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883A -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883A
KR20220159883A KR1020220043899A KR20220043899A KR20220159883A KR 20220159883 A KR20220159883 A KR 20220159883A KR 1020220043899 A KR1020220043899 A KR 1020220043899A KR 20220043899 A KR20220043899 A KR 20220043899A KR 20220159883 A KR20220159883 A KR 20220159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unit
fire extinguisher
fi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올하우디자인주식회사
김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하우디자인주식회사, 김정미 filed Critical 올하우디자인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확인 및 진압을 위해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는, 소화제가 저장되는 소화제 저장부; 상기 소화제 저장부의 소화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실내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소화제 저장부, 분사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FIRE EXTINGUISHER HAVING IoT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확인 및 진압을 위해 IoT 기술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재는 발생 초기에 진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골든타임으로 알려진 3분 이내의 신속한 초기진압이 화재의 확산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의미가 크다. 건물 내 화재의 초기진압을 위한 설비로서 스프링클러와 소화기가 널리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클러는 천장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열을 감지하고 고압의 소화수를 신속하게 방출하여 넓은 공간 내의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화재를 진압하더라도 천장에서부터 전방위로 쏟아지는 물에 의해 공간 내의 시설과 물품이 젖어버리게 된다. 그 결과, 물품에 따라서는 원상복구가 어려워 재산 손실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소화기는 설치 비용이 적고 사용 방법이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분사해야 하고, 화재 진압이 특정 부위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9-7008152호(2017.08.3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스프링클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초기진압용 소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능과 결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 전체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한 소화기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소화제 저장부만 교체할 수 있는 소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를 제공한다.
소화제가 저장되는 소화제 저장부;
상기 소화제 저장부의 소화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실내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소화제 저장부 및 분사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본 발명에서 소화제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액상, 분말,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액상 소화제가 바람직하다.
소화제 저장부는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이다. 소화제 저장부의 상부에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는 소화제 저장부 내의 소화액을 분사하는 가압력을 소화제 저장부에 부여한다. 가압부는 가압판과 스프링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소화제 저장부의 하부에는 소화제가 배출될 수 있는 소화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분사부는 소화제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소화액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분사부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개폐를 위한 밸브 및 노즐을 포함한다.
분사관은 일단은 소화제 저장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과 연결되어 소화제가 유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분사관의 중간에는 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분사관은 평상 시에는 밸브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소화제 분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제어부로부터의 명령을 받아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소화제 저장부로부터 노즐까지가 연통될 수 있다.
센서부는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실내의 상황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카메라, 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들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에는 스피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기는 센서들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소화제 분사부의 작동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전달 받은 신호에 의해 분사관의 밸브 개폐 또는 케이스의 움직임을 지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기는 소화제 저장부, 분사부, 제어부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그리고 상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며 상부 케이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케이스에는 소화제 저장부가 연결되고, 하부 케이스에는 센서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에 소화제 저장부가 연결됨에 따라, 사용한 소화기는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소화제 저장부만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에는 센서부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에는 돌출링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돌출링이 천장 내면에 걸쳐질 수 있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소화기를 천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내부에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구동수단은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하부 케이스를 상부 케이스에 대해 360ㅀ회전시킨다. 또 구동수단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하부 케이스에 결합된 센서부를 하부 케이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센서부의 회전은 수직 방향으로 120ㅀ정도 범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 모든 공간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 소화제 분사부 및 회전 작동부에 필요한 전력은 플러그를 통해 외부 콘센트로부터 받거나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기의 제어부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는 센서부 및 제어부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되는 온도, 실내에서 사람의 움직임 여부 등 실내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한다.
외부 기기는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화기에는 라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라이트는 연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연기 농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높을 경우 작동되어 실내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또한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센서부에서 실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서 취득된 실내 정보를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실내 정보가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소화제 분사 작동을 지시하는 단계;
소화제 분사 작동이 개시되어 소화제가 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제어방법.
실내 정보에는 실내 온도, 사람 존재 유무, 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한 동영상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의 소화제 분사 작동 지시는 밸브를 개방하는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서는, 센서부의 동작감지센서에서 건물 내 사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단계, 및 사람의 움직임이 파악될 경우 상기 실내 정보가 기준값을 넘어가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화제 분사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사람이 있을 경우 다른 수단을 통해 직접 초기 화재를 진압하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소화기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어방법에서는 실내 정보 중 연기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라이트를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빠른 시간에 연기가 실내에 자욱하게 퍼진 경우에도 실내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외부 기기에서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서부에서 취득된 정보를 통신부에서 수집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통신부는 3G, LTE, WiFi, 5G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한다. 외부 기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소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한 외부 기기는 그 내용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 특히 카메라에 의해 제공되는 동영상에 따라 실제 실내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화제 분사 작동의 개시 또는 중지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외부 기기로부터 소화기의 통신부로 전달되고, 통신부는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로 다시 전달한다.
