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848A -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848A
KR20110056848A KR1020090113329A KR20090113329A KR20110056848A KR 20110056848 A KR20110056848 A KR 20110056848A KR 1020090113329 A KR1020090113329 A KR 1020090113329A KR 20090113329 A KR20090113329 A KR 20090113329A KR 20110056848 A KR20110056848 A KR 2011005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alarm
paddl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09011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848A/ko
Publication of KR2011005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로(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02)의 일측단부(110)와 타측단부(120)에 각각 배관이 결합되도록, 플랜지(112,12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의 임의지점에 개구(13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로부터 상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타측단부(120)로부터 상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체크밸브(20) 사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개구(130)를 폐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 내의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동되는 패들(32)을 구비하여, 상기 패들(32)이 회동됨에 따라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흐름검지알람(30)과,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밸브(2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밸브(2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유체를 배출 또는 차단시키는 드레인밸브(4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체크밸브(20)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압력게이지(6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밸브(20)와 상기 타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압력게이지(700)를 구 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람밸브, 체크밸브, 버터플라이밸브, 패들

Description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Alarm valve assembly comprising a butterfly valve}
본원의 발명은 유체가 흐름을 검지하기 위한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소화설비등에 채용되며, 경보기를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감지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에는 스프링클러에서 살수(撒水)가 이루어지는 것을 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에는 알람밸브 조립체가 배치된다.
예컨대, 아파트의 특정 가구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해당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면, 배관에 설치된 알람밸브 조립체가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 경보를 보냄으로써, 화재의 발생 및 화재의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알람밸브 조립체의 일례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알람밸브 조립체(1)는 하우징(10), 체크밸브(32), 흐름검지알람(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로 물이 흐를 수 있는 유로(14)를 구비하며, 유 로(14)의 양측단부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배관(미도시)이 결합된다. 도1에 도시된 알람밸브 조립체(1)의 우측단에는 알람밸브 조립체(1)로 물이 유입되는 1차측 배관(미도시)이 결합되고, 좌측단에는 스프링클러와 연결되는 2차측 배관(미도시)이 결합된다. 하우징(10)의 양측단부 사이에는 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20)는 유로(14)의 양측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힌지(2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진다. 체크밸브(20)는 물이 1차측 배관에서 2차측 배관으로만 흐르도록 하며,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흐름검지알람(30)은 하우징(10)의 개구(16)을 패쇄하면서 하우징(10)에 연결된다. 흐름검지알람(30)은 패들(32)을 구비하고 있으며, 패들(32)은 물이 1차측 배관에서 2차측 배관으로 흐를 경우, 물의 흐름에 의해서 2차측 배관쪽으로 밀려나거나, 체크밸브(20)에 밀려서 2차측 배관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패들(32)이 밀려나면, 흐름검지알람(30)은 경보를 발생시키며, 이를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 보냄으로써, 조속히 화재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알람밸브 조립체(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알람밸브 조립체(1)의 흐름검지알람(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스프링클러를 작동시켜야 하며, 스프링클러에서 살수된 물에 의해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둘째, 화재가 진압되었거나, 스프링클러가 오작동한 경우에는 스프링클러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배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밸브가 필요하다. 따라서, 설치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알람밸브 조립체(1) 의 점검을 위해서는 1차측 배관으로부터 알람밸브 조립체(1)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1차측 배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밸브가 필요하다.
셋째, 체크밸브(20)와 패드(32)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립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체크밸브(20)의 회동공간 및 패드의 회동공간을 각각 확보해야 하므로 알람밸브 조립체(1)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넷째, 겨울철과 같이 주변의 온도가 낮을 경우, 알람밸브 조립체(1)내의 물이 결빙되어, 화재시에도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의 알람밸브 조립체(1)는 그 내부의 물이 결빙하였는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없다.
다섯째, 패들(32) 또는 체크밸브(20)의 점검을 위해서 흐름검지알람(30)을 하우징(10)에서 분리시킬 경우, 1차측 배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2차측 배관 내의 물을 배수시켜야 한다. 따라서, 2차측 배관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문제와 물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의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소형, 경량이며,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흐름검지알람의 정상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알람밸브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배관이 결합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단부와 상기 타측단부 사이의 임의지점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로의 상기 일측단부와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상기 일측단부로부터 상기 타측단부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일측단부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유로의 상기 일측단부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일측단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버터플라이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유로 내의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동되는 패들을 구비하여, 상기 패들이 회동됨에 따라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흐름검지알람과, 상기 유로의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타측단부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의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타측단부 사이에 위치한 유체를 배출 또는 차단시키는 드레인밸브와, 상기 유로의 상기 일측단부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압력게이지와, 상기 유로의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압력게이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알람밸브 조립체의 흐름검지알람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서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둘째, 1차측 배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전체적으로 중량 및 부피가 감소되며, 결합부분이 줄어들어 누수의 문제도 감소된다.
