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108B1 -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108B1
KR101907108B1 KR1020160163498A KR20160163498A KR101907108B1 KR 101907108 B1 KR101907108 B1 KR 101907108B1 KR 1020160163498 A KR1020160163498 A KR 1020160163498A KR 20160163498 A KR20160163498 A KR 20160163498A KR 101907108 B1 KR101907108 B1 KR 10190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door lock
unit
management server
lo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585A (ko
Inventor
박범서
소현수
강환철
박지윤
김대규
박서연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1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6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by sensing the presence of a person, e.g. body heat sens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 수면이나 부모 외출 중 방문자의 방문 시에 초인종 소리없이 원격에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크 및 초인종 누름을 통한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인식하여, 방문자의 방문 시에 원격에서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락 모듈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과 태깅하여 원격지에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는 휴대폰과, 도어락 모듈 및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고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mart door lock devic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출입통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 수면이나 부모 외출 중 방문자의 방문 시에 초인종 소리없이 원격에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통제 장치는 출입 제한을 요하는 업무 및 장소에 대하여 비 인가자에 대한 사전 차단 효과 및 주요 시설물, 인원, 문서 등을 외부 침입이나 파괴 행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스템이다.
출입통제 장치는 키 방식, 자석을 이용한 키 방식 및 키패드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 출입통제 장치는 범죄 및 보안의 중요성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 간소화된 인증 절차 및 높은 보안 신뢰성 등이 요구되어 이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출입 통제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 사항 등을 반영하여 마그네틱(Magnetic) 카드 및 직접회로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 : ICC) 등을 이용한 카드 키를 사용하거나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손등의 정맥 인식 및 음성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키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이동 단말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항상 이동 단말을 소지하고 있다. 이동 단말은 1세대 아날로그 서비스를 시작으로 2세대, 2.5세대, 3세대를 거치면서 스마트카드와 이동 단말이 결합된 형태가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스마트카드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로 불리기도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운영체제(Care Operation System : COS), 보안 함수, EEPROM 등을 내장하고 있어 자체 연산 처리 및 대용량 저장의 기능을 갖춘 마이크로컴퓨터를 COB(Chip On Board) 형태의 카드를 말한다.
그러나 기존의 출입통제 장치에서 마그네틱 카드 및 직접회로 카드 등을 이용하여 출입을 인증받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드키를 분실하는 경우에 분실된 카드 키를 습득한 제 3자가 사무실 및 가정 등 출입통제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불법으로 침입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으로 출입을 인증받는 경우에는 타인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경우에 제 3자가 노출된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사무실 및 가정 등 출입통제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침입할 수 있다.
이처럼, 기존의 출입통제 장치의 문제점은 어떤 사람이더라도 마그네틱 카드 및 직접회로 카드 또는 비밀번호만 알면 누구라도 제 3자가 사무실 및 가정 등 출입통제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침입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만, 지문인식으로 100% 완벽하게 출입자를 선별할 수는 없는 것이어서, 정당한 출입자를 거절하거나 등록되지 않은 출입자에게 출입을 허가하는 등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생체 인식 기술이 경우는 그 정확도를 높이면 높일수록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인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생체 인식을 위한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발생시키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86236호 (등록일자 2011.11.17)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5668호 (공개일자 2012.05.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아이 수면이나 부모 외출 중 방문자의 방문 시에 초인종 소리없이 원격에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특징은 노크 및 초인종 누름을 통한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인식하여, 방문자의 방문 시에 원격에서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락 모듈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과 태깅하여 원격지에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는 휴대폰과, 도어락 모듈 및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고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락 모듈은 노크 및 초인종 누름을 감지하여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인식하는 방문 인식부와, 방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함께 방문자의 방문을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초인종 출력 신호 및 도어락 개폐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도어락 개폐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을 구동시키는 도어 개폐부와,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초인종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또는 일반모드인 경우에 초인종이 눌려진 경우에 초인종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방문 인식부, 촬영부, 송수신부, 도어 개폐부 및 스피커를 구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문 인식부는 방문자의 노크 행위를 통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방문자의 초인종 누름 및 노크 행위를 통하여 방문자 신체접촉을 통한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센싱부와, 센싱부에서 감지한 진동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진동과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의 방문으로 판별하는 판별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초인종을 누르면 초인종 소리가 발생되는 일반모드와, 초인종을 누르거나 노크를 하면 초인종 소리없이 방문자 방문을 사용자 휴대폰으로 알리는 수면모드 및 외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시키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은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이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어 툴에는 방문자 촬영 영상 조회 및 확인, 도어락 개폐 여부를 선택 및 확인하기 위한 사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의 특징은 (A) 도어락 모듈을 통해 방문 