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47B1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47B1
KR102121847B1 KR1020200011773A KR20200011773A KR102121847B1 KR 102121847 B1 KR102121847 B1 KR 102121847B1 KR 1020200011773 A KR1020200011773 A KR 1020200011773A KR 20200011773 A KR20200011773 A KR 20200011773A KR 102121847 B1 KR102121847 B1 KR 10212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attery
case
electrically connecte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권
Original Assignee
(주)지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지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1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0)와 인쇄기로기판(20:PCB), 스위치부(30), 배터리(40), 송신부(50), 스피커(60) 및 고정유닛(7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중앙통제실로 알려줌으로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배터리 전원의 무분별한 소모를 제한할 수 있어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석재/소방배관/철판 등의 설치대상부위에 상관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Fire-fighting devices for quick fire detection}
본 발명은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화재경보기는 건축물의 실내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연결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된 경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타입과, 화재시 발생되는 열이나 빛을 감지하는 타입 등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수단에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경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경보수단은 경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함께 구비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에 화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유닛이 경보수단을 제어하여, 경광과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화재가 발생된 것을 알려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재경보기에는 전원선이 연결되어, 상기 전원선을 통해 감지수단과 제어유닛 및 경보수단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화재경보기를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재경보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공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경보기를 설치할 장소에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895호(자립형 화재경보기)가 있으며, 여기에는 감지수단과 제어유닛 및 경보수단이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됨에 따라 별도로 전원선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감지수단과 제어유닛 및 경보수단으로 배터리의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소모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8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전원의 무분별한 소모를 제한할 수 있어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석재/소방배관/철판 등의 설치대상부위에 상관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상면에는 함몰부가 마련되고, 함몰부가 마련된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부가 마련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 양측면으로부터 대향되게 돌출된 PCB거치부와, 함몰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유닛설치대로 구성된 불연단열재질로 제작된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양단부가 PCB거치부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단자부를 갖춘 인쇄회로기판;
일단부는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제작된 스위치부;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부와 스위치부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
고정유닛설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적층된 양면테이프가 수용되고, 양면테이프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소방배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호형의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수납부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양면테이프를 떠받치는 승강판과, 수납부에 수용되어 승강판을 미는 스프링과, 수납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된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스위치부와 단자부 및 배터리가 개회로(開回路)를 이루고 있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화재발생시에는 열에 의해 스위치부와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와 함께 폐회로(閉回路)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이 무분별한 소모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송신부 및 스피커를 통해 주변으로 화재신호 및 화재경보음을 출력함에 따라 관리자 및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화재의 신속하게 진압 및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정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는 케이스(10)와 인쇄기로기판(20:PCB), 스위치부(30), 배터리(40), 송신부(50), 스피커(60) 및 고정유닛(7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중앙통제실로 알려줌으로서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배터리 전원의 무분별한 소모를 제한할 수 있어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으며, 석재/소방배관/철판 등의 설치대상부위에 상관없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화재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불연단열재로 제작한 것으로서, 본체부(11)와 PCB거치부(12) 및 고정유닛설치대(1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인쇄기로기판(20:PCB)과 스위치부(30), 배터리(40), 송신부(50) 및 스피커(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의 상면 중간에는 하방으로 단차지게 함몰된 함몰부(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함몰부(11a)가 마련된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부(11b:구멍)가 마련되며, 본체부(11)의 하면에는 한 쌍의 스위치부(30)가 관통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1)에 함몰부(11a)와 관통부(11b)를 마련해 줌으로서 본체부(11)의 내부에 배치된 송신부(50) 및 스피커(60)로부터 방출되는 신호 및 음향이 고정유닛(70)에 방해를 받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의 내부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PCB거치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PCB거치부(12)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의 상면에는 함몰부(11a)를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유닛설치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유닛설치대(13)에는 고정유닛(7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고정유닛설치대(13)에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유닛(70)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끼워지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유닛(70)은 구멍을 매개로 고정유닛설치대(13)의 돌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양단부가 PCB거치부(12)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 양단부에는 단자부(21)가 인출되고, 단자부(2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부(30)는 특정온도가 되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제작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10)에 한 쌍의 스위치부(30)가 설치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에 설치된 스위치부(30)의 일단부는 케이스(10)의 하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위치부(30)의 일단부는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21)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40)는 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송신부(50) 및 스피커(6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스위치부(30)와 단자부(21) 및 배터리(40)가 개회로(開回路)를 이루고 있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화재발생시에는 열에 의해 스위치부(30)와 단자부(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40)와 함께 폐회로(閉回路)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배터리(40)의 전원이 무분별한 소모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40)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터리(40)는 통상의 건전지이며, 일 예로서 배터리(40)는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건전지소켓에 끼워진다.