셋째, 흐름검지알람의 패드가 체크기능을 수행할 경우, 알람밸브 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하며, 크기가 작아진다.
넷째, 알람밸브 조립체가 결빙경보알람을 더 구비한 경우, 결빙 알람밸브 조립체 내의 물의 결빙 여부를 신속히 알 수 있다. 따라서 물의 결빙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다섯째, 알람밸브 조립체의 2차측에 제2버터플라이밸브를 더 구비한 경우, 알람밸브 조립체를 점검하기 위하여, 흐름검지알람을 알람밸브 조립체에서 분리하더라도, 2차측 배관 내의 물을 배수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물의 낭비가 감소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서 지칭되는 부재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2의 알람밸브 조립체를 좌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알람밸브 조립체의 정단면도이며, 도5는 제1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흐름검지알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2)는 하우징(100), 체크밸브(20), 버터플라이밸브(200), 흐름검지알람(30), 드레인밸브(400), 제1압력게이지(600), 제2압력게이지(700) 및 온도센서(50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유로(102), 플랜지(112,122), 개구(130)을 구비하고 있다. 유로(102)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며, 물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플랜지(112,122)는 유로(102)의 양단부(110,120)에 형성된다. 플랜지(112,122)에는 배관이 결합되도록 체결공(124)이 형성되어 있고, 유로(102)의 우측에 일측단부(110)에는 1차측 배관이 결합되고, 좌측의 타측단부(120)에는 스피링클러와 연결되는 2차측 배관이 결합된다. 개구(130)는 흐름검지알람(30)이 결합되는 부분이며, 유로(10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20)는 유로(102)의 측단부(110)와 타측단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힌지(2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클랩퍼(clapper) 형태로 구성된다. 체크밸브(200)는 일측단부(110)로부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흐르면 개방되고, 타측단부(120)로부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흐르기 시작하면 즉시 폐쇄된다. 따라서, 체크밸브(20)는 일측단부(110)로부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되, 타측단부(120)로부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흐름검지알람(30)은 하우징(100)의 개구(130)를 폐쇄하면서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흐름검지알람(30)은 패들(32), 고정블럭(342), 베이스(350), 샤프트(310), 검지스위치(322), 신호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들(32)은 체크밸브(20)와 타측단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유로(102) 내의 물의 흐름에 의해서 회동되거나, 체크밸브(20)가 개방될 때, 체크밸브(20)에 밀려서 회동된다.
상기 고정블럭(340)은 하우징(100)의 개구(130)와 연통하는 연통공(342)이 형성되며, 하우징(100)에 나사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350)는 고정블럭(340)에 결합되며, 고정블럭(340)에 연통공(342)과 연통하는 구멍(352)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베이스(350)의 구멍(352)은 하우징(100)의 개구(130)와 연통된다.