인식부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의 설정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설정에서 일반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C)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의 설정에서 수면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문 열림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문 열림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는 단계와, 도어 개폐부의 도어락 구동을 통해 문 열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의 설정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초인종 소리 출력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초인종 소리 출력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는 단계와,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로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의 다른 특징은 (a) 도어락 모듈을 통해 방문 인식부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의 설정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b)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c)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d) 도어락 모듈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e)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f) 상기 (a) 단계에서 설정에서 수면모드로 설정된 경우,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문 열림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문 열림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어 도어 개폐부의 도어락 구동을 통해 문 열기를 수행하는 단계와, (g) 상기 (a) 단계에서 설정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초인종 소리 출력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초인종 소리 출력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어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로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아이가 수면 중이거나 부모의 외출로 집에 아이만 있는 경우, 모드 전환을 통해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거나 노크를 하면 사용자의 핸드폰에 알림이 전달되어 방문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문자의 영상을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전달하여 방문자의 신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어 출입통제 여부를 결정하는데 높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의 제어를 핸드폰을 활용하여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에서 도어락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에서 방문 인식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전체 시스템은 방문자의 방문 시에 원격에서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모듈(100)과, 도어락 모듈(100)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과 태깅하여 원격지에서 도어락 모듈(100)을 제어하는 휴대폰(200)과, 도어락 모듈(100) 및 휴대폰(200)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고 관리하는 관리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락 모듈(100)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노크 및 초인종 누름을 감지하여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인식하는 방문 인식부(110)와, 방문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20)와,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영상과 함께 방문자의 방문을 사용자의 휴대폰(200)으로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초인종 출력 신호 및 도어락 개폐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30)와,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되는 도어락 개폐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을 구동시키는 도어 개폐부(150)와, 송수신부(130)에서 수신된 초인종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또는 일반모드인 경우에 초인종이 눌려진 경우에 초인종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60)와, 방문 인식부(110), 촬영부(120), 송수신부(130), 도어 개폐부(150) 및 스피커(160)의 구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문 인식부(11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방문자의 노크 행위를 통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방문자의 초인종 누름 및 노크 행위를 통하여 방문자 신체접촉을 통한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센싱부(111)와, 센싱부(111)에서 감지한 진동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진동과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의 방문으로 판별하는 판별부(112)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초인종을 누르면 초인종 소리가 발생되는 일반모드와, 초인종을 누르거나 노크를 하면 초인종 소리없이 방문자 방문을 사용자 휴대폰(200)으로 알리는 수면모드 및 외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시키는 모드 설정부(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30)는 WiFi 통신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며, 통신 시에 최초에 설정된 WiFi 신호에 접속하게 되며, 이후 관리서버(300)와의 주기적인 통신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한다.
상기 휴대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도어락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이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 툴에는 방문자 촬영 영상 조회 및 확인, 도어락 개폐 여부 등을 선택 및 확인하기 위한 사항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4 는 일반모드인 경우의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도 5 는 수면모드인 경우의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도 6 은 외출모드인 경우의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제 1 실시예
도 4를 참조하여 일반모드를 설명하면, 먼저 도어락 모듈(100)을 통해 방문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113)에서 일반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일반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방문자가 노크 또는 초인종을 누르면(S1), 방문 인식부(110)에서 센싱부(111)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한다(S2).
이어 도어락 모듈(100)은 판별부(112)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초인종 소리가 스피커(160)를 통해 울리도록 한다(S3).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수면모드를 설명하면, 먼저 도어락 모듈(100)을 통해 방문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113)에서 수면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수면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방문자가 노크 또는 초인종을 누르면(S101), 방문 인식부(110)에서 센싱부(111)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한다(S102). 이때,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거나 노크를 할 때, 진동 감지만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진동과 노크 행위를 식별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체 감지 신호를 함께 감지하여 방문자의 노크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도어락 모듈(100)은 판별부(112)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한다(S103).
