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418B1 -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418B1
KR101199418B1 KR1020100100159A KR20100100159A KR101199418B1 KR 101199418 B1 KR101199418 B1 KR 101199418B1 KR 1020100100159 A KR1020100100159 A KR 1020100100159A KR 20100100159 A KR20100100159 A KR 20100100159A KR 101199418 B1 KR101199418 B1 KR 10119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terminal
personal
cctv
safety monitoring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617A (ko
Inventor
권순욱
임정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람이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개인에게 적합한 안전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및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개인 단말;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개인 단말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관리 시스템; 그리고,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가 신청한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개인 단말 소유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관리 시스템에 영상을 제공하는 CCTV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감시 서비스가 신청되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신청한 사람의 개인정보와 함께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이 소지하는 개인 단말에서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개인 단말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관리 시스템이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CTV가 개인 단말 소유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CCTV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ERVICE USING THEROF}
본 발명은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람이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개인에게 적합한 안전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CCTV는 화상정보를 특정의 목적으로 특정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장치로서, CCTV의 가장 큰 설치 목적은 보안 및 감시의 역할이며, 각종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통한 예방과 더불어 사건발생 사후의 대책 차원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는 근래 각종 강력범죄가 증가하고, 테러 등에 대한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범죄예방 및 보안강화를 목적으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설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CCTV 설치로 인해 거리 범죄 발생률 감소와 범죄 발생시 추적이 가능하여 범인 검거와 증거 채택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설치된 도심의 CCTV를 통한 방범 시스템은 공익을 위한 목적으로 도심을 감시하고 범죄 상황을 녹화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언급한 바와 같이 범죄 예방 및 감시의 기능을 하고 있지만 사고 발생 후에 녹화된 영상을 통해 범죄의 유무를 판단하거나 범인들에 대한 단서를 찾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CTV 설치에 소요되는 전체비용에 비해 실제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없으며, 설치 대수가 증감함에 따른 운영비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및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개인 단말;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개인 단말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관리 시스템; 그리고, 상기 개인 단말 소지자가 신청한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개인 단말 소지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관리 시스템에 영상을 제공하는 CCTV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감시 서비스가 신청되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신청한 사람의 개인정보와 함께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이 소지하는 개인 단말에서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개인 단말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관리 시스템이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CTV가 개인 단말 소유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람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개인에게 적합한 안전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비용이 지급될 경우 제공되는 유료 서비스로서 CCTV를 이용한 수익창출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은 크게 개인 단말(100), 서비스 업체의 관리 시스템(200) 그리고, 영상을 제공하는 CCTV(300)로 이루어진다.
개인 단말(100)은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들이 각각 몸에 지니고 다니는 장비로서 서비스 업체에서 개별적으로 지급하는 장치이거나 스마트 폰 또는 일반적인 휴대폰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개인 단말(100)은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개인 단말(100)에는 소유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RFID 태그(110)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입력받아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GPS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개인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송신되거나 개인 단말에 버튼(130)을 설치하고, 버튼(130)이 개인 단말 소유자에 의해 눌려질 경우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개인 단말(100)에 설명한 바와 같이 RFID 태그(110)와, GPS부(120)가 설치될 경우 버튼(130)이 눌려지면 RFID 태그(110)와 GPS부(120)가 동작을 시작하여 개인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가 송신된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각 개인 단말 소유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 ID 정보로서 개인 단말(100)이 휴대폰일 경우 개인정보는 각 개인 단말(100)의 전화번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는 시간과 위치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로서 이를 통해 개인 단말(100) 소지자가 현재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지가 파악된다.
