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397B1 -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397B1
KR102603397B1 KR1020230090835A KR20230090835A KR102603397B1 KR 102603397 B1 KR102603397 B1 KR 102603397B1 KR 1020230090835 A KR1020230090835 A KR 1020230090835A KR 20230090835 A KR20230090835 A KR 20230090835A KR 102603397 B1 KR102603397 B1 KR 10260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data
zone
area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전자
Priority to KR102023009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의 동작으로 상기 제1 센서에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제1 센서에서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면,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역에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1 이벤트를 관리하는 제1 기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관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상기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PLATFORM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ING ENERGY HARVESTING}
아래 실시예들은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위기 및 지구 온난화 등 환경에 대한 위기를 겪으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관심으로 친환경 대체 에너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은 주변 환경에서 낭비되는 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 열 에너지, 기계적 에너지 등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신재생 에너지 기술로 기존 기술과는 다르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 소모에 대한 이점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이다.
한편,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인 사물인터넷 기술로 인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사용되는 센서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때, 다수의 센서들이 넓은 범위에 산재하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센서들의 전력 공급에 있어서 배터리 없이 동작 가능하도록 에너지를 다양한 에너지원으로부터 얻어내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335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7839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885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66759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의 동작으로 상기 제1 센서에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제1 센서에서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면,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역에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1 이벤트를 관리하는 제1 기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관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상기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산 속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센서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열림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있는 사람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된 시점이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을 제3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1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3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센서 중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센서의 수를 제1 수치로 확인하고,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센서 중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센서의 수를 제2 수치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수치에 상기 제1 가중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4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치 및 상기 제4 수치를 더한 값으로 제5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수치가 높을수록 상기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을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역에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이 1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구역에 1등급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이 2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구역에 2등급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담당자 단말 및 제2 담당자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온도 감지, 버튼 터치, 문열림 감지 등으로 센서가 동작하여 운동 에너지를 발생하고 발생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신호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전원 공급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배터리 교체 또는 외부 전원 공급에 대한 의존성이 줄어들어 센서들의 설치와 관리에 제약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의 설치 장소에 따라 화재감지기, 방범비상벨, 스마트 도어 센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센서들을 통해 다양한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특정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분석하고, 이벤트 발생의 알림 메시지를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담당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RF 산불화재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RF 비상벨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RF 문열림센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산속에 설치된 경우, 화재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보행로에 설치된 경우,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출입문에 설치된 경우, 침입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를 감지한 센서들의 수에 따라 화재 위험 등급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의 위험 등급에 따라 화재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의 설치 위치와 화재 발생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추가 설치 필요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의 설치 위치와 센서의 추가 설치 필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센서(100), 복수의 카메라(200),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 및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100)와 통신망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각 센서에서 보낸 신호 데이터를 수집해서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장비이다. 즉, 복수의 센서(100)와 후술할 장치(400)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센서(100)에서 보낸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설명의 편의상 게이트웨이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고 복수의 센서(100)와 장치(4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더라도, 이는, 복수의 센서(100)와 장치(400)가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기 위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로, 특정 장소에 구역 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제3 센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0)는 제1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센서(120)는 제2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제3 센서(130)는 제3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지점은 제1 구역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지점은 제2 구역에 포함될 수 있고, 제3 지점은 제3 구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1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따라 이벤트의 종류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00)가 산 속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센서(100)는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기 위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100)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센서(10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기 위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100)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센서(100)는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기 위해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0)에 포함되는 센서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센서(100)에 포함되는 센서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0) 각각은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하베스팅은 일상적으로 버려지거나 사용하지 않은 작은 에너지를 수확하여 사용 가능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기술로서, 자연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복수의 센서(100) 각각은 에너지 하베스팅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해당 조건으로 발생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일정 온도 감지, 버튼 터치, 문열림 감지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0) 각각은 사물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의 충족으로 운동 에너지를 발생하고 발생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면,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데이터는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00)는 특정 장소에 구역 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카메라(210), 제2 카메라(220), 제3 카메라(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210)는 제1 구역을 촬영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카메라(220)는 제2 구역을 촬영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고, 제3 카메라(230)는 제3 구역을 