상기 송신부(50)는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되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송신부(50)를 통해 송신된 신호는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전달되며,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60)는 인쇄회로기판(20)에 설치되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향을 방출하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스피커(6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들을 수 있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시설물관리자의 경우에는 음향이 발생되는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유닛(70)은 고정유닛설치대(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10)를 특정장소에 매달아두거나 거치해두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70)은 수납부(71)와 커버(72), 승강판(73), 스프링(74), 양면테이프(T) 및 자석(M)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71)는 고정유닛설치대(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되, 내부에는 낱장의 양면테이프(T)가 적층되게 수용되고, 상면 일측에는 낱장의 양면테이프(T)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71a)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소방배관(미도시)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면테이프(T)를 매개로 부착되는 호형의 접촉부(7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72)는 수납부(71)의 상면에 배치되어 개구부(71a)를 개폐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납부(71)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판(73)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납부(71)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양면테이프(T)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74)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납부(71)에 수용되어 승강판(73)을 밀어 낱장의 양면테이프(T)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석(M)은 커버(72)의 반대편 즉, 수납부(71)의 하면에 고정된다.
일 예로서, 상기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가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수납부(71) 및 커버(72)의 상면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한 다음 콘크리트 면에 부착해 설치하면 되고,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가 철판인 경우에는 고정유닛(70)에 설치된 자석(M)을 매개로 설치하면 되며,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가 소방배관인 경우에는 접촉부(71b)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한 다음 소방배관에 부착하면 된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를 고려해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층된 양면테이프(T)가 승강판(73)과 스프링(74)에 의해 들어올려 짐에 따라 수납부(71)로부터 인출하기가 매우 수월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의 설치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소방장치가 설치될 장소를 고려해 양면테이프(T) 또는 자석(M)을 취사 선택하면 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가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수납부(71) 및 커버(72)의 상면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한 다음 콘크리트 면에 부착해 설치하면 되고,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가 철판인 경우에는 고정유닛(70)에 설치된 자석(M)을 매개로 설치하면 되며, 고정유닛(70)이 설치될 부위가 소방배관인 경우에는 접촉부(71b)에 양면테이프(T)를 부착한 다음 소방배관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위치부(30)의 일단부는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21)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40)는 폐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송신부(50) 및 스피커(6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송신부(50)는 화재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송신된 신호는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수신되며, 화재신호를 수신받은 관리자는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스피커(60)는 화재경보음을 주변으로 방출하여 주변사람들에게 알려주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스위치부(30)와 단자부(21) 및 배터리(40)가 개회로(開回路)를 이루고 있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지만, 화재발생시에는 열에 의해 스위치부(30)와 단자부(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40)와 함께 폐회로(閉回路)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40)의 전원이 무분별한 소모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40)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50) 및 스피커(60)를 통해 주변으로 화재신호 및 화재경보음을 출력함에 따라 관리자 및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어 화재의 신속하게 진압 및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본체부 11a: 함몰부
11b: 관통부 12: PCB거치부 13: 고정유닛설치부
20: 인쇄회로기판 21: 단자부 30: 스위치부
40: 배터리 50: 송신부 60: 스피커
70: 고정유닛 71: 수납부 72: 커버
73: 승강판 74: 스프링 T: 양면테이프
M: 자석

Claims (1)

