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382A -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382A
KR20010092382A KR1020010014038A KR20010014038A KR20010092382A KR 20010092382 A KR20010092382 A KR 20010092382A KR 1020010014038 A KR1020010014038 A KR 1020010014038A KR 20010014038 A KR20010014038 A KR 20010014038A KR 20010092382 A KR20010092382 A KR 20010092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monitoring terminal
user
portable monitoring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용
Original Assignee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호
Publication of KR2001009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2Graphic User Interface [GUI] presenting system data to the user, e.g. information on a screen helping a user interacting with an alarm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네트웍 접속수단 및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소정 요구 신호가 있으면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정보를 네트웍 접속수단을 통해 네트웍으로 전송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중 하나를 입력받으면, 해당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연결하여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화성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화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remote ala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 화상정보가 입력되는 단말기를 설치하고 네트웍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이 급속히 전파됨에 따라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화상정보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기존 화상정보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와 개인용 컴퓨터를 기반으로하여 동작하므로 인터넷의 연결은 용이하나 카메라와 개인용 컴퓨터를 함께 설치해야만 화상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가정이나 상점 등에 간단하게 모뎀과 카메라를 설치하고 전화선을 이용하여 화상을 전송함으로써 일대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전용 프로그램으로 해결이 가능하나, 국내외에서 카메라와 직접 연결하려면 전용 프로그램을 가진 개인용 컴퓨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용도가 낮아지게되며 전화요금 등의 비용도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이 없이도 시내 전화요금 정도의 저렴한 비용으로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가정이나 상점과 같은 원격지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지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원격지의 화상정보를 네트웍을 통해 전송하는,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하여 원격지를 감시하고, 침입자가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원격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네트웍 접속수단 및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요구 신호가 있으면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정보를 상기 네트웍 접속수단을 통해 네트웍으로 전송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중 하나를 입력받으면, 해당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연결하여 상기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 연결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기반으로하여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소정 장소에 대한 모니터링 요구신호를 받는 단계;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해당 장소에 대한 화상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전송 받은 화상정보를 소정 처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 연결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기반으로하여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모니터링 장소, 녹화 시간 및 사용자 구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녹화시간이 되면 상기 모니터링 장소에 위치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접속하고,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화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계에서 저장된 화상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다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한 후 해당 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센싱수단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 연결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중 사용자가 지정한 장소에 대한 경보 요구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의 센싱수단이 침입자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저장된 화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화상을 저장하고, 등록한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른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Portable Digital Monitoring System, PDMS, 10), 제2PDMS(20), 제3PDMS(30),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100), 화상정보 제공 서버(110), 인터넷(120), 인터넷(120)에 연결된 컴퓨터(130, 131) 또는 무선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각 PDMS(10, 20, 30)는 임의의 원격지에 설치된다. 무선 단말기(140)는 화상정보의 송수신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제1PDMS(10)는 카메라(11), 제어부(12), 저장부(13) 및 유선모뎀(14)을 구비하고 센서(15) 또는 디스플레이부(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PDMS(20)는 카메라(21), 제어부(22), 저장부(23) 및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지원부(24)를 구비하고, 센서(25) 또는 디스플레이부(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PDMS(30)는 카메라(31), 제어부(33), 저장부(33) 및 무선 모뎀(34)을 구비하고, 센서(35) 또는 디스플레이부(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화상정보 제공 서버(110)는 모뎀 서버(111), 데이터 베이스(112) 및 웹 서버(113)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130, 131)를 통해 웹서버(113)로 접속한다(200단계). 접속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모니터링하고자하는 장소를 선택한다(202단계). 웹서버(113)는 선택된 장소에 설치된 PDMS가 제1PDMS(10)이면 모뎀서버(111) 및 PSTN(100)를 통해 연결하고, 제2PDMS(20) 또는 제3PDMS(30)이면 인터넷(120)을 통해 연결한다(204단계).
연결이 완료되면, 제1PDMS(10)의 경우 제어부(12)는 카메라(1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유선모뎀(14) 및 PSTN(100)을 통해 모뎀서버(111)로 전송한다. 모뎀서버(111)는 전송되어온 화상정보를 압축과 같은 소정 처리과정을 거쳐서 데이터베이스(DB, 112)에 저장한다(206단계). 이 때, 저장되는 화상정보는 어느 형식이나 가능하며, 예를 들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웨이브릿(Wavelet)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일 수 있다.
제2PDMS(20)의 경우, 연결이 완료되면 제어부(22)는 카메라(2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TCP/IP지원부(24) 및 인터넷(120)을 통해 웹서버(113)로 전송한다. 웹서버(113)는 전송되어온 화상정보를 소정 처리과정을 거쳐서 DB(112)에 저장한다.