관리 시스템(200)은 안전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설치되는 장비로서 내부에는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들의 개인정보 즉,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각 개인들이 개별적으로 신청한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관리 시스템(200)은 개인 단말(100)에서 송신되는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개인 단말 소유자에게 안전감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개인 단말(100)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3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 단말(100)에 RFID 태그(110)가 설치될 경우 관리 시스템(200)에는 RFID 태그(110)가 송신하는 개인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2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관리 시스템(200)은 개인 단말(100)이 제공하는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개인 단말(100)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될 경우에만 CCTV(300)를 동작시켜 안전감시 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감시 서비스가 모든 사람에 대해 일률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신청한 사람에게만 제공되며,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신청인이 직접 선택하므로 신청인마다 서로 다른 구간 및 시간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퇴근시에 버스나 지하철에서 하차한 후 집에 도착하기까지 어두운 골목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감시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들은 각자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서비스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개인정보와 함께 하차지점에서 집까지 도보로 이동하여야 하는 구간 및 퇴근 시간대를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로 선택하여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하여야 한다. 이때 사람마다 사는 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역시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퇴근시간이 다르거나 새벽에만 안전감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안전감시가 필요한 시간대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각자가 신청한 안전감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별로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를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서비스 개시 전에 개인 단말(100) 소유자의 개인정보를 통해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서비스 신청내용(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을 확인하고, 또한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통해 개인 단말(100) 소지자가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안전감시 서비스는 개인 단말 소유자가 신청한 구간 및 시간대에 제공되므로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이 아니거나 현재 시간이 신청한 시간대가 아닌 경우에는 안전감시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 단말 소유자가 안전감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개인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안전감시 서비스의 시작 여부 즉, CCTV(300)의 동작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안전감시 서비스가 개시되지 못할 경우에는 이에 대한 이유도 함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CCTV(300)는 개인 단말(100) 소지자가 신청한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개인 단말 소지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관리 시스템(200)에 영상을 제공한다. CCTV(300)가 촬영한 영상은 CCTV(300)에 설치되는 송수신 모듈이나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업체의 관리 시스템(200)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CCTV(300)가 촬영한 영상이 관리 시스템(200)에 제공되면 관리 시스템(200)에서는 영상을 확인하여 개인 단말(100) 소유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한편, 개인 단말(100)과 관리 시스템(200)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개인 단말(100)과 CCTV(300)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개인 단말(110)에 RFID 태그(110)가 설치될 때 RFID 리더기는 관리 시스템(200)이 아닌 CCTV(30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CCTV(300)에 설치된 RFID 리더기(310)는 개인 단말(100)에 설치된 RFID 태그(110)가 송신하는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물론, CCTV(300)가 수신하는 개인정보는 CCTV(300)에 설치되는 송수신 모듈이나 별도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시스템(200)으로 다시 전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을 이용해 각 개인에게 안전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서비스 업체에 안전감시 서비스가 신청되면 신청한 사람의 개인정보와 함께 신청된 서비스 내용 즉,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에 대한 정보가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다. 안전감시 서비스는 모든 사람에게 일률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서비스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신청한 사람에게만 제공되는 유료 서비스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사람이 소지하는 개인 단말(100)에서 개인 단말(100)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신된다.
상기 개인 단말(100)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관리 시스템(200)에서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단말(100) 소유자의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된다.
비교 결과 개인 단말(100) 소유자가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관리 시스템(200)은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3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안전감시 서비스가 개시되도록 한다. 이때, 개인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는 안전감시 서비스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개인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안전감시가 필요한 구간이 아니거나 현재 시간이 서비스 시간대가 아닌 것으로 관리 시스템(200)에서 판명되면 안전감시 서비스는 시작되지 않으며, 이 경우 개인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안전감시 서비스가 시작되지 못하는 이유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 시스템(200)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CCTV(300)가 개인 단말(100) 소유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 시스템(200)으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CCTV(300)가 촬영한 영상이 관리 시스템(200)으로 제공되면 관리 시스템(200)에서는 영상을 확인하여 개인 단말(100) 소유자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개인 단말 110: RFID 태그
120: GPS부 130: 버튼
140: 디스플레이 화면 200: 관리 시스템
210: 데이터 베이스 220, 310: RFID 리더기
300: CCTV

Claims (13)

  1.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개인 단말;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상기 소유자의 개인정보, 상기 소유자가 개별적으로 신청한 안전감시가 필요한 위치들의 구간 및 시간대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소유자의 상기 개인정보, 상기 구간 및 상기 시간대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소유자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시간대에 안전감시가 필요한 상기 구간을 통과한다고 인정되면 상기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관리 시스템; 그리고,
