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631A - 화재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631A
KR20090047631A KR1020070113560A KR20070113560A KR20090047631A KR 20090047631 A KR20090047631 A KR 20090047631A KR 1020070113560 A KR1020070113560 A KR 1020070113560A KR 20070113560 A KR20070113560 A KR 20070113560A KR 20090047631 A KR20090047631 A KR 20090047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extinguishing
body case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5448B1 (ko
Inventor
박승진
Original Assignee
(주)경남통신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남통신기술 filed Critical (주)경남통신기술
Priority to KR102007011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4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초기 진화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원격지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동작되는 새로운 형태의 원격 화재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부; 상기 고정 설치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이루는 몸체 케이스; 상기 고정 설치부에 상기 몸체 케이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 케이스를 상하로 틸트시키거나 혹은,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되는 동작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각종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각종 종류의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부; 상기 몸체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며,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화할 수 있는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가 분류된 상태로 저장되는 소화용재 공급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용재 공급부에 저장된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 상기 동작부와, 영상 촬영부와, 각 화재 감지부와,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가 제공된다.
화재 감시장치, 화재 감지부, 영상 촬영부, 소화용제 공급부, 소화부

Description

화재 감시장치{device for fire detecting and fire extinguishing}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초기 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화가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통보함과 더불어 원격지에서의 제어 혹은, 자동 제어에 의한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동작되는 새로운 형태의 화재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화된 산업기술의 발달과 정보화기기의 발전에 힘입어 사회수단의 이행속도가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고 그에 따른 재난의 발생빈도도 급속히 늘어가며 그 규모와 피해 또한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재난 중 화재에 의한 재난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할 수 있고 초기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인명과 재산의 손실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재난이다.
상기 화재를 연소대상물에 의해 분류하여 보면 일반화재(A급 화재)와 가연성 액체 및 기체 화재(B급 화재)와 전기화재(C급 화재), 금속분화재(D급 화재)로 분류되며, 상기 A,B,C급 화재와 같이 탄화수소가 포함된 가연물의 연소로 발생되는 화재를 탄화수소계열 화재(Hydrocarbon fire)라 하고, D급 화재는 비 탄화수소계열 화재(Non Hydrocarbon fire)라 한다.
이때, 상기 탄화수소계열 화재는 종이나 목재, 합성수지난 가연성액체 등이 연소되면서 연기와 불꽃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비 탄화수소계열 화재는 불꽃의 일렁임과 파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자연연소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화재발생과 동시에 급속하게 전이되는 특성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각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그로부터 수반되는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복합형 감지기, 불꽃 감지기 등의 감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감지장치는 발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재가 진행되면서 발생되는 열이나 연기, 불꽃 등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하여 경보시스템을 작동 대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화재 감지 후 화재 진압을 위한 관계자들의 출동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화재의 진행이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관계자의 출동에 의해 진압되는 화재는 이차적인 피해를 방지함과 더불어 피해의 크기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초기진화란 목표로 기술개발을 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상용화된 장치는 발견과 진화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장치는 없는 상태로 그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 및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발화가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통보함과 더불어 원격지에서의 제어 혹은, 자동 제어에 의한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동작되는 새로운 형태의 화재 감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 감시장치는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부; 상기 고정 설치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이루는 몸체 케이스; 상기 고정 설치부에 상기 몸체 케이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 케이스를 상하로 틸트시키거나 혹은,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되는 동작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각종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각종 종류의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부; 상기 몸체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며,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화할 수 있는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가 분류된 상태로 저장되는 소화용재 공급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용재 공급부에 저장된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 그리고, 상기 동작부와, 영상 촬영부와, 각 화재 감지부와,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몸체 케이스 내의 중앙측 부위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영상 촬영부 의 양측편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소화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화재 감지부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센서와, 연기의 양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제실 등에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실로부터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화재 발생시 주위 환경으로 경보를 발생화는 경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무인 제어에 의한 화재의 감지 및 초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인력 소요가 필요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그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초기 화재의 응급 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화재의 발생 여부와 초기 진화 여부 등에 따른 정보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소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여 피해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화재 감지를 위한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되더라도 관제실에서 실질적인 화재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출동에 의한 인력 손실 및 예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크게 고정 설치부(100)와, 몸체 케이스(200)와, 동작부(300)와, 영상 촬영부(400)와, 복수의 화재 감지부(510,520)와, 소화용재 공급부(600)와, 소화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 설치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고정 설치부(100)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일단이 상기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술되는 각종 구성품들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상향 절곡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벽면이라 함은 건물의 내벽이나 외벽이 될 수도 있고, 엘리베어터의 내벽이나 실내의 내벽과 같이 폐쇄된 공간의 벽면이 