본 발명의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실내 공간의 온도가 올라갈 때 무조건 작동하는 종래 스프링클러와 달리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여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IoT 기능과 결합되어 실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외부에서도 소화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기는 실내 전체의 화재 상황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실내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불필요하게 소화기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소화기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소화제 저장부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화기의 센서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화기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화기가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화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화기의 센서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소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1)는 소화제가 저장되는 소화제 저장부(10), 상기 소화제 저장부 내의 소화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20, 도 3), 센서부(30) 및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화제로서 액체 소화제를 사용한다. 액상 소화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에 탄산칼륨을 용해한 약재를 사용할 수 있다.
소화제 저장부(10)는 소화제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이다. 소화제 저장부(10)의 하부에는 소화제가 배출될 수 있는 소화제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화제 저장부(10)의 상부에는 가압부(12, 도 2)가 형성되어 있다. 소화제 배출구(14)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상부 케이스(42)에 끼워지고 분사관(22)과 결합된다. 따라서 한 번 사용된 소화기(1)를 폐기할 필요가 없고, 소화액 배출구(14)를 상부 케이스(42) 및 분사관(22)과 분리하여 소화제 저장부(10)만을 새로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가압부(12)는 소화제 저장부(10) 내의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한 가압력을 소화제 저장부(10)에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가압부(12)는 가압판(12a)과 스프링(12b)으로 구성된다. 스프링(12b)은 평상 시에는 충전된 소화제에 의해 압축되어 가압판(12a)에 힘을 가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분사관(22)의 밸브(2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소화제가 분출되지 않는다. 밸브(24)가 개방되면, 소화제 저장부(10)로부터 외부로 개방된 노즐(26)까지의 경로가 모두 연통되므로, 스프링(12b)은 팽창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가압판(12a)이 하강하면서 소화제 저장부(10) 내의 소화제가 배출된다.
분사부(20)는 소화제 저장부(10)에서 배출되는 소화액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분사부(20)는 분사관(22), 상기 분사관(22)의 개폐를 위한 밸브(24) 및 노즐(2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분사관(22)은 일단은 소화제 저장부(10)의 소화제 배출구(14)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소화제 배출구(14)와 분사관(22) 일단이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관(22)의 타단은 노즐(26)과 연결되어 소화제가 유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분사관(22)의 중간에는 밸브(24)가 장착되어 있다. 밸브(24)는 예를 들어 전자식 체크밸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관(22)은 평상 시에는 밸브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소화제 분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제어부의 명령을 받아 밸브(24)가 개방됨으로써, 소화제 저장부(10)로부터 노즐(26)로 소화제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사관(22)은 일반적인 파이프 형태의 제1분사관(22a), 그리고 제1분사관(22)의 하부와 노즐(26)에 각각 연결되며 탄성 재질의 튜브로 구성된 제2분사관(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분사관(22b)은 탄성 재질이므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부 케이스(31)의 회전 시 구부러진 부위가 펴지면서, 회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30)는 카메라(32), 열감지센서(34), 동작감지센서(36), 연기감지센서(37) 및 스피커(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메라(32)는 실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후술하는 이동 기기(70)에 전송한다. 열감지센서(34)는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실내 온도가 상승할 경우 소화기(1)가 작동할 수 있도록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동작감지센서(36)는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 감지한다. 동작감지센서(36)는,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소화기(1)가 실내의 사람에 의해 직접 제어되고 이동 기기(70)나 제어부(60)에 의해서는 제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화기(1)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연기감지센서(37)는 실내에 연기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기(1)의 작동과 연계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스피커(38)는 상기 다른 센서들에 의해 실내의 화재 징후가 있을 경우 음성을 발생시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센서부(30)에는 라이트(39)가 더 포함된다. 라이트(39)는 연기감지센서(37)의 측정값에 따라 연기가 일정 수준 이상임이 파악되면 점등되도록 제어부(60)에 의해 작동된다. 이에 의하면, 빠른 시간에 연기가 실내에 자욱하게 퍼진 경우 실내에 있는 사람이 시야를 확보하여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전술한 센서들 및 스피커가 장착된 센서부 케이스(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 케이스(31)는 2개의 반구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반구 사이에는 노즐 장착부(28)가 결합되어 있다. 노즐 장착부(28)의 내부에는 전술한 제2분사관(22b)이 내장되어 있고, 표면에는 제2분사관(22b)에 결합된 노즐(26)이 노출되어 있다.
