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084A -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084A
KR20020069084A KR1020010042658A KR20010042658A KR20020069084A KR 20020069084 A KR20020069084 A KR 20020069084A KR 1020010042658 A KR1020010042658 A KR 1020010042658A KR 20010042658 A KR20010042658 A KR 20010042658A KR 20020069084 A KR20020069084 A KR 2002006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data
wired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황유모
Original Assignee
김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환 filed Critical 김진환
Publication of KR2002006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건물이나 내부에 있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보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내외부 적정 위치에 부착되며, 측정된 보안데이터를 분석하여 즉시 응급조치를 취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안데이터모듈 ; 및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분석하여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보안관리정보를 통해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입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보안정보관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긴급사태발생, 또는 가스가 누설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즉시 가스탄분사, 소화기분사, 가스라인차단 등 응급조치를 취하며 단말기를 통해 즉시 사용자나 관계기관에 통보한다. 또한 현장 촬영하여 인터넷상에 실시간 영상정보 제공도 한다. 이때 영상정보를 보며 사용자나 경비사업체는 선택하여 원격제어 할 수도 있다. 또한 건물 내부에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등의 상태 확인 영상정보도 실시간 제공하며 양방향 음성 통화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들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제공받아 건물 및 그 내외부의 보안관리는 물론 화재 등 유사시 즉시 초기 조치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Home Security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주요 출입구 및 화재발생 가능 위험 지역 등 건물의 내외부 상태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건물이나 내부에 있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개인 사용자나 경비사업체 및 관계기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보안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점포 등에 외부침입자가 발행하면, 유선 전화망이나 전용선에 의하여 통신기지국을 거쳐 경비업체나 개인 사용자에게 유무선 전화로 정보가 제공됨으로 출동하여 사태를 수습하는 형태이거나, 내부에 별도 설치된 CCTV를 사후에 분석하여 사태를 수습하는 형태이다. 집안 내부에 어린이나 노약자만 남겨 두었을 경우는 전화 확인에 의존하나 그것도 제한적일 경우도 많다. 경비업체의출동이 지연되어 도난사고 등이 발생되었을 경우는 보상문제로 인한 의견차이로 또 새로운 문제가 발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비업체의 출동지연으로 인한 보완대책으로 가스탄을 즉시 발사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센서류의 오작동 및 타 물체의 움직임을 외부인 침입으로 잘못 인식하여 불필요하게 가스탄이 발사되는 등 부작용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개인사용자나 관계기관에 연락은 되나 화재 현장에 도착하면 이미 발생한 불은 크게 주위에 번져서 끌수 없는 상태에 놓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에도 문이 잠겨 건물내부에 있는 가스밸브나 전원 스위치를 쉽게 차단시킬 수 없어 화재가 더 크게 번지는 경우도 있다. 전화선이나 전용선 등 유선망이 건물 바깥에서는 대부분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 침입인 이 사전에 전화선이나 전용선을 절단시킨 경우는 유선망을 통한 연락 자체가 되지않는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 경비 용역업체의 경비 근무자가 극히 제한적임을 이용하여 사전에 몇 곳에 가장한 도난사건을 발생시켜 경비근무자를 다른 곳으로 유인한 뒤 원하는 곳에 실제로 침입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건물등의 보안 관리를 위해서 사용자는 새로운 전화선 및 전용선 가설 또는 기존 전화선의 보완조치, CCTV설치, 매월 고가의 경비업체 이용료 지급 등 여러 가지 부담을 안고 있으면서도 부녀자나 노약자가 혼자 있을 때 갑작스런 강도 침입, 노약자 상태확인 경우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집이나 점포 등 보안관리가 필요한 각 건물 내외부의 상태 및 내부에 있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보안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원격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각종 정보들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건물 및 내외부의 보안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 홈 보안관리장치 중 SDM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홈 보안관리장치 중 보안정보관제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물 2 : 통신 기지국
