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422B1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422B1 KR101165422B1 KR1020110125781A KR20110125781A KR101165422B1 KR 101165422 B1 KR101165422 B1 KR 101165422B1 KR 1020110125781 A KR1020110125781 A KR 1020110125781A KR 20110125781 A KR20110125781 A KR 20110125781A KR 101165422 B1 KR101165422 B1 KR 1011654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monitoring target
- subject
- monitoring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06V40/173—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face re-identification, e.g. recognising unknown faces across different face tra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5—Multiple cameras, each having view on one of a plurality of scenes, e.g. multiple cameras for multi-room surveillance or for tracking an object by view hand-o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여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 및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인식이 어려운 피사체를 감시 대상으로 선별하고 이와 같이 선별된 감시 대상 피사체를 제 2 카메라에 의하여 추적 감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보안상의 위험을 가진 피사체의 행방을 제 2 카메라가 허용하는 감시 범위 내에서 선별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이면서도 강화된 보안 성능을 가진 보안 시스템과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재적으로 보안상의 위험을 가진 피사체의 행방을 감시 카메라가 허용하는 감시 범위 내에서 선별적이면서도 집중적으로 감시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강화된 보안 성능을 가진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 소위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는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특정 장소의 한정된 모니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흔히 감시 카메라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CCTV는 할당받은 감시 영역을 커버하기에 적당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주로 도로, 건물, 지하철역, 공항, 항만과 같은 공공시설의 안전 관리를 위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골목이나 가정집의 보안을 유지하고 범죄 발생 시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CCTV를 이용하여 강물의 범람을 자동으로 인지해 정보 송출까지 해주는 스마트 재난 관리 시스템도 도입될 예정이다. 과거에는 교량이나 하천에 설치된 수위표를 사람이 직접 CCTV로 지켜보면서 수위가 위험 수준을 넘는지 여부만 확인하는 소극적인 관제에 그쳤지만, 최근에는 CCTV 영상이 스스로 "물"과 "물 이외의 영역"을 분류하여 수위 변화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사람이 24시간 방재실에 상주하며 CCTV 영상을 지켜보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담당 관리자가 자리를 비우더라도 CCTV 영상으로 입력된 이상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담당 관리자의 휴대전화나 경보 시스템을 통해 통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안전 관리, 범죄 예방, 범죄 증거의 확보, 방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보안상의 이유로 CCTV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CCTV와 관련된 보안 신기술의 개발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예컨대 "모바일 실시간 영상과 UCC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7809호(이하 "선행문헌1")는 모바일 실시간 영상과 UCC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행문헌1은 영상 소스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 정보를 공통 코덱으로 변환시켜 공통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비디오 리트리버 서버; 상기 공통 코덱으로 변환된 공통영상 스트림을 휴대폰의 화면 크기로 조절하는 비디오 변환 서버; 및 상기 공통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려는 휴대폰이 접속하면, 상기 접속된 휴대폰의 영상 요청에 따라 상기 비디오 변환 서버의 공통영상 스트림을 이동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접속된 휴대폰에 전송하는 모바일 프론트앤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에 각각 분산되어있던 웹캠(Web Cam), CCTV 기반의 보안 시스템과 VOD(Video On Command) 형태의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함께 통합할 수 