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481B1 -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481B1
KR101143481B1 KR1020120013256A KR20120013256A KR101143481B1 KR 101143481 B1 KR101143481 B1 KR 101143481B1 KR 1020120013256 A KR1020120013256 A KR 1020120013256A KR 20120013256 A KR20120013256 A KR 20120013256A KR 101143481 B1 KR101143481 B1 KR 10114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flow
alarm
tap water
infrar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백천
Original Assignee
유백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백천 filed Critical 유백천
Priority to KR102012001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01F15/185Connecting means, e.g. bypass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계량기에 결합되어 수도의 누수를 감지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도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함에 있어서, 수도계량기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에 수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물흐름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이상 물흐름이 지속되면 누수로 판단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흐름 감지수단에서 물흐름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해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상으로 물흐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누수가 진행됨을 경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A leak sensing device for a meter}
본 발명은 수도 계량기에 결합되어 수도의 누수를 감지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도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은 수도관의 노후 또는 파손, 기타 수돗물을 사용하는 장치의 밸브 고장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나, 사용자 및 수돗물 공급자들은 엄청난 양의 누수가 있기 전에는 조금씩 새는 수돗물의 누수에 대해서는 확인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즉, 수도계량기를 들여다보고 수돗물의 사용여부를 확인해 보아야만 수돗물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기에는 쉽지 않은 것으로, 대부분 수도계량기 검침과정에서 과도한 사용량을 확인한 후에야 누수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는 실정이다.
수돗물의 누수는 금방 확인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만 가정이나 국가적으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하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모두 수돗물의 검침량을 이용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상당한 량의 누수가 이루어진 후가 아니면 수돗물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국내 특허공개 10-2001-0111350호, 국내 특허등록 10-0965307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20-0243463호 등에는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모두 과도한 수돗물의 검침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누수를 초반에 확인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었다.
특히, 수돗물은 정상적인 사용시와 누수시 모두 배관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검침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정상적인 사용시와 누수로 인한 사용시를 판단하여 누수가 진행되고 있음을 검지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1-0111350호(2001.12.17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965307호(2010.06.14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43463호(2001.08.07 등록)
본 발명은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함에 있어서, 누수 없이 정상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하여 검침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누수로 인하여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검침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구분하여 정상적인 사용시와 누수가 진행됨을 구분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수가 일정시간 진행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함에 있어서, 수도계량기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에 수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물흐름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이상 물흐름이 지속되면 누수로 판단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흐름 감지수단에서 물흐름이 감지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해서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판단하여 설정 시간이상으로 물흐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누수가 진행됨을 경보로 알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하여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누수를 없애도록 하는 것으로, 수돗물을 설정된 일정시간 이내에 사용하면 정상적인 수돗물 사용으로 판단하고, 수돗물을 설정된 시간을 지나서 사용하면 누수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가 울리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도 계량기에 연결하기 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흐름이 차단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흐름이 지속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에서 물흐름이 감지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에서 물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도
