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753B1 -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753B1
KR100852753B1 KR1020060079533A KR20060079533A KR100852753B1 KR 100852753 B1 KR100852753 B1 KR 100852753B1 KR 1020060079533 A KR1020060079533 A KR 1020060079533A KR 20060079533 A KR20060079533 A KR 20060079533A KR 100852753 B1 KR100852753 B1 KR 10085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eleph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835A (ko
Inventor
김재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펙스
Priority to KR102006007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7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전화 접속장치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버튼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PSTN을 이용한 전화기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무선 비상버튼에 의해 응급 통보를 수행하여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뤄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응급통보, 비상전화, 무선 비상버튼, 싸이렌, PSTN

Description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on of emergency report telephone}
도 1은 종래 IP 전화 접속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IP 전화 어댑터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 IP 전화 접속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응급통보 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비상전화 접속장치 110 : 응급통보 처리부
111 : 제어부 112 : 위치정보 취득부
113 : 무선 비상버튼 감지부 114 : 싸이렌 구동부
115 : 센서 감지부 116 : PSTN 처리부
117 : 네트워크 통신부 118 : 마이크 인터페이스부
119 : 스피커 인터페이스부 120 :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121 : 비디오 플레이어 인터페이스부 122 :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130 : 무선 비상버튼 140 : 싸이렌
150 : 센서 160 : 신호 절체부
170 : 마이크 180 : 스피커
200 : 전화기 300 : 치안관리 서버
400 : 카메라 500 : 비디오 플레이어
600 : 모니터
본 발명은 응급통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비상버튼에 의해 응급 통보를 수행하여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뤄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통보 시스템은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응급상황을 통보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한 시스템으로 119, 112 등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화재, 범죄 등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말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응급통보 시스템으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64017의 "IP 전화접속 시스템, IP 전화 어댑터, IP 전화 장치 및 접속 방법"이 있으며,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IP 전화 접속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IP(Internet Protocol) 전화기(11)로부터 발신되는 전화는 IP 어댑터(12)를 경유하고, 그 때 IP 어댑터(12)에서는 통상의 전화인지 긴급전화인지를 판단하고, 통상의 전화라면 IP 네트워크(13)를 통하여 상대의 IP 전화기(14)에 접속하고, 또한 게이트우이(15)를 통하여 전화기(16)에 접속한다. 그러나 그 전화가 긴급전화일 경우에는 IP 네트워크(13)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이동단말 즉 휴대전화(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의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최적인 경찰/응급센터(17)의 긴급라인으로 전화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IP 전화 어댑터의 상세블록도이다.
그래서 IP 전화 어댑터(12)는 버스 라인(21)으로 서로 접속되는 IP 전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nterface, IF) 모뎀(22), RAM(23), ROM(24), CPU(25), 전화 인터페이스(2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화 인터페이스(26)는 IP 전화기(27)와 연결되고, 접속수단의 안테나(28)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IP 전화기(11)로부터의 발신이 긴급 전화인 경우에는, 접속 수단의 안테나(28) 등을 이용하고, 발신 기초인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현재 위치의 GPS(Global Position System) 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에 의해 최적인 경찰/응급센터(17)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 IP 전화 접속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래서 IP 전화기(11)로부터 전화가 발신된다(ST1).
그것이 IP 전화 어댑터(12)를 경유하게 되면, IP 전화 어댑터(12)에서는 그 전화가 통상 전화인지 긴급 전화인지 즉 긴급 라인 접속 요구를 수반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2).
전화가 긴급 전화(110번 또는 119번 등)인 경우에는 회선을 휴대전화(또는 PHS) 회선으로 전환하고(ST3), 그 발신 장소에 적당한 최적의 경찰서/응급센터 등에 접속한다(ST4).
