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110B1 -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110B1
KR101010110B1 KR1020097013923A KR20097013923A KR101010110B1 KR 101010110 B1 KR101010110 B1 KR 101010110B1 KR 1020097013923 A KR1020097013923 A KR 1020097013923A KR 20097013923 A KR20097013923 A KR 20097013923A KR 101010110 B1 KR101010110 B1 KR 10101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ire
extinguishing gas
cylind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032A (ko
Inventor
히데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히데오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데오 요시다 filed Critical 히데오 요시다
Publication of KR2009008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 A62C13/7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releasing means operating essentially simultaneously on both containers the pressure gas container being pierced or brok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부에 소화가스를 가압하여 충전하고, 그 개구부에 봉판(13)을 부설한 가스실린더(11)와, 상기 가스실린더(11)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1, 10)와, 상기 봉판(13)을 파봉할 수 있는 첨단부(45a)를 갖는 파봉부재(45)와, 상기 파봉부재(45)를 장착한 파봉 홀더(21)와, 가스실린더(11)의 입구부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내부에 상기 파봉부재(45)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통공(17)을 갖는 실린더 홀더(15)를 갖는 소화가스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파봉 홀더(21)와 실린더 홀더(15)를 상대적으로 근접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통공(17)과 외부에 설치한 분사 구멍(3)을 연통하는 연통로(31~33)에, 이 통로(31~33)를 차단할 수 있는 제어밸브(38)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 10)의 표면에 향하게 하여 봉판의 파봉시에 점등 가능한 등구(48)를 배치하고,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에 재해경보기로부터의 화재발생 신호 또는 지진발생 신호를 매개로 경보하는 고지기(53)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정 혹은 사무소 또는 차재용(車載用)의 간이 소화기에 적합하며, 장전한 소형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게 파봉(破封)하고, 분출된 소화가스의 유출을 밸브에 의해서 일단 저지하여, 소화가스의 허비를 방지하고, 그 유효이용과 소화의 실효를 도모하는 동시에, 소화시에 불난 곳을 향해서 소화가스를 확실하고 적확하게 분사하여, 그 효과적이고 유효한 소화와 확실한 초기소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화재 또는 지진발생시에 소화기의 소재를 고지(告知)하여, 소화기의 신속한 사용과 초기소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가정 또는 사무소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소화기는 대형이고 대중량으로 소화조작에 완력을 필요로 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도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소형이고 경량의 각종 간이 소화기가 제안되고, 그 구조는 크게 나누면, 가스실린더의 봉판(封 板)의 파봉방식에 의해서 통체 또는 커버를 회전하는 것과, 조작 블록을 눌러 낮추는 것과, 통체의 헤드부 또는 바닥부를 두드리는 것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이 중, 통체 또는 커버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가스실린더를 수용하는 관체(管體)와, 이 관체의 상단부(上端部)에 나착(螺着; 나사결합하여 부착)된 상방 커버체와, 가스실린더의 입구 나사에 틀어박을 수 있는 실린더 감착체(嵌着體)와, 격침(擊針)을 장착한 노즐체를 구비하고, 실린더 감착체의 중앙 통부를 관체의 상단부의 개구부에 끼워넣고, 상기 중앙 통부의 안쪽에 노즐체를 삽입하여, 이 노즐체의 상부를 상방 가스체의 개구부에 끼워넣고, 소화시에는 상방 커버체 또는 관체를 축 회전으로 회전시켜, 격침을 가스실린더측으로 이동하여 봉판을 파봉하여, 냉각가스를 노즐체의 분구(噴口)로부터 분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조작 블록을 눌러 낮추는 것으로서, 가스실린더를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의 상부에 조작면과 안전 블록의 걸림부(tab)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격침을 구비한 축 본체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며, 이 축 본체의 멈춤 홈(retaining slot)을 리테이너로 걸어 멈추고, 소화시에는 걸림부를 매개로 안전 블록을 끌어내리며, 또한 조작면을 눌러서 리테이너를 안쪽부로 이동하고, 멈춤 홈과 개구 구멍의 단연(端緣)의 계합(係合;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축 본체를 스프링의 탄성으로 눌러 낮추고, 격침을 가스실린더측으로 이동하여 봉판을 파봉하고, 분사가스를 축 본체의 내부로 인도하여, 이것을 분사 구멍으로부터 분사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통체의 헤드부 또는 바닥부를 두두리는 것으로서, 커버를 피착(被着)한 파이프체의 내부에 가스실린더를 수용하고, 그 하단에 접시상의 노즐을 취부(取付)하는 동시에, 파이프체의 상단부에 푸셔 가이드체(pusher guiding body)를 취부하여, 이 가이드체에 격침을 장착한 푸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고, 평소에는 푸셔에 세이프티 플레이트(safety plate)를 끼워넣어 그 이동을 저지하는 한편, 푸셔 가이드체의 내부에 실린더 리시버를 취부하여, 이 리시버에 가스실린더의 입구 나사를 나착하고, 소화시에는 푸셔에 취부한 세이프티 플레이트를 빼내어, 푸셔의 외부를 손으로 두두려 안쪽으로 밀어넣고, 격침을 가스실린더측으로 이동하여 봉판을 파봉하고, 분사가스를 파이프체의 내부로부터 축 본체의 내부로 인도하여, 이것을 분사 구멍으로부터 분사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상기 간이 소화기 중, 통체 또는 커버를 회전하는 것은 회전량에 대한 격침의 변위가 작아, 봉판을 충분히 파봉하기 위해서는 통체 또는 커버의 회전량을 증량해야 하고, 그와 같이 하면 파봉에 수고와 시간이 걸려서 신속하게 소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 블록을 눌러 낮추는 것은 안전 블록의 끌어내림 조작과 조작면의 누름 조작을 필요로 하여, 소화시의 조작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체의 헤드부 또는 바닥부를 두두리는 것은 소화시의 조작이 비교적 간단하여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지만, 세이프티 플레이트가 외부에 표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플레이트가 장난이나 실수로 빼어내어지면 봉판이 파봉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소화기는 모두 분구를 불난 곳을 향해서 파봉하고 있지만, 소화시는 파봉에 조작이 집중되기 때문에, 분구를 불난 곳에 적확하게 향하게 하는 것이 어렵고, 그 결과 분출 당초의 가스가 허비되며, 또한 소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초기소화의 기회를 놓치는 한편, 잔존 가스로 실질적인 소화를 행하게 되기 때문에, 가스의 충전량에 맞는 소화작용을 얻을 수 없어 가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화재발생시에 실제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당황하거나, 놀라서 어찌할 바를 몰라 소화기의 소재를 알 수 없거나 또는 깜박 잊어 초기소화의 시기를 놓칠 우려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는 야간 또는 정전시의 소화시에 현저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소화기에 전원부와 스위치와 경보발신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의 ON시에 경보를 발하고자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상기 소화기는 안전마개(安全栓)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안전 마개를 빼내어 스위치를 ON시키고, 소화기의 소재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재를 아는데 도움이 되지 않고, 또한 소화기의 소재가 불명한 경우는 소화기를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경보의 발신에 사람의 수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걸려 신속한 사용을 도모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9-1035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8953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2890097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351047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예를 들면 가정 혹은 사무소 또는 차재용의 간이 소화기에 적합하며, 장전한 소형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게 파봉하고, 분출된 소화가스의 유출을 밸브에 의해서 일단 저지하여, 소화가스의 허비를 방지하고, 그 유효이용과 소화의 실효를 도모하는 동시에, 소화시에 불난 곳을 향해서 소화가스를 확실하고 적확하게 분사하여, 그 효과적이고 유효한 소화와 확실한 초기소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화재 또는 지진발생시에 소화기의 소재를 고지하여, 소화기의 신속한 사용과 초기소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한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내부에 소화가스를 가압하여 충전하고, 또한 그 개구부에 봉판(13)을 부설한 가스실린더(11)와, 상기 봉판(13)을 파봉할 수 있는 첨단부(尖端部)(45a)를 갖는 파봉부재(45)와, 상기 가스실린더(11)의 입구부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고, 그 내부에 상기 파봉부재(45)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구멍(17)을 형성한 실린더 홀더(15)와, 상기 파봉부재(45)를 장착하고, 평소에는 가스실린더(11)와 반대측으로 부세(付勢)된 파봉 홀더(21)와, 상기 가이드 구멍(17)과 외부로 개구된 도공(32)을 연통 가능한 연통로(31, 33)를 구비하고, 이 연통로(31, 33)를 매개로 파봉 후의 소화가스를 도공(32)으로부터 분출 가능하게 한 소화가스 분사기에 있어서, 화재검출신호 또는 소정의 진동검출신호에 의해서 재해경 보를 출력 가능한 재해경보기(54)의 재해경보를 수신하고, 음성 또는 명동(鳴動) 또는 빛의 고지신호를 출력 가능한 고지기(53)를 구비하며, 화재검출 센서나 진동 센서의 부설을 생략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며 소형 경량의 재해경보기와 고지기를 얻을 수 있어, 소형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취부에 적합한 동시에, 고지기(53)를 취부한 소화가스 분사기를 재해경보기(54)로부터 이간하여 배치하여, 소화가스 분사기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에 의한 각종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지하여, 그 신속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옥내에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진동 센서(60)와 재해경보기(54)를 설치하여, 상기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진동 센서(60)의 검출신호를 재해경보기(54)로 입력 가능하게 하고, 상기 재해경보기(54)로부터 출력한 재해경보전파를 고지기(53)에서 수신 가능하게 하며,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진동 센서(60)와 재해경보기(54)와 고지기(53)를 이간하여 배치할 수 있어, 재해발생의 검출과 그 정보의 전달을 합리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재해경보기(54)와 고지기(53)의 배선을 생략하여, 소화가스 분사기를 옥내의 목적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는 상기 재해경보기(54)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기와, 경보신호를 집음 가능한 마이크와, 고지신호를 명동 또는 음성으로 출력 가능한 스피커(56) 또는 음성 가이드 녹음기, 또는 경보 램프(57)를 구비하고, 재해경보를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신하여, 이것을 각종 수단으 로 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재해경보기(54)에, 열 또는 연기를 감지 가능한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소정 진도의 진동 센서(60)의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 화재나 지진발생의 정보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전달하여, 소화가스 분사기의 신속한 사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여, 고지기(53)의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에 끈 또는 벨트(63), 핀, 배지, 훅, 누름식 