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84B1 -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84B1
KR102472384B1 KR1020210049186A KR20210049186A KR102472384B1 KR 102472384 B1 KR102472384 B1 KR 102472384B1 KR 1020210049186 A KR1020210049186 A KR 1020210049186A KR 20210049186 A KR20210049186 A KR 20210049186A KR 102472384 B1 KR102472384 B1 KR 10247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mergency
information
smart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756A (ko
Inventor
김세율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알앤디
김세율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알앤디, 김세율, 김승현 filed Critical (주)한국알앤디
Priority to KR102021004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은 출입구를 차폐하는 메인 도어, 및 메인 도어의 하부면 일부가 차폐된 상태로 메인 도어의 개구부로부터 개폐되도록 구성된 비상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수 도어; 스마트 방수 도어로부터 감지되는 침수 수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 보호자, 긴급 출동 기관에 비상 연락 및 비상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도어 운용 서버; 및 관계자가 비상 메시지를 수신해서 거주자와 연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바, 집중 호우에 실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거주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SMART WATERPROOF DOOR AND OPERATION SYSTEM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우천 시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안전하게 통행 및 대피할 수 있도록 한 안전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 집중 호우가 발생하는 경우 저지대의 주택이나 상가, 지하 상가, 반지하 주택 등의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어 침수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여름철 집중 호우 발생 시 건물의 출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침수 재해가 발생하므로, 건물의 출입구를 막는 침수 방지판을 제조하여 설치함으로써 빗물과 하수도에서 역류된 물이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기존의 침수 방지판은 설치 위치 즉, 건물의 출입구 크기에 맞게 주문 제작되고 있고, 건물의 출입구에 침수 방지판을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 프레임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통상 침수 방지판은 장착 프레임과 침수 방지판 등의 설치 작업이 복잡하며 설치 시간이 오래 걸려서 빠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수 방지판은 단순히 침수 방지용으로만 사용되므로, 집중 호우 발생 상황에 맞춰서 필요에 따라 설치해야 하며, 설치시 통행이 불가하거나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침수 방지판은 설치 시 출입구의 통행이 불가하거나 어렵기 때문에 침수에 따른 인명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실제 미비하여 해마다 침수 재해 및 인명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침수 방지판 외에도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8537호의 '우수유입방지장치' 등은 집중 호우 발생 상황을 미리 인지하고 설치해야만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집중 호우 및 침수 상황에는 빠르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저지대의 주택, 지하 및 반지하 주택이나 상가 등에 노령자나 장애인 등의 교통 약자가 거주하는 경우에는 갑작스러운 집중 호우와 침수에 빠르게 대처할 수가 없으며, 갑작스러운 집중 호우를 빠르게 인지하지 못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지대 등 침수 위험 지역의 주택, 지하 및 반지하 주택이나 상가에 현관문으로 설치되어, 집중 호우에도 실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수 도어가 설치된 외부 공간에 물이 차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실내 공간의 거주자들이 상황에 따라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하거나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수 도어가 설치 외부 공간에 침수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침수 수위에 따라 해당 거주자를 비롯하여 인접 지역의 보호자, 관계자, 및 긴급 출동 기관에서 실시간으로 침수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하도록 지원 가능한 안전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은 출입구를 차폐하는 메인 도어, 및 메인 도어의 하부면 일부가 차폐된 상태로 메인 도어의 개구부로부터 개폐되도록 구성된 비상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수 도어; 스마트 방수 도어로부터 감지되는 침수 수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 보호자, 긴급 출동 기관에 비상 연락 및 비상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도어 운용 서버; 및 관계자가 비상 메시지를 수신해서 거주자와 연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스마트 방수 도어는 메인 도어와 비상 서브 도어의 잠금 체결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및 도어락의 잠금 체결 또는 해제 동작을 제어하고, 메인 도어의 수위 센서를 통해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상기 도어 운용 서버로 침수 수위 정보를 전송하며, 침수 알림 정보를 송출하여 비상 동작을 수행하는 인터폰 지원 장치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방수 도어는 현관문으로 설치되어, 집중 호우에 실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거주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은 방수 도어가 설치된 외부 공간의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거주자들이 상황을 빨리 인식하고 주변 및 관계자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빠르게 대피하거나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은 침수 수위에 따라 해당 거주자를 비롯하여 인접 지역의 보호자, 관계자, 및 긴급 출동 기관에서 실시간으로 침수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침수 재해에 따른 피해 상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외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의 인터폰 지원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의 메인 도어, 및 메인 도어에 설치된 비상 서브 도어의 오픈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의 메인 도어에서 비상 서브 도어만 오픈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터폰 지원 장치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운용 서버의 세부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및 그 도어 운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수 도어(100), 도어 운용 서버(2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주택이나 상가의 현관 출입구에 현관문으로서 구성 및 배치된다. 