본 발명은 수돗물의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가 발생하면 경보가 이루어져 빠르게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도계량기를 통하여 물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물흐름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에서 물흐름이 감지될 때마다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시간동안 연속하여 물흐름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정상적인 수돗물 사용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연속적인 물흐름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누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수단의 경보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누수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흐름을 감지하는 물흐름 감지수단과, 타이머가 내장되어 물흐름 감지수단의 물흐름 감지신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물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을 판단한 후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물흐름 감지수단은 수도계량기의 배출관에 설치하게 되고, 경보수단에는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돗물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타이머가 작동하도록 한 후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 이내에서 수돗물의 사용을 중단하면 정상적인 수돗물 사용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시간을 지나서까지 연속적인 수돗물의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누수가 진행되고 있음을 경고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누수 경보가 이루어지면 수돗물의 누수를 판단하여 수리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보온재(30)가 내부에 설치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10)의 내부에서 인입수도관(11)과 배출수도관(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인입수도관(11)과 수도계량기(20)의 인입관(21)을 인입 연결관(13)으로 연결하고, 수도계량기(20)의 배출관(22)은 배출수도관(12)과 물흐름 감지수단(100)으로 연결하며,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100)의 물흐름 신호를 감지하여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해서 시간이 이루어지면 누수로 경보하는 경보수단(20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물흐름 감지수단(100)은 수도계량기(20)의 배출관(22)과 배출수도관(12)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수압에 의해 감지편(150)이 스프링(130)을 압착시키며 밀리게 하되 상기 감지편(150)에 형성된 감지봉(151)이 적외선센서(210) 사이를 막아주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감지봉(151)이 적외선 센서(210) 사이를 차단시키고, 수돗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감지봉(151)이 적외선 센서(210) 사이를 막아주지 않도록 하며, 이때 적외선 센서(210)의 출력을 이용하여 수돗물 사용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물흐름 감지수단(100)은 외측으로 나사부(122)가 형성된 고정구(120)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구(120)의 내측에는 감지편(150)이 스프링(130)에 탄지되어 설치되게 하는 한편 스프링(130)은 막음구(140)에 의해 받쳐지게 하고, 상기 감지편(150)은 스프링(130)에 탄지되어 걸림턱(123)에 걸쳐진 상태로 감지봉(151)이 돌출되게 하며, 상기 고정구(120)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적외선 센서(210)를 설치하되 상기 적외선 센서(210) 사이를 감지봉(151)이 막아주도록 하고, 상기 고정구(120)는 일측으로 연결구(110)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타측으로 체결볼트(160)가 끼워지게 하며, 고정구(120)에는 감지편(150)이 밀렸을 때 수돗물을 배출하여 배출공(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구(110)는 배출수도관(12)과 고정구(120)를 체결하는 것이고, 체결볼트(160)는 고정구(120)와 배출관(22)을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120)는 연결구(110)의 내측에 끼워져 나사부(122)가 결합되나, 상기 고정구(120)의 외경은 연결구(110)의 내경보다 작게 한다.
본 발명의 물흐름 감지수단(100)은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돗물이 흐르지 않아 감지편(150)이 스프링(130)을 압착시키지 못하여 감지봉(151)이 적외선 센서(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수돗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지편(150)이 스프링(130)을 압착시키며 밀리게 되므로, 감지봉(151)이 적외선 센서(210) 사이를 막아주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적외선 센서(210)의 출력을 이용하여 물흐름을 감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보수단(200)은 타이머를 내장하는 한편 경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내장된 건전지의 전원을 받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고정구(120)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210)의 출력을 이용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한편 경보기를 구동시키게 되며, 경보수단(200)에 설치된 타이머는 사용자가 설정시간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경보수단(200)의 타이머는 적외선 센서(210)에서 수돗물이 흐르게 되는 것이 감지되는 순간부터 카운트를 새로 시작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연속하여 물흐름이 감지되는 가를 판단하여, 수돗물을 연속적으로 설정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누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기를 구동시키고, 수돗물을 설정시간 이내에서 사용하면 정상적인 사용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수돗물을 사용하다가 