상기 샤프트(310)는 패들(32)에 연장되게 결합하며, 베이스(350)의 구멍(352)에 결합되는 탄성실링부재(350)에 관통하여 끼워진다. 따라서 샤프트(310) 는 베이스(350)의 구멍(3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35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샤프트(310)에는 조정블럭(312)가 끼워져 있고, 조정블럭(312)은 샤프트(310)에 형성된 나사부(311)와 나사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샤프트(310)에 있어서 조정블럭(312)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검지스위치(322)는 샤프트(310)가 회동되어, 판스프링(320)을 밀어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즉, 유로(102)내의 유체의 흐름에 따라서, 패들(32)이 밀려나면, 샤프트(310)가 회동되어 검지스위치(322)가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신호표시부는 검지스위치(322)가 작동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30)과 경보조명 발광하는 조명등(34)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명등(34)은 흐름검지알람(30)의 케이스(350)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로(102)에 흐름이 발생되면, 패들(32)이 회동하면서, 검지스위치(322)를 작동시켜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 유로(102)에 물의 흐름이 발생했다는 경보를 보내며, 흐름검지알람(30)의 스피커(33)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조명등(34)가 경고조명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터플라이밸브(200)는 유로(102)의 일측단부(110)와 체크밸브(20) 사이에 설치된다. 버터플라이밸브(200)가 개방되면 1차측 배관에서 일측단부(11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허용되며, 버터플라이밸브(200)가 폐쇄되면 1차측 배관에서 일측단부(11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버터플라이밸브(200)는 회전축(20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02)의 단부에는 레버(21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 외부에 배치된 레버(210)를 이용하여, 버터플라이밸브(1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400)는 유로(102) 내의 체크밸브(200)와 타측단부(100)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된다. 드레인밸브(400)의 손잡이(410)를 돌려 드레인밸브(400)를 개방시키면, 유로(102) 내의 체크밸브(200)와 타측단부(100) 사이의 물이 드레인밸브(400)를 통해서 빠져나가고, 손잡이(41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드레인밸브(400)를 폐쇄시키면, 물이 드레인밸브(400)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압력게이지(600)는 유로(102)의 일측단부(110)와 체크밸브(20) 사이에 위치한 물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압력게이지(600)는 유로(102)의 일측단부(110)와 체크밸브(20) 사이에 연결된다. 제1압력게이지(600)와 유로(102)사이에는 밸브(610)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610)는 제1압력게이지(600)를 추후에 설치할 때, 누수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밸브(61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압력게이지(600)를 연결함으로써, 누수없이 제1압력게이지(600)가 설치된다. 제1압력게이지(600)가 설치되면 밸브(610)를 열어줌으로써, 제1압력게이지(600)가 수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압력게이지(700)는 유로(102)의 체크밸브(20)와 타측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물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압력게이지(700)는 유로(102)의 체크밸브(20)와 타측단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압력게이지(700)와 유로(102) 사이에도 밸브(7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500)는 유로(102)의 체크밸브(20)와 타측단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온도센서(500)의 신호전송선(510)은 흐름검지알람(30) 내부로 삽입된다. 온도센서(500)는 써모커플(thermocouple)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500)에 의해 계측된 수온이 결빙점에 근접하면, 흐름검지알람(30)의 케이스(350)에 설치된 결빙경보등(520)이 작동된다. 또한, 결빙경보등(520)은 관리실 또는 경비실과 연결되어,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도 결빙경보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의 일측단부(110)에 1차측 배관을 결합시키고, 타측단부(120)에는 스프링클러와 연결되는 2차측 배관을 결합시킴으로써, 알람밸브 조립체(2)를 배관에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를 배관에 설치되면, 흐름검지알람(30)을 끈 상태에서, 드레인밸브(400)를 폐쇄시킨 후, 버터플라이밸브(200)를 개방하여, 물을 통수시킨다. 이때, 물이 통수됨에 따라서, 체크밸브(20)는 개방되게 된다. 종래의 알람밸브 조립체(1)의 경우에는 1차측 배관에 별도의 버터플라이밸브를 설치해야 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는 버터플라이밸브(10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버터플라이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알람밸브 조립체(1)와 1차측 배관에 버터플라이밸브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중량 및 부피가 감소된다. 또한 결합부분이 줄어들게 되므로, 누수의 가능성도 낮아진다.
알람밸브 조립체(2)를 배관에 설치하고, 버터플라이밸브(100)를 열어주면, 유로(102)에 물이 통수된다. 물이 통수됨에 따라서, 제1압력게이지(600)와 제2압력 게이지(700)에 표시되는 수압이 점차적으로 같아지게 된다. 제1압력게이지(600)와 제2압력게이지(700)에 표시되는 수압이 같아지면, 유로(102)에는 더 이상 물이 흐르지 않게 되고, 체크밸브(20)가 닫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흐름검지알람(30)을 켠다.