촬영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00) 각각은 촬영 구역 내의 이동 객체 검출 기능을 가지는 모션 디텍터 카메라, 열 감지를 가지는 적외선 카메라,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하는 고화질 RGB 카메라, 보다 신뢰성이 있는 레이더가 부착된 카메라, 자동추적을 수행하기 위한 팬틸트 카메라, 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00) 각각은 사물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400)로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00)에 포함되는 카메라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장소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200)에 포함되는 카메라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는 특정 기관에서 근무하며 특정 구역을 관리하는 담당자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담당자가 사용하는 제1 담당자 단말(310), 제2 담당자가 사용하는 제2 담당자 단말(320), 제3 담당자가 사용하는 제3 담당자 단말(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에는 이벤트 발생 알림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장치(4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에 포함되는 단말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기관에서 근무하는 담당자의 수에 따라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에 포함되는 단말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장치(400)는 장치(4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4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 복수의 카메라(200) 및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400)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원격 제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어, 복수의 센서(100)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복수의 카메라(200)를 통해 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400)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원격 제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복수의 센서(100), 복수의 카메라(200) 및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에 대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을 구현하기 위해,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기술과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기술은 터치 동작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내부에 탑재된 코일유도장치를 동작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열에 의해 만들어진 에너지, 실내 조도에 의해 만들어진 에너지, 바람에 의해 만들어진 에너지, 압력에 의해 만들어진 에너지 등을 수확하여 초저전력으로 동작되는 내부 RF 송신부를 구동시켜 근, 원거리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전력이 필요없는 센서로 작동될 수 있고 설치에 제약도 없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배터리 교체 및 전원 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Batteryless 기술로서 배터리 방전에 대한 수명 또는 관리가 필요 없다. 전력선이나 통신선 공사가 필요하지 않아 시스템 구현에 대한 부담도 없고 자연을 보호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100) 각각은 열, 바람, 터치 등을 에너지 소스로 하여,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전력 관리 유닛(PMU; Power Management Unit), 무정전 전원 공급을 위한 백업 배터리(Backup Battery), 전기에너지 저장을 위한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00)가 산 속에 설치되는 경우, 화재감지기 기능을 수행하여 산불감지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복수의 센서(100)가 보행로에 설치되는 경우, 방범비상벨 기능을 수행하여 호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복수의 센서(100)가 출입문에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도어 센서 기능을 수행하고 창문에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윈도우 센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100)가 농장에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 농업용 센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0)는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플랫폼을 제공하는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장치(400)는 대시보드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로 이벤트 발생 현황, 이벤트 발생 알림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RF 산불화재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100)는 산 속에 구역 별로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200)는 산이 있는 부분을 촬영하기 위한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산불이 발생하면, 복수의 센서(100) 중 일부는 작동하여 신호 데이터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400)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복수의 카메라(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확인한 후,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로 화재 발생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소방서에 근무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산불 발생 시 센서의 작동 원리는 일정 온도(예를 들면, 몇도 이상)에서 센서가 동작하고, 센서의 동작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산불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RF 비상벨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100)는 등산로, 오름, 공원 등의 보행로에 구역 별로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200)는 보행로가 있는 부분을 촬영하기 위한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하면, 호출된 비상벨을 구비하고 있는 센서는 작동하여 신호 데이터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400)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복수의 카메라(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확인한 후,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로 비상벨 호출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경찰서에 근무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비상벨 호출 시 센서의 작동 원리는 비상벨 버튼 터치에 의해 센서가 동작하고, 센서의 동작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비상벨 호출을 알리기 위한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RF 문열림센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센서(100)는 출입문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감지기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가 설치된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는 작동하여 신호 데이터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장치(400)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복수의 카메라(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확인한 후, 복수의 담당자 단말(300)로 문열림 확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업체에 근무하는 담당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문열림 센서의 작동 원리는 문열림으로 인해 스위치가 눌리게 되면 센서가 동작하고, 센서의 동작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출입문 열림을 알리기 위한 신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센서(100)가 특정 장소에 설치되었을 때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100)가 산 속에 설치된 경우,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무전원 RF 산불화재감지 시스템을 구현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100)가 보행로에 설치된 경우,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무전원 RF 비상벨 시스템을 구현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센서(100)가 출입문에 설치된 경우,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무전원 RF 문열림센서 시스템을 구현하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 데이터는 제1 센서(11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서(100)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110)는 특정 장소에 구역 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동작하여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발생한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면, 제1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일정 온도 감지, 버튼 터치, 문열림 감지 등으로 센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센서(110)의 동작으로 제1 센서(110)에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제1 센서에서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면,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210)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센서(110)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제1 센서(110)의 설치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지점이 제1 구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복수의 카메라(200) 중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2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센서(100)는 구역 별로 특정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200)는 구역 별로 구분하여 각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카메라(210)로부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210)는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영상 정보를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제1 구역에 어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산 속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고, 제1 센서(110)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고, 제1 센서(110)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S6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에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이벤트를 관리하는 제1 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400)는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기관을 소방서로 확인할 수 있고,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기관을 경찰서로 확인할 수 있고,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기관을 보안 업체로 확인할 수 있다.
