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460A -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460A
KR20230122460A KR1020220019161A KR20220019161A KR20230122460A KR 20230122460 A KR20230122460 A KR 20230122460A KR 1020220019161 A KR1020220019161 A KR 1020220019161A KR 20220019161 A KR20220019161 A KR 20220019161A KR 20230122460 A KR20230122460 A KR 2023012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rect connection
sprinkler system
connection typ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김현민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460A/ko
Publication of KR2023012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기구물 거치대에 설치되고, 기구물 거치대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 패널을 포함한다.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제1 및 제2 지지 패널에 설치되어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상태를 시연할 수 있는 다양한 소방 설비 부품들을 포함한다.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에는 수조, 펌프, 압력계, 밸브, 배관, 감지기, 경보기, 수신기 및 제어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물 거치대에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설치하여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하는데 활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여 시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소방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SPRINKLER SYSTEM BY DIRECT CONNECTION OF PIPED WATER}
본 발명은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의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 실무를 직접 경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화재 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서, 년간 평균 2만 건 이상의 화재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오늘날 급격한 경제 발전은 산업 시설의 복잡화 및 건물의 대형화, 초고층화와 더불어 가스 및 유류 등 위험 물질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부작용 또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개인 주택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방대상 건축물은 화재에 대비한 각종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 시스템으로서 가장 중요한 설비이다.
최근에는 주택 화재 등이 빈번하여 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 설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고, 소방법의 강화에 따라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매년 화재로 인해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동절기에는 각종 전열기구 등의 사용 급증으로 화재의 발생 우려가 커진다. 주택용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수도 직결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자동식 소화 설비의 일종인 스프링클러 소화 설비가 적용되지 못하는 일반 주택 및 소규모의 판매 시설, 음식점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도 직결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수도 배관에서 분기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음식점 등은 불특정 다수인이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더 화재의 위험성이 크다. 이에 일반 주택 및 음식점 등에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설치하여 화재시 초기에 진압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프링클러 방식은 대형 건물 위주로 설치가 되어 있어 일반 주택 및 소규모의 다중 이용업소 등은 화재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미래의 소방을 책임질 학생들이 이론 교육을 배경으로 소방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기획, 설계, 제작, 시험해 보고 평가해 보게 함으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감을 갖도록 하고 향후 업계에 진출했을 경우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개발에 주역이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소방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하고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짐이 무겁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 분야에서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하면 화재가 발생하여 진화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들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소방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이론과 더불어 실제 작동법 등에 대하여 강의가 이루어져 왔었지만, 아쉽게도 제품 제작에 필요한 부대 비용 및 기타 여건 등이 여의치 못해 아직까지 학생들로 하여금 전반적인 시스템에 대하여 직접 제작을 하고 작동을 통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설치가 되어있지 않아 화재 시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3874호(공고일 2012년 04월 06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0827호(공고일 2011년 07월 20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6071호(공고일 2004년 11월 08일)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633호(공개일 2007년 05월 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기구물 거치대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작동시켜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제공하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방 실무를 학습 및 체험하기 위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기구물 거치대에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여 교육 현장에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의 작동 상태를 시연하도록 구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하는데 활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여 시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소방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측면이 일정 두께를 갖는 L 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패널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패널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지지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기구물 거치대; 상기 제1 지지 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수조; 상기 제1 지지 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압력 레벨을 감지하는 압력계; 상기 제2 지지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 상기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외부로 경보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보기; 상기 수조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수조의 내부로 물을 살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수조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연결 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밸브; 상기 연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 유무에 따른 물 공급을 감지하는 유량 스위치; 상기 제2 지지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감지기와 상기 경보기 및 상기 유량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기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화재 발생에 따른 감지 정보를 받아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응하여 열 감지기와 연기 감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기는 표시등, 유도등, 시각 경보기 및 경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상기 제2 지지 패널의 전면에 소화기가 더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교육 현장에서 기구물 거치대에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시연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헤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기구물 거치대에 다양한 형태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여 시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현장 학습을 통해 실무를 경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상과 이해력을 돕기 위한 기초 작업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작하고자 하는 소방 설비 부품들을 설계 및 선택하고,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의 제작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숙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향후 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고, 소방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교육 현장에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의 시연을 통해 교과 과정에 적용된 다양한 작동 상태들을 확인하고, 미비점 보완 및 교과 과정 적용을 위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기구물 거치대에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고,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작동시켜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계 및 제작하여 시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고, 소방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은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로, 교육 현장에서 소방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에게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구물 거치대(102)에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설치하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소방 설비의 기준 조건에 적합하게 작동시켜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학습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은 기구물 거치대(102)에 다양한 형태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기획, 설계, 제작, 시험 및 평가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현장 학습을 통해 실무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향후 취업 후 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은 기구물 거치대(102)와,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구물 거치대(102)는 프레임(110), 복수 개의 지지 로드(112) 그리고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조립식 앵글, 금속 막대 등 로드 형상의 금속 재질로 구비되어 기구물 거치대(102)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프레임(110)은 예컨대, 측면이 일정 두께를 갖는 L 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형성한다.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수직하게 결합된다.