통상 전화라고 판단한 때에는 IP 네트워크(13)를 통하여(ST5), 발신지의 전화기(14, 16)로 회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해서는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루는 곳에서 강도 등에 의한 범죄가 발생할 경우 긴급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비 시스템은 강도가 아닌 도둑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고, 경찰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경비 회사와만 연결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비상버튼에 의해 응급 통보를 수행하여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뤄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은,
비상전화 접속장치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 상버튼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PSTN을 이용한 전화기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방법은,
무선 비상버튼이 눌려지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무선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치안관리 서버로 전화(PSTN 또는 휴대전화망)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치안관리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를 개방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상기 치안관리 서버에서는 비상전화 접속장치를 제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은, 비상전화 접속장 치(100)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버튼(130)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되어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공중 전화 교환망)을 이용한 전화기(200)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300)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160)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된 마이크(170) 및 스피커(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100)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되어 응급상황을 음향으로 알리는 싸이렌(14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100)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15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100)는, 카메라(400), 비디오 플레이어(500), 모니터(6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400), 비디오 플레이어(500), 모니터(6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은, 비상전화 접속장치(100)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버튼(130)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되어 응급상황을 음향으로 알리는 싸이렌(140)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150)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 와 연결되어 PSTN을 이용한 전화기(200)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300)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160)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연결된 마이크(170) 및 스피커(1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은.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100)와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카메라(400), 비디오 플레이어(500), 모니터(6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도 4에서 응급통보 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에서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1)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취득부(112)와; 상기 무선 비상버튼(130)에서 발신된 무선 비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는 무선 비상버튼 감지부(113)와;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를 받아 싸이렌(140)을 구동시키는 싸이렌 구동부(114)와; 센서(15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는 센서 감지부(115)와; 상기 제어부(111)에서 PSTN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160)로 전달하는 PSTN 처리부(116)와; 상기 제어부(111)에서 네트워크 통신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160)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부(117)와; 상기 마이크(170) 및 스피커(18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 인터페이스부(Interface, I/F)(118, 119)와; 카메라(400), 비디오 플레이어(500), 모니터(60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 어, 모니터 인터페이스부(120, 121, 1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비상버튼(130)이 눌려지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ST11)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무선 비상버튼(130)이 눌려지면, 응급통보 처리부(110)에서 치안관리 서버(300)로 전화(PSTN 또는 휴대전화망)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와 상기 치안관리 서버(300)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제 2 단계(ST12, ST13)와; 상기 제 2 단계 후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110)에서 마이크(170), 스피커(180), 카메라(400), 비디오 플레이어(500), 모니터(600)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를 개방시키는 제 3 단계(ST14)와; 상기 제 3 단계 후 상기 치안관리 서버(300)에서는 비상전화 접속장치(100)를 제어하는 제 4 단계(ST1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치안관리 서버(300)에서는 비상전화 접속장치(100)를 제어할 때 양방향 통화, 듣기만 하기, 말하기만 하기, 통화시간 연장하기, 싸이렌 가동하기, 싸이렌 끄기, 비디오 녹화하기, 카메라 제어하기, 전화 끊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무선 비상버튼에 의해 응급 통보를 수행하여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뤄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비상전화 접속장치(100)는 응급통보 처리부(110), 무선 비상버튼, 신호 절체부(160), 마이크(170), 스피커(180)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한다. 또한 싸이렌(140)과 센서(150)가 부가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은 전화기(200), 치안관리서버(300), 카메라(400), 비디오 플레이어(500), 모니터(600) 중에서 하나 이상이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편의점, 주유소 등과 같이 현금을 주로 다루어서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또한 도둑을 방어하고 경비 회사와만 연결된 종래의 경비 시스템과는 달리, 강도를 예방하고 경찰과 직접 연결되도록 한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 경비 시스템과 큰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편의점 근무자 등)가 휴대하는 비상신호 발령용의 무선 비상버튼(130)을 강도 침입 등의 상황 발생시 누르게 되면, 응급통보 처리부(110)는 무선 비상버튼(130)의 신호를 받아서 전화선(또는 휴대전화망)을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무선 비상버튼(130)이 눌려지면, 경보가 발령되어 경찰서의 전화기(200)가 울리고, 치안관리 서버(300)의 PC에 편의점의 이름과 위치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편의점의 본체인 응급통보 처리부(110)에서는 마이크(170)를 개방하여 경찰서의 치안관리 서버(300)에서 현장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경찰서에서는 전화기(200)의 번호판을 누르거나 치안관리 서버(300)에서의 조작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 양방향 통화
- 듣기만 하기
- 말하기만 하기
- 통화시간 연장하기
- 싸이렌 가동하기
- 싸이렌 끄기
- 비디오 녹화하기
- 카메라 제어하기 또는 가스총(가스발사기) 제어하기
- 전화 끊기
이에 따라 가장 빠른 시간에 경찰과 직접 연결하고, 현장을 상황을 들을 수 있게 하며, 필요시 말(경고) 내지는 가스발사기를 경찰이 직접 원격으로 전화기의 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현장에서 가스 발사가 이루어지록 가스발사기의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범죄예방 효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무선 비상버튼이나 전화기 버튼에 의해 응급 통보를 수행하여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뤄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은 무선 비상버튼에 의해 응급 통보를 수행하여 편의점, 주유소 등 현금을 다뤄 강도의 표적이 되는 곳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11)

  1. 비상전화 접속장치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버튼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PSTN을 이용한 전화기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된 마이크 및 스피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응급상황을 음향으로 알리는 싸이렌;
    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는,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취득부와;