관리서버(300)는 방문자 방문 정보가 입력되면, 도어락 모듈(100)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가 전달되고(S104), 이를 통해 도어락 모듈(100)의 촬영부(120)에서는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여(S105), 촬영된 영상을 송수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S106). 이렇게 전달된 영상은 관리서버(300)에서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후, 관리서버(300)에서 사용자 휴대폰(200)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전달하면(S107), 휴대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도어락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이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된 제어 툴을 통해 방문자 영상 요청이 선택되면(S108), 관리서버(300)로 방문자 영상 요청 신호가 전달된다(S109).
상기 관리서버(300)는 휴대폰(200)에서 요청된 방문자 영상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는 해당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200)으로 전달한다(S110).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300)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을 확인한 후, 도어락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문 열림을 선택하면(S111), 관리서버(3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 열림 신호가 전달된다(S112).
이어 관리서버(300)는 휴대폰(200)으로부터 전달된 문 열림 신호를 도어락 모듈(100)의 방문 인식부(110)로 전달하여(S113) 도어 개폐부(150)의 도어락 구동을 통해 문 열기를 수행한다(S114).
이 수면모드의 경우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 있으며, 아이가 자고 있는 경우를 예상하여 초인종 및 노크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하는 모드로서, 가정 내에서 자신의 휴대폰(200)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고 방문자를 가정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원격에서 도어 개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외출모드를 설명하면, 먼저 도어락 모듈(100)을 통해 방문 인식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113)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외출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방문자가 노크 또는 초인종을 누르면(S201), 방문 인식부(110)에서 센싱부(111)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한다(S202). 이때,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거나 노크를 할 때, 진동 감지만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진동과 노크 행위를 식별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체 감지 신호를 함께 감지하여 방문자의 노크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도어락 모듈(100)은 판별부(112)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한다(S203).
관리서버(300)는 방문자 방문 정보가 입력되면, 도어락 모듈(100)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가 전달되고(S204), 이를 통해 도어락 모듈(100)의 촬영부(120)에서는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여(S205), 촬영된 영상을 송수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S206). 이렇게 전달된 영상은 관리서버(300)에서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후, 관리서버(300)에서 사용자 휴대폰(200)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전달하면(S207), 휴대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도어락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이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된 제어 툴을 통해 방문자 영상 요청이 선택되면(S208), 관리서버(300)로 방문자 영상 요청 신호가 전달된다(S209).
상기 관리서버(300)는 휴대폰(200)에서 요청된 방문자 영상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는 해당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200)으로 전달한다(S210).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2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300)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을 확인한 후, 도어락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초인종 소리 출력을 선택하면(S211), 관리서버(3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초인종 소리 출력 신호가 전달되고, 이는 다시 도어락 모듈(100)의 방문 인식부(110)로 전달됨으로써, 스피커(160)를 통해 초인종 소리가 출력된다(S212).