프레임(110)은 수평 프레임에 제1 지지 패널(114)이 설치되고 수직 프레임에 제2 지지 패널(116)이 설치된다. 프레임(110)은 수평 및 수직 프레임 각각의 내측에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이 장착된다. 즉, 수평 프레임은 제1 지지 패널(114)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수직 프레임은 제2 지지 패널(116)의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을 고정 및 지지한다.
프레임(110)은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양측 각각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을 더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로드(112)를 포함한다. 지지 로드(112)는 대체로 대각선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결합된다.
제1 지지 패널(114)은 프레임(110)의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기구물 거치대(102)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일부 구성들이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제2 지지 패널(116)은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기구물 거치대(102)의 수직면을 형성하고, 전면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나머지 구성들이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은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다양한 소방 설비 부품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은 필요에 따라 소방 설비 부품들 간의 배관 연결, 전기 배선 연결 등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패널(114, 116)은 예컨대, 직사각형 형태의 나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기구물 거치대(102)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고정 장착하여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시연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구비하고, 화재를 발생시켜서 화재 발생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비하고, 화재 발생 감지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방 설비 부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에 대한 전체적인 구상과 이해력을 돕기 위한 기초 작업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학생들에게 제작하고자 하는 소방 설비 부품들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설계도를 준비하여 제작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숙지하도록 한다.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설계도에 따라 필요한 소방 설비 부품들을 결정하고, 기구물 거치대(102)에 장착하고 배관, 전선 등을 연결 설치하여 제작한다. 제작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에 물 공급 및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 시험, 확인 및 평가하고, 이를 통해 미비점 보완 및 향후 교과 과정을 적용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에게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그러므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설계하고 적산을 통해 필요한 소방 설비 부품들을 결정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140), 수조(120), 펌프(130), 복수 개의 밸브(190 : 192 ~ 198), 압력계(132),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150 : 152, 154), 복수 개의 경보기(170 : 172 ~ 178), 수신기(160) 및 제어반(162)을 포함한다.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수조(120)와 스프링클러 헤드(140) 사이를 연결하여 물이 공급, 순환 및 살수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배관(180 : 182 ~ 186)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펌프(130), 밸브(190), 압력계(132) 및 유량 스위치(164) 등이 설치된다. 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전선(166) 등을 통하여 감지기(150), 유량 스위치(164), 경보기(170), 수신기(160) 및 제어반(162)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선한다.
수조(120)는 예컨대, 직육면체 형상,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제1 지지 패널(114)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다. 수조(120)는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일정 용량의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한다. 수조(120)는 상부에 살수조(122)를 더 구비하고, 살수조(122)의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수조(120)는 살수조(122)를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140)로부터 살수된 물을 회수한다. 이 실시예에서 수조(120)는 수도 직결형의 스플링클러 설비(104)를 구성하기 위해,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거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급수(또는 배출) 배관(186)이 일측에 설치된다. 이 때, 급수 배관(186)에는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개폐 밸브(198)이 설치된다.
살수조(122)는 스프링클러 헤드(140)로부터 살수되는 물을 회수하여 수조(120)로 전달한다. 수조(120)는 타측에 제1 연결 배관(182)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펌프(130)와 연결된다. 제1 연결 배관(182)에는 펌프로 물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개폐 밸브(182)가 설치된다.
펌프(130)는 제1 지지 패널(114)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된다. 펌프(130)는 제1 및 제2 연결 배관(182, 184)이 연결된다. 펌프(130)는 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제1 연결 배관(182)을 통해 공급받고, 이를 펌핑하여 제2 연결 배관(184)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스플링클러 헤드(140)로 공급한다. 제2 연결 배관(184)은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균등하게 살수되도록 물을 분배하여 스프링클러 헤드(140)로 공급한다. 제2 연결 배관(184)은 중간 부분이 제2 지지 패널(116)에 설치된 지지부재(188)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다. 제2 연결 배관(184)에는 체크 밸브(194)와, 자동 개폐 밸브(196)와, 압력계(132) 및 유량 스위치(164)가 설치된다.
