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830B1 -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830B1
KR101025830B1 KR1020090011868A KR20090011868A KR101025830B1 KR 101025830 B1 KR101025830 B1 KR 101025830B1 KR 1020090011868 A KR1020090011868 A KR 1020090011868A KR 20090011868 A KR20090011868 A KR 20090011868A KR 101025830 B1 KR101025830 B1 KR 10102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door
fingerprint recognition
information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642A (ko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 이니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니투스 filed Critical (주) 이니투스
Priority to KR102009001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8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에 설치되며, 지문인식부와, 지문인식부에 피 접촉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및 도어 로킹결합부를 가지는 도어로킹장치와; 도어 외측에서의 방문자의 방문여부를 인식하는 방문자 인식부와; 방문자 인식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출력하여 실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출력장치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방문자가 지문인식부를 통해 지문인식 확인절차를 수행한 뒤 방문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지문인식모드를 수행하고, 방문허가 대상자 정보를 가지는 홈서버장치와; 방문자의 방문정보 및 홈서버장치를 통해 획득된 방문자의 지문인식정보를 전달받아 각 세대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관리서버와; 각 세대별 방문자 정보를 홈서버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이 개시된다.
지문인식, 도어, 로킹, 홈서버, 통합관리서버

Description

지문인식 방범시스템{A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recognition of a fingerprint}
본 발명은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문자가 직접 자신의 지문을 인식시킨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하고 도시화됨으로써 도둑, 강도를 비롯하여 강력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현상에 따라서 각 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침입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범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범시스템으로는 주택, 아파트와 같은 주거시설 또는 사무실의 현관 등에 설치되어 무단출입자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개폐용 전자식 도어록 장치가 있다. 이러한 전자식 도어록 장치는 대부분이 비밀번호 입력방식, 근접식 카드인식, 리모트컨트롤러, 지문인식, 홍체인식 등의 전자인식 방식을 사용하여 기계식 키가 없어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어록 장치들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치이지만 방문자가 방문을 하였을 경우, 방문자의 신원을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 점이 있다. 더욱이 낯선 방문자 중에는 도어가 폐쇄된 경우에는 자신의 신분을 속여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도어가 개방된 후 강도 등으로 돌변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범죄를 경험한 피해자들은 물질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큰 피해를 입게 되어 오랜 시간 정신적 고통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방문자의 신원을 확실하게 파악하고, 신원이 정확하게 파악된 방문자에 의해서만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죄 예방은 물론, 안전한 주거생활 등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방문자의 신원을 확실하게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게 방문자를 상대할 수 있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은, 도어에 설치되며, 지문인식부와, 상기 지문인식부에 피 접촉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및 도어 로킹결합부를 가지는 도어로킹장치와; 상기 도어 외측에서의 방문자의 방문여부를 인식하는 방문자 인식부와; 상기 방문자 인식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출력하여 실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출력장치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방문자가 상기 지문인식부를 통해 지문인식 확인절차를 수행한 뒤 방문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지문인식모드를 수행하고, 방문허가 대상자 정보를 가지는 홈서버장치와; 상기 방문자의 방문정보 및 상기 홈서버장치를 통해 획득된 방문자의 지문인식정보를 전달받아 각 세대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관리서버와; 각 세대별 방문자 정보를 상기 홈서버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로킹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로킹장치 본체와; 상기 로킹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도어의 틀에 로킹 및 해제동작 가능한 로킹결합부와; 상기 로킹장치 본체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결합부의 수동모드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로킹결합부를 로킹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지문인식부 및 접촉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감지센서는 상기 지문인식부에 결합되는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방문자 인식부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에 설치되며, 카메라와 스피커 및 초인종버튼을 가지는 비디오폰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홈서버장치는, 방문가능자에 대한 지문인식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사용자가 상기 도어로킹장치의 해제신호를 입력하거나, 로킹상태에서 상기 도어로킹장치에 의한 자동 지문인식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도어로킹장치, 상기 출력장치,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감시용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지문인식모드 전환신호 입력시, 방문자가 상기 도어로킹장치를 통해 지문을 확인받도록 하고, 방문자의 지문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문가능자의 지문인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도어로킹장치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의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방문자에게 