있고, VOD 컨텐츠, TV 홈쇼핑 영상, 교통정보 CCTV와 클라이언트 및 휴대폰을 연결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이 외에도, "보안기능을 갖춘 영상 전송 시스템"에 관한 한국등록특허 제1037870호(이하 "선행문헌2")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활용한 보안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행문헌2는 IP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송시스템은 단일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LED 램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의 본체부는 카메라 모듈, 위치 제어부, 엔코더, 영상 압축칩, CPU, 웹서버,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IP카메라; 웹서버 및 제어 변환부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바이너리 CDMA 통신모듈; GPS 램프 제어부, IP 카메라의 CPU, 웹서버 및 바이너리 CDMA 통신모듈과 연동되는 제어 변환부; 스피커, 마이크 및 오디오 앰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성 입출력부; 누전 차단기; 전원 공급기 및 서지 보호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LED 램프모듈은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 LED 램프, GPS 램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능을 갖춘 영상 전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원격지 관리자 단말기 및 관계기관의 단말기에서 실시간 동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LED 램프에 의하여 역광이나 사각지대가 없이 식별력 있는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CCTV는 이제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는 문언적인 의미를 벗어나서, 웹캠, IP 카메라, CCTV 카메라 등 카메라의 명칭이나 종류, 구동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보안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2를 비롯하여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감시 카메라는 감시 영역 내에 있는 모든 피사체들에 대하여 동등한 수준의 감시 동작을 수행할 뿐이라는 점에서 보안 편의성이나 효율성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즉, 선행문헌1에 따라 CCTV나 웹캠 등으로부터의 보안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거나 선행문헌2에 따라 IP 카메라와 LED 램프를 이용하여 역광이나 사각지대 없이 영상 촬영이 가능한 기술을 구현하더라도, 감시 카메라에 담긴 내용물은 보안 관계자의 입장에서는 동등한 수준의 중요도를 가질 뿐이며, 범죄 예방이나 증거 확보 차원에서 유의미한 장면이나 피사체가 무엇인지를 가려내기 위해서는 경찰 등의 보안 관계자가 일일이 보안 컨텐츠를 돌려보면서 예컨대 녹화된 동영상 내에 지명수배자의 사진, 몽타쥬와 인상착의가 비슷한 자가 없는지 직접 찾아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면인식 기법을 이용해서 부정거래의 위험성이 높은 상황을 자동으로 판별해 주는 보안 기술이 개발된바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의 예로는 "안면인식을 이용한 은행거래 처리장치의 부정거래 방지방법"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제1999-0064414호(이하 "선행문헌3")이 있다.
도 1은 선행문헌3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3은 평면 특징점들에 의해 마스크를 쓰는 등의 비정상적인 얼굴을 하여 얼굴의 화상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 거래를 윈천적으로 성립시키지 아니하는 안면인식을 이용한 은행거래처리장치의 부정거래방지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선행문헌3은 거래하고자 하는 고객의 얼굴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하고, 촬상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화상 인식 알고리즘 및 화상인식라이브러리에 의해 메인컨트롤유니트에서 눈, 코, 입, 얼굴외곽선 등의 평면 특징점들을 검출하여 화상의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그리고, 인식가능이면, 정상적인 거래를 계속하고, 인식불가능이면, 불가능 에러를 보여주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선행문헌3에 따르면 예컨대 타인의 통장이나 신용카드를 절도한 자가 은행의 ATM기를 함부로 이용하는 일을 자동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설령 타인의 통장이나 신용카드가 부정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에는 해당 절도자의 안면인식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가 될 것이므로 범죄를 수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선행문헌3의 경우 안면인식이 불가능한 피사체가 어디로 어떻게 이동하는지까지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한데, 이는 도 1에서 화상 인식 가능 여부를 체크한 다음 화상 인식 불가라고 판정될 경우 은행 ATM기가 사용자에게 에러를 보여주고 사용자가 삽입했던 카드를 방출하여 거래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프로세스를 보아도 확인되는 사항이다.