이러한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방수 기능이 있지만,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현관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현관 출입구의 문틀에 현관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시에는 방수 기능에 의해 현관 출입구를 차폐시키는 메인 도어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메인 도어의 하부면 일부가 차폐된 상태에서 메인 도어로부터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 서브 도어, 및 메인 도어와 비상 서브 도어의 잠금 체결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을 포함한다.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침수가 시작되면 메인 도어의 하부면 설치된 수위 센서를 통해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도어 운용 서버(200)로 침수 수위 정보를 전송함과 아울러, 침수 수위에 따라 내부 거주자들에게 침수 알림 정보를 송출하는 등 미리 설정된 비상 동작을 수행하는 인터폰 지원 장치를 더 포함한다.
스마트 방수 도어(100)의 인터폰 지원 장치는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침수 수위 정보를 도어 운용 서버(200)로 전송하며, 침수가 시작되면 자동으로 외부 및 내부의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한다. 이에, 인터폰 지원 장치는 침수가 시작되는 외부 촬영 영상 정보를 내부에서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침수 수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거주자가 대처하고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터폰 지원 장치는 침수 수위에 따른 1단계 비상 동작으로서, 메인 도어를 잠금 체결해서 거주자에 의해 오픈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서브 도어는 내부 거주자에 의해 오픈될 수 있도록 도어락을 제어한다. 아울러,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거주자 유무 정보, 예비 침수 정보를 도어 운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인터폰 지원 장치는 비상 서브 도어까지 차오른 침수 수위에 따른 2단계 비상 동작으로서, 비상 서브 도어까지 잠금 체결하도록 도어락을 제어하고, 실내 거주자가 창문이나 비상 탈출로를 이용하도록 안내하는 유도 정보를 실내 모니터로 표시한다. 이와 더불어, 비상 서브 도어까지 차오른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및 긴급 구조 요청 정보를 도어 운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인터폰 지원 장치는 침수 수위 기준에 따른 3단계 비상 동작으로서, 내부 거주자가 미리 설정된 보호자나 관계자 또는 긴급 출동 기관의 관계자와 자동으로 화상 통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어 운용 서버(200)는 각각의 스마트 방수 도어(100)로부터 감지되는 침수 수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 보호자, 긴급 출동 기관에 비상 연락 및 비상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어 운용 서버(200)는 스마트 방수 도어(100) 각각의 인터폰 지원 장치를 통해 스마트 방수 도어(100)의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24시간) 내에 발생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공공기관이나 보호 기관의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확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도어 운용 서버(200)는 거주자 유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24시간) 내에 실내 거주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확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어 운용 서버(200)는 스마트 방수 도어(100)의 인터폰 지원 장치로부터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예비 침수 정보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해당 지역에 따른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침수 수위 정보와 침수 시작 알림 정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5분)로 전송한다. 아울러, 소방서와 의료 기관 등의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예비 침수 정보와 침수 수위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어 운용 서버(200)는 침수 진행 상황에 의해 침수 지역의 인터폰 지원 장치로부터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및 긴급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창문이나 비상 탈출로를 통해서 거주자를 구조해야 함을 알리는 긴급 구조 요청 정보를 소방서와 의료 기관 등의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추가로 전송한다.
도어 운용 서버(200)는 긴급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한 공개 결제 과정을 수행한 후, 결제가 완료되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 및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서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어 운용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로부터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에 대한 공유가 요청되면, 공개 결제 과정을 수행하여 인터폰 지원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공유한다.
도어 운용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로부터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한 공유가 요청되면, 공개 결제 과정을 수행하여 인터폰 지원 장치로부터 수신된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공유한다.
