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16B1 -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 Google Patents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16B1
KR102045416B1 KR1020170152318A KR20170152318A KR102045416B1 KR 102045416 B1 KR102045416 B1 KR 102045416B1 KR 1020170152318 A KR1020170152318 A KR 1020170152318A KR 20170152318 A KR20170152318 A KR 20170152318A KR 102045416 B1 KR102045416 B1 KR 10204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re
communication network
smart phon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508A (ko
Inventor
신성재
신영재
신민재
신윤재
신용무
Original Assignee
신성재
신영재
신민재
신윤재
신용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재, 신영재, 신민재, 신윤재, 신용무 filed Critical 신성재
Priority to KR102017015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16B1/ko
Priority to US16/492,147 priority patent/US20210134131A1/en
Priority to JP2019567220A priority patent/JP2020509907A/ja
Priority to EP17932312.6A priority patent/EP3711823A4/en
Priority to PCT/KR2017/014941 priority patent/WO2019098451A1/ko
Priority to CN201780088097.8A priority patent/CN110461424A/zh
Publication of KR20190055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8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PSTN, GSM, PO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6Wireless systems, other than 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08B19/005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combined burglary and fire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9Remote control of cameras, e.g. remote orientation or image zooming control for a PTZ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에서 화재나 무단 침입을 감지하여 화재 영역을 소화시키거나 무단 침입자를 퇴지할 수 있는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불꽃을 감지하고, 통신망을 통해 불꽃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불꽃 감지 센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불꽃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영역에 대하여 촬영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촬영 영상을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IP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는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Remot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remote anti-crime equipm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형 건물의 경우, 화재 발생이 되는 경우라도, 이에 대한 인지가 늦어지게 되며, 대피의 경로가 다양해,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이동하게 되는 공황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형 참사 이후에 많은 홍보를 통해 안전수칙을 보급하고 교육하고 있으며, 신축되는 건물의 경우, 화재에 대비한 다양한 소화 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이러한 소화 설비가 단순히 화재 감지기와 스프링 쿨러가 구비되는 것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아 아직 화재에 취약하다.
즉, 기존의 소화 설비는 실질적으로 화재를 바로 진압하지 못 하거나 이미 화재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 중에 119가 출동하여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기존 건물이나 신축 건물에 간단한 구조의 설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나아가, 화재의 확산을 막을 수 있으며, 동시에 화재 진압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기존의 방범퇴치용 설비는 실질적으로 침입자에 대해 바로 액션을 취할 수 없거나 알람과 경고음 제공 정도뿐이어서, 이미 도난 상황이 완료된 이후 경비원이 출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발생시 불꽃 감지 센서,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으로 화재 현장의 상황, 위치, 화재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으로 알람 및 통보되고, 이어서 IP 카메라를 통해 모니터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원격 소화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이나 회사등 무단 침입자 발생시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으로 현장의 상황, 위치, 사건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으로 알람 및 통보되고, 이어서 IP 카메라를 통해 모니터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침입자를 물리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원격 방범퇴치 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는 화재 발생 시 불꽃을 감지하고, 통신망을 통해 불꽃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불꽃 감지 센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불꽃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영역에 대하여 촬영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촬영 영상을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IP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P 카메라부는 상기 화재 영역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및 상기 IP 카메라를 탑재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IP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물을 가압하는 가압 펌프; 및 상기 가압 펌프로부터의 물을 분사시키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밸브에 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소화액 탱크; 및 상기 소화액 탱크로부터의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밸브에 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분사 노즐이 함께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는 무단 침입 발생 시 무단 침입을 감지하고, 통신망을 통해 무단 침입 신호를 전송하는 무단 침입 감지 센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단 침입 신호를 수신하면, 무단 침입 영역에 대하여 촬영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단 침입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촬영 영상을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IP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P 카메라부는 상기 무단 침입 영역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및 상기 IP 카메라를 탑재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IP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물을 가압하는 가압 펌프; 및 상기 가압 펌프로부터의 물을 분사시키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밸브에 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소화액 탱크; 및 상기 소화액 탱크로부터의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밸브에 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분사 노즐이 함께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를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 발생시 불꽃 감지 센서,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으로 화재 현장의 상황, 위치, 화재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으로 알람 및 통보되고, 이어서 IP 카메라를 통해 모니터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원격 소화 설비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집이나 회사등 무단 침입자 발생시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으로 현장의 상황, 위치, 사건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으로 알람 및 통보되고, 이어서 IP 카메라를 통해 모니터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침입자를 물리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원격 방범퇴치 설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의 예 및 설치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의 조정 및 분사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의 조정 및 분사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100)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100)는 불꽃 감지 센서(110), IP 카메라부(120), 제어부(130), 통신망(140), 스마트 플러그(150) 및 스마트 폰(160)을 포함할 수 있다.