정상적으로 수도꼭지를 잠그는 경우 물흐름이 차단되게 되므로, 타이머로 누적된 시간은 리셋트시키고, 다시 물흐름이 감지되는 순간부터 카운트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설정시간을 1시간으로 맞추어 놓게 되면 물흐름이 감지될 때마다 카운트를 시작하여 1시간 연속하여 수돗물을 사용하면 누수로 판단하고, 1시간 이내에서 물흐름이 차단되면 정상적인 사용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경보수단(200)을 유선 방식이 아닌 무선 방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안에 경보기를 설치하여 경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보수단(200)이 무선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경우 실내에서도 쉽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성이 배가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고정구(120)에는 적외선 센서(210)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적외선 센서(21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게 하고, 상기 고정구(120)의 내측으로 감지편(150)을 설치하되 상기 감지편(150)에 형성된 감지봉(151)이 상기 적외선 센서(210) 사이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감지편(150)이 후퇴하면 적외선 센서(210)가 작동하고, 감지편(150)의 감지봉(151)이 전진한 상태이면 적외선 센서(210)의 작동이 중단되게 한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적외선 센서와 치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구(120)에 끼워진 감지편(150)은 스프링(130)에 탄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130)은 막음구(140)로 고정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막음구(140)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물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120)는 연결구(110)에 끼워져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고정구(120)의 외경이 연결구(110)의 내경보다 작아서 고정구(120)와 연결구(11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물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구(120)에는 배출공(121)을 형성하여 고정구(120)의 내측으로 흐르는 물이 배출공(121)을 통하여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편(150)은 물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배출공(121)의 전방에 위치하고, 물흐름이 이루어져 감지편(150)이 후퇴할 때 배출공(121)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물흐름 감지수단(100)은 배출수도관(12)과 수도계량기(20)의 배출관(22)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볼트(160)를 이용하여 수도 계량기(20)와 결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정의 수도꼭지를 열지 않는 경우 수돗물이 흐르지 않게 되므로, 감지편(150)은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감지편(150)에 형성된 감지봉(151)은 적외선 센서(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적외선 센서(21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음을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수돗물이 흐르지 않는 경우는 누수도 발생되지 않으므로 감지편(150)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어도 하등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수도꼭지를 열어 정상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하는 경우나 누수가 발생하면 수돗물이 흐르게 되고, 이 같이 수돗물이 흐르게 되면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감지편(150)을 밀게 되므로, 감지봉(151)은 적외선 센서(210) 사이에서 후퇴하게 되며, 이때 적외선 센서(210)가 작동하여 수돗물이 흐르고 있음을 경보수단(2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편(150)이 후퇴하면 수돗물은 고정구(120)의 배출공(121)과 막음구(140)의 구멍을 통하여 고정구(120)의 외측으로 흐른 후 연결구(110)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흐르게 된다.
위와 같이 수돗물이 흐르게 되면 경보수단(200)에서는 물흐름 감지수단(100)의 적외선 센서(210)로 감지된 신호를 인식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경보수단(200)에서는 물흐름 신호가 인가되면 타이머를 작동시켜 물흐름이 진행되는 시간을 계산하도록 하고,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누수로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도록 하며,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사용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타이머는 물흐름 신호가 인가되면 카운트를 리셋시킨 후 카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타이머의 설정시간은 사용자가 물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1시간으로 맞추어 놓은 상태에서, 물흐름 감지수단(100)에서 물흐름이 감지되면 타이머를 작동시켜 시간을 카운트 하되 1시간이 지나지 않아 물흐름이 차단되면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시작하여 1시간 연속하여 수돗물을 사용하면 누수로 판단하여 경보를 울림으로써 누수를 고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꼭지를 열어 수돗물을 사용하거나 누수가 발생하여 물흐름이 있게 되면, 물흐름 감지수단(100)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경보수단(200)에서는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100)의 물흐름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타이머를 작동시킨 후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해서 물흐름이 감지되는가를 판단하고,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 이전에 물흐름이 차단되면 정상적인 사용으로 보아 경보를 발하지 않고, 타이머로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록 물흐름이 감지되면 누수로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정의 연속적인 물사용 시간에 따라 타이머를 설정하여 정상적인 물사용에는 경보가 울리지 않도록 하고, 누수와 같이 연속적으로 물흐름이 이루지는 경우에만 경보를 울리는 것이다.