지문인식 가능한 상태일 때까지 지문확인 안내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인식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방문자의 인식된 지문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방문자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도어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며, 초인종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초인종버튼과 함께 구비되어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초인종버튼과 함께 구비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부재시 방문자의 방문이 확인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원격지의 사용자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방문가능자 안면인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방문자의 방문확인시 상기 카메라를 구동제어하여 방문자의 안면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의 안면인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가능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문가능자 안면인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로킹장치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방문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없을 경우, 방문자에게 안면인식 가능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방문자의 방문정보 및 획득된 영상을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에 따르면, 방문자의 지문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원격지의 통합관리서버에 별도로 저장하여 방문자의 신원을 확보하고, 신원확인이 된 경우에 방문자 스스로가 도어를 열고 들어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낯선 방문자가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도어가 열린 후 침입자로 돌변하는 등의 범죄 행위를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안전한 생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은, 도어로킹장치(100)와, 방문자 인식부(200)와, 출력장치(300)와, 홈서버장치(400)와, 통합관리서버(500)와, 감시용 컴퓨터(600)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로킹장치(100)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설치되는 로킹장치 본체(110)와, 로킹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도어(10)의 도어틀(20)에 로킹 및 해제동작 가능한 로킹결합부(120)와, 로킹장치 본체(110)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킹결합부(120)의 수동모드시 회전동작에 의해 로킹결합부(120)를 로킹해제시키는 손잡이(130)와, 지문인식부(140) 및 접촉감지센서(150)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장치 본체(110)는 도어(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디지털 도어록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부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11)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결합부(120)는 디지털도어록과 유사하게 출몰가능한 로커(121) 및 로커(121)를 출몰 가능하게 작동시키는 작동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23)는 전자식으로 로커(12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수동모드시에는 동작이 해제되고 손잡이(130)의 동작에 연동하여 로커(121)가 출몰동작 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에 연동하여 로커(121)가 동작되도록 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도어 손잡이나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123)는 상기 로커(121)를 전자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전자석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동작은 상기 홈서버장치(4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또는 상기 키입력부(111)를 통한 입력신호에 의해 동작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는 로킹장치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동모드시에 손잡이(130)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로킹결합부(120)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에는 상기 지문인식부(140)와 접촉감지센서(150)가 설치된다. 즉, 사람이 손잡이(130)를 잡았을 때 엄지손가락이 닿는 위치(회전 중심부분)에 지문인식부(1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문인식부(140)는 접촉감지센서(150)와 함께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사람이 손잡이(130)를 손으로 잡게 되면, 자연스럽게 엄지손가락이 지문인식부(140)와 접촉감지센서(150) 부분에 닿게 되어 지문인식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감지센서(150)는 지문인식부(140)와 함께 설치됨으로써 지문인식부(140)에 손가락이 닿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접촉감지센서(150)에서는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문인식부(140)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방문자가 장갑을 착용하고 있거나, 또는 다른 신체부위나 물건 등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재차 지문확인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문자 인식부(200)는 도어(10)의 외측에서 방문자의 방문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10)를 기준으로 실외의 벽면에 설치되는 비디오폰(210)과, 도어(10)에 설치되는 충격감지센서(220)를 구비한다. 상기 비디오폰(210)은 카메라(211)와, 스피커(212) 및 초인종버튼(213)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211)는 방문자가 초인종버튼(213)을 누르거나, 또는 도어(10)를 두르기거나 하여 충격감지센서(220)에서 충격을 감지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작동됨으로써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212)는 실내의 홈서버장치(400) 및 통합관리서버(500)와 연결되어 실내의 사용자 또는 통합관리서버(500)로부터 전달되는 안내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14)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내의 사용자 또는 통합관리자가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상기 초인종버튼(213)을 방문자가 누름으로써 실내의 홈서버장치(400)와 연결된 출력장치(300)로 방문자의 방문사실이 출력되고, 통합관리서버(500) 및 감시용 컴퓨터(600)로부터 전달된다.