불꽃 감지 센서(110)는 가정집, 회사, 공장, 초고층 빌딩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불꽃/연기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물론, 제어부(130)는 통신망(140)을 통해 불꽃/연기 감지 신호를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도록 한다.
IP 카메라부(120)는 스마트 폰(160)으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영역을 촬영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물론, 제어부(130)는 통신망(140)을 통해 화재 촬영 영상을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IP 카메라부(120)는 IP 카메라(121)와 팬틸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IP 카메라(121)는 화재 영역을 촬영하여 스마트 폰(16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팬틸트부(122)는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IP 카메라(121)를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을 통해 화재 발생 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IP 카메라(121)는 팬틸트부(1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탑재될 수 있다. 더욱이, 불꽃 감지 센서(110) 역시 IP 카메라(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불꽃 감지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불꽃 감지 신호를 통신망(140)을 통해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고, 또한 IP 카메라부(120) 중 IP 카메라(121)로 촬영된 화재 영상을 통신망(140)을 통해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며, 더욱이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통신망(140)으로 수신하여 IP 카메라부(120) 중 팬틸트부(122)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IP 카메라(121)로 화재 영상을 더욱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140)은 무선(WCDMA), 유선(PSTN), 와이파이, 지그비, 2G, 3G, 4G, 5G를 포함하며, 이는 상술한 불꽃 감지 센서(110), IP 카메라부(120), 스마트 플러그(150) 및/또는 스마트 폰(160)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스마트 플러그(150)는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통신망(140) 및 제어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화재 발생 영역에 소화 부재(예를 들면, 물)를 직접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플러그(150)는 가압 펌프(151), 전자 밸브(152) 및 분사 노즐(153, 도 4b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펌프(151)는 스마트 폰(16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물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전자 밸브(152)는 가압 펌프(151)로부터의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 노즐(153)은 전자 밸브(152)에 연결되어 실제로 화재 영역에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 밸브(152)는, 예를들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 공압 밸브, 유압 밸브 등일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153)은 IP 카메라(121)에 장착됨으로써, IP 카메라(121)가 향하는 화재 영역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공유될 수 있다. 물론, 액체 분사의 경우 물 전자 밸브가 바람직하고, 소화액인 경우 공압 전자 밸브가 바람직하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 도 5a 참조)를 보면서 IP 카메라부(120)가 화재 영역을 향하도록 위치 조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 분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스마트 플러그(150)의 전자 밸브(152)가 개방되면서 분사 노즐(153)이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직접 물을 실시간으로 분사하게 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앱을 통해 IP 카메라부(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면, 분사 노즐(153)이 향하는 방향 역시 함께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재 현장에 직접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마트 폰(160)을 통해 가압 펌프(151)의 세기를 조절하여 물 분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마트 폰(160)을 통해 전자 밸브(152)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물 분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화재 영역에 최적화된 거리 및 량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물 분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단순하게 스마트 플러그(150)가 턴온 및/또는 턴오프됨으로써(즉, 전자 밸브(152)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됨), 미리 정해진 거리 및 량의 물이 분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본원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공유될 수 있다.