S6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기관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기관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별로 구분되어 있는 담당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담당자 정보는 담당자의 이름, 직책, 연락처, 담당 구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담당 구역이 제1 구역인 제1 담당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담당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구역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제1 담당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6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에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제1 센서(110)의 설치 지점, 제1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캡처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산속에 설치된 경우, 화재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산 속에 설치되어 기준 온도 이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센서 별로 구분되어 있는 센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센서 정보는 설치 장소, 설치 지점, 동작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100)의 설치 장소가 산 속이고, 동작 조건이 기준 온도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는 주변 온도가 기상 온도 이상일 때 동작할 수 있으며, 제1 센서(110)의 동작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발생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면, 산불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1 신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산 속에 설치되어 기준 온도 이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210)를 확인할 수 있다.
S7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카메라(210)로부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400)는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화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화재를 인식할 때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S7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장치(400)는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기관을 소방서로 확인할 수 있고, 소방서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보행로에 설치된 경우, 비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센서 별로 구분되어 있는 센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센서 정보는 설치 장소, 설치 지점, 동작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100)의 설치 장소가 보행로이고, 동작 조건이 비상벨 버튼의 터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는 제1 센서(110)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이 터치될 때 동작할 수 있으며, 제1 센서(110)의 동작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발생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면, 비상벨 호출을 알리기 위한 제1 신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S8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210)를 확인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카메라(210)로부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8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400)는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사람을 인식할 때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S8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 구역 내에 있는 사람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 10초인 경우, 장치(40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1 구역 내에 있는 것으로 인식된 사람이 10초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1 구역 내에 있는 사람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장치(400)는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기관을 경찰서로 확인할 수 있고, 경찰서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가 출입문에 설치된 경우, 침입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열림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센서 별로 구분되어 있는 센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센서 정보는 설치 장소, 설치 지점, 동작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100)의 설치 장소가 출입문이고, 동작 조건이 출입문의 열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110)는 출입문의 열림으로 인해 스위치가 눌릴 때 동작할 수 있으며, 제1 센서(110)의 동작으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발생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면, 출입문 열림을 알리기 위한 제1 신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9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열림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다.