제3PDMS(30)의 경우, 연결이 완료되면 제어부(32)는 카메라(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무선모뎀(34) 및 인터넷(120)을 통해 웹서버(113)로 전송한다. 웹서버(113)는 전송되어온 화상정보를 소정 처리과정을 거쳐서 DB(112)에 저장한다.
각 PDMS(10, 20, 30)의 디스플레이부(16, 26, 36)는 각 카메라(11, 21, 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각 센서(15, 25, 35)는 침입자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웹 서버(113)는 DB(112)에 저장된 화상정보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208단계).
이러한 원격지 모니터링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예약을 통해 원하는 시간의 영상을 DB(112)에 저장시키고, 나중에 저장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도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특정 원격지의 모니터링하고자하는 경우 사용자는 미리 예약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원격지에 대한 화상정보를 DB(112)에 저장한 다음, 추후에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전화번호,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중인 700국번과 같은 전화번호 혹은 모뎀서버(111)의 대표전화로 전화를 걸고 원하는 원격지 혹은 그 원격지에 배치된 PDMS의 구별정보, 예약 녹화 시작 및 종료 시간 그리고 사용자 구별정보 등을 전송한다. 예약은 전화로도 가능하고, 컴퓨터(130, 131)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모뎀서버(111) 또는 웹 서버(113)는 상술한 예약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예약에 관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모뎀서버(111) 또는 웹 서버(113)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이를 상기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저장이 완료된 후, 예약된 시간이 되면 모뎀서버(111) 또는 웹 서버(113)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원격지의 PDMS로 전화를 걸고, 그 PDMS로부터 화상정보를 전송받아서 DB(112)에 저장한다. 화상정보의 전송횟수 또는 전송될 프레임 수 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규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후에 자신의 컴퓨터(130, 131) 또는 무선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웹 서버(113)에 접속한 다음, DB(112)로부터 자신이 예약한 화상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도 3에 도시된 원격지 모니터링 방법을 기반으로하여 도 2의 화상정보 제공 서버(110)는 원격지 모니터링 포탈(portal)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청이나 시청과 같은 공공장소, 백화점이나 상가, 영화관이나 연극을 공연하는 장소 등에 PDMS(10, 20, 30)를 설치하고, PDMS(10, 20, 30)를 화상정보 제공 서버(110)에 연결함으로써 현재 이용하고자하는 장소의 혼잡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PDMS(10, 20, 30)를 명승지나 고적지, 혹은 식물원, 동물원 등지에 설치함으로써 시간 및 이동경로의 제약으로 방문이 어려운 장소들에 대해 학생들의 현장체험을 대신할 수 있다.
또는 PDMS10, 20, 30)를 집이나 집안행사가 벌어지는 장소에 설치하여 직장인이나 출타중인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행사의 진행상황을 보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원격 경보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웹 서버(113)에 접속하고, 각 PDMS(10,20,30)중 원하는 PDMS를 지정하여 등록하고 경보를 요구한다(300단계). 웹 서버(113)는 이를 해당 PDMS에 알리고, 해당 PDMS는 내장된 센서를 통해, 또는 제어부가 카메라로부터 소정 시간차를 두고 입력되는 화상중 이전 시간 화상과 현재 시간 화상을 비교하여 침입자가 있음을 센싱한다(301단계). 해당 PDMS의 제어부는 센싱 신호를 네트웍 접속 수단, 즉 유선모뎀(14), TCP/IP지원부(24) 또는 무선모뎀(34)을 통해 화상정보 제공서버(110)로 전송한다. 또한, 해당 PDMS의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화상을 저장부에 저장한다(302단계). 해당 PDMS의 제어부는 저장된 화상을 모뎀서버(111) 또는 웹서버(113)에 전송하고, 모뎀서버(111) 또는 웹서버(113)는 전달된 화상을 소정 처리하여 DB(112)에 저장한다(306단계). 또한, 웹서버(113)는 상기 센싱 신호가 입력되면, 센싱 신호를 발생한 PDMS에 대해 등록한 사용자에게 무선 단말기 등을 통하여 침입자가 센싱되었음을 알린다(308단계).