스마트 폰(160)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위해 특정한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 앱이 스마트 폰(16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160)의 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140)을 통해 불꽃 감지 센서(110)로부터 불꽃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 알람 신호로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 신호는 시각적인 신호이거나 또는 청각적인 신호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화재 상황을 인식하고, IP 카메라부(120)의 동작 신호 또는 촬영 요청 신호를 스마트 폰(160)을 통해 입력하면, IP 카메라부(120)가 화재 현장의 영상을 통신망(140)을 통해 스마트 폰(160)에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를 통하여 화재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더불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위치 변경 버튼(162, 도 5a 참조)을 조정함에 따라 IP 카메라부(120)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IP 카메라부(120) 및 스마트 플러그(150)의 분사 노즐(153)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스마트 폰(160)을 통하여 IP 카메라부(120) 및 분사 노즐(153)이 정확하게 화재 영역을 향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에 구비된 분사 버튼(163, 도 5a 참조)을 누르면, 스마트 플러그(150)의 분사 노즐(153)을 통해 물이 화재 영역에 직접 분사됨으로써,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100)는 화재 발생시 불꽃 감지 센서(110),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140)으로 화재 현장의 상황, 위치, 화재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160)으로 알람 및 통보되도록 하고, 이어서 IP 카메라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161)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150)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화재를 물로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200)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원격 소화 설비(20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소화 설비(100)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200)는 스마트 플러그(250)에 있어서 상술한 스마트 플러그(150)와 상이하다.
스마트 플러그(250)는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통신망(140) 및 제어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화재 발생 영역에 소화 부재(예를 들면, 소화액)를 직접 분사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플러그(250)는 소화액 탱크(251), 전자 밸브(252)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액 탱크(251)는 물로 소화할 수 없는 기름, 화학 용액, 금속, 전기 등의 화재 영역에 사용하기 위한 소화액이 압축 저장되어 있고, 전자 밸브(252)는 소화액 탱크(251)로부터의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 노즐은 전자 밸브(252)에 연결되어 실제로 화재 영역에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자 밸브(252)는, 예를들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 공압 밸브, 유압 밸브 등일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253)은 IP 카메라(121)에 장착됨으로써, IP 카메라(121)가 향하는 화재 영역을 향하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를 보면서 IP 카메라부(120)가 화재 영역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화액 분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스마트 플러그(250)의 전자 밸브(252)가 개방되면서 분사 노즐이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직접 소화액을 실시간으로 분사하게 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앱을 통해 IP 카메라부(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면, 분사 노즐이 향하는 방향 역시 함께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재 현장에 직접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마트 폰(160)을 통해 전자 밸브(252)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소화액 분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화재 영역에 최적화된 량으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소화액 분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단순하게 스마트 플러그(250)가 턴온 및/또는 턴오프됨으로써(즉, 전자 밸브(252)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됨), 미리 정해진 거리 및 량의 소화액이 분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200)는 화재 발생시 불꽃 감지 센서(110),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140)으로 화재 현장의 상황, 위치, 화재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160)으로 알람 및 통보되도록 하고, 이어서 IP 카메라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161)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150)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화재를 소화액으로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300)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원격 소화 설비(30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격 소화 설비(100,200)의 구성을 합친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300)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화 부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재 영역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플러그(150)와 화재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플러그(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150)를 제어하거나 또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2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100,200,300)의 예 및 설치예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소화 설비(100,200,300) 중에서 IP 카메라부(120)는 IP 카메라(121)와, IP 카메라(121)가 탑재되는 팬틸트부(122)와, 팬 틸트부가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P 카메라(121)에 불꽃 감지 센서(110)가 통합되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고정부(123)에 제어부(130)가 통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3)에 