3 : 보안정보관제서버 4 : 경비 사업체 단말기
5 : 개인 사용자 단말기 6 : 관계기관 단말기
7 : 인터넷 10 : 보안데이터모듈(SDM)
11 : 감지센서 및 비상버튼 12 : l/O 인터페이스 부
13 : 카메라 및 음성장치 14 : 카메라 부
16 : 엑츄에이터 부 17 : 제어부
18 : 통신부 19 : 전원부
20 : 일반 전원 21 : 접속부
22 : 인터페이스부 23 : 운영시스템
24 : 인터넷 프로토콜 25 : 웹서버
26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7 : CGI 프로그램부
28 : 데이터베이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건물이나 내부에 있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보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건물의 내외부 적정 위치에 부착되며, 건물 및 그 내외부의 보안데이터를 분석하여 즉시 응급조치를 취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는 보안데이터모듈 ; 및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분석하여 건물및 그 내외부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보안관리정보를 통해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입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보안정보관제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각종 보안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보안데이터모듈과 상기 보안데이터모듈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안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정보관제서버를 초기화 시키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자동으로 또는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 요청에 의해 보안관리 상태를 검출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분석하여 상기 가입사용자와 함께 보안 관련관리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 및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보안 관련 관리동작 결과를 저장하여 상기 가입사용자의 건물이나 그 내외부 보안에 대한 계속적인 관리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 관련 관리동작은 사람이나 동식물의 보안관련 관리동작, 건물 내외부에 외부인 침입관련 관리동작, 건물내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 관련 관리동작, 건물내 비상사태 발생 관련 관리동작, 건물 내외부 주요 시설물 보안 관련 관리동작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장치는 건물(1) 내외부의 적정 위치에 부착되어 건물 및 그 내외부의 보안 상태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보안데이터모듈(Security data module : SDM)(10)과, SDM(10)에서 측정된 보안데이터를 보안데이터모듈(10)에 유무선 접속되는 통신기지국(2)을 통해 수신받아 분석하여 각 건물 및 그 내외부의 보안관리를 위한 정보를 구하고 이를 인터넷(7)을 통해 가입사용자 단말기(4,5,6)에게 제공하는 보안정보관제서버(3)를 구비한다.
여기서, 건물(1)과 통신기지국(2)은 이동전화 회로방식인 셀룰라트랜시버, 또는 PCS, TRS, Pager 등의 송수신 모뎀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이나 일반 전화선및 전용선을 통해 유무선 접속되며, 통신기지국(2)과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유무선 인터넷(7) 또는 서버전용망을 통해 접속된다. 가입 사용자 단말기(4,5,6)에는 인터넷(7)을 통해 보안정보관제서버(3)에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회원 가입된 개인사용자(5)나 경비사업체(4) 및 관계기관(6)의 각 단말기가 포함된다. 여기서, 단말기(4,5,6)는 유무선 인터넷 접속 가능한 PC나 인터넷 TV, 카 PC, 노트북 등 각종디스플레이 장치이며, 개인 사용자 단말기(5)의 경우 일반 유무선 전화기, 휴대 전화기 및 PDA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홈 보안관리장치 중 SDM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SDM(10)은 건물의 내외부에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가스누설 및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센서와 긴급 상황시 비상버튼(11)으로부터 입수되는 보안데이터를 다루는 I/O 인터페이스부(12), 침입자 얼굴 등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양방향 통신하는 음성장치(13)로부터 입수되는 보안데이터를 다루는 카메라부(14), 가스탄 분사, 소화기 분사, 소화용수 분사, 전원차단, 가스라인 차단 및 도어개폐 등을 다루는 엑츄에이터부(16), 통신기지국(2)과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위한 RF 모듈이 탑재된 통신부(15), 상기한 각 구성(12,14,16,18)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 각 구성(12,14,16,18)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구비한다.
상기 SDM(10)의 I/O 인터페이스부(12)는 감지센서 및 비상버튼(11)으로부터입수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형태의 신호등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감지 센서 및 비상버튼(11)은 인공지능 열 감지센서, 문개폐 감지센서, 화재발생감지센서, 가스누출감지센서, 마이크로 웨이브감지기, 광케이블감지기, 적외선감지기, 온(ON)/오프(OFF) 스위치로 된 비상버튼 등이 사용된다.