파스너,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여, 고지기(53)의 다양한 취부와 사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휴대 가능하게 하고, 소화가스 분사기와 분리하여 고지기의 유효이용과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내부에 소화가스를 가압하여 충전하고, 또한 그 개구부에 봉판(13)을 부설한 가스실린더(11)와, 상기 봉판(13)을 파봉 가능한 첨단부(45a)를 갖는 파봉부재(45)와, 상기 가스실린더(11)의 입구부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고, 그 내부에 상기 파봉부재(45)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구멍(17)을 형성한 실린더 홀더(15)와, 상기 파봉부재(45)를 장착하고, 평소에는 가스실린더(11)와 반대측으로 부세된 파봉 홀더(21)와, 상기 가이드 구멍(17)과 외부로 개구된 도공(32)을 연통 가능한 연통로(31, 33)를 구비하고, 이 연통로(31, 33)를 매개로 파봉 후의 소화가스를 도공(32)으로부터 분출 가능하게 한 소화가스 분 사기를 구비한 재해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검출신호 또는 소정의 진동검출신호에 의해서 재해경보를 출력 가능한 재해경보기(54)를 옥내에 설치하여, 상기 재해경보를 수신하고,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의 고지신호를 출력 가능한 고지기(53)를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에 설치하여, 화재 또는 소정의 진동검출시에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고지 가능하게 하고, 화재검출 센서나 진동 센서의 부설을 생략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며 소형 경량의 재해경보기와 고지기를 얻을 수 있으며, 소형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취부에 적합한 동시에, 고지기(53)를 취부한 소화가스 분사기를 재해경보기(54)로부터 이간하여 배치하여, 소화가스 분사기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에 의한 각종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지하여, 그 신속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재해경보기(54)의 발신전파의 수신역 내에 복수의 소화가스 분사기(F1, F2)를 설치하고, 상기 재해경보기(54)의 경보신호를 각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고지기(53)로 출력 가능하게 설치하여, 재해경보기(54)로부터 각 소화가스 분사기(F1, F2)로 신속하게 경보하여,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신속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는 상기 재해경보기(54)의 경보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기와, 이 수신기의 수신시에 작동 가능한 스피커(56) 또는 음성 가이드 녹음기 또는 경보 램프(57)를 구비하고, 화재검출 센서나 진동 센서의 부설 을 생략하여 구성을 간결화하고, 저렴하며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소형의 소화기의 취부에 적합한 동시에, 소리 또는 빛에 의한 각종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지하여, 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재해경보기(54)에, 열 또는 연기를 감지 가능한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소정 진도의 진동 센서(60)의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 화재나 지진발생의 정보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전달하여, 소화가스 분사기의 신속한 사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소화가스 분사기(F1)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여, 고지기(53)의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에 끈 또는 벨트(63), 핀, 배지, 훅, 누름식 파스너,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여, 고지기(53)의 다양한 취부와 사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피재자(被災者)(65)에게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피재자의 소재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어, 피재자의 구조나 안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휴대 가능하게 하여, 소화가스 분사기와 분리한 고지기의 유효이용과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화재검출신호 또는 소정의 진동검출신호에 의해서 재해경보를 출력 가능한 재해경보기(54)의 재해경보를 수신하여,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의 고지신호를 출력 가능한 고지기(53)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화재검출 센서나 진동 센서의 부설을 생략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며 소형 경량의 재해경보기와 고지기를 얻을 수 있어, 소형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취부에 적합한 동시에, 고지기(53)를 취부한 소화가스 분사기를 재해경보기(54)로부터 이간하여 배치하고, 소화가스 분사기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에 의한 각종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지하여, 그 신속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옥내에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진동 센서(60)와 재해경보기(54)를 설치하여, 상기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진동 센서(60)의 검출신호를 재해경보기(54)로 입력 가능하게 하여, 상기 재해경보기(54)로부터 출력한 재해경보전파를 고지기(53)에서 수신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진동 센서(60)와 재해경보기(54)와 고지기(53)를 이간하여 배치할 수 있어, 재해발생의 검출과 그 정보의 전달을 합리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재해경보기(54)와 고지기(53)의 배선을 생략하여, 소화가스 분사기를 옥내의 목적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는 상기 재해경보기(54)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기와, 경보신호를 집음 가능한 마이크와, 고지신호를 명동 또는 음성으로 출력 가능한 스피커(56) 또는 음성 가이드 녹음기, 또는 경보 램 프(57)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재해경보를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신하여, 이것을 각종 수단으로 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재해경보기(54)에, 열 또는 연기를 감지 가능한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소정 진도의 진동 센서(60)의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화재나 지진발생의 정보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전달하여, 소화가스 분사기의 신속한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였기 때문에, 고지기(53)의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에 끈 또는 벨트(63), 핀, 배지, 훅, 누름식 파스너,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였기 때문에, 고지기(53)의 다양한 취부와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휴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소화가스 분사기와 분리하여 고지기의 유효이용과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화재검출신호 또는 소정의 진동검출신호에 의해서 재해경보를 출력 가능한 재해경보기(54)를 옥내에 설치하여, 상기 재해경보를 수신하고,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의 고지신호를 출력 가능한 고지기(53)를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에 설치하여, 화재 또는 소정의 진동검출시에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고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화재검출 센서나 진동 센서의 부설을 생략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며 소형 경량의 재해경보기와 고지기를 얻을 수 있어, 소형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취부에 적합한 동시에, 고지기(53)를 취부한 소화가스 분사기를 재해경보기(54)로부터 이간하여 배치하여, 소화가스 분사기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음성 또는 명동 또는 빛에 의한 각종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지하여, 그 신속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재해경보기(54)의 발신전파의 수신역 내에 복수의 소화가스 분사기(F1, F2)를 설치하고, 상기 재해경보기(54)의 경보신호를 각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고지기(53)로 출력 가능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재해경보기(54)로부터 각 소화가스 분사기(F1, F2)로 신속하게 경보하여,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신속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는 상기 재해경보기(54)의 경보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기와, 이 수신기의 수신시에 작동 가능한 스피커(56) 또는 음성 가이드 녹음기 또는 경보 램프(57)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화재검출 센서나 진동 센서의 부설을 생략하여 구성을 간결화하고, 저렴하며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소형의 소화기의 취부에 적합한 동시에, 소리 또는 빛에 의한 각종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지하여, 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기 재해경보기(54)에, 열 또는 연기를 감지 가능한 화재검출 센서(59) 또는 소정 진도의 진동 센서(60)의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 화재나 지진발생의 정보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전달하여, 소화가스 분사기의 신속한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소화가스 분사기(F1)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여, 고지기(53)의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에 끈 또는 벨트(63), 핀, 배지, 훅, 누름식 파스너,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였기 때문에, 고지기(53)의 다양한 취부와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피재자(65)에게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였기 때문에, 피재자의 소재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어, 피재자의 구조나 안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상기 고지기(53)를 휴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소화가스 분사기와 분리하여 고지기의 유효이용과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형태를 카트리지식 가스실린더를 사용한 가정용 또는 차재용 소화가스 분사기인, 소형 경량으로 한손으로 운반이 가능한 간이 소화기(F1)에 적용한 도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1은 합성수지제의 대략 중공(中空) 통상의 위쪽 케이스이고, 이는 후술하는 분출 구멍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둘로 나누어 성형한 한쌍의 컷팅 케이스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그 하단부를 개구하고 상단부를 폐색(閉塞)하고 있고, 그 상단부는 뒤쪽으로 경사진 대략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의 중앙에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에 후술하는 조작레버가 취부되고, 상기의 상부 둘레면에 후 술하는 분구에 향하게 하여 분출 구멍(3)이 형성되며, 이 분출 구멍(3)의 바로 아래에 후술하는 LED 등의 등구에 향하게 하여 조명 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5, 6, 7은 위쪽 케이스(1)의 상부 내면의 상하위치에 이간하여 돌출 성형한 계지편(engaging piece; 붙들어 두는 부재)이고, 이 중 계지편(6, 7)은 위쪽 케이스(1)의 상부 내면에 고리상으로 돌출 성형되며, 그 중앙에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 구멍(8, 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위쪽 케이스(1)의 하단부에 합성수지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의 아래쪽 케이스(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케이스(10)는 위쪽 케이스(1)에 비해 단소(短小)로 형성되며, 그 안쪽에 공지의 가스실린더(11)의 바닥부를 탈착 가능하게 감합(嵌合; 끼워맞춤)하고 있다.