S9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210)를 확인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카메라(210)로부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9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400)는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에서 사람을 인식할 때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S9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된 시점이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오후 2시부터 4시까지인 경우, 장치(400)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된 시점이 2시30분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제1 센서(110)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된 시점이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장치(400)는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기관을 보안 업체로 확인할 수 있고, 보안 업체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210) 없이 제1 센서(110)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을 통해 침입 상황의 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거주지에 제1 카메라(210) 없이 제1 센서(110)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이 제1 사용자의 외출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거주지에 칩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거주지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제1 사용자의 거주지를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하고, 제1 사용자의 거주지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과 제1 사용자 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를 감지한 센서들의 수에 따라 화재 위험 등급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제1 지점(501)을 중심으로 제1 기준 거리(601)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701)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0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거리는 제2 기준 거리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제1 지점(501)을 중심으로 제2 기준 거리(602)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7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0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을 제3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제2 영역(702)에서 제1 영역(701)과 중복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을 제3 영역(703)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004 단계에서,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 중 제1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복수의 센서(100) 중 제3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0)는 제1 영역 내에 있어 제1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S10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센서 중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센서의 수를 제1 수치로 확인하고,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센서 중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센서의 수를 제2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S10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수치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할 수 있고, 제2 수치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4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가중치는 제1 가중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중치가 1.5로 설정되어 있고 제2 가중치가 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400)는 제1 수치가 2로 확인되면, “2 X 1.5”를 통해 산출된 3을 제3 수치로 산출할 수 있고, 제2 수치가 2로 확인되면, “2 X 2”를 통해 산출된 4를 제4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110)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신호 데이터가 수신될 때, 더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화재의 위험 등급이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S10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2 수치 및 제4 수치를 더한 값으로 제5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S1008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5 수치가 높을수록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을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400)는 제5 수치가 1부터 5까지 이내의 범위에서 산출되면,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을 1등급으로 설정하고, 제5 수치가 6부터 10까지 이내의 범위에서 산출되면,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을 2등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의 위험 등급에 따라 화재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S1201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5 수치를 통해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S1202 단계에서, 장치(400)는 화재 상황을 관리하는 제1 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S12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기관의 담당자들 중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하고, 제1 기관의 담당자들 중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을 담당하는 제2 담당자를 확인할 수 있다.
S12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이 1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제1 구역에 1등급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S12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이 2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제1 구역에 2등급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 및 제2 담당자 단말(32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즉, 화재의 위험 등급이 높을수록 담당 구역을 관리하는 담당자 뿐만 아니라 인접 구역을 관리하는 담당자에게도 화재 발생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의 설치 위치와 화재 발생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S1301 단계에서,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 중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로부터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센서(120)로부터 제2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센서(130)로부터 제3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은 서로 다를 수 있다.
S13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확인하고, 제2 센서(120)로부터 제2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제2 시점으로 확인하고, 제3 센서(130)로부터 제3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을 제3 시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S13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 중 제1 시점이 가장 빠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때, 제1 센서(110)로부터 가장 빠르게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S13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기준값으로, 제1 센서(110)가 설치되어 있는 제1 지점과 화재 발생 위치 간의 거리인 제1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3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 간의 차이가 클수록 제2 기준값을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400)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 간의 차이가 1초인 경우, 제2 기준값을 1로 설정하고, 제1 시점과 제2 시점 간의 차이가 2초인 경우, 제2 기준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S13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시점과 제3 시점 간의 차이가 클수록 제3 기준값을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400)는 제1 시점과 제3 시점 간의 차이가 3초인 경우, 제3 기준값을 3으로 설정하고, 제1 시점과 제3 시점 간의 차이가 4초인 경우, 제3 기준값을 4로 설정할 수 있다.
S13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더한 값으로, 제2 센서(120)가 설치되어 있는 제2 지점과 화재 발생 위치 간의 거리인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S1308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더한 값으로, 제3 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는 제3 지점과 화재 발생 위치 간의 거리인 제3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S1309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지점의 위치, 제2 지점의 위치 및 제3 지점의 위치와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제4 지점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제1 지점(501), 제2 지점(502) 및 제3 지점(503)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1 거리(801), 제2 거리(802) 및 제3 거리(803)가 각각 산출되면, 제1 지점(501)을 중심으로 제1 거리(801)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지점(502)을 중심으로 제2 거리(802)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3 지점(503)을 중심으로 제3 거리(803)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3 기준 영역으로 설정한 후, 제1 기준 영역, 제2 기준 영역 및 제3 기준 영역이 모두 중복되는 지점을 제4 지점(504)으로 분석할 수 있다.