통신망(140)에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1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특히, IP 카메라(121)의 하단부, 측부 또는 상단부에 스마트 플러그(150) 중 분사 노즐(153)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앱을 통하여 IP 카메라부(120)의 팬틸트부(122)를 조정하면, IP 카메라(121)의 위치 뿐만 아니라 분사 노즐(153)의 위치 역시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 감지 센서(110)는 건물 내의 다수의 위치에 산재되어 설치될 수 있고, IP 카메라부(120) 및 스마트 플러그(150)는 건물 내의 몇몇 위치에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불꽃 감지 센서(110)로부터 불꽃 감지 신호가 스마트 폰(160)에 전송되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160)을 통하여 IP 카메라부(120)를 턴온함으로써, 화재 영역을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100,200,300)의 조정 및 분사 상태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를 통하여 사용자는 화재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폰(160)의 앱에는 IP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4개의 버튼(16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160)의 좌측 버튼(162)을 누르면 IP 카메라(121) 및 분사 노즐(153)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버튼(162)을 누르면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부 버튼(162)을 누르면 상부로 이동하고, 하부 버튼(162)을 누르면 하부로 이동한다. 더불어, 중앙에 구비된 분사 버튼(163)을 누르면 스마트 플러그(150)의 전자 밸브(152)가 개방되면서 분사 노즐(153)을 통하여 물이나 소화액이 화재 영역으로 분사된다. 더욱이, 사용자는 스마트 폰(160)의 버튼(162)을 조정하여 실시간으로 물이나 소화액의 분사 방향을 조정할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스마트 폰(160)을 통하여 화재 영역이 모니터(161)의 우측 상단에 위치되었으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버튼(162)을 적절히 조정하여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 중앙에 화재 영역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IP 카메라부(120) 및 분사 노즐(153)이 화재 영역을 정면으로 바라봄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에 구비된 분사 버튼(163)을 누르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나 소화액이 화재 영역에 직접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100,200,300)는 화재 발생시 불꽃 감지 센서(110),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140)으로 화재 현장의 상황, 위치, 화재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160)으로 알람 및 통보되도록 하고, 이어서 IP 카메라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161)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150,250)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화재를 물이나 소화액으로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는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 IP 카메라부(120), 제어부(130), 통신망(140), 스마트 플러그(150) 및 스마트 폰(160)을 포함할 수 있다.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는 가정집, 회사, 공장, 초고층 빌딩 등에 설치되어 무단 침입 발생 시 이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물론, 제어부(130)는 통신망(140)을 통해 무단 침입 감지 신호를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는 도어나 윈도우 등에 설치됨으로써, 경비가 설정된 상태에서 무단으로 도어가 열리거나 윈도우 등이 열릴 경우, 이러한 상태가 스마트 폰(160)에 전송될 수 있다.
IP 카메라부(120)는 스마트 폰(160)으로부터 촬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무단 침입 영역(즉, 무단 침입자)을 촬영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한다. 물론, 제어부(130)는 통신망(140)을 통해 무단 침입자에 대한 촬영 영상을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IP 카메라(120)는 통상의 가시광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무단 침입자를 쉽게 판별할 수 이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열영상 카메라일 수 있다. 따라서, 조명이 없는 어두운 밤이라고 해도,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무단 침입자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IP 카메라가 IP 적외선 카메라인 것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IP 카메라부(120)는 IP 카메라(121)와 팬틸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IP 카메라(121)는 무단 침입 영역을 촬영하여 스마트 폰(16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팬틸트부(122)는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IP 카메라(121)를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을 통해 무단 침입 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IP 카메라(121)는 팬틸트부(122)에 탑재될 수 있다. 더욱이,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는 도어나 윈도우 외에도 IP 카메라(12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는 경비 설정 후 인체 동작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로부터 감지된 무단 침입 신호를 통신망(140)을 통해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고, 또한 IP 카메라부(120) 중 IP 카메라(121)로 촬영된 무단 침입 영상을 통신망(140)을 통해 스마트 폰(160)에 전송하며, 더욱이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통신망(140)으로 수신하여 IP 카메라부(120) 중 팬틸트부(122)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IP 카메라(121)로 무단 침입 영상을 더욱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140)은 무선(WCDMA)과 유선(PSTN) 등을 포함하며, 이는 상술한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 IP 카메라부(120), 스마트 플러그(150) 및/또는 스마트 폰(160)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스마트 플러그(150)는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통신망(140) 및 제어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무단 침입 영역 즉, 무단 침입자에게 소화 부재(예를 들면, 잉크, 캡사인 가스, 최루 가스, 최루 스프레이가 함유된 물)를 직접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플러그(150)는 가압 펌프(151), 전자 밸브(152) 및 분사 노즐(15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펌프(151)는 스마트 