도면 중, 12는 아래쪽 케이스(10)의 하부 둘레면에 형성한 계단부이고, 위쪽 케이스(1)의 하단부에 계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실린더(11)는 소화가스로서, 내부에 약 4 MPa의 이산화탄소가 충전되고, 그 상단의 개구부를 봉판(13)을 매개로 기밀하게 실링되며, 그 입구부 둘레면에 나사부(14)를 형성하고 있고, 이 나사부(14)에 실린더 홀더(15)를 틀어박아 취부하고 있다. 도면 중, 13a는 후술의 파봉부재에 의해서 파봉된 파봉구이다.
상기 실린더 홀더(15)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서 원통상으로 성형되고, 그 하단부에 상기 나사부(14)에 틀어박을 수 있는 나사 구멍(16)이 개구되며, 이 나사 구멍(16)의 상부에 가이드 구멍(17)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18은 나사 구멍(16)과 가이드 구멍(17)의 연통부에 배치한 O링이다.
상기 가이드 구멍(17)의 내면은 평활하게 형성되고, 이 구멍(17)에 후술하는 파봉 홀더의 가이드 샤프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홀더(15)의 외주면에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외부 하우징(19)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그 외주면을 상기 분출 구멍(3)의 안쪽 단면과, 가이드 구멍(8, 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하이징(19)은 중공의 대략 각통형상(角筒狀)으로 성형되고, 그 내부에 평활한 슬라이딩 구멍(20)이 형성되며, 이 슬라이딩 구멍(20)의 상부의 소정 위치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 파봉 홀더(21)가 핀 또는 작은 나사 등의 멈춤 수단(22)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9)의 전후 둘레면에 기다란 세로 길이의 구멍(23)이 대향하여 형성되고, 이 긴 구멍(23)에 실린더 홀더(15)에 돌설(突設)된 계지핀(fastening pin; 붙들어 두는 핀)(24)이 계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계지핀(24)의 선단부는 계지편(6, 7)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외부 하우징(19)의 상하 움직임을 규제하는 동시에, 외부 하우징(19)과 위쪽 케이스(1)를 함께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있다.
도면 중, 25는 외부 하우징(19)의 전면(前面) 상부에 형성한 분구이고, 상기 분출 구멍(3)의 안쪽부에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9)의 상단부에 한쌍의 브래킷(26)이 대향하여 돌설되고, 이 브래킷(26) 사이에 조작레버(27)의 기단부가 핀(28)을 매개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개구부(2)의 개구 가장자리에 계합 가능하게 배 치되어 있다.
도면 중, 29는 조작레버(27)의 아랫면에 돌설된 계합 돌기이고, 후술하는 푸시로드의 바로 위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30은 외부 하우징(19)의 상단부의 중앙에 개구한 투공(透孔)이다.
상기 파봉 홀더(21)는 상기 실린더 홀더(15)와 동일한 직경의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소화가스의 연통로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31)이 형성되며, 이 관통 구멍(31)에 동일한 소화가스의 연통로를 형성하는 작은 직경의 도공(32)이 형성되어 있어, 이 도공(32)의 타단이 분구(25)에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파봉 홀더(21)의 내부에 관통 구멍(31)과 같은 축 상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밸브 취부 구멍(33)이 형성되고, 이 취부 구멍(33)의 상부에 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31)에 푸시로드(35)가 삽입되고, 이 로드(35)는 중간부에 플랜지(36)를 돌설하여, 이 플랜지(36)를 상기 투공(30)의 아래쪽 입구 가장자리 부분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31)의 바닥부와, 플랜지(36) 사이에 스프링(37)이 끼워져, 이 스프링(37)의 탄성을 매개로 푸시로드(35)를 위쪽으로 부세하고, 평소에는 푸시로드(35)의 상단부를 돌기(29)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상기 밸브 취부 구멍(33)에 제어밸브(38)가 수용되고, 이 밸브(38)의 나사부(39)를 상기 나사부(34)에 틀어박아 취부하여, 그 밸브체를 상기 취부 구멍(33)에 기밀하게 계합하고 있다.
기본형태에서는 제어밸브(38)로서, 소형이고 저렴한 시판되는 자동차용 타이어 튜브의 공기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제어밸브(38)는 내부를 관통하는 밸브 봉(40)과, 이 밸브 봉(40)에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안쪽 밸브(41)를 구비하고, 이들을 내부에 설치한 밸브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에 의해서 위쪽으로 부세하여, 상기 안쪽 밸브(41)를 밸브체에 눌러서 닫힘밸브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푸시로드(35)를 매개로 밸브 봉(40)을 눌러 낮추고, 여기에 안쪽 밸브(41)를 함께 움직이게 하여 밸브체의 아래쪽으로 눌러 낮추어, 안쪽 밸브(41)를 열림밸브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안쪽 밸브(41)의 밸브 열림시에 제어밸브(38)의 내부를 관통 구멍(31)에 도통하여, 봉판(13)의 파봉 후, 분출된 소화가스를 제어밸브(38)의 내부로 인도하고, 이것을 관통 구멍(31)으로부터 도공(32)으로 송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 홀더(15)와 파봉 홀더(21) 사이에 스프링(42), 실시형태에서는 용수철이 끼워져, 이 스프링(42)의 탄성을 매개로 파봉 홀더(21)를 위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상기 파봉 홀더(2)의 하단에 가이드 샤프트(43)가 아래쪽을 향해 돌설되고, 이 가이드 샤프트(43)의 내부에 상기 밸브 취부 구멍(33)이 연설(延設)되어 있다.
상기 밸브 취부 구멍(33)의 하단부는, 가이드 샤프트(43)의 중간부로부터 직경이 축소되어 축 끝에 개구되고, 이 축소 직경부(44)에 파봉부재인 침관(45)을 취 부하고 있다.
상기 침관(45)은 강철관의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잘라 형성되고, 그 첨단부(45a)를 봉판(13)의 중심의 얇은 부분에 찔러넣어 용이하고 원활하게 파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침관(45)의 축 중심은 봉판(13)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면 중, 46은 안쪽 푸시로드(35)에 장착한 O링, 47은 가이드 샤프트(43)의 선단의 경부(頸部)에 장착한 O링이다.