    상기 무선 비상버튼에서 발신된 무선 비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 비상버튼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싸이렌을 구동시키는 싸이렌 구동부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PSTN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로 전달하는 PSTN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네트워크 통신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가스발사기,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가스 시건장치,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6. 비상전화 접속장치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버튼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응급상황을 음향으로 알리는 싸이렌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PSTN을 이용한 전화기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된 마이크 및 스피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은.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와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가스 시건장치,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취득부와;
    상기 무선 비상버튼에서 발신된 무선 비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 비상버튼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싸이렌을 구동시키는 싸이렌 구동부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PSTN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로 전달하는 PSTN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네트워크 통신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가스 시건장치,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9. 비상전화 접속장치에서 응급통보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알리는 무선 비상버튼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응급상황을 음향으로 알리는 싸이렌과;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PSTN을 이용한 전화기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치안관리 서버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신호 절체를 수행하는 신호 절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연결된 마이크 및 스피커;
    상기 비상전화 접속장치와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는,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의 위치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취득부와; 상기 무선 비상버튼에서 발신된 무선 비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 비상버튼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싸이렌을 구동시키는 싸이렌 구동부와;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PSTN 연결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로 전달하는 PSTN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네트워크 통신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절체부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가스 시건장치,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10. 무선 비상버튼이 눌려지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무선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치안관리 서버로 전화(PSTN 또는 휴대전화망)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와 상기 치안관리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상기 응급통보 처리부에서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비디오 플레이어, 모니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를 개방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상기 치안관리 서버에서는 비상전화 접속장치를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치안관리 서버에서는 비상전화 접속장치를 제어할 때 양방향 통화, 듣기만 하기, 말하기만 하기, 통화시간 연장하기, 싸이렌 가동하기, 싸이렌 끄기, 비디오 녹화하기, 카메라 제어하기, 가스 발사기 제어하기, 전화 끊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통보전화 감시방법.
KR1020060079533A 2006-08-22 2006-08-22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533A KR100852753B1 (ko) 2006-08-22 2006-08-22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533A KR100852753B1 (ko) 2006-08-22 2006-08-22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835A KR20080017835A (ko) 2008-02-27
KR100852753B1 true KR100852753B1 (ko) 2008-08-18

Family

ID=3938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533A KR100852753B1 (ko) 2006-08-22 2006-08-22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21Y1 (ko) * 2019-11-07 2020-06-10 (주)엘케이시스템 터널용 긴급전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92B1 (ko) * 2010-05-07 2011-01-19 우영정보통신주식회사 다수의 통신제한 비상전화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264B1 (ko) * 2012-08-09 2014-09-25 장의섭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530A (ko) * 1999-03-04 2000-10-05 문제화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KR20010105542A (ko) * 2000-05-15 2001-11-29 배동만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20069084A (ko) * 2001-02-23 2002-08-29 김진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98993A (ko) * 2003-05-16 2004-11-26 주식회사 코티티정보통신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격 자동 진단 무선페이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원격 자동 진단 방법
KR20060089404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한터기술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530A (ko) * 1999-03-04 2000-10-05 문제화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KR20010105542A (ko) * 2000-05-15 2001-11-29 배동만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20069084A (ko) * 2001-02-23 2002-08-29 김진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홈 보안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98993A (ko) * 2003-05-16 2004-11-26 주식회사 코티티정보통신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격 자동 진단 무선페이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원격 자동 진단 방법
KR20060089404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한터기술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21Y1 (ko) * 2019-11-07 2020-06-10 (주)엘케이시스템 터널용 긴급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835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573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US20090186596A1 (en) Network server emergency information accessing method
US8175572B2 (en)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4157759A (ja) 緊急通報装置
WO2014052785A2 (en) Method and system for untethered two-way voice communication for an alarm system
KR20100054179A (ko) 도난 예방 알림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435264B1 (ko)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KR100852753B1 (ko) 응급통보전화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4155374B2 (ja) 移動者安全確認装置
KR20140008734A (ko) 모바일 단말, 그 모바일 단말에서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 긴급 상황 경고 장치 및 방법
KR20090103169A (ko)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KR101509924B1 (ko)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1524B1 (ko) 순찰 단말기, 순찰 운영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3643A (ko) 긴급상황 발생 알림용 클락션 시스템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JP2010286982A (ja) 警備システム、異常検知方法
KR20080025232A (ko) 위험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경보 방법
JP2002109659A (ja) 警備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携帯用警備装置
KR20040031836A (ko) 자동차용 화상 안전 시스템
KR101638855B1 (ko)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개선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KR100535972B1 (ko) 유선전화 및 휴대전화을 이용한 비상통보 및 화상전송시스템
JPH09288791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3016038B2 (ja) 機械警備装置
KR20100137784A (ko) 긴급구조시스템
JP4202227B2 (ja) 画像通信型防犯システム、監視装置、多地点動画通信装置、およびtv電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