SDM(10)의 카메라부(12)는 외부 침입자 발생경우나 어린이 또는 노약자 등의 현상태 확인 경우를 대비하여 건물 내외부 적정위치에 부착하는 카메라 및 음성장치(13)를 통해 자동으로 얼굴 및 주위환경을 촬영하여 일정한 영상 프레임수만큼 제어부(17)에 정지 영상 형태로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과한다. 이때 저장되는 영상은 JPEG 압축방식을 채택한 CMOS IMAGER 디지털 출력 방식을 이용한 모듈을 사용한다. 또한 건물내의 주요시설인 금고, 귀중품 보관소 및 주요 출입구 등은 취득한 얼굴 영상으로부터 얼굴 윤곽 및 특징을 검출하여 사전 등록된 얼굴 특징과 비교 식별하여 동일인이면 도어를 열게하고, 또한 얼굴 특징을 비교하여 다를 경우이거나, 카메라가 가려지거나 제거될 때, 그리고 침입자가 마스크를 쓴 경우 등의 비정상 상태일 때 제어부(17)는 이를 포착하여 압축저장된 영상 중 일정 프레임수만큼을 통신부(18)를 통해 보안정보관제서버(3)로 전송한다. 한편, 취득한 얼굴 영상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 신경망(Neural Network)방식의 알고리즘으로 자체 학습능력에 의해 얼굴을 인식하여 판독한다.
SDM(10)의 엑츄에이터부(13)는 가스탄과 소화기 및 소화용수 분사, 전원과 가스라인 차단, 도어 개폐 장치(15)를 구비한다. 외부 침입자 발생경우나 가스누출및 화재발생 경우는 필요한 위치에 미리 설치해 둔 가스탄과 소화기 및 소화용수 분사 개폐밸브와 가스라인 차단 개폐밸브를 감지 센서 및 비상버튼(17)신호와 연동하여 즉시 자동 작동하게 할 수도 있고, 보안정보관제서버(3)와 인터넷 접속된 경비사업체(4)나 개인 사용자(5) 단말기에서 현장 영상 및 음성을 확인한 후 원격으로 전원차단 및 가스라인 차단한 후 가스탄, 소화기, 소화용수를 선택작동하게 할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의 얼굴식별 신호와 연계하여 중요시설물의 도어를 자동개폐하게 한다. 이때 자동 작동되거나 원격 작동되는 개폐 밸브 또는 개폐 절환기는 솔레노이드 형태의 절환기나 전자밸브를 사용한다.
여기서 제어부(17)는 ROM, RAM, EEPROM 등을 탑재한 32비트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SDM(10)내의 각 구성들과 RS-232 통신방식등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하며 그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는 미리 예약된 몇 곳의 전화에 순차적으로 다이얼링하여 호출되도록하고 사전에 녹음된 내용도 들을 수 있게 통신부(18)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압축 저장된 정지 영상은 감지센서 및 비상버튼(11)신호와 연계하여 필요한 양만큼만 통신부(18)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노약자 등 현 상태 확인 경우는 별도 설치된 카메라 및 음성장치(13)를 통해 사용자요구 및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즉시 통신부(18)를 통해 전송하며 양방향 통화한다.
통신부(18)는 56Kbps모뎀 등을 통해 보안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조하고, 셀룰라트랜시버 등의 송수신기를 통해 통신기지국(2)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송수신기는 양방향 통신을 한다. 이때 신뢰성있는 무선통신을 위해 에러검출 및 에러 정정코드를 사용하며, 전송 데이터량이 적은 경우 간단한 재전송방법을 사용하고 전송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순방향 에러 정정코드를 사용한다. 한편 전원부(16)는 전압조정기를 통해 110V/220V 일반 전원(20)전압을 각 구성 특히 통신부(18)구동에 필요한 동작전원인 5V로 조정하여 공급하며 정전 대비 배터리도 구비한다.
도 3은 도 1의 홈 보안관리장치 중 보안정보관제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SDM(10)의 제어부(17) 및 사용자 단말기(4,5,6)의 브라우저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안정보 관제서버(3)는 인터넷(7)에 접속된 접속부(21)와 입력된 내용을 해당 장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22)를 구비한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가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운영시스템(23)과 인터넷프로토콜(24)을 구비한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운영시스템(23)에 의해 동작하고, 인터넷 프로토콜(24)상에 운영되는 웹서버(25)를 구비한다.
웹서버(25)는 하이퍼텍스트 전송규약(HTTP)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5,6)의 브라우저가 요청한 보안관리용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HTTP는 브라우저와 서버간의 통신규약을 정의한 것이다.