될 수 있으며, 터널의 내부와 같이 인력이 상주하기에는 어려운 공간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고정 설치부(100)는 내부가 빈 파이프로 형성함으로써 후술되는 각종 구성품들로 전원을 제공하는 케이블 등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 케이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 케이스(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고정 설치부(100)의 끝단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 케이스(200)는 내부에 다수의 설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설치 공간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품들이 내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작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동작부(300)는 상기 몸체 케이스(200)를 상기 고정 설치부(100)에 설치되도록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 케이스(200)를 상하로 틸트시키거나 혹은,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상기한 동작부(30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고정 설치부(100)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 결합단(310)과, 상기 고정 결합단(310)의 상면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결합단(320) 및 상기 회전 결합단(32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330)과, 상기 하우징(330)에 상하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결합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틸팅 결합단(340)의 양단은 상기 하우징(33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동작부(300)의 각 구성 중 상기 회전 결합단(320) 및 틸팅 결합단(340)은 자동 제어에 의한 좌우 회전 동작 및 상하 회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회전 결합단(320) 및 틸팅 결합단(340)의 구동을 위한 구성은 상기 하우징(330) 내에 내장된다. 이때, 회전 결합단(320) 및 틸팅 결합단(340)의 구동을 위한 구성은 예컨대, 구동모터나 복수의 기어 혹은, 실린더 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어부(8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 촬영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400)는 주변 상황에 대한 각종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일련의 카메라로써,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어느 한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제어부(600)의 제어를 받아 영상을 촬영하도록 동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영상 촬영부(400)가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 영상으로 데이터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임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화재 감지부(510,5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재 감지부(510,520)는 화재를 감지하는 일련의 센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재 감지부(510,520)가 각종 화재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제공됨을 제시하며, 상기한 복수의 화재 감지부(510,520)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510)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센서(520)가 포함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각 화재 감지부(510,520)는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각 설치 공간에 각각 구분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소화용재 공급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화용재 공급부(600)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화할 수 있는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가 서로 구분된 상태로 저장되는 챔버로써,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 케이스(200)와는 별도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라 함은 탄화수소계열 화재용 소화용재와, 비탄화수소계열 화재용 소화용재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소화용재 공급부(600)의 각 소화용제 저장 공간은 각각의 개별된 관로에 의해 후술되는 소화부(700)와 연결되며, 상기 각 관로(610)에는 개폐밸브(620)가 각각 설치되어 후술되는 제어부(800)의 제어를 받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소화부(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화부(700)는 상기 소화용재 공급부(600)에 저장된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일련의 노즐로써, 상기 몸체 케이스(200)의 각 설치 공간 중 어느 한 설치 공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동작부(300)가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중앙측 부위에 제공되고, 상기 영상 촬영부(400)와 복수의 화재 감지부(510,520)는 상기 동작부(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동작부(30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소화부(700)는 상기 동작부(300)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제공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영상 촬영부(400)에 의한 촬영 영역이 각 화재 감지부(510,520)에 의해 감지되는 화재 부위를 최대한 포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소화부(700)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용제가 최대한 정확히 상기 화재 부위를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한 소화부(700)는 하나의 노즐로만 구성되어 상기 하나의 노즐을 통해 각종 소화용제의 분사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각 소화용제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노즐로 구성되어 화재 종류에 따른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화재 종류가 소화용제의 분무를 필요로 할 경우 분무를 위한 노즐이 사용되고, 소화용제의 분사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분사를 위한 노즐이 사용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화재 감시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몸체 케이스(200)와는 별도로 구성된 컨트롤 박스(810) 내에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에는 각 화재 감지부(510,520)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토대로 화재의 종류를 판단하는 프로그램과, 상기 판단된 화재의 종류에 따라 해당 화재 감지부(510,520)와 소화용제 공급부(600) 및 소화부(7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와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각 구성들은 데이터 케이블(82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800)에 의한 동작 제어를 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영상 촬영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제실(10) 등에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통신부(910)는 상기 제어부(800)와 함께 컨트롤 박스(81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부(800)에 의한 제어를 받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어부(80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종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데이터 통신부(910)를 통해 상기 관제실(10)로부터의 원격 제어도 가능하게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를 받아 화재 발생시 주위 환경으로 경보를 발생화는 경보부(9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경보부(920)는 경관등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시각적 및 청각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각 설치 공간 중 어느 한 공간(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촬영부(400)의 측부 공간)에 설치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재 감시장치에 의한 화재 감시 과정 및 초기 진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800)는 동작부(300)의 동작 제어를 통해 미리 설정된 범위의 장소를 향해 몸체 케이스(200)를 지속적으로 좌우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 회동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800)는 화재 감지부를 구성하는 각 센서(510,52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주변의 화재 발생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즉, 동작부(30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영상 촬영부(400) 및 각 센서(510,520)가 향하는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센서(510,520)는 불꽃 및 온도의 감지를 통해 화재의 발생 여부를 센싱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 중 어느 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센싱값의 범위에 이르게 되면 해당 상황을 화재 상황이라 판단한다.