관계자 단말기(300)는 공공기관이나 보호 기관의 관계자가 침수 수위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예비 침수 정보, 긴급 구조 요청 정보, 비상 메시지 등을 수신해서 비상 상황에 대처하고 거주자와 연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관계자 단말기(300)는 관계자가 도어 운용 서버(200)를 통해서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관계자 단말기(300)는 관계자가 거주자의 동선이 확인이 안되거나 연락이 안되는 경우, 관계자의 요청에 따라 도어 운용 서버(200)로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결제 여부에 따라 수신되는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모니터로 표시한다.
또한, 관계자 단말기(300)는 관계자가 예비 침수 정보, 긴급 구조 요청 정보, 비상 메시지 등을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계자의 요청에 따라 도어 운용 서버(200)로 스마트 방수 도어(100)가 설치된 해당 가구나 상가의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결제 여부에 따라 수신되는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모니터로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외부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도어의 인터폰 지원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메인 도어(110), 메인 도어 손잡이(111), 비상 서브 도어(120), 서브 도어 손잡이(121), 도어락(131), 외부 인터폰 기기(130), 메인 도어 경첩(113), 서브 도어 경첩(123), 수위 센서(140), 그리고 인터폰 지원 장치(180)를 포함한다.
메인 도어(110)는 방수 기능을 갖고 현관 출입구의 문틀(101)에 메인 도어 경첩(113)으로 결착되어 출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침수시에는 출입구를 차폐시킨다.
비상 서브 도어(120)는 메인 도어(110)의 내부 개구부에 서브 도어 경첩(123)으로 결착되어 메인 도어(110)의 하부면 일부가 차폐된 상태에서 메인 도어(110)의 내부 개구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어락(131)은 인터폰 지원 장치(180)의 제어에 따라 메인 도어(110)와 비상 서브 도어(120)의 잠금 체결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폰 지원 장치(180)는 메인 도어(110) 하부면의 수위 센서(140)를 통해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도어 운용 서버(200)로 침수 수위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침수 수위에 따라 내부 거주자들에게 침수 알림 정보를 송출하는 등 미리 설정된 비상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의 메인 도어, 및 메인 도어에 설치된 비상 서브 도어의 오픈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방수 도어의 메인 도어에서 비상 서브 도어만 오픈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도어(110)는 방수 기능을 갖고 현관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방수 기능이 있으므로 현관 출입구가 차폐된 상태에서는 침수시에에도 현관 출입구가 차폐되도록 한다.
비상 서브 도어(120)는 메인 도어(110)의 내부 개구부에 서브 도어 경첩(123)으로 결착되어 구성되는바, 메인 도어(110) 자체가 차폐되거나 메인 도어(110)의 하부면 일부가 차폐된 상태에서도 메인 도어(110)의 내부 개구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내 거주자는 메인 도어(110)의 하부면 일부가 침수된 상황에서도 비상 서브 도어(120)를 열고 비상 탈출함으로써, 실내에는 침수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침수가 시작되어도 실내에서는 거주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인터폰 지원 장치(180)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터폰 지원 장치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인터폰 지원 장치(180)는 내부 카메라(181), 스피커(182), 센싱 모듈(183), 신호 검출 모듈(184), 컨트롤러(186), 통신 모듈(191), 인터폰 지원 모듈(192), 영상 처리 모듈(193), 개폐 확인 모듈(194), 잠금 제어모듈(195)을 포함한다.
내부 카메라(181)는 컨트롤러(186)의 제어에 따라 내부 영상을 촬영하여 실내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 모듈(193)로 공급한다.
영상 처리 모듈(193)은 컨트롤러(186)의 제어에 따라 외부 인터폰 기기(13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외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내부 및 외부 영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포멧으로 변환하고 저장한다.
영상 처리 모듈(193)은 컨트롤러(186)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촬영 영상 데이터를 내부의 모니터에 표시해서 외부의 침수 상태를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호 검출 모듈(184)은 수위 센서(140)로부터의 수위 감지 신호를 수신해서 침수 상태에서의 수위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침수 수위 정보를 컨트롤러(186)와 공유한다.