다시 말해, 선행문헌3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이 불가능한 자는 ATM기로 은행 업무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효과를 달성할 수는 있겠지만, ATM 거래가 거절된 자가 그 이후에 어떤 경로로 도주하거나 추가적인 범행을 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른 CCTV 카메라 등을 수사 관계자가 일일이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점에서 선행문헌1,2와 마찬가지로 보안 편의성이나 효율성의 측면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잠재적으로 보안상의 위험을 가진 피사체의 행방을 감시 카메라가 허용하는 감시 범위 내에서 선별적이면서도 집중적으로 감시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강화된 보안 성능을 가진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복수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여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 및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감시 범위가 각각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한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상기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동작을 보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와 접속되는 도어락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 도어락 기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피사체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이탈하지 못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일정 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가 인식 불가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한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한 이후에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했던 피사체에 대한 감시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제 2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상기 제 2 카메라가 추적 감시하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 2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접속되는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 메세지를 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면 적어도 상기 피사체의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이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확인되는지 여부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기준에 기초한 안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및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와 접속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여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감시 범위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한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상기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보조적으로 추적 감시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와 접속되는 도어락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 도어락 기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가,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피사체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일정 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가 인식 불가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한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한 이후에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했던 피사체에 대한 감시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제 2 메모리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상기 제 2 카메라가 추적 감시하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 2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접속되는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 메세지를 발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적어도 상기 피사체의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이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확인되는지 여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기준에 기초한 안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해 동작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카메라에 의하여 화상 인식이 어려운 피사체를 감시 대상으로 선별하고 이와 같이 선별된 감시 대상 피사체를 제 2 카메라에 의하여 추적 감시함으로써, 잠재적으로 보안상의 위험을 가진 피사체의 행방을 제 2 카메라가 허용하는 감시 범위 내에서 선별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이면서도 강화된 보안 성능을 가진 보안 시스템과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감시 대상 선별 장치
111, 121 제 1 카메라
200 감시 대상 추적 장치
210 수신부
220 제 2 제어부
230 제 2 메모리
240, 250 제 2 카메라
300 도어락 장치
400 경보 장치
500 보안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감시 대상 선별 장치
111, 121 제 1 카메라
200 감시 대상 추적 장치
210 수신부
220 제 2 제어부
230 제 2 메모리
240, 250 제 2 카메라
300 도어락 장치
400 경보 장치
500 보안 시스템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여러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 경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은 복수의 카메라(111, 121, 240, 250)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카메라(111, 121, 240, 250)는 예컨대 공항이나 은행에 설치된 CCTV 감시 카메라일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웹캠, IP 카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111, 121, 240, 25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일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의 카메라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메라(111, 121, 240, 250)들은 그것이 수행하는 역할 내지 기능에 따라, 수많은 피사체 중에서 어떤 피사체를 집중 감시 대상으로서 선별할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 1 카메라(111, 121)와 감시 대상으로서 선별된 피사체를 추적하여 촬영 및 감시하는 제 2 카메라(240, 250)로 분류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카메라(111, 121)와 제 2 카메라(240, 250)는 상술한 역할 내지 기능에 따른 분류일 뿐이므로, 제 1 카메라(111, 121)와 제 2 카메라(240, 250)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카메라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감시 영역 A, B에 부가하여 제 1 카메라(111, 121)가 부가적으로 제 2 카메라로서 감시 영역을 할당받아 감시 대상 피사체를 추적하여 촬영 및 감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제 1 카메라(111, 121)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11, 121, 240, 250)에 찍히는 수많은 피사체 중에서 어떤 피사체를 감시 대상으로서 선별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인데, 도 1은 이러한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가 복수의 은행 ATM기(110, 120)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가 복수의 ATM기(110, 120)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스텝 S1 내지 S3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ATM기, IP 카메라, 스마트폰, CCTV 시스템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가 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에 적용 가능한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가 될 수 있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전화기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후술하는 도 3의 프로세스 기능을 탑재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후술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공항이나 은행 내에 있는 모든 스마트폰 사용자를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의 구성요소로 편입시켜 보안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가 후술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 및 이에 포함되는 제 2 카메라(240, 250)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서의 ATM기(110, 12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111, 121) 및 이 제 1 카메라(111, 121)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ATM기(110, 120)에 내장됨. 도 2에는 미도시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서의 ATM기(110, 120)는 상술한 제 1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피사체의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여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ATM기(110, 120)에 내장됨. 도 2에는 미도시함) 및 제 1 제어부(미도시)의 지령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ATM기(110, 120)에 내장됨. 도 2에는 미도시함)를 포함하고 있다.