폰(16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물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전자 밸브(152)는 가압 펌프(151)로부터의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 노즐(153)은 전자 밸브(152)에 연결되어 실제로 무단 침입 영역에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분사 노즐(153)은 IP 카메라(121)에 장착됨으로써, IP 카메라(121)가 향하는 무단 침입 영역을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를 보면서 IP 카메라부(120)가 무단 침입 영역을 향하도록 위치 조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 분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스마트 플러그(150)의 전자 밸브(152)가 개방되면서 분사 노즐(153)이 실제로 무단 침입이 발생한 영역에 직접 물을 실시간으로 분사하게 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앱을 통해 IP 카메라부(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면, 분사 노즐(153)이 향하는 방향 역시 함께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무단 침입 현장에 직접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마트 폰(160)을 통해 가압 펌프(151)의 세기를 조절하여 물 분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마트 폰(160)을 통해 전자 밸브(152)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물 분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무단 침입 영역에 최적화된 거리 및 량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 폰(160)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위해 특정한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 앱이 스마트 폰(160)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마트 폰(160)의 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140)을 통해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로부터 무단 침입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 알람 신호로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 신호는 시각적인 신호이거나 또는 청각적인 신호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무단 침입 상황을 인식하고, IP 카메라부(120)의 동작 신호 또는 촬영 요청 신호를 입력하면, IP 카메라부(120)가 무단 침입 현장의 영상을 통신망(140)을 통해 스마트 폰(160)에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를 통하여 무단 침입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더불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위치 변경 버튼(162)을 조정함에 따라 IP 카메라부(120)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IP 카메라부(120) 및 스마트 플러그(150)의 분사 노즐(153)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스마트 폰(160)을 통하여 IP 카메라부(120) 및 분사 노즐(153)이 정확하게 무단 침입 영역을 향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에 구비된 분사 버튼(163)을 누르면, 스마트 플러그(150)의 분사 노즐(153)을 통해 물이 무단 침입 영역에 직접 분사됨으로써, 무단 침입자의 추가적인 침입이나 물건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는 화재 발생시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140)으로 무단 침입 현장의 상황, 위치, 무단 침입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160)으로 알람 및 통보되도록 하고, 이어서 IP 카메라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161)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150)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무단 침입자를 물로 퇴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500)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원격 방범 퇴치 설비(500)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500)는 스마트 플러그(250)에 있어서 상술한 스마트 플러그(150)와 상이하다.
스마트 플러그(250)는 스마트 폰(160)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통신망(140) 및 제어부(130)를 통해 수신하면,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 부재(예를 들면, 소화액, 퇴치액)를 직접 분사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플러그(250)는 소화액 탱크(251), 전자 밸브(252)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액 탱크(251)는 소화액이 압축 저장되어 있고, 전자 밸브(252)는 소화액 탱크(251)로부터의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 노즐은 전자 밸브(252)에 연결되어 실제로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분사 노즐은 IP 카메라(121)에 장착됨으로써, IP 카메라(121)가 향하는 무단 침입 영역을 향하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를 보면서 IP 카메라부(120)가 무단 침입 영역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화액 분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스마트 플러그(250)의 전자 밸브(252)가 개방되면서 분사 노즐이 실제로 무단 침입이 발생한 영역에 직접 소화액을 실시간으로 분사하게 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폰(160)의 앱을 통해 IP 카메라부(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정하면, 분사 노즐이 향하는 방향 역시 함께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무단 침입 현장에 직접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스마트 폰(160)을 통해 전자 밸브(152)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소화액 분사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무단 침입 영역에 최적화된 량으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500)는 무단 침입 발생시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140)으로 무단 침입 현장의 상황, 위치, 화재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160)으로 알람 및 통보되도록 하고, 이어서 IP 카메라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161)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250)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600)의 구성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원격 방범 퇴치 설비(600)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500)의 구성을 합친 형태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600)는 무단 침입자의 종류에 따라 분사 부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무단 침입 