이의 경우, 상기 제어부(800)는 동작부(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위치를 향해 영상 촬영부(400)의 촬영 방향을 일치시킴과 더불어 상기 영상 촬영부(400)를 제어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800)는 해당 센서(510,520)의 종류에 대한 확인 및 상기 센서(510,520)가 센싱한 센싱값을 통해 화재의 유형을 판단하게 되고, 이렇게 판단된 화재의 유형에 따라 미리 프로그래밍된 대응 프로그램에 의해 소화용제 공급부(600)의 각 개폐밸브(620)를 선택 제어하여 소화부(700)로 특정 소화용제(해당 화재의 종류에 대응하는 소화용제)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화재가 탄화수소계열 화재로 판단될 경우 상기 탄화수소계열 화재의 소화를 위한 소화용제를 소화부(700)로 공급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화재가 비탄 화수소계열 화재로 판단될 경우 상기 비탄화수소계열 화재의 소화를 위한 소화용제를 소화부(700)로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해당 화재의 종류에 대응하는 소화용제는 소화부(700)를 통해 발화지점으로 분사되고, 이에 따라 화재의 초기진화가 진행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부의 각 센서(510,520)에 의한 화재 감지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부(800)는 영상 촬영부(400)를 제어하여 해당 화재 발생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데이터 통신부(910)를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을 관제실로 전송하고, 경보부(920)를 제어하여 주위로의 화재 발생을 경고한다.
전술한 제어부(800)에 의한 화재 진화과정은 별도의 수동 조작이나 혹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한 화재 소화 완료의 판단이 이루어질 경우 종료되며, 상기한 수동 조작이나 소화 완료의 판단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소화부(700)의 계속적인 동작 제어와 각 센서(510,520)에 의한 계속적인 센싱 및 영상 촬영부(400)의 동작 제어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관제실(10)로부터 상기 제어부(800)에 의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80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 제어를 중단함과 동시에 관제실(10)로부터의 원격 제어를 적용받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800)는 화재 발생을 판단할 경우 소화부(700)에 대한 동작 진행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화재를 감지한 각 센서(510,520)의 센싱값과, 화재 발생 부위에 대하여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관제실(10)로 제공한 후 상기 관제실(10)의 원격 제어를 제공받도록 대기하게끔 설정할 수도 있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화재 감시장치에 대한 일련의 동작 제어에 의해 화재의 발화를 정확히 판단함과 더불어 그에 대한 초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일련의 과정은 인력의 소요 없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원의 예산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더욱 다양한 화재의 유형별 감지를 위해 화재 감지부에 연기 감지센서(530)와 가스 감지센서(5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연기 감지센서(530)는 연기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상기 가스 감지센서(540)는 가스의 존재 및 종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는 상기 연기 감지센서(530) 및 가스 감지센서(540)의 추가 구성을 위하여 상기 영상 촬영부(400)가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중앙측에 형성된 설치 공간(동작부의 하우징 상면) 내에 설치되고, 화재 감지부를 구성하는 각 센서(510,520,530,540)는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각 설치 공간 중 상기 영상 촬영부(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동작부(300)의 하우징(330) 양측편에 형성된 설치 공간 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한 소화부(700) 는 상기 몸체 케이스(200) 내의 각 설치 공간 중 상기 영상 촬영부(400)의 직상부에 형성된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화재 감지부를 구성하는 각 센서(510,520,530,540)에 의해 감지된 화재 부위에 대한 촬영이 최대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화재 부위에 대한 소화가 최대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영상 촬영부(400)를 중앙에 두고 각 화재 감지부(510,520,530,540) 및 소화부(700)가 위치되도록 배치함으로써 화재 위치 및 소화 위치에 대한 오차 범위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는 화재의 유형에 따른 대처가 가능하게 되고, 그에 대한 초기 진화 역시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연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Claims (7)

  1.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설치부;
    상기 고정 설치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외관을 이루는 몸체 케이스;
    상기 고정 설치부에 상기 몸체 케이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 케이스를 상하로 틸트시키거나 혹은,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되는 동작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각종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각종 종류의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부;
    상기 몸체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며,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화할 수 있는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가 분류된 상태로 저장되는 소화용재 공급부;
    상기 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용재 공급부에 저장된 각종 종류의 소화용재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부; 그리고,
    상기 동작부와, 영상 촬영부와, 각 화재 감지부와, 소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몸체 케이스 내의 중앙측 부위에 제공되고,
    상기 영상 촬영부와 복수의 화재 감지부는 상기 동작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동작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소화부는 상기 동작부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몸체 케이스 내의 중앙측 부위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영상 촬영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소화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재 감지부는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센서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센서와, 연기의 양을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화재 발생시 주위 환경으로 경보를 발생화는 경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제실 등에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실로부터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장치.