장치(400)는 화재 발생 위치를 제4 지점으로 분석하면, 화재 발생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전송할 때, 화재 발생 위치가 제4 지점으로 추정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31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추가 설치 필요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의 설치 위치와 센서의 추가 설치 필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S1501 단계에서, 장치(400)는 복수의 센서(100)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신호 데이터 수신 이력을 기반으로, 기준 기간 동안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를 제1 횟수로 확인하고, 기준 기간 동안 제2 센서(120)로부터 제2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를 제2 횟수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신호 데이터 수신 이력이 저장되어 있으며, 신호 데이터 수신 이력은 어느 센서로부터 어느 시점에 신호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400)는 신호 데이터 수신 이력을 기반으로, 최근 1달 동안 제1 센서(110)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를 확인한 결과, 5번으로 확인되면, 제1 횟수를 5로 설정할 수 있고, 최근 1달 동안 제2 센서(120)로부터 제2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를 확인한 결과, 10번으로 확인되면, 제2 횟수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S1502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횟수 및 제2 횟수를 더한 값으로 제3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S1503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3 횟수가 기준 횟수 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1503 단계에서 제3 횟수가 기준 횟수 보다 많지 않고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기간이 지난 이후, S1501 단계로 되돌아가, 제1 횟수 및 제2 횟수를 확인하는 과정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S1503 단계에서 제3 횟수가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1504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사이에 센서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505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횟수를 제3 횟수로 나눈 값으로 제1 비율을 산출하고, 제2 횟수를 제3 횟수로 나눈 값으로 제2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S1506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간의 거리를 제4 거리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장치(400)는 제1 센서(110)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제1 센서(110)의 설치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확인하고, 제2 센서(120)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제2 센서(120)의 설치 지점을 제2 지점으로 확인한 후, 제1 지점의 위치와 제2 지점의 위치 간의 거리를 제4 거리로 확인할 수 있다.
S1507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 간의 거리가 제4 거리로 확인되면, 제4 거리 및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5 거리를 산출하고, 제4 거리 및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6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S1508 단계에서, 장치(400)는 제1 지점의 위치, 제2 지점의 위치와 제5 거리 및 제6 거리를 이용하여, 센서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지점을 제5 지점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횟수가 7로 확인되고 제2 횟수가 3으로 확인된 경우, 장치(400)는 “7 + 3”을 통해 산출된 10을 제3 횟수로 산출하고, “7 / 10”을 통해 산출된 70%를 제1 비율로 산출하고, “3 / 10”을 통해 산출된 30%를 제2 비율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4 거리가 10m로 확인되면, “10 X 0.3”을 통해 산출된 3m를 제5 거리로 산출하고, “10 X 0.7”을 통해 산출된 7m를 제6 거리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지점으로부터 3m 떨어져 있으면서 제2 지점으로부터 7m 떨어진 지점을 제5 지점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제1 지점(501) 및 제2 지점(502)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1 지점(501)으로부터 제5 거리(805) 떨어져 있으면서 제2 지점(502)으로부터 제6 거리(806) 떨어져 있는 지점을 제5 지점(505)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1 횟수가 제2 횟수 보다 많기 때문에, 제2 센서(120) 보다 제1 센서(110)와 더 가까운 지점이 제5 지점으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제1 횟수가 3으로 확인되고 제2 횟수가 7로 확인된 경우, 장치(400)는 “3 + 7”을 통해 산출된 10을 제3 횟수로 산출하고, “3 / 10”을 통해 산출된 30%를 제1 비율로 산출하고, “7 / 10”을 통해 산출된 70%를 제2 비율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4 거리가 10m로 확인되면, “10 X 0.7”을 통해 산출된 7m를 제5 거리로 산출하고, “10 X 0.3”을 통해 산출된 3m를 제6 거리로 산출할 수 있으며, 제1 지점으로부터 7m 떨어져 있으면서 제2 지점으로부터 3m 떨어진 지점을 제5 지점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제1 지점(501) 및 제2 지점(502)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1 지점(501)으로부터 제5 거리(805) 떨어져 있으면서 제2 지점(502)으로부터 제6 거리(806) 떨어져 있는 지점을 제5 지점(505)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2 횟수가 제1 횟수 보다 많기 때문에, 제1 센서(110) 보다 제2 센서(120)와 더 가까운 지점이 제5 지점으로 분석될 수 있다.