영역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플러그(150)와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플러그(2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단 침입자의 종류(예를 들면, 단순 강도 또는 무장 강도)에 따라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150)를 제어하거나 또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25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500,600)의 조정 및 분사 상태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폰(160)을 통하여 무단 침입 영역이 확인되면 4개의 버튼(162)을 적절히 조정하여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 중앙에 무단 침입 영역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IP 카메라부(120) 및 분사 노즐(153)이 무단 침입 영역을 정면으로 바라봄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에 구비된 분사 버튼(163)을 누르게 되면, 물이나 소화액이 무단 침입 영역에 직접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방범 퇴치 설비(400,500,600)는 무단 침입 발생시 무단 침입 감지 센서(410), 무선(WCDMA)과 유선(PSTN)과 같은 통신망(140)으로 무단 침입 현장의 상황, 위치, 무단 침입 발생의 현장 등의 정보가 스마트 폰(160)으로 알람 및 통보되도록 하고, 이어서 IP 카메라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60)의 모니터(161)가 연동이 되면 모니터(161)를 확인 후 스마트 플러그(150)를 실행하고 다시 IP 카메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무단 침입 영역에 물이나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200,300; 원격 소화 설비
110; 불꽃 감지 센서 120; IP 카메라부
121; IP 카메라 122; 팬틸트부
123; 고정부 124; 안테나
130; 제어부 140; 통신망
150; 스마트 플러그 151; 가압 펌프
152; 전자 밸브 153; 분사 노즐
160; 스마트 폰 161; 모니터
162; 방향 조정 버튼 163; 분사 버튼
400,500,600; 원격 방범 퇴치 설비
410; 무단 침입 감지 센서

Claims (10)

  1. 화재 발생 시 불꽃을 감지하고, 통신망을 통해 불꽃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불꽃 감지 센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불꽃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발생 영역에 대하여 촬영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촬영 영상을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IP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제1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IP 카메라부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및 상기 IP 카메라를 탑재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IP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마트 플러그는 물을 가압하는 가압 펌프; 및 상기 가압 펌프로부터의 물을 분사시키는 제1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 밸브에 제1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제1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가압 펌프의 세기가 조절되어 물 분사 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전자 밸브의 개방 각도가 조절되어 물 분사량이 조절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제2스마트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마트 플러그는 소화액 탱크; 및 상기 소화액 탱크로부터의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제2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 밸브에 제2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제2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제1스마트 플러그의 제1분사 노즐과 상기 제2스마트 플러그의 제2분사 노즐이 함께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소화 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무단 침입 발생 시 무단 침입을 감지하고, 통신망을 통해 무단 침입 신호를 전송하는 무단 침입 감지 센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무단 침입 신호를 수신하면, 무단 침입 영역에 대하여 촬영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단 침입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촬영 영상을 상기 스마트 폰에 전송하는 IP 카메라부; 및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제1스마트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IP 카메라부는 상기 무단 침입 영역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및 상기 IP 카메라를 탑재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상기 IP 카메라를 움직이도록 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마트 플러그는 물을 가압하는 가압 펌프; 및 상기 가압 펌프로부터의 물을 분사시키는 제1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 밸브에 제1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제1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가압 펌프의 세기가 조절되어 물 분사 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전자 밸브의 개방 각도가 조절되어 물 분사량이 조절되며,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무단 침입 영역에 소화 부재를 분사하는 제2스마트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마트 플러그는 소화액 탱크; 및 상기 소화액 탱크로부터의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제2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자 밸브에 제2분사 노즐이 연결되며, 상기 제2분사 노즐은 상기 IP 카메라에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제1스마트 플러그의 제1분사 노즐과 상기 제2스마트 플러그의 제2분사 노즐이 함께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방범 퇴치 설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52318A 2017-11-15 2017-11-15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KR10204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18A KR102045416B1 (ko) 2017-11-15 2017-11-15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US16/492,147 US20210134131A1 (en) 2017-11-15 2017-12-18 Remot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remote crime prevention and extermination equipment
JP2019567220A JP2020509907A (ja) 2017-11-15 2017-12-18 遠隔消火設備および遠隔防犯退治設備
EP17932312.6A EP3711823A4 (en) 2017-11-15 2017-12-18 REMOT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REMOTE CRIME ARREST AND PREVENTION EQUIPMENT