개폐 확인 모듈(194)은 도어락(131)을 통해 메인 도어(110) 및 비상 서브 도어(120)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함으로써, 메인 도어(110) 및 비상 서브 도어(120)의 계폐 신호를 컨트롤러(186)로 공급한다.
센싱 모듈(183)은 적어도 하나의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내부 거주자의 유무를 확인하고, 거주자 유무 정보를 컨트롤러(186)와 공유한다.
인터폰 지원 장치(180)의 컨트롤러(186)는 메인 도어(110) 및 비상 서브 도어(120)의 계폐 신호와 내부 거주자의 유무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해서,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계폐 신호를 도어 운용 서버(200)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컨트롤러(186)는 신호 검출 모듈(184)을 통해 침수 수위 정보가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침수 수위 정보를 통신 모듈(191)의 원거리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도어 운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186)는 침수 수위 정보에 따라 침수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 모듈(193) 및 통신 모듈(191)을 제어해서 외부 및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 즉, 영상 데이터를 도어 운용 서버(200)와 실시간을 공유한다.
컨트롤러(186)는 침수가 시작되는 외부의 촬영 영상이 내부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 모듈(193)을 제어함으로써, 외부의 침수 상태와 상황을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침수 수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 비상 동작으로 거주자가 대처하고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86)는 신호 검출 모듈(184)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침수 수위에 따라 1단계 비상 동작으로 메인 도어(110)를 잠금 체결해서 내부 거주자의 조작에도 오픈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서브 도어(120)는 내부 거주자의 조작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도어락(131)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86)는 센싱 모듈(183)을 통해 내부 거주자 유무 정보를 확인함과 아울러, 스피커(182)를 통한 침수 알림 알람과 거주자 스마트폰 등으로의 비상 전화 송출을 통해 내부 거주자가 응답 및 이동할 때까지 침수 발생 정보 및 침수 수위 정보를 전달한다.
이와 더불어, 컨트롤러(186)는 침수 수위에 따른 1단계 동작으로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거주자 유무 정보, 예비 침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도어 운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186)는 침수 수위가 비상 서브 도어(120)의 하단 높이까지 차오른 것으로 감지되면, 침수 수위에 따른 2단계 비상 동작으로 메인 도어(110)를 비롯해서 비상 서브 도어(120)까지 잠금 체결하도록 도어락(131)을 제어한다. 그리고, 내부 모니터와 스피커(182)를 통한 알람과 거주자 스마트폰으로의 비상 전화 송출을 통해 실내 거주자가 창문이나 비상 탈출로를 이용하도록 유도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더불어, 컨트롤러(186)는 침수 수위에 따른 2단계 비상 동작으로 비상 서브 도어(120)까지 차오른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및 긴급 구조 요청 정보를 도어 운용 서버(200)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86)는 내부 모니터를 통해 긴급 구조 요청 정보 송출 알림 메시지와 미리 설정된 비상 대피 요령 정보를 표시한다.
미리 설정된 침수 수위 기준에 따른 3단계 비상 동작으로, 컨트롤러(186)는 인터폰 지원 모듈(192)을 통해서 실내의 거주자가 미리 설정된 보호자나 관계자 또는 긴급 출동 기관의 관계자와 자동으로 화상 통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86)는 침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3단계의 높이까지 놀라서 검출되면, 인터폰 지원 모듈(192)을 이용해서 미리 설정된 보호자나 관계자 또는 긴급 출동 기관의 관계자와 전화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연결시킨다. 이에, 긴급 구조를 기다리는 실내 거주자가 인터폰 지원 모듈(192)을 통해 보호자나 관계자 또는 긴급 출동 기관의 관계자와 전화 통화 또는 화상 통화함으로써, 내부 거주자의 사항과 외부의 구조 대응 상황이 내부 및 외부에서 서로 정확하게 확인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운용 서버의 세부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도어 운용 서버(200)는 무선 통신부(201), 인터폰 모니터링부(202), 수위 신호 알림부(203), 예비 신호 송신부(204), 지원 요청 송신부(205), 비상 연락 제어부(206), 데이터 베이스(207), 영상 수집부(208), 결제 처리 지원부(209), 및 영상 공유 제어부(21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어 운용 서버(200)의 무선 통신부(201)는 스마트 방수 도어(100)의 인터폰 지원 장치(180)와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201)는 각각의 인터폰 지원 장치(180)를 통해 스마트 방수 도어(100)의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인터폰 모니터링부(202)는 각 스마트 방수 도어(100)의 메인 도어(110) 및 비상 서브 도어(120)의 개폐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24시간) 내에 발생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공공기관이나 보호 기관의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확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각각의 인터폰 지원 장치(180)로부터 수신되는 거주자 유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24시간) 내에 실내 거주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확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관계자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고통 약자로 지정된 실내 거주자의 거주 여부와 안전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수위 신호 알림부(203)는 무선 통신부(201)를 통해 입력되는 침수 수위 정보, 및 예비 침수 정보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침수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지역에 따른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침수 수위 정보와 침수 시작 알림 정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5분)로 전송한다.