한편, 상기 조명 구멍(4)의 안쪽에 LED 등의 등구(48)가 설치되고, 그 리드선(49)이 전원인 전지(50)에 접속되며, 이 전지(50)에 판 스프링 형상의 접속단자(51, 52)가 절연 필름(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도통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중, 가동측의 접속단자(51)는 위쪽 케이스(1)의 내면에 배치되고, 고정측의 접속단자(52)의 한쪽 끝이 아래쪽 케이스(10)에 취부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51, 52)는 평소에는 절연 필름에 의해서 도통이 차단되고, 위쪽 케이스(1)를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가스실린더(11)의 파봉시, 절연 필름을 통과하여 접촉하고, 전지(50)로부터 등구(48)로 계속 급전하여, 이 등구(48)를 점등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면 중, 53은 위쪽 케이스(1)의 전면에 취부한 고지기(alarm apparatus)로, 이것은 재해경보기인 화재 알림기(54)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가능한 수신기(도시 생략)와, 화재 알림기(54)로부터의 경보음을 집음 가능한 마이크와, 상기 경보 이외의 소음을 제거 가능한 밴드 패스 필터(band-pass filter) 내지 로우 패스 필 터(low-pass filter)와, 입력신호를 증폭 가능한 증폭기와, 화재 알림기(54)의 경보음의 기준값과 비교와 연산이 가능한 콤퍼레이터와, 화재 알림기(54)의 경보와 상위한 음색의 고지음을 발생 가능한 발진기 및 스피커와, 전지 등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지기(53)에 상기 마이크 외에, 화재 알림기(5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을 매개로 점등 가능한 LED 등의 램프(도시 생략)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도면 중 55는 아래쪽 케이스(10)의 대략 반주면(半周面)에 장착된 대략 반원 고리상의 탄성을 갖는 안전 링으로, 그 일단에 파지부(55a)가 돌설되고, 평소에는 아래쪽 케이스(10)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있어, 소화가스 분사기(F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아래쪽 케이스(10)가 장난이나 실수에 의해서 밀어넣어져, 가스실린더(11)가 파봉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이 기본형태에서는 고지기(53)를 전지(50)의 근접 위치에 배치하여, 등구(48)와 전원을 공용하고 있고, 또한 고지신호로서 고지음을 채용하고 있지만, 고지음 대신에, 또는 고지음과 함께 고지등을 사용하여, 이것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기본형태에서는 위쪽 케이스(1)와 외부 하우징(19)을 따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이들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조작레버(27)를 외부 하우징(19)에 취부하고 있지만, 조작레버(27)를 위쪽 케이스(1)에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F1)는 가스실린더(11)를 수납하는 위 아래쪽 케이스(1, 10)와, 가스실린더(11) 입구의 나사부(14)를 틀어박는 실린더 홀더(15)와, 침관(45)을 돌설한 파봉 홀더(21)와, 실린더 홀더(15)와 파봉 홀더(21)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19)과, 조작레버(27)와, 파봉 홀더(21)의 내부에 삽입하는 제어밸브(38)와, 고지기(5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F1)를 제작하는 경우는 상기 위 아래쪽 케이스(1, 10)와, 외부 하우징(19)과, 조작레버(27)를 수지성형하고, 실린더 홀더(15)와 파봉 홀더(21)를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성형하며, 제어밸브(38)는 시판의 것을 사용하고, 고지기(53)는 시판의 전자기기를 소정 회로에 조립하여 제작한다.
다음으로, 이들을 조립하는 경우는 외부 하우징(19)의 내부에 파봉 홀더(21)와 실린더 홀더(15)를 상하로 수용하고, 그들 사이에 스프링(42)을 끼운다.
그리고, 파봉 홀더(21)의 가이드 샤프트(43)를 실린더 홀더(15)의 가이드 구멍(17)에 삽입하고, 긴 구멍(23)의 바깥쪽으로부터 실린더 홀더(15)의 둘레면에 계지핀(24, 24)을 박는다.
또한, 상기 핀(24, 24)의 선단부를 긴 구멍(23, 23)에 걸어 멈추고, 파봉 홀더(21)와 실린더 홀더(15)를 외부 하우징(19)의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삽입시, 미리 파봉 홀더(21)의 내부에 제어밸브(38)와 푸시로드(35)를 삽입하고, 하단의 가이드 샤프트(43)에 침관(45)을 취부해 둔다.
먼저, 제어밸브(38)를 조합하는 경우는 파봉 홀더(21)의 밸브 취부 구멍(33)에 제어밸브(38)를 삽입하고, 이 밸브(38)의 나사부(39)를 밸브 취부 구멍(33)의 나사부(34)에 틀어박아 취부한다.
다음으로, 제어밸브(38)의 바로 위에 스프링(37)을 개재하여 푸시로드(35)를 배치하고, 이 푸시로드(35)의 상단부를 외부 하우징(19)의 투공(30)에 삽입하여, 그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다.
또한, 가이드 샤프트(43)에 침관(45)을 취부하는 경우는 밸브 취부 구멍(33)의 축소 직경부(44)에 침관(45)을 압입하여, 그 첨단부(45a)를 가이드 샤프트(43)로부터 돌출시키고, 또한 가이드 샤프트(43)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하여 배치한다.
상기 파봉 홀더(21)와, 실린더 홀더(15)의 조합을 전후해서 외부 하우징(19)의 한쌍의 브래킷(26) 사이에 조작레버(27)를 배치하고, 그 기부(基部)에 핀(28)을 끼워넣고, 이 핀(28)을 중심으로 조작레버(27)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한편, 위쪽 케이스(1)의 둘로 나눈 컷 케이스의 계지편(6) 상에 전지(50)를 취부하고, 조명 구멍(4)에 등구(48)를 끼워넣는다.
또한, 조명 구멍(4)의 바로 아래의 위쪽 케이스(1)의 둘레면에 고지기(53)를 취부하고, 등구(48)와 전지(50)를 리드선(49)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고지기(53)와 공용의 전지(50)를 리드선(도시 생략)으로 접속한다.
다음으로, 접속단자(51)를 위쪽 케이스(1)의 내면에 취부하고, 접속단자(52)를 아래쪽 케이스(10)의 바깥면에 취부하여, 그들을 절연 필름을 사이에 두고 도통 가능하게 접촉한다.
이것을 전후해서 상기 둘로 나눈 컷 케이스를 외부 하우징(19)의 바깥쪽에 대향 배치하고, 이것을 작은 나사 또는 접착제로 접합하여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하며, 그 상단부의 개구부(2) 사이에 조작레버(27)를 배치하고, 하단부에 아래쪽 케이스(10)를 끼워넣는다.
그리고, 위쪽 케이스(1)의 하단에 표출되는 아래쪽 케이스(10)의 둘레면에 안전 링(55)을 끼워넣고, 이 링(55)의 상하 단부를 위쪽 케이스(1)의 하단부와 아래쪽 케이스(10)의 플랜지부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하면, 일련의 제작이 종료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소화가스 분사기(F1)는, 가스실린더(11)의 장전 전은 위쪽 케이스(1)의 하단부에 아래쪽 케이스(10)가 가볍게 눌려서 유지되고, 전체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위쪽 케이스(1)의 전면 상부에 분출 구멍(3)과 조명 구멍(4)이 상하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분출 구멍(3)의 안쪽부에 분구(25)가 위치하며, 조명 구멍(4)에 등구(48)가 취부되고, 이 등구(48)의 바로 아래에 고지기(53)가 표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는 외부 하우징(19)의 내부에서 실린더 홀더(15)가 스프링(42)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부세되고, 파봉 홀더(21)로부터 이간하여 계지핀(24)이 긴 구멍(23)의 하단부에 계합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또한, 제어밸브(38)는 밸브 취부 구멍(33)에 밸브체를 기밀하게 계합하여 취부되며, 내장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서 밸브 봉(40)을 위쪽으로 부세하고, 함 께 움직이는 안쪽 밸브(41)를 밸브체의 하단부에 눌러 낮춰서 안쪽 밸브(41)의 닫힘밸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어밸브(38)의 바로 위의 푸시로드(35)는 스프링(37)의 탄성에 의해서 위쪽으로 부세되고, 그 상단부를 외부 하우징(19)의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조작레버(27)의 아랫면의 돌기(29)와 계합하여, 이 조작레버(27)를 밀어 올리고 있다.
한편, 상기 계지핀(24)의 선단부는 가장 아래 위치의 계지편(7)과 계합하여, 위쪽 케이스(1)가 아래쪽 케이스(10)와 이간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단자(51, 52)의 비도통 상태가 유지되어, 전지(50)로부터 등구(48)에 급전되지 않기 때문에, 이 등구(48)는 소등되어 있다.
또한, 화재발생이 없는 평상시에는 화재 알림기(54)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고지기(53)는 작동을 정지하고, 고지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F1)를 사용에 구비하여 설치하는 경우는, 먼저 위쪽 케이스(1)로부터 아래쪽 케이스(10)를 뽑아내고, 위쪽 케이스(1)의 아래쪽으로부터 미사용 가스실린더(11)를 삽입하여, 그 입구 주변의 나사부(14)를 실린더 홀더(15)의 나사 구멍(16)에 틀어박아 장전한다.
그 후, 위쪽 케이스(1)의 하단부에 아래쪽 케이스(10)를 끼워넣고, 그 내부에 가스실린더(11)의 바닥부를 감합하여, 이것을 소정 위치에 서있는 상태로 설치한다.
이 경우, 적당한 취부 수단을 사용하여 전도(轉倒)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상황은 도 1 및 도 3과 같다.