부언하자면,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서 ATM기(110, 120)나 스마트폰의 송신부(미도시)가 모두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송신부를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유선이나 무선이 통합된 네트워크로 각 ATM기(110, 120)나 스마트폰들의 송신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예컨대 ATM기(110)를 이용하려는 자가 있을 때,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의 제 1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카메라(111)가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준을 가지고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기준은 적어도 피사체의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이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확인되는지 여부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이 각각 80% 이상 인식되지 않는 경우 안면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거나,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 중 하나라도 60% 이하로 인식되는 경우 안멱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는 등의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안면 인식 기술 자체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이 아니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999-6441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제 1 제어부(미도시)의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가 제 1 카메라(111, 121)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 1 제어부(미도시)가 복수개의 제 1 카메라(111, 121) 중 일정 수 이상에 의하여 피사체가 인식 불가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만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특정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감시 대상이 선정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감시 대상 선정 신호는 SMS, MMS, 메일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총 4대의 ATM기와 10대의 스마트폰이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서 동작하는 경우, 적어도 5대 이상의 기기로부터 인식 불가라는 판정을 받는 경우에만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가 최종적으로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화상 인식의 오류에 기인하여 감시 대상을 잘못 선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약 감시 대상을 잘못 선별하였다면 사후적으로라도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제 1 제어부(미도시)는 복수개의 제 1 카메라(111, 121) 중 한 카메라(예컨대, 111)가 피사체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한 이후에 다른 카메라(예컨대, 121)가 피사체를 인식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인식 불가라고 판정했던 피사체에 대한 감시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은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고,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부터 상술한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0)를 구비한다.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111, 121)를 구비하며, 이 외에도 수신부(210)로부터 전술한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면 제 2 카메라(240, 250)가 앞서 인식 불가라고 판정되었던 피사체(즉, 감시 대상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가 제 2 카메라(240, 250)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이들 복수개의 제 2 카메라(240, 250)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감시 범위 A, B가 각각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제어부(220)는 감시 대상 피사체가 이동하여 복수개의 제 2 카메라(240, 250) 중 한 카메라(240)의 감시 범위 A를 벗어나는 경우, 다른 카메라(250)의 감시 범위 B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제 2 카메라(240, 250) 중 다른 카메라(250)가 감시 대상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동작을 보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시 범위 A 내에 ATM기(110)가 위치하고 있었는데, 제 1 카메라(111)에 의한 화상 인식이 실패한 자가 감시 범위 A를 벗어나서 감시 범위 B로 들어오게 되면, 제 2 제어부(220)는 제 2 카메라(240)의 화상에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음에 기초하여 다른 제 2 카메라(250)의 감시 범위 B 내에 감시 대상 피사체가 들어오지는 않았는지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만약 감시 대상 피사체가 감시 범위 B에 들어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감시 범위 B 내에 있는 감시 대상 피사체에 제 2 카메라(250)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어서 선별적이고 집중적인 화상 데이터 수집을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은 예컨대 소정의 감시 범위 B 내에 위치하고,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어 통신하는 도어락 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제어부(220)는,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감시 대상 피사체가 이동하여 도어락 장치(300)가 위치하는 소정의 감시 범위 B 내에 진입하는 경우, 도어락 기동 신호를 생성하고, 도어락 장치(300)는 제 2 제어부(220)로부터 도어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감시 대상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300)가 위치하는 소정의 감시 범위 B를 이탈하지 못하게 예컨대 ATM기 보안 철창이나 공항 출입문을 LOCK 상태로 전환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에 의하면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 경찰 등의 보안 관계자가 손쉽게 보안상의 문제가 있는 피사체를 찾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 대상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제 2 카메라(240, 250)를 이용하여 즉각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추가 보안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는 제 