또한, 운영시스템(23)에는 IWF(Inter Working Funtion)를 통해 필요한 경우 SDM(10)에 대한 건물 내외부의 영상 촬영 요청 및 음성 신호 전송등의콜-아웃(Call-Out) 서비스용 메시지를 보안정보관제서버(3)에서 SDM의 제어부(17)로 전송하기 위해 SDM(10) 확인용 메시지 식별자를 부여하는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다. 즉, 이 응용 프로그램은 SDM(10) 확인절차 정의, SDM(10)과 메시지 교환절차정의, 그리고 SDM(10)으로부터 정보 수신후의 처리절차 정의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SDM(10)으로부터 전달된 보안정보 및 운영시스템(23)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8) 및 운영시스템(23)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8)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26)가 구비된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에는 웹서버(25)와 운영시스템(23) 사이에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프로그램부(27)가 연결된다. CGI 프로그램부(27)는 CGI의 기능을 바탕으로 하는 단말기(4,5,6)의 사용자용 보안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분석한다. CGI는 동화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4,5,6)의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와 서버(3)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에는 CGI 프로그램부(27)와 운영시스템(23) 사이에 데이터베이스관리부(26)가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관리부(26)는 운영시스템(23)에 의해 동작하고, 데이터베이스관리부(26)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8)를 참조하여 CGI 프로그램부(27)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28)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26)를 통해 입력된 보안관리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시 해당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관리부(26)로 출력한다.
한편, 건물(1)에 부착된 SDM(10)의 통신수단인 셀룰라트랜시버 등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통신기지국(2)은 이를 유무선 인터넷(7)이나 서버 전용망을 통해 SMS 및 IWF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이나 데이터 정보를 보안정보관제서버(3)에 전달한다.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통신기지국(2)을 통해 수신되는 각 보안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건물 및 내부에 있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보안관리를 위한 정보들을 구한다. 즉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외부 침입자 발생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감지센서가 작동하거나, 갑작스런 강도침입 등 비상사태로 인하여 인위적으로 비상버튼이 작동되던가, 화재 발생 또는 가스 누출 발생으로 인하여 감지센서가 동작하면 이들 신호데이터를 분석하여 즉시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하여 침입자 조기 퇴출을 유도하고, 동시에 이웃집, 경비실, 사용자 핸드폰, 경찰서 등 미리 예약된 전화번호 몇 곳으로 자동 다이얼링하여 침입자 발생, 화재 발생, 또는 비상사태 발생 등을 알리며, 감지센서나 비상버튼(11) 작동 순간부터 일정시간 현장의 영상을 경비 사업체 ·개인사용자 ·관계기관 단말기에 즉시 보내어 신속히 사건 해결이 될 수 있도록 하며 또 사건해결시까지 계속 저장되게 한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외부인 침입 사건 현장을 실시간 화면으로 보면서 필요한 경우 미리 설치된 가스탄(15)을 분사하여 침입자를 사건 현장에서 즉시 퇴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감지센서 및 비상버튼(11)중 화재 감지센서나 가스 누설 감지기 작동의 경우도 필요한 장소에 미리 설치된 소화기, 소화용수가 즉시 자동 작동되게 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되게 하거나, 현장영상을 보며 원격으로 전원차단, 가스라인 차단, 소화기 및 소화용수가 분사되도록 선택 작동하여 화재가 초기 진압되게 하고 경비사업체 및 119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여 후속조치를 하게 할 수도 있다.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경우 집안 내부에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의 얼굴을 보며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SDM(10)과 양방향 통신이 되게 한다.
사용자나 경비사업체 및 119 등 관계기관은 PC · 인터넷 TV 카 PC · 노트북 등 자신의 단말기(4,5,6)를 통해 보안정보관제서버(3)와 유무선 인터넷 접속하여 필요한 보안관리정보를 얻는다. 즉 개인 사용자나 경비사 업체는 가입시 부여받은 아이디(ID)를 통해 인터넷 접속한 후 사용자의 관리대상 건물(1)의 보안정보들을 실시간 제공받는다. 경비사업체(4)는 제공받은 관리대상 건물(1)의 정보로부터 현황을 파악하여 보안관리에 필요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공받는 내용 중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여 경비서비스 요청을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초기 설정 과정(a)에 대해 설명한다.
각 건물(1)에 설치되는 SDM(10)을 IWF를 통해 인터넷(7)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 또한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접속부(21)를 통해 인터넷(7)에 접속하며, 인터넷(7)상의 프로그램들은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설정한다.
인터넷(7) 접속하여 보안정보관제서버(3)로부터 정보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건물(1)에 SDM(10)을 설치하고(S 300), 보안정보관제서버(3)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를 입력하면(S 302), 보안정보관제서버(3)에서는 사용자의 ID와 암호를 요청한다(S 304).
사용자가 자신의 ID와 암호를 입력하면(S 306), 보안 정보 관제서버(3)에서는 입력된 ID와 암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 308).