  1.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상면에는 함몰부(11a)가 마련되고, 함몰부(11a)가 마련된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부(11b)가 마련된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내부 양측면으로부터 대향되게 돌출된 PCB거치부(12)와, 함몰부(11a)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유닛설치대(13)로 구성된 불연단열재질로 제작된 케이스(10);
    케이스(10)에 수용되어 양단부가 PCB거치부(12)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단자부(21)를 갖춘 인쇄회로기판(20);
    일단부는 케이스(10)의 하부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일단부는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복원되어 서로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통해 전도된 열에 의해 복원되어 단자부(21)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상기억합금소재로 제작된 스위치부(30);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부(21)와 스위치부(30)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50);
    인쇄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60);
    고정유닛설치대(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는 적층된 양면테이프(T)가 수용되고, 양면테이프(T)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71a)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소방배관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양면테이프(T)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호형의 접촉부(71b)가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71)와, 수납부(71)에 힌지회동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개구부(71a)를 개폐하는 커버(72)와, 수납부(71)에 승강가능하게 수용되어 양면테이프(T)를 떠받치는 승강판(73)과, 수납부(71)에 수용되어 승강판(73)을 미는 스프링(74)과, 수납부(71)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M)으로 구성된 고정유닛(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0200011773A 2020-01-31 2020-01-31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12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3A KR102121847B1 (ko) 2020-01-31 2020-01-31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773A KR102121847B1 (ko) 2020-01-31 2020-01-31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47B1 true KR102121847B1 (ko) 2020-06-12

Family

ID=7108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773A KR102121847B1 (ko) 2020-01-31 2020-01-31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69U (ko) * 1989-07-04 1991-02-20
JP2010020792A (ja) * 2009-09-24 2010-01-28 Hochiki Corp 火災警報機
KR101216135B1 (ko) * 2011-07-28 2013-01-02 (주)서한에프앤씨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JP2015141568A (ja) * 2014-01-29 2015-08-03 能美防災株式会社 熱感知器
KR101578895B1 (ko)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101791165B1 (ko) * 2016-05-13 2017-10-31 에이스웨이브텍(주) 소방관용 경보장치
KR20190079789A (ko) * 2017-12-28 2019-07-08 김부현 스탬프형 테이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69U (ko) * 1989-07-04 1991-02-20
JP2010020792A (ja) * 2009-09-24 2010-01-28 Hochiki Corp 火災警報機
KR101216135B1 (ko) * 2011-07-28 2013-01-02 (주)서한에프앤씨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JP2015141568A (ja) * 2014-01-29 2015-08-03 能美防災株式会社 熱感知器
KR101578895B1 (ko)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101791165B1 (ko) * 2016-05-13 2017-10-31 에이스웨이브텍(주) 소방관용 경보장치
KR20190079789A (ko) * 2017-12-28 2019-07-08 김부현 스탬프형 테이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17269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8944U (ja) 位置表示灯付発信機
KR101421542B1 (ko) 와이파이 및 인터넷 통신기술을 이용한 무선복합화재 감지기 및 시스템
US20190169916A1 (en) Carbon Defense
KR102121854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US10818280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container
KR102121847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20160005641A (ko) 대피용 다목적 안전도구함
KR20120052800A (ko) 소화기 받침대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JP632137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TW201841103A (zh) 嵌入式器具
KR101642467B1 (ko) 화재 경보 장치
JP2006238400A (ja) リモコン送信器
JP678391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KR20120045246A (ko) 화재영상음성감지장치
KR102175607B1 (ko) Iot 소화기 시스템
JP659159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照明器具
KR200163322Y1 (ko) 도난및각종위험상황대비다기능경보장치
GB2471410A (en) Handheld signal detector used for monitoring signal strength in a wireless alarm system
KR20210091451A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0330492Y1 (ko) 소화기의 도난방지용 고정기구
JP6851023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装置
KR20170007957A (ko) 소화기용 거치대
KR100267257B1 (ko) 음성 발신 및 백라이트 기능을 갖는 소화전 시스템
KR101063807B1 (ko) 초기 화재 목격자 유도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