상기와 같이 알람밸브 조립체(2)가 배관에 설치하고, 흐름검지알람(30)을 켜준 후에는, 흐름검지알람(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흐름검지알람(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서, 드레인밸브(400)를 개방한다. 드레인밸브(400)가 개방되면, 드레인밸브(400)를 통해서 유로의 타측단부(120)와 체크밸브(20) 사이에 위치한 물이 빠져 나가면서 수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체크밸브(20)가 열리게 되고, 물이 일측단부(110)에서 타측단부(1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패들(32)이 회동되어, 검지스위치(322)를 작동시켜 경보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밸브(400)를 개방하였을 때, 흐름검지알람(30)이 경보를 발생시키면, 흐름검지알람(30)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흐름검지알람(30)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한 후에는, 다시 드레인밸브(400)를 폐쇄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는 종래의 알람밸브 조립체(1)와는 달리,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흐름검지알람(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는 온도센서(5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로(102) 내의 물이 결빙하는 것을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예컨대, 수온이 1℃ 이하가 되면, 결빙경보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수온이 0℃가 되어 결빙이 일어나기 전에 상기 알람밸브 조립체(2) 및 배관을 가열함으로써, 결빙이 일어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3)는 하우징(100), 흐름검지알람(30), 버터플라이밸브(100), 드레인밸브(400) 및 제1,2압력게이지(600,70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3)의 하우징(100), 버터플라이밸브(100), 드레인밸브(400) 및 제1,2압력게이지(600,7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의 그것과 동일하다.
상기 흐름검지알람(30)은 하우징(100)의 개구(130)를 폐쇄하면서 설치되며, 체크패들(300)을 구비한다. 체크패들(300)은 유로(102)의 일측단부(110)로부터 타측단부(120)로 물이 흐를때는 타측단부(120)쪽으로 밀려나면서 개방된다. 그러나, 타측단부(120)로부터 상기 일측단부로 물이 흐르기 시작하면, 폐쇄되어 물이 더 이상 흐르지 않도록 차단한다. 즉, 체크패들(300)이 체크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물이 흘려 체크패들(300)이 개방되면, 흐름검지알람(30)은 경보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3)는 흐름검지알람(30)의 체크패드(300) 가 체크기능을 함께 수행하므로, 체크밸브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조립이 더욱 용이해지고, 부피가 더욱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4)는 하우징(100), 흐름검지알람(30), 버터플라이밸브(100), 드레인밸브(400), 제1,2압력게이지(600,700) 및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4)의 하우징(100), 흐름검지알람(30), 버터플라이밸브(100), 드레인밸브(400), 제1,2압력게이지(600,7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3)의 그것과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는 유로(102)의 체크패드(300)와 타측단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타측단부(120)로 물이 출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는 레버(810)에 의해서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4)의 체크패드(300)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흐름검지알람(30)을 하우징(100)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모두 폐쇄하고, 드레인밸브(400)를 개방한다. 드레인밸브(400)가 개방되어,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제2버터플라이밸브(800) 사이의 물이 빠지면, 흐름검지알람(30)을 하우징(100)에서 분리시킨다.
버터플라이밸브(200)만 있고, 제2버터플라이밸브(800)가 없는 경우, 점검을 위하여, 흐름검지알람(3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버터플라이밸브(200)를 폐쇄한 후, 2차측 배관 내의 물을 모두 빼내야 한다. 그러나,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모두 구비한 경우에는 버터플라이밸브(200) 및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폐쇄하고, 드레인밸브(400)를 개방함으로써,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제2버터플라이밸브(800) 사이의 물만을 빼내면 된다. 따라서, 흐름검지알람(30)을 분리하여, 점검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10은 도9의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3)와 비교하면, 레버(210) 대신에 회전노브(910)을 구비한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900)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매우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부재번호를 가지는 구성은 서로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900)는 케이스(902), 웜기어(920), 회전노브(910), 회전표시블럭(930), 스위치블럭(950) 및 캠(922)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902)는 회전축(202)의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하우징(10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웜기어(920)는 버터플라이밸브(200)에 고정결합된 회전축(202)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케이스(902)의 내부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노브(910)는 케이스(90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노브(910)의 회전축(914)에는 회전노브(9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202)이 회전되도록, 상기 웜기어(920)에 기어결합되는 웜(9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표시블럭(930)은 상기 웜기어(920)에 고정결합되며, 케이스(90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회전표시블럭(930)은 회전축(202)과 함께 회전되므로, 회전표시블럭(930)의 위치에 따라서, 버터플라이밸브(200)의 개폐여부를 외부에서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블럭(950) 케이스(902)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버튼(954) 및 탄성편(952)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편(952)이 외력을 받아 버튼(954)을 누르게 되면, 스위치블럭(950)은 표시램프(940)를 점등시킨다. 또한, 스위치블럭(950)은 관리실 등과 연결된 신호전달선(942)을 구비하고 있어서, 버튼(954)이 눌러지면, 관리실 등에서 버터플라이밸브(200)의 개폐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캠(922)은 상기 회전축(202)과 함께 의해서 회전되도록, 웜기어(912)에 고정되어 있다. 