사용자가 등록이 안되었으면,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도록 등록화면을 전송하여 등록과정을 수행한 후 ID와 암호를 재입력하여 등록하도록 한다(S 310).
보안정보관제서버(3)의 웹서버(25)는 입력된 ID와 암호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되면 기존 통신망 이용 여부를 확인하고(S 312), 기존 통신망 이용치 않을시는 통신기지국(2)에 통신망 사용 신청을 하고(S 314), 통신기지국(2)에서는 통신망 개시 조치를 한다(S 316).
기존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신규 통신망 사용이 개시되면 웹서버(25)는 관리용 홈페이지를 인터넷(7)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 318).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각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건물내의 사람이나 동식물의 보안 관련 관리동작(b)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관리용 홈페이지에서 원격 확인 선택을 한 후(S 320),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 중 영상 화면 보기를 원하는 곳을 선택하면(S 324), 보안정보관제서버(3)에서는 통신기지국(2)을 통하여 건물(1)에 설치된 SDM(10)에 이를 요청하며, SDM(10)의 카메라는 영상 촬영하여 데이터를 통신기지국(2)을 통해보안정보관제서버(3)에 송신하면(S 322),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영상 화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또한 사용자가 원할 경우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8)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 328). 또한 사용자는 영상을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코덱이 내장된 카메라 및 음성장치(13)를 통하여 양방향 통화한다(S 326).
다음, 건물 내외부에 외부인 침입 관련 관리동작(c)에 대해 설명한다.
건물(1)에 외부인이 침입하여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SDM(10)의 제어부(17)는 침입 현장에 경고음 방송을 하던가 미리 설치한 가스탄을 즉시 분사할 수 있도록 선택 제어하여 침입자를 조기 퇴출시키면서(S 334),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곳에전화를 걸어 본 사실을 알리며(S 332), 또한 침입자 데이터와 침입자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상기한 방식으로 보안정보관제서버(3)에 송신하면(S 330), 보안정보 관제서버(3)는 사고에 대응되는 수습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에 연락 및 영상 정보 등을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8)내에 저장하며 관리한다(S 340). 경비 사업체와 관계기관은 해당사고 후속조치를 취하며(S 342), 사용자도 영상 화면을 통하여 침입자의 행동을 보면서 사고 현장에 가스탄이 분사되도록(S 336), 선택하여 원격제어 등 조치를 취할 수 있다(S 338).
다음, 건물 내 화재 발생 및 가스 누출 관련 관리동작(d)에 대해 설명한다.
건물(1)에 화재가 발생하던가 가스 누출로 인하여 화재 발생 감지센서 및 가스 누출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SDM(10)의 제어부(17)는 화재 발생 장소에 소화기나 소화용수가 즉시 분사할 수 있도록 선택 제어하여 초기 진압하고, 또 가스 누출시 즉시 가스라인을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차단하여 화재로 진전되는 것을 막으면서(S 348),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곳에 전화를 걸어 본 사실을 알리며(S 346), 또한 가스누출 및 화재발생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상이한 방식으로 보안정보관제서버(3)에 송신하면(S 344),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사고에 대응되는 수습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에 연락 및 영상 정보등을 제공하고 관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8)내에 저장하며 관리한다(S 354).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은 영상 화면을 통하여 현장의 상태를 보면서 전원차단, 가스라인차단, 소화기분사및 소화용수가 분사되도록(S 350), 선택하여 원격제어 등 조치를 취한다(S 356).
다음, 건물 내 비상사태 발생관련 관리동작(e)에 대해 설명한다.
건물(1)내에 강도 침입 등 비상사태가 발생되어 비상버튼이 작동되면, SDM(10)의 제어부(17)는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곳에 전화를 걸어 본 사실을 알 리며(S 360), 또한 비상 신호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상기한 방식으로 보안정보관제서버(3)에 송신하면(S 358),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사고에 대응되는 수습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에 연락 및 영상 정보 등을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8)내에 저장하며 관리한다(S 364). 사용자는 영상화면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며(S 362),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에서도 상기비상사태 내용을 확인한 후 적절한 조치를 행한다(S 366).
다음, 건물 내외부 주요시설물 보안관련 관리동작(f)에 대해 설명한다.