센서부 케이스(31)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센서들은 하부 케이스(44)의 다양한 위치에 각각 2개 이상씩 배치되어 실내 전체의 환경을 감시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4)가 회전 가능할 경우에는 센서들은 한 개씩만 설치되어도 전방위 감지가 가능하다.
도 2에서 본 실시예의 소화기(1)는 센서들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소화제 분사부(20)의 작동을 지시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60)와 센서들을 예를 들어 내부 배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구체적인 배선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화기(1)는 소화제 저장부(10), 분사부(20), 제어부(60)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40)를 포함한다. 케이스(4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40)는 상부 케이스(42), 그리고 상부 케이스(4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케이스(42)와 하부 케이스(44)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4)에는 센서부 케이스(31)가 결합된다. 센서부 케이스(31)는 하부 케이스(44)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는 이러한 결합을 위해 하부 케이스(44)의 내면에는 2개의 대향하는 결합홈(44a)이 형성되고 센서부 케이스(31)의 외부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홈(44a)에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31a)가 형성된다.
돌출부(31a)는 결합홈(44a)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센서부 케이스(31)가 하부 케이스(4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동시에 끼움 결합은 충분히 느슨해서 센서부 케이스(31)가 하부 케이스(44)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 케이스(31)는 독자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4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48)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48)은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며, 제1모터(48a)는 제어부(60)의 명령에 따라 하부 케이스(44)를 상부 케이스(4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360ㅀ회전시킨다. 또 구동수단(48)은 제어부(60)의 명령에 따라 하부 케이스(44)에 결합된 센서부 케이스(31)를 하부 케이스(44)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센서부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회전 각도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20ㅀ정도만 이루어져도 실내 공간의 모든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방향 회전이 조합될 수 있어, 실내 전방위에 대해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4) 및 센서부 케이스(31)는 각각에 연결된 제1모터(48a) 및 제2모터(48b)의 벨트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가 하부 케이스(44) 및 센서부 케이스(31)를 구동하는 상세한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구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44) 및 센서부 케이스(31)의 구동은 벨트가 아닌 베벨 기어 등 다른 방식을 채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도 1의 소화기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케이스(40)에는 돌출링(46)이 결합될 수 있다. 돌출링(46)은 상부 케이스(42)와 하부 케이스(44) 사이에 끼워질 수도 있고, 상부 케이스(42)나 하부 케이스(44)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링(46)이 천장(100)에 걸쳐질 수 있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소화기(1)가 천장(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소화기(1)가 천장(100)에 설치될 때 하부 케이스(44)의 일부와 센서부 케이스(31)만 실내로 돌출되고 상부 케이스(42)는 천장(10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이나 미감 면에서도 효과적으로 된다.
한편, 제어부(60)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되는 온도, 실내의 움직임 등 실내 환경 정보는 통신부에 의해 외부 기기(70)로 전송한다. 외부 기기(70)는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30), 제어부(60), 구동수단(48)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플러그를 통해 외부 콘센트로부터 받거나, 내장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소화기의 작동 및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화기는 단순히 그 자체로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에서는 먼저 센서부(30)에서 센서들로부터 실내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100). 화재 발생과 직접 관련되는 온도의 상승은 열감지센서(34)에 의해 감지된다. 화재 시 동반되는 연기 발생 정보는 연기감지센서(37)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움직임은 동작감지센서(36) 또는 카메라(32)에 의해 판단이 가능하다.
정보 수집은 하부 케이스(44)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고, 센서부(3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복합 회전에 의해, 실내 전 영역에 대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센서부(30)에서 취득된 실내 정보,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연기 농도가 기준값을 넘어서는지 제어부(60)에서 판단한다(S200). 기준값은 실내 상황을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 또는 연기 농도 등에 대한 값으로서 제어부(60)에 미리 입력되어 있다.
온도 또는 연기 농도가 기준값을 넘을 경우 제어부(60)가 소화제 분사부(20)의 작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이러한 명령에 따라, 소화제 분사부(20)의 밸브(24)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가압부(12)의 스프링(12b)이 팽창함에 따라 가압판(12a)이 하강하여 소화제가 분사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0).