상기 접촉감지센서(150)는 도어(10)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도어를 두드리거나 충격을 가했을 때 그 충격을 감지함으로써 방문자를 포함하여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300)는 방문자 인식부(2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LCD(310), 스피커(320), 입력부(330) 및 마이크(340)를 구비한다. 상기 LCD(310)를 통해서는 방문자를 촬영한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입력부(330)의 경우에는 통상의 비디오폰의 기능과 같이 도어의 개폐기능을 위한 버튼, 폰기능을 위한 숫자버튼, 비상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서버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방문자가 지문인식부(140)를 통해 지문인식 확인절차를 수행한 뒤 방문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10)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지문인식모드를 수행한다. 이러한 홈서버장치(400)는 저장부(410)와, 입력부(420)와, 송/수신부(430)와, 제어부(440)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부(410)에는 방문가능자에 대한 지문인식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410)에는 방문가능자의 안면인식정보가 저장되며, 지문인식모드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안내메시지정보 즉, 음성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420)는 사용자가 도어로킹장치(100)의 로킹결합부(120)의 해재신호를 입력하거나, 로킹상태에서 도어로킹장치(100)에 의한 자동 지문인식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420)에는 각각의 모드 즉, 지문인식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지문인식모드 전환버튼과,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로킹결합부(120)의 로킹 및 해제를 제어하도록 하는 수동모드 전환버튼 및 로킹결합부의 로킹 및 해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430)는 도어로킹장치(100), 출력장치(300), 통합관리서버(400) 및 감시용 컴퓨터(6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함으로서 필요한 정보를 상호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방문자의 방문사실정보와, 방문자의 지문인식정보 및 안내메시지정보 등이 상호 간에 송/수신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40)는 지문인식모드시, 방문자가 도어로킹장치(100)를 통해서 지문을 확인받도록 하고, 방문자의 지문이 저장부(410)에 저장된 방문 가능자의 지문인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도어로킹장치(100)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40)는 접촉감지센서(150)를 통해 방문자가 지문인식을 위해 손가락을 접촉시킨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도 방문자의 지문이 인식되지 않을 경우, 방문자에게 지문인식 가능한 상태로 손가락을 지문인식부(140)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안내메시지를 상기 스피커(21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방문자의 인식된 지문정보와 함께 방문정보(날짜, 시간 등)를 저장부(410)에 저장시키고, 송/수신부(430)를 통해서 통합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40)는 사용자(집주인)의 부재시 방문자의 방문이 확인되면, 송/수신부(430)를 통해 원격지의 사용자 통신단말기(710) 및 통합관리서버(500) 각각으로 방문사실을 알린다. 따라서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는 무선통신사업자 기지국(720)을 통해 자신의 집의 홈서버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방문자 방문확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40)는 카메라(211)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방문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없을 경우, 방문자에게 안면인식 가능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메시지를 스피커(21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획득된 안면인식정보가 저장부(410)에 저장된 방문가능자 안면인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비교/판단결과에 따라서 도어로킹장치(100)를 통해 도어(10)의 개방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획득된 안면인식정보(영상정보) 및 방문자 정보를 함께 통합관리서버(500) 및 감시용 컴퓨터(600) 각각으로 전송한다.
상기 통합관리서버(500)에서는 각 세대별로부터 전달되는 방문자 관련 정보 및 방문가능자 관련정보 등이 저장되며, 실시간으로 각 세대별로 방문자의 방문사실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각 세대별로 방문자관련정보를 저장하게 됨으로써, 낯선 방문자의 신원을 확실하게 파악하여 안전하게 도어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고, 추후 증거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감시용 컴퓨터(600)의 경우에는 방범 관리업체 또는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가구인 경우에는 관리실에 설치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각 세대별로 방문자의 방문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20)에는 도어(1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센서(8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센서(800)는 도어(10)가 열린 상태인지 아니면 닫힌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4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440)는 도어센서(800)로부터 전달된 도어 개폐정보에 따라서 지문인식모 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즉,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는 지문인식 및 안면인식 모드를 중지시킨 오프(OFF)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방문자가 손잡이(130)를 잡더라도 지문인식은 물론 접촉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물론, 카메라(211)를 통해 입수된 영상정보를 무시하고 안면인식 확인과정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도어(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을 이용한 방범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방문자 인식부(200)를 통해서 방문자 호출정보를 수신한다(S10). 즉, 방문자가 초인종버튼(213)을 누르거나, 도어(10)를 두드리게 되면, 이를 감지한 정보가 상기 홈서버장치(400)로 전달되고, 이와 함께 출력장치(300)로도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홈서버장치(400)의 제어부(440)는 미리 설정된 모드가 안면인식기능인지 확인하고(S11), 그렇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지문인식모드로 전환한다(S12).
제어부(440)는 전환된 지문인식모드의 진행순서에 따라서 먼저, 외부의 스피커(212)를 통해 예를 들어 " 방문객께서는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지문인식을 확인받으신 후, 직접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어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다(S13).