2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제어부(220)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부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제 2 카메라(240, 250)가 추적 감시하는 감시 대상 피사체의 화상을 제 2 메모리(230)에 자동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제 2 메모리(230)는 물론이고 제 1 메모리(미도시)는 EPROM, EEPROM, RAM, FLASH 메모리 등을 비롯하여 어떤 종류의 휘발성, 비휘발성 메모리라도 포함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착탈식이나 비착탈식 중 어느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는 웹 하드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은 감시 대상 선별 장치(200)와 접속되는 경보 장치(40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경보 장치(400)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로부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음성, 화상, 진동, SMS 혹은 MMS 메세지 등으로 이루어진 경보 메세지를 발신할 수 있다. 경보 메세지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 것일 수도 있고, 미리 지정된 특정인이나 특정 기관을 상대로 한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스텝 S1 내지 S3까지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측에서 수행된다. 스텝 S1에서 감시 대상 선별 장치(100)의 제 1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카메라(111, 121)를 이용하여 촬영을 개시한다. 여기서 촬영의 개시는 상시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예컨대 ATM기(110, 120)에 사람이 다가옴을 ATM기(110, 120)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 등으로 감지한 때에만 제 1 카메라(111, 121)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텝 S2에서 제 1 제어부(미도시)는 촬영 중인 피사체가 화상 인식 불가한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안면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피사체의 어느 부위를 화상 인식 불가 판정의 기준점으로 삼을지 여부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이 가능하다.
만약 스텝 S2에서 "아니오"라고 판정이 된다면 스텝 S1으로 돌아가 통상적인 피사체 촬영을 계속하고, 스텝 S2에서 "예"라고 판정이 된다면 스텝 S3로 넘어가서 화상 인식이 불가능한 피사체를 감시 대상 피사체로 설정하기 위한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한다.
스텝 S3에서 생성된 감시 대상 선정 신호는 스텝 S4에서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의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고,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20)는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된 때에 제 1 카메라(111, 121)가 촬영한 감시 대상 피사체의 화상을 일종의 디지털 몽타쥬로서 관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S5에서는 감시 대상 피사체에 관한 디지털 몽타쥬와 부합하는 화상 데이터를 가진 피사체가 제 2 카메라(240, 250)의 감시 범위 A, B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감시 대상 피사체를 제 2 카메라(240, 250)로 촬영하는데, 이때에도 스텝 S2와 유사한 방식으로 안면을 매칭하거나 피사체 외형의 3D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몽타쥬와 대비하는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후 스텝 S6에서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200)의 제 2 메모리(230)에 제 2 카메라(240, 250)에 의하여 촬영된 감시 대상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저장한다.
추가적인 보안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스텝 S7로 진행하여 도어락 장치(300)를 기동시키거나, 스텝 S8로 진행하여 경보 장치(400)를 이용해서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설명이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보안 시스템 및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구현예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500)이 반드시 도 2와 같이 구성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이 반드시 도 3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 프로세스를 전부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야만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도 2와는 상이한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도 3과는 상이한 순서 혹은 일부 프로세스가 생략된 순서로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개조,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개조나 변경 사항들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8)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여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 및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감시 범위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한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상기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와 접속되는 도어락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 도어락 기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피사체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미리 정해진 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가 인식 불가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한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한 이후에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했던 피사체에 대한 감시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제 2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상기 제 2 카메라가 추적 감시하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 2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접속되는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 메세지를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적어도 상기 피사체의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이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확인되는지 