체크 밸브(194)는 제2 연결 배관(184)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자동 개폐 밸브(196)는 수신기(160)의 제어를 받아서 자동으로 제2 연결 배관(184)을 개폐시켜서 스프링클러 헤드(140)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압력계(132)는 스프링클러 헤드(140)로 물을 공급하도록 펌프(130)가 작동되면, 제2 연결 배관(184)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수신기(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유량 스위치(164)는 펌프(130)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제2 연결 배관(184) 내부의 물 흐름을 감지하여 수신기(160)로 전송한다.
펌프(130)는 주택용 간이 스플링클러 설비(104)의 경우, 예를 들어, 적어도 방수량 50 L/min, 방수압 0.1 MPa, 양정 5m, 토출량 150 L/min 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 때, 수조(120)는 펌프(130)의 토출량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예를 들어, 간이 스플링클러 설비(104)가 3 개의 스프링클러 헤드(140)를 이용하여 약 20분 동안 토출량 150 L/min의 물을 토출하는 경우, 수조(120)는 적어도 약 3000 L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스플링클러 헤드(140)는 제2 연결 배관(184)의 끝단에 설치되어 펌프(13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하부 방향으로 살수한다. 스프링클러 헤드(14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살수조(12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살수조(122)의 내부로 물을 살수한다. 스프링클러 헤드(140)는 예를 들어, 공기나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물을 살수한다. 스프링클러 헤드(140)는 건식, 습식, 개방형, 폐쇄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감지기(150 : 152, 154)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에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한다. 감지기(150 : 152, 154)는 제2 지지 패널(116)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고, 수신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감지기(150)는 예를 들어, 열 감지기(152), 연기 감지기(154) 등을 포함하고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140)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감지기(152, 154)는 화재가 감지되면, 수신기로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경보기(170 : 172 ~ 178)는 감지기(150)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수신기(160)의 제어를 받아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도록 경보음, 경보등을 출력한다. 경보기(170)는 제2 지지 패널(116)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고 수신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경보기(170)는 예를 들어, 표시등(172), 경종(또는 스피커)(174), 시각 표시등(176) 및 유도등(178) 등을 포함한다.
수신기(160)는 제2 지지 패널(116)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고, 감지기(150), 경보기(170), 유량 스위치(164), 자동 개폐 밸브(196) 및 제어반(1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신기(160)는 예컨대, 펌프(130)를 제외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제반 동작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한다. 수신기(160)는 예컨대, 감지기(150)가 설치된 구역별로 설치되고, 특정 구역에 설치된 감지기(150)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여 화재 발생 구역을 판별하고, 감지 정보를 표시한다. 수신기(160)는 감지기(150)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기(170)로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수신기(160)는 제어반(162)으로 화재 발생 여부에 따른 감지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수신기(160)는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를 시험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동작 시험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소방 설비 부품들의 전원 공급 상태, 회로 도통 상태, 감지기 동작 상태, 경보기 동작 상태, 화재 발생 여부, 화재 복구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여 정상 및 오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반(162)은 펌프(130)와 수신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반(162)은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력 제어반으로 구비된다. 제어반(162)은 수신기(160)으로부터 화재가 감지되었음을 알려주면, 이에 대응하여 펌프(130)를 작동시키고, 화재가 소화되었음을 알려주면, 이에 대응하여 펌프(1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는 소화기(200)가 제2 지지 패널(116)의 전면에 더 설치된다. 소화기(200)는 투척용 소화기로 구비되고,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시험 동작 중 스프링클러 헤드(140)로 화재가 진화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은 펌프(130)를 이용하여 수조(120)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140) 까지 모든 배관(180)에 물을 공급하여 가압시킨 상태에서 감지기(150)를 작동시켜서 시험용 화재가 발생되면, 스프링클러 헤드(140)가 개방되어 화재 부위에 살수되고, 모든 배관(180) 내의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자동 개폐 밸브(196), 유량 스위치(164)가 작동되어 경보기(17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고, 수신기(160)에 화재 발생을 표시한다. 이 후, 화재가 완전 소화되면, 자동 개폐 밸브(196)를 폐쇄시키고 펌프(130)의 동작을 중지시켜서 물의 공급을 차단하고, 수신기(160)를 복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100)은 교육 현장에서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시연을 통해 교과 과정에 적용된 다양한 상태들 예를 들어, 수신기(160)와 제어반(162)의 전원 공급 및 자동 동작 상태 시험, 펌프(130)의 동작 및 성능 시험, 자동 개폐 밸브(196)의 개폐 시험, 압력계(132)를 이용한 배관의 공급량과 스프링클러 헤드(140)의 정격 토출량 시험, 수조(120)의 수원량 산정,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104)의 전기 배선과 배관 연결 상태 확인, 감지기(150)와 경보기(170) 동작 시험 등을 확인하고, 미비점 보완 및 교과 과정 적용을 위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102 : 기구물 거치대 104 :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110 : 프레임 112 : 지지 로드