PCT/KR2017/014941 WO2019098451A1 (ko) 2017-11-15 2017-12-18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CN201780088097.8A CN110461424A (zh) 2017-11-15 2017-12-18 远程灭火设备及远程预防和击退犯罪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318A KR102045416B1 (ko) 2017-11-15 2017-11-15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508A KR20190055508A (ko) 2019-05-23
KR102045416B1 true KR102045416B1 (ko) 2019-12-02

Family

ID=6654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318A KR102045416B1 (ko) 2017-11-15 2017-11-15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34131A1 (ko)
EP (1) EP3711823A4 (ko)
JP (1) JP2020509907A (ko)
KR (1) KR102045416B1 (ko)
CN (1) CN110461424A (ko)
WO (1) WO2019098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764A (ko) * 2021-11-25 2023-06-02 이기웅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3356A1 (en) * 2018-12-12 2020-06-18 Carrier Corporation Kitchen fire suppression aiming systems and methods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KR102211007B1 (ko) * 2019-08-26 2021-02-01 김종헌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의 설치 방법
JP7383452B2 (ja) 2019-10-31 2023-11-20 ニッタン株式会社 自火報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85B1 (ko) * 2008-04-16 2009-08-26 월드이엔텍주식회사 소화수배출노즐이 구비된 방폭형카메라를 이용한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원격감시제어방법
KR100935448B1 (ko) * 2007-11-08 2010-01-06 (주)경남통신기술 화재 감시장치
KR101296403B1 (ko) * 2011-11-16 2013-08-14 김성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8517B2 (ja) * 2001-09-18 2005-05-18 滋賀県 火災等の自動検知装置
JP2004070629A (ja) * 2002-08-06 2004-03-04 Nohmi Bosai Ltd 火災監視装置
JP4627722B2 (ja) * 2005-12-22 2011-02-09 中国電力株式会社 散水システムおよび散水方法
IL188156A0 (en) * 2007-12-16 2008-11-03 Maly Edelman A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an area
JP2010005217A (ja) * 2008-06-27 2010-01-14 Hochiki Corp 消火装置
KR20110011584U (ko) * 2010-06-09 2011-12-15 장성철 기록 기능을 구비한 침입퇴치 및 화재진압을 위한 지능형분사장치
KR20120094186A (ko) * 2011-02-16 2012-08-24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방법
KR101339405B1 (ko) * 2012-03-19 2013-12-09 주식회사 팔콘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681734B1 (ko) * 2014-11-27 2016-12-06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스모크ㆍ물분사를 통한 일체형 보안ㆍ화재진압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5889999B1 (ja) * 2014-12-11 2016-03-22 株式会社花田設備 消火システム
CN204925770U (zh) * 2015-07-20 2015-12-30 成都弘毅天承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安防灭火功能的智能家居控制系统
KR101754620B1 (ko) * 2016-07-18 2017-07-06 (주)우송엔지니어링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CN106097640A (zh) * 2016-08-05 2016-11-09 莆田学院 一种基于单片机的智能远程监控系统
CN106683329B (zh) * 2017-01-19 2019-01-01 浙江科技学院 用于应对平面区域范围内安全风险事件的现场处置机器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48B1 (ko) * 2007-11-08 2010-01-06 (주)경남통신기술 화재 감시장치
KR100912885B1 (ko) * 2008-04-16 2009-08-26 월드이엔텍주식회사 소화수배출노즐이 구비된 방폭형카메라를 이용한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원격감시제어방법
KR101296403B1 (ko) * 2011-11-16 2013-08-14 김성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764A (ko) * 2021-11-25 2023-06-02 이기웅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KR102584199B1 (ko) * 2021-11-25 2023-10-06 이기웅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1823A1 (en) 2020-09-23
WO2019098451A1 (ko) 2019-05-23
US20210134131A1 (en) 2021-05-06
EP3711823A4 (en) 2021-12-22
JP2020509907A (ja) 2020-04-02
CN110461424A (zh) 2019-11-15
KR20190055508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416B1 (ko) 원격 소화 설비 및 원격 방범 퇴치 설비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US9472067B1 (en) Security devices and related features
KR102235308B1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247374A1 (en) Distracting module system
KR101204061B1 (ko) 강도나 절도범의 퇴치 및 무력화를 위한 장치
US20150061869A1 (en) Building Intruder Defensive Shield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60101B1 (ko) 지능형 소방 시스템
CN109663258B (zh) 一种智能控制消防系统
KR102362326B1 (ko)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US10325466B2 (en) Security marking system
KR102439565B1 (ko) 가정에서의 통합 화재감지 정보 전파 및 화재 소화 방법
KR101529909B1 (ko) 지능형 cctv 및 제어기술을 이용한 불법 무단 침입자 물리적 방지 방법
KR20120060653A (ko) 화재진압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KR102495440B1 (ko) 공동주택 소방시스템
KR20160134271A (ko)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KR101681734B1 (ko) 스모크ㆍ물분사를 통한 일체형 보안ㆍ화재진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00035075A (ko)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9084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02536A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TWI287762B (en) Method of preventing thieves to intrude into house
RU2426570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охранно-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CN117037335A (zh) 益于疏散的消防门禁及其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