침입자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140) 혹은 컴퓨터(130, 131)를 통하여 웹서버(113)에 접속하면, 웹서버(113)는 DB(112)에 저장된 해당 화상정보를 웹 부라우저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310단계).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원격 경보 방법은 개인용 또는 서버 컴퓨터급의 컴퓨터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코드 세그멘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독취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기록매체, 광기록매체 및 전파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망으로 연결된 기기들내에서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화성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화상정보를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화상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술한 원격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현장의 상황을 중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경보 방법은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가 침입자를 센싱하면 이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에게 센싱결과를 알림으로써 원격지에 대한 방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네트웍 접속수단 및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요구 신호가 있으면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정보를 상기 네트웍 접속수단을 통해 네트웍으로 전송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중 하나를 입력받으면, 해당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연결하여 상기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웍 접속 수단은
    공중전화망과 접속하는 유선 모뎀인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요구신호를 상기 유선모뎀으로 전송하고,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상기 유선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정보를 소정 처리하는 모뎀 서버;
    상기 모뎀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요구 신호를 상기 모뎀 서버에 연결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상기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웹 서버를 구비하는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웍 접속 수단은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TCP/IP를 지원하는 TCP/IP 지원부인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인터넷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모뎀인 원격지 모니터링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요구신호를 상기 TCP/IP 지원부 또는 무선 모뎀으로 전송하고, 상기 TCP/IP 지원부 또는 무선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정보를 소정처리하여 출력하며, 상기 요구신호에 따른 화상정보를 소정 장소로부터 가져와서 상기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웹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서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요구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정보를 상기 웹 서버로 출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화상정보 제공 시스템.
  7.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 연결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기반으로하여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소정 장소에 대한 모니터링 요구신호를 받는 단계;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해당 장소에 대한 화상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전송 받은 화상정보를 소정 처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지 모니터링 방법.
  8.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센싱수단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 연결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중 사용자가 지정한 장소에 대한 경보 요구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지정된 장소에 설치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의 센싱수단이 침입자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는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고, 저장된 화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온 화상을 저장하고, 등록한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경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등록한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 요구 신호를 받으면, 저장된 해당 화상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원격 경보 방법.
  10. 적어도 한 장소에 설치되고, 적어도 카메라 및 네트웍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 및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와 네트웍을 통해 연결되는 화상정보 제공 서버를 기반으로하여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모니터링 장소, 녹화 시간및 사용자 구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상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녹화시간이 되면 상기 모니터링 장소에 위치한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에 접속하고, 상기 휴대형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화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계에서 저장된 화상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다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한 후 해당 화상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0010014038A 2000-03-21 2001-03-19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KR20010092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4269 2000-03-21
KR1020000014269 2000-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382A true KR20010092382A (ko) 2001-10-24

Family

ID=1965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038A KR20010092382A (ko) 2000-03-21 2001-03-19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23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547A (ko) * 2002-04-11 2003-10-22 박수복 웹카메라의 선택적 이용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
KR20040033933A (ko) * 2002-10-16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감시 및 관찰 현장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82537B1 (ko) * 2001-04-14 2005-04-14 (주)크립토텔레콤 네트워크 상에서의 영상 모니터링 및 홈 오토메이션 장치및 방법
CN112399088A (zh) * 2021-01-20 2021-02-23 高拓讯达(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双网络协议栈的无线网络摄像机图像传输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537B1 (ko) * 2001-04-14 2005-04-14 (주)크립토텔레콤 네트워크 상에서의 영상 모니터링 및 홈 오토메이션 장치및 방법
KR20030081547A (ko) * 2002-04-11 2003-10-22 박수복 웹카메라의 선택적 이용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
KR20040033933A (ko) * 2002-10-16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감시 및 관찰 현장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399088A (zh) * 2021-01-20 2021-02-23 高拓讯达(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双网络协议栈的无线网络摄像机图像传输方法
CN112399088B (zh) * 2021-01-20 2021-04-13 高拓讯达(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双网络协议栈的无线网络摄像机图像传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241B2 (en) Apparatus for citizen requests for assistance
KR200300473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GB2421391A (en) Image providing service system
JP4458729B2 (ja) カメラ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KR101420006B1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3933A (ko) 감시 및 관찰 현장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5013620A1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3739736B2 (ja) 見学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2248967A (ja) セキュリティ確保型リモート監視装置および方式
KR20010092382A (ko) 원격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기반으로하는 원격 경보 방법
KR101199418B1 (ko) Cctv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서비스 제공방법
JP6534801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JP2003252540A (ja) エレベータ画像監視装置
JP6483414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JP200216521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に防犯監視システムの基本機能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JP6713502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JP39275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4021604A (ja) 監視システム
JP2004064276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60102922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홈 영상데이터 서비스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JP4553221B2 (ja) 監視通報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監視通報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
JP2001266296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
JP6356566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
JP7003206B2 (ja) 通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