한편, 연기감지센서(37)에서 측정한 연기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60)가 라이트(39)를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빠른 시간에 연기가 실내에 자욱하게 퍼진 경우에도 실내 상황을 적절히 전달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화기(1)의 작동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기기(70)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30)에서 취득된 정보를 통신부에서 수집하여 외부 기기(70)로 전송한다. 통신부는 3G, LTE, 5G, WiFi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70)와 통신한다. 외부 기기(7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소화기(1)를 제어한다. 실내 환경 정보를 수신한 외부 기기(70)는 그 내용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의 형태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에 따라 소화제 분사부(20)의 작동 또는 작동 정지 명령을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외부 기기(70)로부터 소화기(1)의 통신부로 전달되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어부(60)는 소화제 분사부(20)의 작동을 개시 또는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70)에 전송 및 표시되는 실내 온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동작이 감지되는 등의 실내 환경의 변화가 있을 경우, 외부 기기(70)의 문자, 알람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작동 또는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는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센서부(30)의 오작동으로 실제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소화기(1)가 작동하여 실내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화재는 발생하였으나 실내에 사람이 있어 직접 초기 화재를 진압하면 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소화기(1)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60)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온도나 연기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분사부(20)의 작동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동작감지센서(36)의 감지 결과를 비교한다. 그 결과 실내에서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명하여 분사부(20)의 작동을 저지한다.
또한, 소화기(1)의 오작동 방지 내지 작동 중지는 외부 기기(70)에서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먼저, 동작감지센서(36)의 감지 정보 및 카메라(32)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통신부로부터 외부 기기(70)에 전달한다. 외부 기기(70)는 전송된 정보를 표시한다. 전송된 정보는 실내 환경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 이미지, 또는 촬영된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실내 환경의 변화를 외부 기기(70)의 화면 등을 통해 통지받은 사용자는 소화기(1)의 작동을 위한 명령을 외부 기기(70)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소화기 10: 소화제 저장부
12: 가압부 12a: 가압판
12b: 스프링 14: 소화제 배출구
20: 분사부 22: 분사관
22a: 제1분사관 22b: 제2분사관
24: 밸브 26: 노즐
28: 노즐 장착부 30: 센서부
31: 센서부 케이스 32: 카메라
34: 열감지센서 36: 동작감지센서
37: 연기감지센서 38: 스피커
40: 케이스 42: 상부 케이스
44: 하부 케이스 44a: 결합홈
46: 돌출링 48: 구동수단
48a: 제1모터 48b: 제2모터
60: 제어부 70: 외부 기기

Claims (10)

  1. 소화제가 저장되는 소화제 저장부;
    상기 소화제 저장부 내의 소화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
    실내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소화제 저장부 및 분사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카메라, 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가, 분사관, 상기 분사관의 개폐를 위한 밸브, 및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획득한 연기 농도가 일정값 이상일 때 점등되는 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8. 센서부에서 실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에서 취득된 실내 정보를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실내 정보가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소화제 분사 작동을 명령하는 단계;
    소화제 분사 작동이 개시되어 소화제가 분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동작감지센서에서 실내의 사람 움직임을 파악하는 단계;
    사람의 움직임이 파악될 경우 상기 실내 정보가 기준값을 넘어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소화제 분사부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제어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취득된 실내 정보를 제어부에서 수집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실내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실내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소화제 분사부의 작동 또는 작동 정지를 상기 외부 기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능이 결합된 초기진압용 소화기 제어방법.
KR1020220043899A 2021-05-25 2022-04-08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59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55 2021-05-25
KR20210066655 2021-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83A true KR20220159883A (ko) 2022-12-05

Family

ID=8439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899A KR20220159883A (ko) 2021-05-25 2022-04-08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8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29B1 (ko) * 2023-02-16 2023-12-19 박기혁 화재 진압 및 확산 지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29B1 (ko) * 2023-02-16 2023-12-19 박기혁 화재 진압 및 확산 지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2045416B1 (ko)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KR20220159883A (ko)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7631A (ko) 화재 감시장치
KR20170107728A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2007687B1 (ko) 화재 긴급 알림 시스템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N212990274U (zh) 一种智能火灾报警灭火系统
KR102331004B1 (ko)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WO2019013079A1 (ja) 消火設備
KR101995986B1 (ko) 신속한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JP3238879B2 (ja) 火災検出消火システム
CN109663258B (zh) 一种智能控制消防系统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627402B1 (ko) 주변기기 연동이 가능한 IoT 스마트 스프링클러
CN211097256U (zh) 一种非储压独立式智能灭火装置
KR101524779B1 (ko) 금연구역 소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