캠(922)은 버터플라이밸브(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블럭(950)의 탄성편(952)를 가압하여, 스위치블록(950)의 버튼(954)이 눌러지도록, 일측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캠(922)은 버터플라이밸브(200)가 폐쇄된 경우, 도11과 같이 돌출부가 배치되어 있다가, 버터플라이밸브(200)가 개방되면, 도12와 같이 돌출부가 스위치블록(950)의 탄성편(952)를 가압하여 버튼(954)이 눌러지도록 한다. 캠(922)에 의해서 스위치블록(950)의 버튼(954)이 눌러지면, 표시램프(940)가 점등되어 밸브의 개폐여부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해주며, 신호전달선(942)을 따라 관리실 등으로도 신호가 전달되므로, 관리실 등에서도 버터플라이밸브(200)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5)는 버터플라이밸브(200)의 개폐가 웜(920) 및 웜기어(912)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밸브가 하우징(100) 내부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5)는 하우징 내의 직경이 커서, 유체가 버터플라이밸브(200)에 큰 힘을 가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5)는 일측의 플랜지(112)에 고무패킹(204)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무패킹(204)은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서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고무패킹(204)은 탄성변형 가능하고 방수가 가능한 재질, 예컨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패킹(204)은 버터플라이밸브(200)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 로 배치되므로, 버터플라이밸브(200)가 닫혀질 때, 버터플라이밸브(200)와 하우징(100)의 내주면 사이로 유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한편, 고무패킹(204)의 일부는 플랜지(11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데, 고무패킹(204)의 상기 돌출부는 플랜지(112)와 그 플랜지(112)에 결합되는 배관의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랜지(112)와 이에 결합되는 배관의 플랜지가 서로 결합할 때, 고무패킹(204)의 돌출부는 그 사이에서 탄성 압축되어, 플랜지(112)와 배관의 플랜지 사이의 틈을 없애줌으로써, 그 사이로 유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흐름검지알람(30)의 패들(32)은 상기 체크패들(300)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 조립체(2)도, 상기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알람밸브 조립체를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5는 도2의 알람밸브 조립체의 흐름검지알람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의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버터플라이밸브 구동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11은 버터플라이밸브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 ... 체크밸브 30 ... 흐름검지알람
32 ... 패들 100 ... 하우징
102 ... 유로 110 ... 일측단부
120 ... 타측단부 130 ... 개구
200 ... 버터플라이밸브 300 ... 체크패들
400 ... 드레인밸브 500 ... 온도센서
600 ... 제1압력게이지 700 ... 제2압력게이지
800 ... 제2버터플라이밸브

Claims (6)

  1. 내부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로(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02)의 일측단부(110)와 타측단부(120)에 각각 배관이 결합되도록, 플랜지(112,12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의 임의지점에 개구(13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로부터 상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타측단부(120)로부터 상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체크밸브(20) 사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개구(130)를 폐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 내의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동되는 패들(32)을 구비하여, 상기 패들(32)이 회동됨에 따라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흐름검지알람(30)과,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밸브(2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밸브(2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유체를 배출 또는 차단시키는 드레인밸브(4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체크밸브(20)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압력게이지(6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밸브(20)와 상기 타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압력게이지(7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02)의 상기 타측단부(120)와 상기 체크밸브(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출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3. 내부에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로(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02)의 일측단부(110)와 타측단부(120)에 각각 배관이 결합되도록, 플랜지(112,12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의 임의지점에 개구(13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개구(130)를 폐쇄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로부터 상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흐를 때는 개방되고, 상기 타측단부(120)로부터 상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흐르기 시작하면 폐쇄되어 유체가 더 이상 흐르지 않도록 차단하는 체크패들(300)을 구비하며, 상기 체크패들(300)이 개방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흐름검지알람(30)과,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체크패들(300) 사이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일측단부(110)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버터플라이밸브(2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패들(300)과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패들(300)과 상기 타측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유체를 배출 또는 차단시키는 드레인밸브(4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일측단부(110)와 상기 체크패들(300)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압력게이지(600)와,