건물(1) 내외부의 금고 등 주요시설물에 사람이 접근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 SDM(10)의 카메라부(14)는 접근하여 도어를 열고자 하는 사람의 얼굴을 촬영 일정한 프레임수만큼 압축을 하며(S 368), 동시에 제어부(17)는 사전 등록된 사람의 얼굴 윤곽과 특징을 비교 식별하여(S 370), 동일 얼굴이면 도어를 열수 있도록 엑츄에이터부(16)와 연동하여 작동하고(S 372), 얼굴이 다를 경우나 카메라가 가려지거나 제거될 때, 그리고 침입자가 마스크를 쓴 경우 등 비정상 상태일 때 압축저장된 영상 중 일정 프레임수만큼 영상을 통신부(18)를 통해 침입신호와 함께 보안정보관제서버(3)로 송신하면(S 374),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사고 수습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에 사고데이터를 제공하고(S 376),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은 상기 사고 내용을 확인한 후 적절한 조치를 행하며(S 378), 보안정보관제서버(3)는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8)내에 저장하며 관리한다(S 380).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및 그 내외부에 원치 않는 외부 침입자 발생, 화재발생, 가스누설, 긴급사태 발생, 주요시설물 보안, 건물내 사람이나 동식물의 보안등 각종 보안관련데이터를 보안정보관제서버에서 원격으로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건물 및 내부에 있는 사람 또는 동식물의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제공하여 건물 및 그 내외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함은 물론 화재 등 긴급시 자동 또는 원격으로 우선 조치를 취하게 하여 사용자의 재산이나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집안 내 어린이나 노약자의 안전상태를 확인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건물 및 그 내외부의 보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내외부 적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보안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응급조치를 취하면서 보안관련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보안데이터모듈 ; 및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에서 송신되는 보안관리데이터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보안관리정보를 통해 건물 및 그 내외부의 보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 인터넷 TV, 카 PC 등 가입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보안정보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데이터모듈(SDM)이,
    외부침입자 감지센서, 화재 발생 감지센서, 가스 누설 감지센서 및 긴급사태시 비상버튼에서 입수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제어부에서 필요로하는 디지털형태로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를 다루는 I/O 인터페이스부 ;
    외부 침입자 얼굴, 주요 시설물 접근자 얼굴, 내부에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상태 및 얼굴을 자동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외부침입자나 집안내부의 사람과 대화 및 현장 발생음 청취등을 다루는 음성장치, 또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압축하고, 제어부와 연계하여 얼굴 윤곽 및 특징을 비교 식별하는 수단을 갖춘 카메라부 ;
    상기 I/0 인터페이스부 및 카메라부와 연계하여 가스탄 발사, 소화용수 분사, 전원차단, 가스라인 차단, 도어 작동 및 소화기 작동 데이티를 다루는 엑츄에이터부 ;
    상기 I/0 인터페이스부, 카메라부 및 엑츄에이터부에서 얻어지는 보안데이터를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 및 SDM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통신부 ;
    상기 각 구성의 구동전원을 전압조정기로 필요한 전압으로 조정하여 공급하고 또 정전시 대비 배터리로 구성된 전원부 ; 및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접속부 ;
    상기 접속부와 운영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부 ;
    상기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규정하는 인터넷프로토콜;
    상기 인터넷프로토콜 상에서 운영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원하는 보안정보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웹서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보안정보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 ;
    상기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관리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가입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용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CGI 프로그램부 ;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CGI 프로그램부에 접속되어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시스템
    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부가,
    가스 누설 감지 센서 작동에 따라 즉시 가스라인 차단밸브가 자동 작동되어 화재발생 등 다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화재 감지 센서 작동에 따라 즉시 소화기나 소화용수밸브가 자동 작동되어 화재를 초기 진압케 하던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현장의 영상정보를 보면서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가스라인차단, 전원차단,소화기분사 및 소화용수분사가 되도록 각 작동장치를 원격으로 조준작동케 하며, 또한 외부인 침입시 가스탄을 자동발사하여 침입자를 사건현장에서 즉시 퇴출시키거나, 현장의 영상정보나 음성정보를 확인 후 원격으로 선택발사하고, 또한 얼굴 특징을 비교 식별한 데이터에 의해 솔레노이드 형태의 동작 제어기로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부와 연계하여 동작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ROM, RAM, EEPROM을 탑재한 32비트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센서류 및 비상버튼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가스라인차단밸브, 소화용수분사밸브, 가스탄분사스위치 및 소화기가 즉시 자동 작동 또는 원격 선택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몇 곳의 전화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현상태가 통보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출력되는 압축 영상을 저장하여, 주요 시설물의 도어를 열려고 하는자가 사전 등록된 사람의 얼굴 윤곽 및 특징과 다를 경우나 카메라가 가려지거나 제거될 때, 그리고 침입자가 마스크를 쓴 경우 등 비정상 상태시, 감지센서류 및 비상버튼 작동시 또는 사용자가 원할시 압축 저장된 영상이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음성장치에 의해 외부 침입자나 집안내부에 있는 어린이 및 노약자와 양방향 통화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보안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조하며, 상기 사용자 및 보안데이터모듈과 양방향 통신을 위한 모뎀 ; 및