여부이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기준에 기초한 안면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피사체의 화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및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대상 선별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와 접속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되는 감시 대상 추적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하여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감시 범위가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한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의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제 2 카메라 중 상기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와 접속되는 도어락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가 이동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 도어락 기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가, 상기 제 2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락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피사체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위치하는 상기 소정의 감시 범위를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미리 정해진 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가 인식 불가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한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불가라고 판정한 이후에 상기 복수개의 제 1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인식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했던 피사체에 대한 감시 대상 선정을 취소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추적 장치는 제 2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부가,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상기 제 2 카메라가 추적 감시하는 상기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 2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와 접속되는 경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보 장치가 상기 감시 대상 선별 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대상 선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 메세지를 발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적어도 상기 피사체의 눈, 코, 입 및 얼굴 외곽선이 일정 비율 이상으로 확인되는지 여부이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기준에 기초한 안면 인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메라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5781A KR101165422B1 (ko) | 2011-11-29 | 2011-11-29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CN201280058763.0A CN103959764A (zh) | 2011-11-29 | 2012-11-26 | 利用监视摄像机对判定为无法识别的被摄物体进行追踪监视的安保系统及其安保服务提供方法 |
EP12852915.3A EP2779640A4 (en) | 2011-11-29 | 2012-11-26 | SECURITY SYSTEM FOR PURSUIT AND MONITORING OF A UNSHELLABLE OBJECT USING A MONITORING CAMERA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SERVICE WITH THE SYSTEM |
PCT/KR2012/010032 WO2013081340A1 (ko) | 2011-11-29 | 2012-11-26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BR112014012844A BR112014012844A2 (pt) | 2011-11-29 | 2012-11-26 | sistema de segurança para monitoramento e vigilância de um objeto determinado como irreconhecível, usando uma câmara de vigilância e método para proporcionar serviço de segurança utilizando o sistema |
US14/360,640 US20140320664A1 (en) | 2011-11-29 | 2012-11-26 | Security system for tracking and surveilling an object determined as unrecognizable using a surveillance camera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using th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5781A KR101165422B1 (ko) | 2011-11-29 | 2011-11-29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5422B1 true KR101165422B1 (ko) | 2012-07-13 |
Family
ID=4671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5781A KR101165422B1 (ko) | 2011-11-29 | 2011-11-29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320664A1 (ko) |
EP (1) | EP2779640A4 (ko) |
KR (1) | KR101165422B1 (ko) |
CN (1) | CN103959764A (ko) |
BR (1) | BR112014012844A2 (ko) |
WO (1) | WO201308134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7568B1 (ko) * | 2022-11-02 | 2023-03-09 | (주)천도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한 정보통신 보안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69425A (zh) * | 2015-07-31 | 2015-11-18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视频异常信息提醒方法及装置 |
CN107707808A (zh) * | 2016-08-09 | 2018-02-16 | 英业达科技有限公司 | 摄影系统及摄影方法 |
US10402983B2 (en) | 2016-11-07 | 2019-09-03 | Nec Corporation | Surveillance system using deep network flow for multi-object tracking |
US10347007B2 (en) * | 2016-11-14 | 2019-07-09 | Nec Corporation | Accurate object proposals by tracking detections |
JP6866210B2 (ja) * | 2017-03-31 | 2021-04-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3610459A4 (en) * | 2017-04-14 | 2020-12-02 | Yang Liu | SYSTEM AND APPARATUS FOR CO-ALIGNMENT AND CORRELATION BETWEEN MULTIMODAL IMAGING AND ASSOCIATED PROCESS |
WO2019061332A1 (zh) * | 2017-09-29 | 2019-04-04 | 深圳市莫孚康技术有限公司 | 无线图像视频传输卡及相关产品 |