안내메시지를 전달받은 방문자가 도어로킹장치(100)의 손잡이(130)를 잡게 되면 접촉감지센서(150) 즉, 압전센서에서는 방문자의 손이 지문인식부(140) 부분 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4). 압전센서에서 방문자의 접촉이 확인될 경우, 지문인식부(140)에서는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판독하여 지문인식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5). 그리고 지문이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지문인식 불가능 정보가 제어부(440)로 전달되고, 제어부(440)에서는 다시 한번 음성 안내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에는 예를 들어 " 장갑 등을 착용하신 경우 지문인식이 불가능하므로 장갑 등을 제거한 뒤 다시 한번 지문인식을 확인받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5)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인식된 지문인식정보는 제어부(440)로 전달되고, 제어부(440)에서는 인식된 지문인식정보를 저장부(410)에 저장한다(S16). 또한, 제어부(440)는 전달받은 방문자의 지문인식정보를 통합관리서버(500)로 전달하여 원격지의 통합관리서버(500)에서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S17).
그리고 제어부(440)는 인식된 지문정보가 저장부(410)에 저장되어 있는 방문가능자(출입허가자)의 지문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게 된다(S18).
상기 단계(S18)에서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40)는 출입 허가정보를 도어로킹장치(100)로 전송한다(S19). 출입 허가정보를 전달받은 도어로킹장치(100)의 로킹결합부(120)에서는 로킹상태를 해제한다(S2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방문자에게 예를 들어 "출입이 허가되셨으니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고 들어오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S20).
그러면 안내메시지를 전달받은 방문자가 손잡이(130)를 잡고 회전시키면 수동으로 도어(10)가 수동으로 개폐되어, 방문자가 스스로 도어를 열고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S22).
이와 같이 낯선 방문자는 지문인식 과정을 거쳐서 본인이 직접 도어를 열고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확인되지 않은 낯선 방문자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집안의 사용자가 도어를 열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방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인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열어주거나, 또는 지문인식모드 또는 안면인식모드를 진행하지 않고 출력장치(300)의 입력부(330)를 조작하여 집안에서 도어를 열어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8)에서 인식된 지문정보가 출입허가자 지문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40)는 사용자 즉, 집안의 사람에게 호출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23). 여기서 상기 호출정보는 출력장치(300)를 통해서 집안의 사람에게 알릴 수도 있고, 무선통신사업 기지국(710)을 통해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720)로 송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문인식확인된 방문자가 출입허가자 명단이 아닌 경우, 그에 따른 후속조치 예를 들어, 도어폰을 통한 용무 확인작업, 또는 침입자에 대해서 관리실 또는 경찰서 등에 신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S11)에서 안면인식모드(기능)로 설정된 것이 확인될 경우, 제어부(440)는 카메라(211)를 통해 방문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S31).
그리고 제어부(440)는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안면인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제어부(440)는 안면인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 커(212)를 통해서 방문자에게 "얼굴에 착용하신 것을 제거하신 후 카메라를 향하여 응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방문자가 안면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자세 및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한다(S33).
그리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안면인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40)는 촬영정보를 저장부(410)에 저장하고(S34), 또한 원격지의 통합관리서버(500)로도 촬영정보를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S35).
이어서 제어부(440)는 전달받은 촬영정보(안면인식정보)가 저장부(410)에 저장된 출입허가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판단한다(S36).