예비 신호 송신부(204)는 수위 신호 알림부(203)에 의해 침수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면, 소방서와 의료 기관 등의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예비 침수 정보와 침수 수위 정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긴급 출동 대응 기관이 침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예비 신호 송신부(204)는 침수 수위 정보, 및 예비 침수 정보에 의해 침수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스마트 방수 도어(100) 및 인터폰 지원 장치(180)가 설치된 위치를 기점으로 미리 설정된 비상 연락 반경에 포함된 스마트 방수 도어(100) 설치 세대의 인터폰 지원 장치(180)들로 침수 수위 정보, 및 예비 침수 정보를 전송하고 알림으로써, 주변 영역에서 침수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영상 수집부(208)는 인터폰 지원 장치(180)로부터 수신되는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의 스마트폰이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 포멧을 설정 및 변경한다.
지원 요청 송신부(205)는 침수 지역의 인터폰 지원 장치(180)로부터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 및 긴급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창문이나 비상 탈출로를 통해서 거주자를 구조해야 함을 알리는 긴급 구조 요청 정보를 소방서와 의료 기관 등의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추가로 전송한다.
영상 공유 제어부(211)는 침수 지역의 인터폰 지원 장치(180)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는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 및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서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반면, 영상 공유 제어부(211)는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해서는 결제 처리 지원부(209)를 통해 공개 결제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결제 처리 지원부(209)를 통한 결제 완료 단계가 확인되면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 및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서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제 처리 지원부(209)는 영상 공유 제어부(211)로부터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한 공개 결제가 요청되면, 미리 설정된 보안 관계자나 경찰서 관계자에게 결제 요청 메시지나 어플리케이션 링크를 전송해서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에 대한 공개 결제를 요청한다. 그리고, 공개 결제가 완료 및 확인 처리되면 영상 공유 제어부(211)로 승인 정보를 전달한다.
결제 처리 지원부(209)는 보안 승인 과정 확인을 위해,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 공유 상태와 공유 결제 승인 정보를 거주자와 보호자 및 관계자에게 메시지로 전송한다.