20 : 수도 계량기 21 : 인입관
22 : 배출관 100 : 물흐름 감지수단
110 : 연결구 120 : 고정구
121 : 배출공 130 : 스프링
140 : 막음구 150 : 감지편
151 : 감지봉 160 : 체결볼트
200 : 경보수단 210 : 적외선 센서

Claims (5)

  1. 수도계량기(20)와 수도관(12)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흐르는 물의 수압으로 감지편(150)을 후퇴시켜 적외선 센서(210)로 물흐름을 감지하는 물흐름 감지수단(100)을 구비하되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100)은 외측으로 나사부(122)가 형성된 고정구(120)의 내측으로 감지편(150)이 스프링(130)에 탄지되어 설치되게 하는 한편 스프링(130)은 막음구(140)에 의해 받쳐지게 하며, 상기 감지편(150)은 스프링(130)에 탄지되어 걸림턱(123)에 걸쳐진 상태로 감지봉(151)이 돌출되게 하고, 상기 고정구(120)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적외선 센서(210)를 설치하되 상기 적외선 센서(210) 사이를 감지봉(151)이 막아주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120)는 일측으로 연결구(110)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타측으로 체결볼트(160)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구(120)에는 감지편(150)이 밀렸을 때 수돗물을 배출하여 배출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20)의 외경은 연결구(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물흐름 감지수단(100)의 물 흐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200)을 구비하되 상기 경보수단(200)은 물흐름 감지수단(100)의 물흐름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타이머에서 물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을 경과하여 물 사용 시간의 카운트가 이루어지면 경보음을 울리는 경보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3256A 2012-02-09 2012-02-09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10114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56A KR101143481B1 (ko) 2012-02-09 2012-02-09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56A KR101143481B1 (ko) 2012-02-09 2012-02-09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481B1 true KR101143481B1 (ko) 2012-05-08

Family

ID=4627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56A KR101143481B1 (ko) 2012-02-09 2012-02-09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4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54B1 (ko) 2020-01-31 2020-06-12 (주)지화엔지니어링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N111981699A (zh) * 2020-08-18 2020-11-24 海信(广东)厨卫系统有限公司 一种热水器以及控制方法
CN116539115A (zh) * 2023-07-07 2023-08-04 北京嘉洁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拆卸报警功能的水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35A (ja) * 1991-10-01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道監視装置
KR20110129176A (ko) * 2010-05-25 2011-12-01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역류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연결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35A (ja) * 1991-10-01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道監視装置
KR20110129176A (ko) * 2010-05-25 2011-12-01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역류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연결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54B1 (ko) 2020-01-31 2020-06-12 (주)지화엔지니어링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N111981699A (zh) * 2020-08-18 2020-11-24 海信(广东)厨卫系统有限公司 一种热水器以及控制方法
CN116539115A (zh) * 2023-07-07 2023-08-04 北京嘉洁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拆卸报警功能的水表
CN116539115B (zh) * 2023-07-07 2023-09-26 北京嘉洁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拆卸报警功能的水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6874A1 (en) Water leak detection,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80266125A1 (en) Method for Actively Monitoring Pipelines
KR200462991Y1 (ko) 가스 기구용 중간밸브
CN202974590U (zh) 漏水检测装置
KR10114348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US75493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eak in a piping system
US20070063856A1 (en) Monitoring system for drain pipes and plumbing fixtures
CN105221935B (zh) 漏水保护装置及其方法
KR20110056848A (ko)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US20070124955A1 (en) Air-Flow Sensor System for Clothes Dryer Applications
CN206902824U (zh) 一种循环水系统保护装置
US20050248465A1 (en) Water leak alarm and method
CN211175608U (zh) 漏水保护器
US9690303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202614004U (zh) 加热炉的冷却水检漏和检堵装置
KR10147295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20140111465A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BR112013031774A2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valiação do consumo de um meio em um sistema de abastecimento
JP2008267740A (ja) ガス遮断装置
CN108983829A (zh) 一种循环水系统保护装置
JP5074791B2 (ja) ガス漏れ判別装置
KR100774500B1 (ko) 가정용 누수감지기
US11473786B2 (en) Connector for a water system
KR20220061111A (ko) 누출 감지 시스템
JPH11283146A (ja) スプリンクラ設備を利用した漏水・停滞水の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