이렇게 하여 가스실린더(11)를 장전한 소화가스 분사기(F1)는 전술한 조합한 후의 상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봉판(13)의 위쪽에 침관(45)의 첨단부(45a)가 이간하여 위치하며, 또한 파봉 홀더(21)와 실린더 홀더(15)가 이간하여, 그 도공(32)과 외부 하우징(19)의 분구(25)가 분출 구멍(3)에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치 상황하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것을 화재 알림기(54)가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또는 인간의 조작을 통해 화재 알림기(54)가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가 고지기(53)에 입력되면, 내부의 수신기 내지 마이크(도시 생략)가 이것을 검출하고, 그 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경보 이외의 소음을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신호를 화재 알림기(54)의 경보로 인식했을 때, 발신기로부터 상기 경보와 상위한 음색의 고지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고지신호에 의해서 소화가스 분사기(F1)의 소재를 알 수 있고, 그 신속한 사용을 촉진하여, 초기소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소화가스 분사기의 소재를 알 수 있었던 곳에서, 이 소화가스 분사기(F1)를 유지하고, 안전 링(55)의 파지부(55a)를 측방으로 인장하여, 이것을 아래쪽 케이스(12)의 둘레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아래쪽 케이스(12)를 밀어넣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소화가스 분사기(F1)를 유지하여 아래쪽 케이스(12)를 밀어올리고, 또는 분사기(F1)를 플로어면에 설치하여, 위쪽 케이스(1)의 헤드부를 스프링(42)의 탄성에 저항하여 밀어 낮춘다.
이와 같이 하면, 위쪽 케이스(1)가 스프링(42)의 탄성에 저항하여 아래쪽 케이스(12)측으로 이동하고, 또는 아래쪽 케이스(12)가 위쪽 케이스(1)측으로 밀어넣어져, 이 케이스(1)와 일체로 접촉단자(51)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이 단자(51)가 절연 필름(도시 생략)의 개재 위치를 넘은 곳에서, 다른쪽의 접촉단자(52)와 접촉하여, 이들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 때문에, 전지(50)로부터 등구(48)에 통전되어, 이 등구(48)가 점등된다.
따라서, 야간 등에 불난 곳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소화작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소화 후는 퇴피시의 유도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등구(48)는 전지(50)의 전압이 소정값 이하로 소비되기까지 계속 점등된다. 이 상황은 도 5와 같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아래쪽 케이스(12)를 밀러 올리고, 또는 위쪽 케이스(1)의 헤드부를 눌러 낮추면, 가스실린더(11)가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움직이고, 여기에 실린더 홀더(15)가 함께 움직여 스프링(42)을 눌러 축소시키고, 또한 실린더 홀더(15)에 돌설된 계지핀(24)이 긴 구멍(23)을 따라서 위쪽으로 움직인다.
이렇게 하여, 가스실린더(11)의 입구부가 파봉 부재(45)의 첨단부(45a)에 근접이동하여, 봉판(13)에 첨단부(45a)가 찔려서 파봉된다.
이 경우, 상기 첨단부(45a)가 봉판(13)의 얇은 중심부를 찔려서 파봉되기 때 문에, 합리적이고 용이하게 파봉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홀더(15)가 외부 하우징(19) 내를 긴 구멍(23)의 길이만큼 위쪽으로 움직여, 계지핀(24)이 긴 구멍(23)의 상단부에 계합한 곳에서, 실린더 홀더(15)가 위쪽으로의 움직임을 정지하고, 동시에 침관(45)의 찌르는 작동을 정지한다. 이 상황은 도 5와 같다.
이 경우, 파봉 홀더(21)는 외부 하우징(19)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 구멍(3)과 분구(25)와 도공(32)의 연통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봉판(13)이 파봉되면, 가스실린더(11)의 소화가스가 침관(45)으로 유도되어 분출되어, 가이드 샤프트(43) 내부의 밸브 취부 구멍(33)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밸브 취부 구멍(33)은 제어밸브(38)에 의해서 기밀하게 실링되고, 또한 안쪽 밸브(41)가 닫힘밸브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 취부 구멍(33)으로 이동한 소화가스는 관통 구멍(31)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체류하여, 그 압력을 제어밸브(38)와 파봉 홀더(21)의 하부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상기 소화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파봉 홀더(21)가 밀어 올려지고, 여기에 외부 하우징(19)이 함께 움직여, 파봉 홀더(21)가 실린더 홀더(15)로부터 이간하여, 침관(45)이 봉판(13)의 파봉부로부터 뽑혀진다.
이 때, 긴 구멍(23)이 계지핀(24)을 따라서 이동하여, 외부 하우징(19)의 수직이동을 촉진하고, 긴 구멍(23)의 하단부가 계지핀(24)에 맞닿은 곳에서 이동을 정지한다.
이 상황은 도 6과 같고, 파봉 홀더(21)와 일체의 가이드 샤프트(43)가 통공(17)의 상부로 이동하여, 통공(17)의 스페이스가 증가하는 동시에, 봉판(13)에 파봉구(13a)가 개구되고, 이 파봉구(13a)가 통공(17)에 연통되어, 이 통공(17)에 가스실린더(11)의 소화가스가 저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밸브 취부 구멍(33)은 제어밸브(38)에 의해서 기밀하게 실링되고, 또한 안쪽 밸브(41)가 닫힘밸브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 취부 구멍(33)으로 이동한 소화가스는 관통 구멍(31)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체류한다.
이와 같이,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F1)는 파봉 후에 분출된 소화가스를 통공(17)에 일단 체류하여 유출을 저지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소화가스의 방향을 정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분출하는 허비상태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소화가스의 체류공간은 도 5의 파봉시보다도 약간 증대하지만, 가스실린더(11)의 충전용적에 비해 미소(微小)하기 때문에, 분출가스가 압력 하강하지 않아, 그 체류 중은 소화가스의 액화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외부 하우징(19)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이 하우징(19)에 취부된 조작레버(27)가 함께 움직이고, 이 레버(27)의 기부와 계합하는 바깥쪽 케이스(1)가 외부 하우징(19)과 함께 움직여, 아래쪽 케이스(10)로부터 이간한다.
따라서, 접촉단자(52)가 접촉단자(51)에 근접이동하지만, 그들의 도통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전지(50)로부터 등구(48)에 급전되어, 등구(48)가 계속 점등된 다.
그 때, 외부 하우징(19)은 파봉 홀더(21)와 일체로 긴 구멍(23)의 길이만큼 위쪽으로 움직이고, 위쪽 케이스(1)도 조작레버(27)를 매개로 외부 하우징(19)과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분구(25)와 분출 구멍(3)과 도공(32)은 연통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분출 구멍(3)을 불난 곳을 향해서 소화가스 분사기(F1)를 한손으로 유지하고, 조작레버(27)의 선단부를 스프링(37)의 탄성에 저항하여 눌러 낮춘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레버(27)가 핀(28)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이 레버(27) 아랫면의 돌기(29)가 푸시로드(35)의 상단부를 눌러 낮추고, 이 푸시로드(35)의 하단부가 밸브 봉(40)의 상단부와 계합하여 밸브 봉(40)을 스프링(37)의 탄성에 저항하여 눌러 낮춘다.
이 때문에, 안쪽 밸브(41)가 밸브 봉(40)과 함께 움직이고, 밸브체의 하단으로부터 이간하여 눌러 열린다.
그 결과, 제어밸브(38)의 내부가 도통하여, 이 제어밸브(38)를 매개로 밸브 취부 구멍(33)의 하부와 관통 구멍(31)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가스가 제어밸브(38)의 내부를 이동하고, 관통 구멍(31)으로부터 도공(32)으로 유도되어, 분구(25)로부터 분출 구멍(3)으로 이동하여 불난 곳으로 분사된다.
이 경우, 상기 분사된 이산화탄소의 일부는 분구(25)로부터 분출 후 단열팽창하여 드라이아이스화되고, 이것이 기체상의 이산화탄소와 혼합하여 불난 곳에 분사된다.
따라서, 불난 곳 주변의 온도를 낮추는 동시에, 불난 곳 주변에 대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소화작용이 효율적으로 행해져 신속하게 소화된다.
이와 같이,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F1)는 파봉 후의 분출된 소화가스를 일단 체류하고, 분구(25)를 불난 곳에 정확하게 향하게 한 후 분출하기 때문에, 소화가스를 낭비없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불난 곳으로 분출할 수 있어, 합리적이고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다.
한편, 소화가스 분출시에 조작레버(27)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조작레버(27)가 스프링(37)의 탄성에 의해서 위쪽으로 눌려서 되돌려지고, 푸시로드(35)에 의한 밸브 봉(40)의 누름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밸브 봉(40)이 제어밸브(38)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위쪽으로 눌려서 되돌려지고, 여기에 안쪽 밸브(41)가 함께 움직여 밸브체의 하단부에 밀착하여 밸브가 닫힌다.
