를 제어하여 저수조(10)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수조(10)의 물배출부(12)의 외측으로는 제어부(50)가 화재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면서 저수조(10)내의 물을 파이프배관(7)을 통해 헤드(60)측으로 압송하는 펌프(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30)의 외측으로는 헤드(60)가 터짐에 따라 파이프배관(7)내의 압력이 떨어짐을 감지하여 펌프(30)가 구동되도록 파이프배관(7)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간이 스프링클러는 수도배관(5)을 통해 저수조(10)측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저수조내에 저장하였다가 화재 발생시 펌프(30)의 구동으로 저수조(10)내의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저수조내에 저장된 소방수의 양이 모자랄 경우에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수위조절부(20)를 구성하는 부구(21) 또는 밸브(22)의 고장으로 저수조(10)내에 소방수가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여 펌프(30)가 구동하더라도 헤드(60)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통상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수도의 압력에 의해 헤드를 통해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하고 상수도의 수압이 일정이하인 경우에만 저수조내의 소방수를 펌프로 강제 압송하여 살수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주거용 건축물의 수도배관에 직결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파이프배관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저수조내의 소방수를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파이프배관상에 분기되게 설치되어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와, 상기 압력스위치가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함에 따라 펌프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이프배관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주변의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터져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로 구성된 간이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수도배관과 파이프배관을 연결배관으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배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배관상에도 연결배관을 통해 파이프배관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저수조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가 제공된다.
도 1는 종래의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수도배관 7 : 파이프배관
10 : 저수조 20 : 수위조절부
30 : 펌프 40 : 압력스위치
50 : 제어부 60 : 헤드
71 : 연결배관 72, 73 : 체크밸브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종래의 간이 스프링클러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수도배관(5)과, 펌프(30)의 구동에 따라 저수조(10)내의 소방수가 헤드(60)측으로 공급되는 파이프배관(7)이 연결배관(71)에 의해 직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배관(71)에는 펌프(30)의 구동에 따라 저수조(10)내의 소방수가 헤드(60)측으로 압송되는 과정에서 연결배관(71)을 통해 수도배관(5)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조(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저수조(10)내의 소방수를 헤드(60)측으로 압송하는 펌프(30)와 연결된 파이프배관(7)상에도 연결배관(71)을 통해 파이프배관(7)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저수조(10)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이 스프링클러의 시공을 완료한 상태에서 수도배관(5)에 설치된 밸브(23)를 개방하면 수도배관(5)을 통해 수돗물이 저수조(10)내에 채워지게 되는데, 상기한 동작시 연결배관(71)으로 연결된 파이프배관(7)상에도 수돗물이 채워지게 되므로 파이프배관상에 수압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23)의 개방으로 저수조(10)내에 수돗물이 채워지기 시작하면 하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부구(21)가 수돗물의 부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만수위 지점에서 개방되었던 밸브(22)를 폐쇄시키게 되므로 수돗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중단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10)내에 소방수가 채워진 상태에서는 파이프배관(7)상에 항상 수돗물의 수압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주의 또는 누전 등으로 인해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파이프배관(7)상에 설치된 헤드(60)가 터지면 파이프배관(7)상에 설치된 헤드(60)를 통해 수돗물 또는 소방수가 살수되므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즉, 수도배관(5)내의 수압이 압력스위치(40)가 감지하는 설정압력(1kg/cm2정도)보다 크면 제어부(50)가 펌프(30)를 구동시키지 않아 수도배관(5)내의 수돗물이 연결배관(71) - 체크밸브(72) - 파이프배관(7)을 통해 공급되어 헤드(60)로 살수되므로 불의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만약, 수도배관(5)내의 수압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으면 압력스위치(4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알리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50)가 파이프배관(7)상에 설치된 펌프(30)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저수조(10)내에 저장되어 있던 소방수가 파이프배관(7)을 통해 헤드(60)로 살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펌프(30)의 구동으로 저수조(10)내의 소방수가 공급되어 수위가 떨어지므로 인해 부구(21)가 하강하면 부구의 하강으로 밸브(22)가 개방되어 설정된 수압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수돗물이 수도배관(5)을 통해 저수조(1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충수되므로 화재를 진압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펌프(30)가 소방수를 펌핑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배관(5)내의 수압이 정상적인 경우에는 수도배관(5)내의 수돗물을 연결배관(71)을 통해 직접 파이프배관(7)측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고지대 또는 수돗물의 사용량이 많은 하절기 등과 같이 수압이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파이프배관(7)내의 압력을 압력스위치(40)가 감지하여 펌프(30)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저수조(10)내의 소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주거용 건축물의 수도배관에 직결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파이프배관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저수조내의 소방수를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파이프배관상에 분기되게 설치되어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와, 상기 압력스위치가 파이프배관내의 압력을 감지함에 따라 펌프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이프배관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주변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터져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로 구성된 간이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수도배관과 파이프배관을 연결배관으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배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배관상에도 연결배관을 통해 파이프배관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저수조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KR10-2002-0019008A 2002-04-08 2002-04-08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KR10045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08A KR100456071B1 (ko) 2002-04-08 2002-04-08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08A KR100456071B1 (ko) 2002-04-08 2002-04-08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10A KR20030080410A (ko) 2003-10-17
KR100456071B1 true KR100456071B1 (ko) 2004-11-08