EP3666594B1 (en) * | 2018-12-12 | 2022-08-10 |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a driver of a vehicle of an object in a proximity of the vehicle |
US11348415B2 (en) * | 2020-03-30 | 2022-05-31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Cognitive automation platform for providing enhanced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security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6203B1 (ko) * | 1999-06-11 | 2002-02-27 | 김운용 | 피부색 및 움직임 자동 추적에 의한 얼굴 촬영/인식방법과 그장치 |
KR19990064414A (ko) | 1999-01-14 | 1999-08-05 | 박광소 | 안면인식을 이용한 은행거래 처리장치의 부정거래 방지방법 |
GB9918248D0 (en) * | 1999-08-04 | 1999-10-06 | Matra Bae Dynamics Uk Ltd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rveillance systems |
KR100382792B1 (ko) * | 2000-08-22 | 2003-05-01 | 김운용 | 지능형 로보틱 카메라 및 그 분산 제어장치 |
GB2371936A (en) * | 2001-02-03 | 2002-08-07 | Hewlett Packard Co | Surveillance system for tracking a moving object |
JP2005012556A (ja) * | 2003-06-19 | 2005-01-13 | Sigma:Kk | 特定対象追跡監視システム |
KR100837406B1 (ko) * | 2006-11-13 | 2008-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
CN100531373C (zh) * | 2007-06-05 | 2009-08-19 | 西安理工大学 | 基于双摄像头联动结构的视频运动目标特写跟踪监视方法 |
JP2008310456A (ja) * | 2007-06-13 | 2008-12-25 |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現金自動預払機システム |
KR100940503B1 (ko) | 2007-07-04 | 2010-02-10 | 주식회사 이루온 | 모바일 실시간 영상과 ucc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
US7864037B2 (en) * | 2008-06-16 | 2011-01-0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attern-driven communication architecture |
KR101037870B1 (ko) | 2009-12-18 | 2011-05-31 | 금미전자(주) | 보안기능을 갖춘 영상전송시스템 |
KR20110088230A (ko) * | 2010-01-28 | 2011-08-0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이동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
2011
- 2011-11-29 KR KR1020110125781A patent/KR101165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1-26 EP EP12852915.3A patent/EP277964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2-11-26 BR BR112014012844A patent/BR112014012844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1-26 CN CN201280058763.0A patent/CN103959764A/zh active Pending
- 2012-11-26 US US14/360,640 patent/US2014032066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1-26 WO PCT/KR2012/010032 patent/WO201308134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7568B1 (ko) * | 2022-11-02 | 2023-03-09 | (주)천도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한 정보통신 보안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81340A1 (ko) | 2013-06-06 |
EP2779640A4 (en) | 2015-08-19 |
BR112014012844A2 (pt) | 2017-06-13 |
CN103959764A (zh) | 2014-07-30 |
US20140320664A1 (en) | 2014-10-30 |
EP2779640A1 (en) | 2014-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5422B1 (ko)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 |
US1067182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FID-based access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 |
CN109815818B (zh) | 目标人物追踪方法、系统及相关装置 | |
US20180027260A1 (en) | Video analytics with pre-processing at the source end | |
US20130188031A1 (en) | Risk recognition method for use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human identification | |
KR101417930B1 (ko) | Cctv 감시장치 지능형 관제시스템 | |
US20240161592A1 (en) | Proactive loss prevention system | |
CN103745538A (zh) | 金融账户的密码保护方法及系统 | |
US201403708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buse of emergency calls placed using smartphone | |
US20180167585A1 (en) | Networked Camera | |
KR100811077B1 (ko)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 |
US20170118446A1 (en) |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N105282700A (zh) | 追踪方法、追踪服务器及追踪系统 | |
KR101404272B1 (ko) | Cctv 감시장치 지능형 관제시스템 제어방법 | |
AU2020200067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Securing and Controlling Mobile Phones Which are Lost (Misplaced\Stolen) | |
CN106296190A (zh) | 一种移动终端的安全支付方法及装置 | |
KR101280353B1 (ko)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상황 인지 이벤트 공조 통보시스템 | |
KR101199418B1 (ko) |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 |
Park et al. | Multi-log analysis platform for supporting public safety service | |
KR101398922B1 (ko)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자동 확인용 ars를 통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1751060B2 (en) |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150137662A (ko) |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0717605B (zh) | 基于区块链的访问信息处理方法及装置 | |
KR101369288B1 (ko) |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Rayte et al. | Crim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by mobi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