따라서, 제어밸브(38)의 내부의 도통이 차단되고, 밸브 취부 구멍(33)의 하부와 관통 구멍(31)의 연통이 차단되어, 분구(25)로부터의 가스의 분출이 정지하고, 파봉부로부터 분출된 소화가스가 통공(17)과 가이드 샤프트(43) 내부의 밸브 취부 구멍(33)과 침관(45) 내에 체류한다.
상기 체류가스는 조작레버(27)의 누름 조작을 재개함으로써, 분구(25)로부터 분출되기 때문에, 소화가스를 낭비 없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화가스를 소비 후, 아래쪽 케이스(10)를 위쪽 케이스로부터 뽑아내고, 표출된 가스실린더(11)의 하부를 유지하여 회동시켜, 가스실린더(11)의 입구의 나사부(14)를 실린더 홀더(15)의 나사 구멍(16)으로부터 떼어내면, 빈 상태의 가스실린더(11)를 회수할 수 있다.
이 후, 신규한 가스실린더(11)를 준비하여, 이 실린더(11) 입구의 나사부(14)를 상기 나사 구멍(16)에 틀어박아 장전하고, 아래쪽 케이스(10)를 위쪽 케이스(1)의 하단부에 끼워넣으면, 신규한 가스실린더(11)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F1)는 그 반복 사용을 도모하여, 그 유효이용을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본형태의 응용형태로서, 분구(25)와 도공(32) 사이, 또는 적소에 분말소화 약제를 충전한 분말용기를 배치하고, 이 분말용기에 가스실린더(11)로부터 분출된 소화가스를 유도하여, 이 용기 내의 분말소화 약제를 분구(25)로부터 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용기에 순수 또는 소화약액을 수용하고, 이들을 상기 소화가스에 의해서 안개상 또는 거품상으로 분사하면, 화학품 또는 약제의 화재나 전기화재의 소화에 응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전술한 기본형태의 구성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중,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소형 경량으로 한손으로 운반이 가능한 다른 소화가스 분사기(F2)에 적용하고 있다.
이 제1 실시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F2)는 위쪽 케이스(1), 1의 정면의 중고부(中高部)에 오목부(1a, 1a)를 형성하여, 한손에 의한 악지(握持)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그 상부의 분출 구멍(3)의 바로 위에 등구(48)를 설치하여, 등구(48)에 의한 투광표시를 향상하고 있다.
상기 등구(48)의 점등은 전술한 아래쪽 케이스(10)의 밀어넣는 변위에 의해서 전원회로를 닫는 대신에, 아래쪽 케이스(10)의 밀어넣는 조작에 의한 실린더 홀더(15)의 위쪽으로 움직이는 변위에 의해서 전원회로를 닫도록 하고, 배선의 간결화와 점등의 확실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분출 구멍(3)의 바로 아래에 고지기(53)를 설치하고, 이 고지기(53)에 스피커(56)와 LED 등의 경보 램프(57)와, 재해경보기(54)에 구비한 발신기(58)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이 수신기에 의한 수신을 매개로 스피커(56) 및/또는 경보 램프(57)를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발신기(58)는 경보 또는 음성 가이드, 전파 또는 전기신호, 및 경보 램프의 점멸을 작동할 수 있는 발진기를 구비하고, 이 발신기(58)에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감열 센서 또는 연기 센서 등의 화재검출 센서(59)의 신호와, 소정 의 진도에 상당하는 진동을 검출할 수 있는 진동 센서(60)의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발신기(58)는 상시 센서신호 입력시에 작동하고, 재해경보기(54)에 구비한 스피커(61) 또는 음성 가이드 녹음기, 발진기 또는 경보 램프(62)를 작동하여, 화재의 발생 또는 지진의 발생을 청각 및 시각의 양방으로 경고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중, 음성 가이드는, 예를 들면 「화재입니다. 침착하게 피난해주십시오.」,「비상구는 이 앞쪽에 있습니다.」,「지진입니다. 침착하게 피난해주십시오.」,「지진입니다. 화기를 확인해주십시오.」가 있고, 재해의 발생을 고지하여, 피난로의 확보를 지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화가스 분사기(F2)는 화재발생시는 화재검출 센서(59)가 화재발생을 검출하고, 그 신호가 발신기(58)에 입력되어, 스피커(61)로부터 경보 및 음성 가이드가 출력되어, 예를 들면 「화재입니다. 침착하게 피난해주십시오.」,「비상구는 이 앞쪽에 있습니다.」 등이 방송되는 동시에, 경보 램프(62)가 점멸하여 화재발생을 고지한다.
한편, 상기 발신기(58)로부터 화재발생의 고지신호가 소화가스 분사기의 고지기(53)에 입력되고, 그 스피커(56)로부터 경보가 명동하고 경보 램프(57)가 점멸하여, 상기 분사기의 소재를 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화가스 분사기(F2)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발견하고, 전술 한 바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분구(25)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불난 곳을 향해서 정확하고 유효하게 분사하여 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진도의 지진발생시는 진동 센서(60)가 지진발생을 검출하고, 그 신호가 발신기(58)에 입력되어, 스피커(61)로부터 경보 및 음성 가이드가 출력되고, 예를 들면 「지진입니다. 침착하게 피난해주십시오.」,「지진입니다. 화기를 확인해주십시오.」 등이 방송되는 동시에, 경보 램프(62)가 점멸하여 지진발생을 고지한다.
그리고, 상기 발신기(58)로부터 지진발생의 고지신호가 소화가스 분사기(F2)의 고지기(53)에 입력되고, 그 스피커(56)로부터 경보가 명동하고 경보 램프(57)가 점멸하여, 상기 분사기의 소재를 고지한다. 따라서, 이 후의 화재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소화 후 또는 지진 후는 스피커(61)가 명동하고 경보 램프(57)가 점멸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후의 소화가스 분사기(F2)를 유지하여 이동함으로써,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동시에, 피재자의 소재가 고지되어 발견이 용이해져, 그 구조나 지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기본형태와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고지기(53)를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둘레면에 취부하고 있지만, 내장하여 설치해도 되고, 그와 같이 함으로써 고지기(53)의 보호와,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제2 실시형태는 고지기(53)를 소화가스 분사기(F1, F2)에 일체적으로 취부하는 대신에, 끈 또는 벨트(63)를 매개로 소화가스 분사기(F1, F2)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화가스 분사기(F1, F2)의 구성의 간결화를 도모할 수 있어, 이미 설치한 소화가스 분사기(F1, F2)에 대한 부속물로서 나중에 용이하게 부속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지기(53)의 이용이나 교환을 촉진시키고, 또한 종래의 대형 대중량의 소화가스 분사기(FR)의 몸통부(胴部)(64)로의 취부가 가능해져, 고지기(53)의 이용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피재 후 또는 피난시는 소화가스 분사기(F1, F2, FR)로부터 상기 고지기(53)를 떼어내어, 이것을 피재자(65)의 손목, 팔 등의 신체에 장착하면, 피재자(65)의 소재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어, 피재자(65)의 구조나 안부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면 중, 66a는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FR)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가동레버, 66은 고정레버, 67은 호스노즐이다.