    상기 변조된 보안데이터를 상기 통신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셀룰라 트랜시버 또는 PCS, TRS, Pager 등의 송수신 모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통신 기지국과 유무선 접속되며, 상기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건물 내 사람 또는 동식물의 얼굴이나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거나 대화를 원할 경우와, 상기 통신기지국을 통해 각 건물별로 수신되는 보안관리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 침입자발생, 가스누설발생, 화재발생 및 강도 등 긴급사태 발생 경우, 그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보안정보를 관련 영상 및 음성 정보와 함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가입 사용자 단말기에 자동 제공하고, 또 이를 일정기간 저장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
  8.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에 있어서,
    가입 사용자의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에 관련되는 각종의 데이터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보안데이터모듈과 상기 보안데이터모듈로부터 송신되는 각종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안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정보관제서버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 모듈이 자동으로 또는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가입 사용자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상태를 검출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분석하여 상기 가입 사용자와 함께 상기 보안관련 관리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 및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보안관련 관리동작 결과를 저장하여 상기 가입 사용자의 건물 및 그 내외부 보안에 대한 계속적인 관리동작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데이터모듈 및 보안정보관제서버의 초기화 단계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을 건물 내외부 적정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
    가입 사용자에게 보안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주소를 상기 보안데이터 모듈에 입력하는 단계 ;
    상기 보안관제서버가 상기 가입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ID와 암호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가입사용자가 등록된 회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의 사용신청을 하는 단계 ; 및
    상기 유무선 통신망의 사용신청에 대해 사용개시 조치가 취해지는 경우,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가입사용자에게 보안관리동작의 개시를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관련 관리동작이 건물 내외부 외부인 침입 관련 관리동작, 건물내 화재 발생 및 가스 누출 관련 관리동작, 건물내 사람이나 동식물의 보안 관련 관리동작, 건물내 비상사태 발생 관련 관리동작, 건물 내외부 주요 시설물 보안 관련 관리동작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내 사람이나 동식물의 보안 관련 관리동작은,
    상기 가입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격 확인 선택 및 필요한 장소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보안 데이터 모듈이 선택에 대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등을 보안정보관제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영상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사용자가 원할 경우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 및
    상기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건물내의 사람이나 동식물의 상태를 영상데이터로 확인하며 음성장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화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외부에 외부인 침입 관련 관리동작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외부인 침입시 발생된 센서 신호 데이터에 의해 침입현장에 경고음 방송 및 선택에 의해 가스탄 즉시 분사하여 침입자를 조기 퇴출시키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곳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본 사실을 알리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침입자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보안정보관제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송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에 대응되는 수습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즉시 자동연락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고 수습시까지 관리하는 단계 ; 및
    상기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 화면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사용자나 경비 사업체 및 관계기관은 가스탄 분사 등 원격 제어를 우선 행하고 사고 수습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내 화재발생 및 가스 누출 관련 관리동작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화재발생 및 가스 누출로 인해 발생된 센서신호데이터에 의해 화재 현장에는 미리 설치된 소화기나 소화용수의 작동장치를 즉시 작동시켜 화재를 초기 진압케하고, 또한 가스누출시는 즉시 가스라인을 차단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작동하여 화재로 진전되는 것을 초기에 예방하는 등 긴급시 즉시 자동으로 우선 조치를 취하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곳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본 사실을 알리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둘이 화재 발생 및 가스누출데이터를 사고 현장 영상데이터와 함께 보안정보관제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곳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본 사실을 알리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화재발생 및 가스 누출 데이터를 사고 현장 영상데이터와 함께 보안정보관제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송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에 대응되는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즉시 자동연락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관련데이터를 저장하여 사고 수습시까지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화면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사용자나 경비사업체 및 관계기관이 소화기분사, 소화용수분사, 전원차단, 가스라인차단 등을 원격제어로 선택하여 행하고 사고 수습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내 비상사태 발생관련 관리동작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비상버튼 신호데이터에 의해 사용자 등 미리 예약된 몇 곳에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본 사실을 알리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비상신호 데이터와 현장 영상데이터 등을 보안정보관제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송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에 대응되는 조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즉시 자동연락 및 영상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고 수습시까지 관리하는 단계 ; 및