비교결과 일치할 경우, 앞서 설명한 단계들(S19,S20,S21,S22)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비교결과 불일치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호출정보를 송신한다(S2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의 경우에는, 방문자에게 지문인식을 요구하고, 그 요구한 바에 따라서 방문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을 저장된 허가자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판단하여 출입을 허가할 수 있고, 출입을 허가받은 방문자는 스스로 도어의 손잡이를 동작시켜 직접 도어를 열고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방범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홈서버장치 및 도어로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로킹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시스템을 이용한 방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도어 20..도어틀
100..도어로킹장치 110..도어로킹장치 본체
120..로킹결합부 130..손잡이
140..지문인식부 150..접촉감지센서
200..방문자 인식부 210..비디오폰
220..충격감지센서 300..출력장치
400..홈서버장치 410..저장부
420..입력부 430..송/수신부
440..제어부 500..통합관리서버
600..감시용 컴퓨터

Claims (11)

  1. 도어에 설치되며, 지문인식부와, 상기 지문인식부에 피 접촉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 및 도어 로킹결합부를 가지는 도어로킹장치와;
    상기 도어 외측에서의 방문자의 방문여부를 인식하는 방문자 인식부와;
    상기 방문자 인식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출력하여 실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출력장치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방문자가 상기 지문인식부를 통해 지문인식 확인절차를 수행한 뒤 방문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지문인식모드를 수행하고, 방문허가 대상자 정보를 가지는 홈서버장치와;
    상기 방문자의 방문정보 및 상기 홈서버장치를 통해 획득된 방문자의 지문인식정보를 전달받아 각 세대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통합관리서버와;
    각 세대별 방문자 정보를 상기 홈서버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용 컴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로킹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로킹장치 본체와, 상기 로킹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도어의 틀에 로킹 및 해제동작 가능한 로킹결합부와, 상기 로킹장치 본체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결합부의 수동모드시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로킹결합부를 로킹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지문인식부 및 상기 접촉감지센서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는 상기 지문인식부에 결합되는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식부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에 설치되며, 카메라와 스피커 및 초인종버튼을 가지는 비디오폰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장치는,
    방문가능자에 대한 지문인식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사용자가 상기 도어로킹장치의 해제신호를 입력하거나, 로킹상태에서 상기 도어로킹장치에 의한 자동 지문인식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도어로킹장치, 상기 출력장치, 상기 통합관리서버 및 감시용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송/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지문인식모드 전환신호 입력시, 방문자가 상기 도어로킹장치를 통해 지문을 확인받도록 하고, 방문자의 지문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문가능자의 지문인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도어로킹장치의 로킹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문자의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방문자에게 지문인식 가능한 상태일 때까지 지문확인 안내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인식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방문자의 인식된 지문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도어의 외측 주변에 설치되며, 초인종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인종버튼과 함께 구비되어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상기 초인종버튼과 함께 구비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부재시 방문자의 방문이 확인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원격지의 사용자 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 각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방문가능자 안면인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방문자의 방문확인시 상기 카메라를 구동제어하여 방문자의 안면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의 안면인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가능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문가능자 안면인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로킹장치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방문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없을 경우, 방문자에게 안면인식 가능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방문자의 방문정보 및 획득된 영상을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20090011868A 2009-02-13 2009-02-13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102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868A KR101025830B1 (ko) 2009-02-13 2009-02-13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868A KR101025830B1 (ko) 2009-02-13 2009-02-13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42A KR20100092642A (ko) 2010-08-23
KR101025830B1 true KR101025830B1 (ko) 2011-03-31

Family

ID=4275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68A KR101025830B1 (ko) 2009-02-13 2009-02-13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8966A (zh) * 2016-01-11 2016-04-13 成都互触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远程报警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27B1 (ko) * 2012-12-31 2014-08-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가정보안방법
KR101446416B1 (ko) * 2013-02-26 2014-10-01 주식회사 현대아이비스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CN108429899A (zh) * 2017-10-30 2018-08-2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汕尾供电局 一种调查取证装置
KR102167169B1 (ko) * 2020-03-30 2020-10-16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내 통합 보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871A (ja) * 2002-06-12 2004-01-15 Creer:Kk 防犯システム
JP2008059327A (ja) 2006-08-31 2008-03-13 Aiphone Co Ltd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80045340A (ko) * 2006-11-20 2008-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9888B1 (ko) * 2007-12-21 2008-11-24 (주)참슬테크 세대현관 출입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대현관 자동출입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3871A (ja) * 2002-06-12 2004-01-15 Creer:Kk 防犯システム
JP2008059327A (ja) 2006-08-31 2008-03-13 Aiphone Co Ltd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80045340A (ko) * 2006-11-20 2008-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9888B1 (ko) * 2007-12-21 2008-11-24 (주)참슬테크 세대현관 출입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대현관 자동출입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8966A (zh) * 2016-01-11 2016-04-13 成都互触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远程报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642A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644B2 (en) Wireless camera facilitated building security
JP6608911B2 (ja) ドア及び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09044B1 (ko)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TWI596270B (zh) 遠端門禁管控系統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TWM527479U (zh) 智能化門禁系統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150143247A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838A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KR100578489B1 (ko) 보안 도어록 시스템
KR100891010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2341883B1 (ko) 안면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130040408A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JP4311215B2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20200044223A (ko) Iot기반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안심 서비스시스템
JP434430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TWI599991B (zh)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KR20180136014A (ko) 보안 기능을 갖는 도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방법
KR100445368B1 (ko) 실시간암호발생기(rtp)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장치
KR101885427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