이 외출모드의 경우는 사용자가 외출 중이고 가정 내에 아이만 있는 경우로서, 아무나 문을 열어주지 않기 위해서 외출모드로 전환한 후, 방문자가 초인종이나 노크를 하면 부모의 핸드폰에 알림이 와서 방문자를 파악한 이후에 초인종 소리가 발생하게 해서 아이가 안심하고 문을 열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노크 및 초인종 누름을 통한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인식하여, 방문자의 방문 시에 원격에서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락 모듈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과 태깅하여 원격지에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는 휴대폰과, 도어락 모듈 및 휴대폰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고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락 모듈은 노크 및 초인종 누름을 감지하여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인식하는 방문 인식부와; 방문 인식부에서 인식된 방문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과 함께 방문자의 방문을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초인종 출력 신호 및 도어락 개폐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송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도어락 개폐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을 구동시키는 도어 개폐부와;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초인종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또는 일반모드인 경우에 초인종이 눌려진 경우에 초인종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방문 인식부, 촬영부, 송수신부, 도어 개폐부 및 스피커를 구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 인식부는 방문자의 노크 행위를 통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방문자의 초인종 누름 및 노크 행위를 통하여 방문자 신체접촉을 통한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센싱부와; 센싱부에서 감지한 진동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진동과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의 방문으로 판별하는 판별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초인종을 누르면 초인종 소리가 발생되는 일반모드와, 초인종을 누르거나 노크를 하면 초인종 소리없이 방문자 방문을 사용자 휴대폰으로 알리는 수면모드 및 외출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시키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은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이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제어 툴에는 방문자 촬영 영상 조회 및 확인, 도어락 개폐 여부를 선택 및 확인하기 위한 사항이 포함되고,
    상기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상기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상기 휴대폰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 툴을 통해 초인종 소리 출력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서버를 거쳐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초인종 소리 출력 신호를 상기 방문 인식부로 전달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도어락 모듈을 통해 방문 인식부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의 설정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설정에서 일반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C)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의 설정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초인종 소리 출력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초인종 소리 출력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는 단계와;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로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설정에서 수면모드로 설정된 경우,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도어락 모듈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문 열림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문 열림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는 단계와,
    도어 개폐부의 도어락 구동을 통해 문 열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
  7. 삭제
  8. (a) 도어락 모듈을 통해 방문 인식부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모드 설정부의 설정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b) 방문자에 의해 노크 또는 초인종이 눌려지면, 방문 인식부에서 센싱부를 통해 진동 및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c) 도어락 모듈의 판별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정보 중 진동 및 생체정보가 모두 감지되면, 방문자가 방문한 것으로 판별하고,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방문자의 방문을 전달하여 다시 방문자 정보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d) 도어락 모듈의 촬영부에서 촬영된 방문자 영상을 송수신부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여 관리서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e)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으로 방문자 방문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전달되면,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요청되는 방문자 영상을 휴대폰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f) 상기 (a) 단계에서 설정에서 수면모드로 설정된 경우,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문 열림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문 열림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어 도어 개폐부의 도어락 구동을 통해 문 열기를 수행하는 단계와,
    (g) 상기 (a) 단계에서 설정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휴대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된 방문자 영상 확인으로 도어락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툴을 통해 초인종 소리 출력이 선택되면, 관리서버를 거쳐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된 초인종 소리 출력 신호를 도어락 모듈의 방문 인식부로 전달되어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로 스피커를 통해 초인종 소리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160163498A 2016-12-02 2016-12-02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98A KR101907108B1 (ko) 2016-12-02 2016-12-02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98A KR101907108B1 (ko) 2016-12-02 2016-12-02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85A KR20180063585A (ko) 2018-06-12
KR101907108B1 true KR101907108B1 (ko) 2018-10-11

Family

ID=6262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498A KR101907108B1 (ko) 2016-12-02 2016-12-02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9792A (zh) * 2019-05-20 2019-07-12 广州国联智慧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wifi智能门铃开锁系统及方法
CN114973568B (zh) * 2022-05-12 2023-08-11 合肥智辉空间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门锁安全的系统联动预警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767A (ja) * 2001-07-19 2003-01-31 Maspro Denkoh Corp 無線による呼び鈴装置
KR200278658Y1 (ko) * 2002-03-28 2002-06-20 남연정 방문자 확인장치
KR20070112013A (ko) * 2006-05-19 2007-11-22 넥스터치(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101063751B1 (ko) * 2008-07-28 2011-09-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1086236B1 (ko) 2009-03-16 2011-11-24 주식회사 케이티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5668A (ko) 2010-10-29 2012-05-09 김민겸 외부전원연결 또는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보안 강화 도어락
KR101653036B1 (ko) * 2014-04-16 2016-09-0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힘 기반 스마트 도어 매트와 도어락이 연계된 침입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85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8599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0389729B2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5164448B2 (ja) 正当性認証システム及び正当性認証方法
CN106652106A (zh) 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74360A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JP4320781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KR102483794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0047A (ko)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234164B1 (ko)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JP6131512B2 (ja) 電子錠管理システム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39704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N210924713U (zh) 基于iBeacon技术的门禁系统
JP6662056B2 (ja) 認証システム、携帯情報装置、サーバー、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JP2005217524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KR100666008B1 (ko) 인텔리전트 도어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