    상기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사고 현장의 영상화면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사용자나 경비사업체 및 관계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외부의 주요 시설물 보안관련 관리동작은,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금고 등 주요 시설물의 도어를 열고자 접근하는 사람의 얼굴을 촬영 일정한 프레임수만큼 압축하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사전 등록된 사람의 얼굴 윤곽과 특징을 촬영한 영상데이터와 비교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비교 식별한 결과 이상이 없으면 도어를 열수 있도록 잠금장치와 연동하는 단계 ;
    상기 보안데이터모듈이 비교 식별한 얼굴이 다를 경우나 카메라가 가려지거나 제거될 때, 그리고 침입자가 마스크를 쓴 경우 등 비정상일 때 압축저장된 영상중 일정 프레임수만큼 영상을 침입자 발생신호와 함께 보안정보관제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송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 수습조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가입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가입자 단말기를 통하여 경비사업체와 관계기관은 상기 사고 내용을 영상화면을 통하여 확인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단계 ; 및
    상기 보안정보관제서버가 상기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고 수습시까지 관리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 관리방법.
KR1020010042658A 2001-02-23 2001-07-14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9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392 2001-02-23
KR20010009392 2001-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084A true KR20020069084A (ko) 2002-08-29

Family

ID=2769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658A KR20020069084A (ko) 2001-02-23 2001-07-14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908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78A (ko) * 2002-12-02 2002-12-16 성호진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인경비 서비스
KR20030052929A (ko) * 2001-12-21 2003-06-27 라피텔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통합무인경비 시스템
KR20040035134A (ko) * 2002-10-18 2004-04-29 김동필 유무선 통합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
KR100793814B1 (ko) * 2007-07-11 2008-01-11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진단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2753B1 (ko) * 2006-08-22 2008-08-18 주식회사 에이펙스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65048A1 (ko) * 2012-04-30 2013-11-07 전자부품연구원 영상 검색 시스템 및 영상 분석 서버
KR102603397B1 (ko) * 2023-07-13 2023-11-17 주식회사 해피전자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929A (ko) * 2001-12-21 2003-06-27 라피텔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통합무인경비 시스템
KR20040035134A (ko) * 2002-10-18 2004-04-29 김동필 유무선 통합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
KR20020093778A (ko) * 2002-12-02 2002-12-16 성호진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인경비 서비스
KR100852753B1 (ko) * 2006-08-22 2008-08-18 주식회사 에이펙스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3814B1 (ko) * 2007-07-11 2008-01-11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진단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3165048A1 (ko) * 2012-04-30 2013-11-07 전자부품연구원 영상 검색 시스템 및 영상 분석 서버
KR102603397B1 (ko) * 2023-07-13 2023-11-17 주식회사 해피전자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220B1 (en) Internet based security, fire an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8504103B2 (en) Cellular home security system
US20020005894A1 (en) Interne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CN106355693A (zh) 一种家居安防系统及其实现方法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US202304198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monitoring
WO2019224658A1 (en) Scalable biometric alarm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KR20020069084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RU2554549C2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домофон
JP3467245B2 (ja) 管理対象施設の遠隔管理方法及び遠隔管理システム
KR20160060018A (ko) Ip/sip/ims카메라, ip/sip/ims카메라가 구비된 사설보안시스템 및 사설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20140129762A (ko) Ip/sip/ims카메라, ip/sip/ims카메라가 구비된 사설보안시스템 및 사설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JP2005284861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101935594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102472384B1 (ko)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CN101690081B (zh) 经由至少部分公共通讯网络在第一数据处理系统和第二数据处理系统之间交换数据的系统和方法
KR101594053B1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KR200219265Y1 (ko) 원격조정기능과 화상전화를 이용한 종합방범장치
JP3147837B2 (ja) 緊急監視装置
KR100803951B1 (ko) 직원사칭 가정 출입 범죄 예방을 위한 rfid 보안장치
KR102095154B1 (ko) 비상벨과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용 112 비상벨 호출 시스템
RU2303289C1 (ru) Система дл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охраны недвижимого имуще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