    상기 개인 단말의 상기 소유자가 신청한 상기 구간 내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 단말의 상기 소유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관리 시스템에 영상을 제공하는 CCTV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에는 상기 소유자의 상기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에 저장된 상기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RFID 태그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GPS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에는 RFID 태그가 송신하는 개인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에는 상기 RFID 태그와, GPS부를 동작시키는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은 휴대폰이며, 소유자 개인정보는 각 개인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CCTV의 동작 여부를 알려주는 메시지나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7. 안전감시 서비스가 신청되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신청인의 개인정보와 함께 안전감시가 필요한 위치들의 구간 및 시간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안전감시 서비스를 신청한 상기 신청인이 소유하는 개인 단말에서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상기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단계;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청인의 개인정보, 안전감시가 필요한 위치들의 구간 및 시간대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개인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신청인의 개인정보, 안전 감시가 필요한 위치들의 구간 및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관리 시스템이 해당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CCTV가 상기 개인 단말 소유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에는 소유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송신하는 안테나로 구성되는 RFID 태그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입력받아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GPS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에는 상기 RFID 태그와, GPS부를 동작시키는 버튼이 설치되고, 버튼이 눌려질 경우 개인 단말에서 개인 단말 소유자의 개인정보 및 개인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은 휴대폰이며, 소유자 개인정보는 각 개인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CTV가 촬영을 시작하면 개인 단말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CCTV가 작동 중임을 알려주는 메시지나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CCTV에는 RFID 태그가 송신하는 개인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개인 단말에 설치된 RFID가 송신하는 개인 단말 고유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CCTV에는 RFID 태그가 송신하는 개인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되고, 상기 RFID 리더기는 상기 개인 단말에 설치된 RFID가 송신하는 개인 단말 고유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1020100100159A 2010-10-14 2010-10-14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9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59A KR101199418B1 (ko) 2010-10-14 2010-10-14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159A KR101199418B1 (ko) 2010-10-14 2010-10-14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17A KR20120038617A (ko) 2012-04-24
KR101199418B1 true KR101199418B1 (ko) 2012-11-09

Family

ID=4613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159A KR101199418B1 (ko) 2010-10-14 2010-10-14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4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69B1 (ko) 2012-12-26 2014-08-26 김종율 전화단말을 이용한 주변상황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KR102546661B1 (ko) 2022-11-09 2023-06-22 김병준 엣지 ai 기술 기반의 객체 식별 및 사전 경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604710B1 (ko) 2023-05-04 2023-11-22 김병준 엣지 ai 기반의 건물 화재 안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04716B1 (ko) 2023-05-04 2023-11-23 김병준 Edge AI 기반의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63Y1 (ko) * 2006-05-03 2006-07-14 황기현 Rfid 인증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982398B1 (ko) * 2010-02-23 2010-09-14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63Y1 (ko) * 2006-05-03 2006-07-14 황기현 Rfid 인증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982398B1 (ko) * 2010-02-23 2010-09-14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69B1 (ko) 2012-12-26 2014-08-26 김종율 전화단말을 이용한 주변상황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KR102546661B1 (ko) 2022-11-09 2023-06-22 김병준 엣지 ai 기술 기반의 객체 식별 및 사전 경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604710B1 (ko) 2023-05-04 2023-11-22 김병준 엣지 ai 기반의 건물 화재 안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04716B1 (ko) 2023-05-04 2023-11-23 김병준 Edge AI 기반의 산업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17A (ko)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5605T3 (es) Estación de carga para vehículos eléctricos con cámara integrada
KR100383870B1 (ko)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리 방법
US10911946B2 (en) Local unit for monitoring the maintenance of an item of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a task on the item of equipment
KR101265456B1 (ko)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111976A (ko) 주차 미터기 시스템
KR101165422B1 (ko)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 불가라고 판정된 피사체를 추적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US11495059B2 (en) Parking methods and systems
WO2008004578A1 (fr) Système, dispositif et procédé de surveillance
KR101199418B1 (ko)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Fikri et al. Smart parking area management system for the disabled using IoT and mobile application
KR102016089B1 (ko) 전화 자동응답시스템 겸 Web기반 보이는 ARS를 이용한 주차면 공유 시스템
JP6483414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JP6534801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KR102093650B1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63915B1 (ko)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171909B1 (ko) 주차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6163788A (ja) 入場者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JP2016103670A (ja) 画像管理システムおよび監視カメラ
KR101613623B1 (ko)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led 방범시스템 및 방법
JP6356566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
KR102329446B1 (ko) 스마트 전자 장치 시스템
JP7003206B2 (ja) 通報処理システム
KR20010092382A (ko)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JP2007295137A (ja) 設置型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端末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