영상 공유 제어부(211)는 결제 처리 지원부(209)를 통한 결제 승인 정보에 따라 내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 및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서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비상 연락 제어부(206)는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로부터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에 대한 공유가 요청되면, 결제 처리 지원부(209)를 통해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에 대한 공개 결제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결제 처리 지원부(209)를 통한 결제 완료 단계가 확인되면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를 실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 및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서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제 처리 지원부(209)는 보안 승인 과정 확인을 위해,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 공유 상태와 공유 결제 승인 정보를 거주자와 보호자 및 관계자에게 메시지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결제 처리 지원부(209)는 비상 연락 제어부(206)로부터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에 대한 공개 결제가 요청되면, 미리 설정된 보안 관계자나 경찰서 관계자에게 결제 요청 메시지나 어플리케이션 링크를 전송해서 메인 도어 및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와 거주자 유무 정보에 대한 공개 결제를 요청한다. 그리고, 공개 결제가 완료 및 확인 처리되면 비상 연락 제어부(206)로 승인 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비상 연락 제어부(206)는 예비 침수 정보와 긴급 구조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침수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가 확인되면, 영상 수집부(208)를 통해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 송출 시간대의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 송출 시간대의 내부 및 외부의 촬영 영상 정보를 영상 공유 제어부(211)와 비상 연락 제어부(206)로 전송 및 공유함으로써, 거주자의 대비 또는 이동 영상이 보호자 및 관계자에게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스마트 방수 도어(100)는 현관문으로 설치되어, 집중 호우에 실내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거주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은 방수 도어(100)가 설치된 외부 공간의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거주자들이 상황을 빨리 인식하고 주변 및 관계자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빠르게 대피하거나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수 도어
200: 도어 운용 서버
300: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 단말기

Claims (6)

  1. 출입구를 차폐하는 메인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의 하부면 일부가 차폐된 상태로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부로부터 개폐되도록 구성된 비상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방수 도어;
    상기 스마트 방수 도어로부터 감지되는 침수 수위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미리 설정된 관계자, 보호자, 긴급 출동 기관에 비상 연락 및 비상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도어 운용 서버; 및
    상기 관계자가 상기 비상 메시지를 수신해서 거주자와 연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스마트 방수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비상 서브 도어의 잠금 체결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및
    상기 도어락의 잠금 체결 또는 해제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 도어의 수위 센서를 통해 침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상기 도어 운용 서버로 침수 수위 정보를 전송하며, 침수 알림 정보를 송출하여 비상 동작을 수행하는 인터폰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지원 장치는
    상기 침수 수위에 따른 1단계 비상 동작으로서,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비상 서브 도어 각각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침수 수위 정보, 내부 및 외부 촬영 영상 정보, 거주자 유무 정보, 예비 침수 정보를 상기 도어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지원 장치는
    상기 침수 수위에 따른 2단계 비상 동작으로서,
    상기 메인 도어와 상기 비상 서브 도어 각각의 잠금 상태를 추가로 제어하며,
    상기 거주자가 창문이나 비상 탈출로를 이용하도록 안내하는 유도 정보를 실내 모니터로 표시하고, 상기 침수 수위 정보, 상기 내부 및 외부 촬영 영상 정보, 및 긴급 구조 요청 정보를 상기 도어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운용 서버는
    상기 침수 수위 정보, 상기 내부 및 외부 촬영 영상 정보, 상기 예비 침수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지역에 따른 미리 설정된 관계자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침수 수위 정보와 침수 시작 알림 정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전송하고,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예비 침수 정보와 침수 수위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운용 서버는
    상기 인터폰 지원 장치로부터 긴급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현관문이 아닌 창문이나 비상 탈출로 만을 통해서 거주자를 구조해야 함을 알리는 긴급 구조 요청 정보를 상기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추가로 전송하고, 공유 확인 과정에 따라 상기 내부 및 외부 촬영 영상 정보,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비상 서브 도어의 개폐 신호, 거주자 유무 정보를 상기 관계자나 긴급 출동 대응 기관에 공유하는 스마트 방수 도어 운용 시스템.
KR1020210049186A 2021-04-15 2021-04-15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KR10247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86A KR102472384B1 (ko) 2021-04-15 2021-04-15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86A KR102472384B1 (ko) 2021-04-15 2021-04-15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56A KR20220142756A (ko) 2022-10-24
KR102472384B1 true KR102472384B1 (ko) 2022-12-01

Family

ID=8380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86A KR102472384B1 (ko) 2021-04-15 2021-04-15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951B1 (ko) * 2022-12-02 2023-10-19 주식회사 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시공 출입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20B1 (ko) * 2012-06-18 2015-11-20 권두영 방수 도어
KR101729775B1 (ko) * 2015-07-29 2017-04-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피경로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KR102169989B1 (ko) * 2019-03-27 2020-10-26 주식회사라엘시스템즈 재난 대피용 재실 인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756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663B1 (en) Building security system
US20050253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KR101491834B1 (ko) 긴급상황 발생 시 대피를 위한 세이프티존 부스
KR20090010464A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172508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507106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467814B1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KR102472384B1 (ko)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5962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방범 방재 시스템
KR101935594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808585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914813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97258A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JP2011008499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RU72560U1 (ru) Домофон "мобифон"
KR101588838B1 (ko)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JP5367949B2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332862Y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무실 원격감시장치
JP499478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防犯設定システム
KR101646997B1 (ko)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