    상기 유로(102)의 상기 체크패들(300)와 상기 타단부(120) 사이에 위치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압력게이지(7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패들(300)을 구비한 상기 흐름검지알람(3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개구(130)와 연통하는 연통공(34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고정블럭(340)과,
    상기 개구(130)와 연통하는 구멍(3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340)에 고정되는 베이스(350)와,
    상기 체크패들(300)에 연장되게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350)의 구멍(3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35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샤프 트(310)와,
    상기 샤프트(310)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검지스위치(322)와,
    상기 검지스위치(310)의 작동에 따라 검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표시부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330) 또는 발광하는 조명등(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02)의 상기 타측단부(120)와 상기 체크패들(3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타측단부(120)로 유체가 출입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2버터플라이밸브(8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0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102) 내의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5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KR1020090113329A 2009-11-23 2009-11-23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KR20110056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9A KR20110056848A (ko) 2009-11-23 2009-11-23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9A KR20110056848A (ko) 2009-11-23 2009-11-23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48A true KR20110056848A (ko) 2011-05-31

Family

ID=4436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29A KR20110056848A (ko) 2009-11-23 2009-11-23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84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359B1 (ko) * 2011-12-23 2013-07-08 한국기계연구원 버터플라이 밸브 단면고정형 수명시험장치
KR20190067159A (ko) * 2016-08-11 2019-06-14 글로브 파이어 스프링클러 코포레이션 모듈형 밸브 조립체
CN112483665A (zh) * 2020-12-14 2021-03-12 安徽铜都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动对夹式蝶阀
KR20210120939A (ko) * 2021-09-17 2021-10-07 권영규 밸브의 개폐상태 확인이 가능한 밸브 모듈
US11339882B1 (en) 2020-12-24 2022-05-24 Agf Manufacturing, Inc. Butterfly check valve
US11402028B2 (en) 2018-03-29 2022-08-02 Victaulic Company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US11517779B2 (en) 2017-01-06 2022-12-06 Victaulic Company Control valve assembly with test, drain and adjustable pressure relief valve
US11781658B2 (en) 2019-09-20 2023-10-10 Victaulic Company Ball valve assembly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359B1 (ko) * 2011-12-23 2013-07-08 한국기계연구원 버터플라이 밸브 단면고정형 수명시험장치
KR20190067159A (ko) * 2016-08-11 2019-06-14 글로브 파이어 스프링클러 코포레이션 모듈형 밸브 조립체
US11439855B2 (en) 2016-08-11 2022-09-13 Victaulic Company Modular valve assembly
US11826591B2 (en) 2016-08-11 2023-11-28 Victaulic Company Modular valve assembly
US11517779B2 (en) 2017-01-06 2022-12-06 Victaulic Company Control valve assembly with test, drain and adjustable pressure relief valve
US11402028B2 (en) 2018-03-29 2022-08-02 Victaulic Company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US11781658B2 (en) 2019-09-20 2023-10-10 Victaulic Company Ball valve assembly
CN112483665A (zh) * 2020-12-14 2021-03-12 安徽铜都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动对夹式蝶阀
US11339882B1 (en) 2020-12-24 2022-05-24 Agf Manufacturing, Inc. Butterfly check valve
WO2022140106A1 (en) * 2020-12-24 2022-06-30 Agf Manufacturing, Inc. Butterfly check valve
KR20210120939A (ko) * 2021-09-17 2021-10-07 권영규 밸브의 개폐상태 확인이 가능한 밸브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6848A (ko) 버터플라이밸브가 채용된 패들형 알람밸브 조립체
USRE40933E1 (en) Apparatus for flow dete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265980B2 (en) Flow control assembly for a fire sprinkler system
US6741179B2 (en) Apparatus for flow dete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and system for use of same
US5966076A (en) Fluid leak detector and shut-off device
KR101753809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 밸브 감지 스위치
KR200462991Y1 (ko) 가스 기구용 중간밸브
CN108980635A (zh) 一种智能高效的水系统保护装置
US6578602B1 (en) Alarm valve system
JP2014188092A (ja) 流水検知装置
CA2651446C (en) Flow sensor and actuator
JP2008093318A (ja) 消火設備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JP4892311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10114348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JP2008006086A (ja) 流水検知装置
US11608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US20190388719A1 (en) Dry sprinkler system manifold adapter
CN108983829A (zh) 一种循环水系统保护装置
JP5004170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0346574B1 (ko) 가스 안전밸브
JPH11283146A (ja) スプリンクラ設備を利用した漏水・停滞水の報知システム
JPH0596748U (ja) ガス供給設備の漏洩監視装置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JP7391157B2 (ja) 消火栓装置点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