또한, 고지기(53)의 탈착 수단으로서, 전술한 것 외에 핀이나 배지, 훅, 누름식 파스너, 버튼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실시형태는 전술한 안전 링(55) 대신에, 가스 분사기(F2)를 유지하는 취부 홀더(68)에 동일한 기능을 가지게 하여, 가스실린더(11)의 잘못된 파봉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취부 홀더(68)는 세로 직사각형의 합성수지제 홀더판(69)과, 한쌍의 클러치 암(70, 70)을 구비하고, 이 클러치 암(70, 70)을 홀더판(69)의 하단부에 작은 나사(71)를 매개로 취부하고, 이들에 적당한 탄성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취부 홀더(68)는 작은 나사(71) 또는 양면접착 테이프를 매개로 홀더 판(69)을 건물, 차안 또는 차체 등의 벽면(73)의 목적하는 위치에 취부하여, 그 클러치 암(70, 70)에 가스 분사기(F2)의 아래쪽 케이스(10)를 끼워넣고, 그 탄성에 의해서 당해 부분을 협지하여, 가스 분사기(F2)를 유지하는 동시에, 아래쪽 케이스(10)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고, 가스 분사기(F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가스실린더(11)의 파봉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가스 분사기(F2)를 사용할 때는 클러치 암(70, 70)의 압접력(壓接力)에 저항하여 가스 분사기(F2)를 자기 앞쪽으로 뽑아내고, 아래쪽 케이스(10)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 곳에서, 아래쪽 케이스(10)를 밀어 올리면, 가스실린더(11)를 파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분사기(F2)를 취부 홀더(68)로부터 뽑아내고, 이후 안전 링을 뽑아내는 번잡한 조작으로부터 해방되어, 이들의 조작을 일시에 행함으로써, 가스 분사기(F2)를 신속하게 사용하여 소화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는 취부 홀더(68)를 가스 분사기(F2)의 취부와, 가스실린더(11)의 잘못된 파봉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은 장전한 소형 가스실린더를 간편하게 파봉하고, 분출된 소화가스의 유출을 밸브에 의해서 일단 저지하여, 소화가스의 허비를 방지하고, 그 유효이용과 소화의 실효를 도모하는 동시에, 소화시에 불난 곳을 향해서 소화가스를 확실하고 적확하게 분사하여, 그 효과적이고 유효한 소화와 확실한 초기소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화재 또는 지진발생시에 소화기의 소재를 고지하여, 소화기의 신속한 사용과 초기소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정 또는 사무소 또는 차재용의 간이 소화기나 주택용 재해경보 시스템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형태를 적용한 소형 경량인 소화가스 분사기의 사용 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소화가스로서 이산화탄소를 충전한 가스실린더를 장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봉판의 파봉 전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상기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케이스를 눌러서 파봉 홀더를 함께 움직이게 하고, 등구를 점등하는 동시에, 침관(針管)을 봉판에 찔러서 파봉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상기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봉판의 파봉 직후, 분출된 소화가스에 의해서 케이스와 파봉 홀더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상기 기본형태의 소화가스 분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봉판의 파봉 후, 조작레버를 누름 조작하여 제어밸브를 열림밸브로 하고, 소화가스를 분구로부터 분출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소형 경량인 소화가스 분사기의 사용 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파봉 전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적용한 소화가스 분사기의 사용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아래쪽 케이스를 밀어넣어서 실린더 홀더를 함께 움직이게 하여, 파봉한 직후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파봉 직후, 분출된 소화가스에 의해서 케이스와 파봉 홀더가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진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 후, 상기 소화가스 분사기의 조작레버를 조작하고, 제어밸브를 열림밸브로 하여, 소화가스를 분사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적용한 소화가스 분사기에 설치한 고지기에, 재해경보기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소형 경량인 소화가스 분사기와 대형 대중량의 소화가스 분사기에 고지기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들에 재해경보기로부터 화재 및 지진의 경보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적용한 탈착 가능한 고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고지기를 소화가스 분사기로부터 떼어내고, 피재자에 취부하여 사용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취부 홀더에 의한 소화가스 분사기(F2)의 취부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적용한 취부 홀더의 취부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도 18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케이스(위쪽 케이스)
3 분사 구멍
10 케이스(아래쪽 케이스)
11 가스실린더
13 봉판(封板)
15 실린더 홀더
17 통공(通孔)
19 외부 하우징
21 파봉(破封) 홀더
25 분구(噴口)
27 조작레버
31 연통로(관통 구멍)
32 연통로(도공(導孔))
33 연통로(밸브 취부 구멍)
38 제어밸브
45 침관(針管)
48 등구(燈具)
53 고지기(告知器)
54 재해경보기(화재 알림기)
56 경보기(스피커)
57 경보 램프
65 피재자
68 취부 홀더
70 클러치 암(clutch arm)
F1, F2, FR 소화가스 분사기

Claims (15)

  1. 내부에 소화가스를 가압하여 충전하고, 또한 그 개구부에 봉판(13)을 부설한 가스실린더(11)와, 이 가스실린더(11)를 수납한 케이스(1)와, 상기 봉판(13)을 파봉할 수 있는 첨단부(45a)를 갖는 파봉부재(45)와, 상기 가스실린더(11)의 입구부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하고, 그 내부에 상기 파봉부재(45)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구멍(17)을 형성한 실린더 홀더(15)와, 상기 파봉부재(45)를 장착하고, 평소에는 실린더 홀더(15)의 상방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파봉 홀더(21)와, 상기 가이드 구멍(17)과 외부로 개구된 도공(導孔)(32)을 연통 가능한 연통로(31, 33)와, 재해경보를 수신하고, 음성 또는 명동(鳴動) 또는 빛의 고지신호를 출력 가능한 고지기(53)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를 위쪽으로 움직이고 가스 실린더(11)를 함께 움직이게 하여 파봉하고, 파봉 후의 소화가스를 연통로(31, 33)를 거쳐 도공(32)으로부터 분출 가능하게 한 소화가스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고지기(53)를 손목보다 작은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이 고지기(53)를 케이스(1)의 전부(前部) 둘레면에 취부하고, 상기 파봉 홀더(21)의 내부에 연통로(31, 33)를 형성하여, 이 연통로(31, 33)의 중간부에 평소에는 닫힘밸브로 할 수 있는 제어밸브(38)를 배치하여, 파봉시에 상기 가이드 구멍(17)과 연통로(31, 33)에 소화가스를 저류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밸브(38)를 열림밸브로 할 수 있는 푸시로드(35)를 계합 가능하게 배치하여, 이 푸시로드(35)에 조작레버(27)를 계합 가능하게 배치하고, 조작레버(27)를 매개로 상기 제어밸브(38)를 열림밸브로 하여, 저류가스를 도공(32)으로부터 분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가스 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기(53)를 소화가스 분사기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한 소화가스 분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기(53)를 피재자(65)에게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 소화가스 분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기(53)에, 끈 또는 벨트(63), 핀, 배지, 훅, 누름식 파스너,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탈착 가능하게 취부한 소화가스 분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기(53)를 휴대 가능하게 한 소화가스 분사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7013923A 2006-05-18 2007-04-18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KR101010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8589 2006-05-18
JPJP-P-2006-138589 2006-05-18
JPJP-P-2007-103491 2007-04-11
JP2007103491A JP4969300B2 (ja) 2006-05-18 2007-04-11 消火ガス噴射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156A Division KR101050608B1 (ko) 2006-05-18 2007-04-18 소화가스 분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032A KR20090081032A (ko) 2009-07-27
KR101010110B1 true KR101010110B1 (ko) 2011-01-24

Family

ID=387231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923A KR101010110B1 (ko) 2006-05-18 2007-04-18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KR1020087016156A KR101050608B1 (ko) 2006-05-18 2007-04-18 소화가스 분사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156A KR101050608B1 (ko) 2006-05-18 2007-04-18 소화가스 분사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51194B2 (ko)
EP (2) EP2018895B1 (ko)
JP (1) JP4969300B2 (ko)
KR (2) KR101010110B1 (ko)
AT (2) ATE544494T1 (ko)
DE (1) DE602007006002D1 (ko)
ES (2) ES2340817T3 (ko)
MY (1) MY144176A (ko)
TW (2) TWI358306B (ko)
WO (1) WO2007135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961B2 (en) * 2007-11-30 2013-10-22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les through portions of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JP5020166B2 (ja) * 2008-06-03 2012-09-05 英夫 吉田 消火ガス噴射器
JP5383287B2 (ja) * 2009-03-31 2014-01-08 英夫 吉田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JP5276630B2 (ja) * 2009-10-23 2013-08-28 エア・ウォーター防災株式会社 ガス消火設備
EP2529795A4 (en) * 2010-03-30 2013-10-09 Hideo Yoshida APPARATUS FOR EXTINGUISHING GAS SPRAY
CA2849263A1 (en) * 2011-09-19 2013-03-28 Akron Brass Company Fire extinguisher
CZ308136B6 (cs) * 2012-07-27 2020-01-22 Svatopluk Cafourek Kryt generátoru hasicího aerosolu do výbušného prostředí
JP2014054317A (ja) * 2012-09-11 2014-03-27 Nippon Sakudory:Kk 投擲用消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233264B2 (en) * 2013-08-23 2016-01-12 Fire Flighters Llc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ircraft storage containers
GEP20196979B (en) * 2014-06-24 2019-06-10 Inc Rousseau Fire extinguisher with internal mixing and gas cartridge
WO2016014585A1 (en) 2014-07-22 2016-01-28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Molded fluoropolymer breakseal with compliant material
TWI551327B (zh) * 2014-09-17 2016-10-01 Univ Kun Shan Escape instructions fire extinguisher
US9861846B2 (en) * 2015-01-22 2018-01-09 Kidde Technologies, Inc. Spring-collet mechanism for activating a fire extinguisher
US10105562B2 (en) * 2015-03-30 2018-10-23 Utc Fire & Security Corporation Hermetically sealed portable fire extinguisher with pressure indicator
US9685061B2 (en) 2015-05-20 2017-06-20 Google Inc. Event prioritization and user interfacing for hazard detection in multi-room smart-home environment
KR101718223B1 (ko) * 2015-07-29 2017-03-20 노상균 Led를 이용한 비상신호장치
GB2557232A (en) * 2016-11-30 2018-06-20 Graviner Ltd Kidde Safety system for fire suppressant distribution devices
SE540500C2 (en) * 2016-12-19 2018-09-25 Inventi Vidi Ab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a fire
WO2018213214A1 (en) * 2017-05-16 2018-11-22 Robert Czarnek Water-mist fire extinguishing system
CA3106681A1 (en) * 2017-07-20 2019-01-24 Nikolay Vadimovich SOVA Fire-extinguishing device (variants), lock and release device for fire-extinguishing device (variants), forced activation device for lock and release device, fire-extinguishing sy stem and fire-extinguishing method
CN109813178B (zh) * 2019-03-20 2023-08-22 江苏泽众智能科技有限公司 充装式警用高压催泪喷射器
CN111739239B (zh) * 2020-07-25 2021-09-17 海宁市亚光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具备火灾应急功能的楼道照明指示灯
CN115337568B (zh) * 2022-07-28 2023-05-02 山东鲁烟莱州印务有限公司 一种凹版印刷机分组式自动灭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0779A (ko) * 1993-02-15 1996-02-24 괴란 순트홀름 소화설비용 압력작동식 밸브(valve for fire fighting installation)
JPH09103512A (ja) * 1995-10-13 1997-04-22 Katsutoshi Matsumoto 手動式消火及び冷却ガス噴射防災器具
KR19990035590U (ko) * 1998-02-04 1999-09-15 조재근 자동소화장치
KR20050037108A (ko) * 2003-10-17 2005-04-21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987A (en) * 1910-11-12 1912-01-30 Durafort Company Fire-extinguisher.