KR1020070113560A 2007-11-08 2007-11-08 화재 감시장치 KR10093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60A KR100935448B1 (ko) 2007-11-08 2007-11-08 화재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60A KR100935448B1 (ko) 2007-11-08 2007-11-08 화재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631A true KR20090047631A (ko) 2009-05-13
KR100935448B1 KR100935448B1 (ko) 2010-01-06

Family

ID=4085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560A KR100935448B1 (ko) 2007-11-08 2007-11-08 화재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4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43B1 (ko) * 2010-05-17 2011-04-29 김현태 화재 자동 위치 추적형 소화장비
KR101339405B1 (ko) * 2012-03-19 2013-12-09 주식회사 팔콘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590344B1 (ko) * 2015-04-30 2016-02-01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터널의 화재 소화장치
KR101681515B1 (ko) * 2016-05-17 2016-12-1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CN110461424A (zh) * 2017-11-15 2019-11-15 慎晟縡 远程灭火设备及远程预防和击退犯罪设备
KR20190143699A (ko) * 2018-06-21 2019-12-31 고종철 용접부스에 구비된 화재 감지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854B1 (ko) 2010-10-08 2011-03-22 재 훈 장 스쿨존의 경보시스템
KR101842790B1 (ko) 2016-09-20 2018-03-27 이영복 지능형 자동소화발사기
KR200488697Y1 (ko) * 2017-10-10 2019-04-05 (주)파슨텍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소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KR102627402B1 (ko) * 2020-09-24 2024-01-19 주식회사 네콘 주변기기 연동이 가능한 IoT 스마트 스프링클러
KR102302074B1 (ko) * 2021-04-29 2021-09-15 주식회사 제이앤디엘 화재 감지 및 진압용 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739A (ja) * 1993-04-09 1994-10-21 Omron Corp 自動消火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3126286A (ja) * 2001-10-22 2003-05-07 Tokyo Bosai Setsubi Kk 消火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43B1 (ko) * 2010-05-17 2011-04-29 김현태 화재 자동 위치 추적형 소화장비
KR101339405B1 (ko) * 2012-03-19 2013-12-09 주식회사 팔콘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590344B1 (ko) * 2015-04-30 2016-02-01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터널의 화재 소화장치
KR101681515B1 (ko) * 2016-05-17 2016-12-1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CN110461424A (zh) * 2017-11-15 2019-11-15 慎晟縡 远程灭火设备及远程预防和击退犯罪设备
KR20190143699A (ko) * 2018-06-21 2019-12-31 고종철 용접부스에 구비된 화재 감지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448B1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448B1 (ko) 화재 감시장치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2050803B1 (ko) 에너지 저장장치(ess) 화재 감지 및 확산 방지용 자동소화시스템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US20200346057A1 (en) Fire Protection Robot for Controlling Fire Fighting Devices, Corresponding Fir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7093164B2 (ja) 火災監視システム
KR101845009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0865129B1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CN203280940U (zh) 悬挂式智能消防机器人
CN102000409A (zh) 一种消防遥控系统
CN103285540A (zh) 悬挂式智能消防机器人
KR20210018602A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7996374U (zh) 一种智能灭火机器人
KR102331004B1 (ko)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2441268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KR102088162B1 (ko) 자가 소화 설비를 구비한 로봇, 이를 이용하는 자가 소화 방법 및 교대 운영 방법
KR102027322B1 (ko) 가연물 저장설비의 화재 감시장치 및 화재 감시방법
CN110618636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CN109816956A (zh) 基于多源数据融合的矿山火灾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20220159883A (ko) IoT 기능이 결합된 소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