장치(400)는 센서의 추가 설치가 필요한 지점을 제5 지점을
도 1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400)는 프로세서(410) 및 메모리(4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0)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4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4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4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인 제1 센서의 동작으로 상기 제1 센서에서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제1 센서에서 발생한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면,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가 제1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제1 구역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고 있는 제1 카메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구역의 촬영으로 생성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역에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1 이벤트를 관리하는 제1 기관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관에 근무하는 담당자들 중 상기 제1 구역을 담당하는 제1 담당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가 산 속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가 보행로에 설치되어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 버튼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센서가 출입문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열림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서 산불 화재를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화재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에 구비된 비상벨을 호출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있는 사람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구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센서가 설치된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한 신호 데이터로 분석한 경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상기 제1 구역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인식된 시점이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구역에 침입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 화재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기준 거리 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영역을 제3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1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제3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센서 중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센서의 수를 제1 수치로 확인하고,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센서 중 신호 데이터가 수신된 센서의 수를 제2 수치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치에 미리 설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3 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수치에 상기 제1 가중치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4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수치 및 상기 제4 수치를 더한 값으로 제5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수치가 높을수록 상기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을 더 높은 등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 상기 제1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이 1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구역에 1등급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담당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위험 등급이 2등급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구역에 2등급의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담당자 단말 및 제2 담당자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30090835A 2023-07-13 2023-07-13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835A KR102603397B1 (ko) 2023-07-13 2023-07-13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835A KR102603397B1 (ko) 2023-07-13 2023-07-13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397B1 true KR102603397B1 (ko) 2023-11-17

Family

ID=8896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835A KR102603397B1 (ko) 2023-07-13 2023-07-13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39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84A (ko) * 2001-02-23 2002-08-29 김진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366759B1 (ko) 2011-11-23 2014-02-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감시 시스템
KR20150030015A (ko) * 2013-09-11 2015-03-19 (주)유엔이 재난감지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17068612A (ja) * 2015-09-30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078392B1 (ko) 2018-07-24 2020-02-17 이두성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354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텔레웍스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20088572A (ko) 2020-12-18 2022-06-28 김유신 에너지하베스팅과 ess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 홈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84A (ko) * 2001-02-23 2002-08-29 김진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366759B1 (ko) 2011-11-23 2014-02-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감시 시스템
KR20150030015A (ko) * 2013-09-11 2015-03-19 (주)유엔이 재난감지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17068612A (ja) * 2015-09-30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078392B1 (ko) 2018-07-24 2020-02-17 이두성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354A (ko)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텔레웍스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20088572A (ko) 2020-12-18 2022-06-28 김유신 에너지하베스팅과 ess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 홈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778B2 (en) Image analysis system, image analy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90280940A1 (en) Dynamically optimiz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configuration rules via a gateway
US11410539B2 (e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integrated device to monitor and control events in an environment
US10708496B2 (en) Analytics based power management for cameras
KR101165422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44857B1 (ko)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US9622048B2 (en) SNS based incident management
US20180167585A1 (en) Networked Camera
Blasch et al. Panel summary of cyber-physical systems (cps) and internet of things (iot) opportunities with information fusion
US20200401814A1 (en) Firearm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603397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70295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ing collaboration service based on social community
KR20150015074A (ko) Lte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인 방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Ahmed et al. Smart Home Shield and Automation System Using Facebook Messenger Chatbot
Kale et al. A review of securing home using video surveillance
KR102613559B1 (ko) Cctv 영상 정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
KR101437678B1 (ko) 피플 카운팅 기능을 갖는 무인 방범 시스템
KR20220004399A (ko) 사용자 참여형 보안 감시 관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200074143A1 (en) Unmanned aerial device for smoke and fire detection and method to monitor occupants
KR102466709B1 (ko) Cctv의 영상 처리를 통한 이상 행동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292695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bject of interest after the object of interest has undergone a change in appearance
KR101369288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Braicov et al. Smart surveillance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KR102576651B1 (ko) 피보호자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내 위험 상황 발생 감지 및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Zhu et al. A simulation model of big data analysis for fire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