FR589331A (fr) * 1924-11-07 1925-05-27 Extincteur d'incendies à percuteur
US2506983A (en) * 1947-05-29 1950-05-09 Frank C Williams Signal control structure
US2764121A (en) * 1954-02-15 1956-09-25 Paul J Showstack Gas alarm device
US2778434A (en) * 1954-08-31 1957-01-22 Ansul Chemical Co Fire-extinguishing apparatus
US2778435A (en) * 1955-10-25 1957-01-22 Ansul Chemical Co Safety device for fire-extinguishing apparatus
US3228474A (en) * 1961-08-11 1966-01-11 Jr Charles K Huthsing Fire extinguisher
US3172478A (en) * 1963-07-19 1965-03-09 Henry L Giclas Fire extinguisher
US3441087A (en) * 1966-11-15 1969-04-29 Edward J Poitras Fire extinguisher apparatus
US3540408A (en) * 1968-09-27 1970-11-17 Willard C Messick Indicator alarm device
US3589446A (en) * 1969-08-04 1971-06-29 James C Bower Seal rupturing and dispensing fixture for normally sealed prepressurized tanks
US3785334A (en) * 1971-01-11 1974-01-15 T Waldeck Gas generator fire alarm
GB1485081A (en) * 1975-01-06 1977-09-08 Cheung King Fung Detecting device
US3998274A (en) * 1975-05-15 1976-12-21 Liautaud James P Fire extinguisher head assembly
JPS5549089Y2 (ko) * 1976-06-08 1980-11-15
US4121533A (en) * 1976-12-27 1978-10-24 Falcon Safety Products, Inc. Thermally responsive acoustic fire alarm assembly
US4170189A (en) * 1976-12-27 1979-10-09 Falcon Safety Products, Inc. Sensor element and assembly for thermally responsive apparatus
US4360802A (en) * 1981-03-03 1982-11-23 Pinto Anthony A Automatic theft and fire alarm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ers
JPS57163258A (en) 1981-03-31 1982-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pying device
JPS625187Y2 (ko) * 1981-04-09 1987-02-05
US4418336A (en) * 1981-07-17 1983-11-29 Taylor John D Alarm indicating dis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EP0112950A1 (fr) * 1982-12-30 1984-07-11 COMPAGNIE CENTRALE SICLI (Société Anonyme) Appareil extincteur d'incendie
CA1305106C (en) * 1987-01-16 1992-07-14 Stuart Douglas Woodman Portable fire extinguisher
JP2890097B2 (ja) * 1994-05-24 1999-05-10 松本 勝俊 簡易手動消火ガス噴射器具
US5562163A (en) * 1994-08-29 1996-10-08 Sartain; Samuel D. Home fire-fighting apparatus
US5544647A (en) * 1994-11-29 1996-08-13 Iep Group, Inc. Metered dose inhalator
JPH1085352A (ja) * 1996-09-12 1998-04-07 Haseko Corp 警報装置付き消火器
US5704428A (en) * 1996-10-07 1998-01-06 Asano; Tokio Disaster preventive apparatus
US5952919A (en) * 1998-03-12 1999-09-14 Merrill; Joseph Fire extinguisher alarm system
JP2900155B1 (ja) * 1998-04-03 1999-06-02 優 藤木 ガス式消火具
JP2000189534A (ja) 1998-12-25 2000-07-11 Sogo Hatsujo Kk 手動消火ガス噴射器
AU3211100A (en) 1999-01-21 2000-08-07 Gary J. Morris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or with remote fire extinguisher locator system
JP2001291180A (ja) * 2000-04-04 2001-10-19 Alpha Tsushin:Kk 救護要請通報装置
GB2377172A (en) * 2001-06-26 2003-01-08 Adrian Michael Cawkwell Fire extinguisher locator alarm
US6641286B2 (en) * 2001-09-25 2003-11-04 William M. Hincher, Sr. Fire extinguisher mount/locator
JP2004351047A (ja) 2003-05-30 2004-12-16 Takeshi Taniguchi 消火器
GB2408684B (en) 2003-12-06 2005-11-09 Roger Carr Improved powder extinguisher discharge valve
KR200343769Y1 (ko) * 2003-12-15 2004-03-12 이기원 자동확산소화기용 밸브장치
KR200378223Y1 (ko) * 2004-12-10 2005-03-10 주식회사 엔휀스타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0779A (ko) * 1993-02-15 1996-02-24 괴란 순트홀름 소화설비용 압력작동식 밸브(valve for fire fighting installation)
JPH09103512A (ja) * 1995-10-13 1997-04-22 Katsutoshi Matsumoto 手動式消火及び冷却ガス噴射防災器具
KR19990035590U (ko) * 1998-02-04 1999-09-15 조재근 자동소화장치
KR20050037108A (ko) * 2003-10-17 2005-04-21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2247A1 (en) 2010-04-07
KR20090081032A (ko) 2009-07-27
TW200934548A (en) 2009-08-16
EP2018895B1 (en) 2010-04-21
DE602007006002D1 (de) 2010-06-02
ES2381749T3 (es) 2012-05-31
US8651194B2 (en) 2014-02-18
KR101050608B1 (ko) 2011-07-19
KR20080095845A (ko) 2008-10-29
EP2172247B1 (en) 2012-02-08
US20090173506A1 (en) 2009-07-09
TWI351293B (en) 2011-11-01
TW200808401A (en) 2008-02-16
JP2007330775A (ja) 2007-12-27
ATE464934T1 (de) 2010-05-15
TWI358306B (en) 2012-02-21
ATE544494T1 (de) 2012-02-15
WO2007135825A1 (ja) 2007-11-29
JP4969300B2 (ja) 2012-07-04
MY144176A (en) 2011-08-15
ES2340817T3 (es) 2010-06-09
EP2018895A1 (en) 2009-01-28
EP2018895A4 (en)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110B1 (ko)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JP5230476B2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KR101753062B1 (ko) 위치 알림 소화기
JP5073296B2 (ja) 消火ガス噴射器
CN106924911A (zh) 一种舰船用智能消防系统以及灭火方法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WO2011121889A1 (ja) 消火ガス噴射器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JP2010233849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地震警報器並びに災害警報システム
US20220023688A1 (en) Extinguishing device for fitting on the housing of an electrical unit, on a monument in the cabin of an aircraft or in a cavity in the structure of an aircraft
JP3905414B2 (ja) 消火栓装置操作方法案内システム
JP2007193683A (ja) 火災告知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火災報知システム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JPH07132151A (ja) システムキッチン用ガスコンロ火災自動消火装置
CN109589529A (zh) 一种智能消防箱
CN220691482U (zh) 一种应急疏散报警装置
CN215309948U (zh) 一种带防盗报警灭火器
JP2009291282A (ja) 消火ガス噴射器
JP4743760B2 (ja) ガスボンベの破封装置
KR101786053B1 (ko) 초기소화효율을 높인 공동주택의 실내 소화장치
JP2004351047A (ja) 消火器
KR20200102681A (ko) 시각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가정용 소화기 장치
JP2012239484A (ja) 塵芥収集車用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