Family

ID=323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008A KR100456071B1 (ko) 2002-04-08 2002-04-08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460A (ko) 2022-02-14 2023-08-2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102A (ko) * 2005-02-28 2006-08-31 신기남 소형자동소화장치
KR101133874B1 (ko) * 2009-08-13 2012-04-06 조종철 간이스프링클러 수도직결형 장치
KR101050827B1 (ko) * 2010-05-31 2011-07-20 신영공업 주식회사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6776A (ja) * 1987-12-24 1989-06-30 Nohmi Bosai Kogyo Co Ltd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H02224674A (ja) * 1989-02-27 1990-09-06 Nippon Dry Chem Co Ltd 自動消火装置
JPH03231685A (ja) * 1990-02-06 1991-10-15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H0857076A (ja) * 1994-08-25 1996-03-05 Senju Sprinkler Kk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配管材
KR980006715U (ko) * 1998-02-14 1998-04-30 윤희명 옥내, 외의 상수도 배관(수도꼭지)에 연결한 화재 진압용 스프링클라 장치
KR200154487Y1 (ko) * 1996-09-17 1999-08-16 김홍민 소화와 식수용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6776A (ja) * 1987-12-24 1989-06-30 Nohmi Bosai Kogyo Co Ltd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H02224674A (ja) * 1989-02-27 1990-09-06 Nippon Dry Chem Co Ltd 自動消火装置
JPH03231685A (ja) * 1990-02-06 1991-10-15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H0857076A (ja) * 1994-08-25 1996-03-05 Senju Sprinkler Kk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配管材
KR200154487Y1 (ko) * 1996-09-17 1999-08-16 김홍민 소화와 식수용수 공급장치
KR980006715U (ko) * 1998-02-14 1998-04-30 윤희명 옥내, 외의 상수도 배관(수도꼭지)에 연결한 화재 진압용 스프링클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460A (ko) 2022-02-14 2023-08-2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10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2854B (zh) 消防用雨淋阀控制系统
AU2007258308A1 (en) Pre-primed preaction sprinkler system
EP1593410A1 (en) Sprinkler system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CN208511760U (zh) 一种消防自动喷淋灭火系统
CN114432631A (zh) 冷却塔自动喷水灭火系统及灭火方法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KR101050827B1 (ko)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KR101457435B1 (ko) 간이 스프링클러용 소방용수 공급장치
CN1266211A (zh) 消防供水监测系统及控制方法
KR200298174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시스템
CN216925208U (zh) 冷却塔自动喷水灭火系统
CN216725579U (zh) 一种住宅烟道用无源感温自动灭火装置
CN206463388U (zh) 组网式温度控制悬挂灭火系统
KR200154487Y1 (ko) 소화와 식수용수 공급장치
CN215136324U (zh) 建筑早期灭火喷淋及供水系统和排烟排热系统
KR200358219Y1 (ko) 간이 살수 장치
JP2012161502A (ja) 消火ポンプシステム
JP355243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226896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KR200226897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CN218685957U (zh) 新型消防水泵接合器
KR200226898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KR102491588B1 (ko) 스프링클러 소화수 공급장치
CN217067453U (zh) 一种带户内消防系统的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216

Effective date: 2011112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