114, 116 : 지지 패널 120 : 수조
122 : 살수조 130 : 펌프
132 : 압력계 140 : 스프링클러 헤드
150 : 감지기 152 : 열 감지기
154 : 연기 감지기 160 : 수신기
162 : 제어반 164 : 유량 스위치
166 : 전선 170 : 경보기
172 : 표시등 174 : 경종(또는 스피커)
176 : 시각 경보기 178 : 유도등
180 : 배관 182 : 제1 연결 배관
184 : 제2 연결 배관 186 : 급수(또는 배출) 배관
188 : 지지부재 190 : 밸브
192, 198 : 개폐 밸브 194 : 체크 밸브
196 : 자동 개폐 밸브 200 : 소화기

Claims (3)

  1.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있어서:
    측면이 일정 두께를 갖는 L 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패널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패널 및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지지 패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는 기구물 거치대;
    상기 제1 지지 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수조;
    상기 제1 지지 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압력 레벨을 감지하는 압력계;
    상기 제2 지지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
    상기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외부로 경보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보기;
    상기 수조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수조의 내부로 물을 살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수조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연결 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밸브;
    상기 연결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 유무에 따른 물 공급을 감지하는 유량 스위치;
    상기 제2 지지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감지기와 상기 경보기 및 상기 유량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기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로부터 화재 발생에 따른 감지 정보를 받아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응하여 열 감지기와 연기 감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기는 표시등, 유도등, 시각 경보기 및 경종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상기 제2 지지 패널의 전면에 소화기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0220019161A 2022-02-14 2022-02-14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230122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161A KR20230122460A (ko) 2022-02-14 2022-02-14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161A KR20230122460A (ko) 2022-02-14 2022-02-14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460A true KR20230122460A (ko) 2023-08-22

Family

ID=8779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161A KR20230122460A (ko) 2022-02-14 2022-02-14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46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071B1 (ko) 2002-04-08 2004-11-08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KR20070000633U (ko) 2007-04-26 2007-05-31 김길준 수도 직결 스프링클러
KR101050827B1 (ko) 2010-05-31 2011-07-20 신영공업 주식회사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KR101133874B1 (ko) 2009-08-13 2012-04-06 조종철 간이스프링클러 수도직결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071B1 (ko) 2002-04-08 2004-11-08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KR20070000633U (ko) 2007-04-26 2007-05-31 김길준 수도 직결 스프링클러
KR101133874B1 (ko) 2009-08-13 2012-04-06 조종철 간이스프링클러 수도직결형 장치
KR101050827B1 (ko) 2010-05-31 2011-07-20 신영공업 주식회사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4287A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US9375595B2 (en) Self-testing and self-calibrating fire sprinkler system, method of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e
US6195002B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WO2017200390A1 (en) Fire alarm valve
CN109568868B (zh) 一种火灾自动报警消防联动系统施工安装实训系统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KR20120001141A (ko) 화재 모니터링 설비
CN214336001U (zh) 一种三合一消防移动实操教学演示设备
Dauda et al. Arduino based fir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CN102881206B (zh) 一种智能消防系统实训装置
KR101097409B1 (ko)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20230122460A (ko) 수도 직결형의 간이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583896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모의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6883A (ko) 배전반 또는 분전반용 자동소화장치
KR101212797B1 (ko) 교육용 소방 시스템
KR101221487B1 (ko) 교육용 시뮬레이션 소방설비 장치
CN103845840A (zh) 一种跟踪型定位射流灭火系统
CN211906595U (zh) 一种气体自动灭火教学示范装置
CN202740673U (zh) 一种自动寻的喷水灭火系统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CN107481572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建筑自动消防设施仿真实训系统
CN115463365A (zh) 一种全方位火险预警灭火系统
JP2704798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自動点検装置
CN115105782B (zh) 一种消防工程报警阀组灭火系统技能训练与鉴定装置
CN221061613U (zh) 一种消防灭火系统安装与调试实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