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108A -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108A
KR20050037108A KR1020030072543A KR20030072543A KR20050037108A KR 20050037108 A KR20050037108 A KR 20050037108A KR 1020030072543 A KR1020030072543 A KR 1020030072543A KR 20030072543 A KR20030072543 A KR 20030072543A KR 20050037108 A KR20050037108 A KR 2005003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re
fire extinguisher
case body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807B1 (ko
Inventor
윤병기
Original Assignee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8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하게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시키고,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 소화기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소화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와, 케이스 본체에는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하는 부저와, 센서부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동작 구동부와,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시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SPRINKLER SYSTEM}
본 발명은 화재의 원인을 알려주어 신속히 대처하게 하고, 화재시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설치된 장소에서 온도, 연기 및 가스에 대한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화재 발생시 화염 및 불꽃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화재의 발화점을 추적하여 진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하게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 전기배전판, 유흥업소, 변전실, 아파트 보일러실, 음식점 주방, 숙박업소, 생산시설, 물류창고, 공공기관 등과 같은 장소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장소 등에는 화재 발생시 사람이 직접 소화기를 들고 화재를 진화해야 되는 위험성을 갖는 문제와, 무인의 장소에서는 초기 진화가 어려워 오히려 대형화재를 유발시키는 등의 인명과 재산상의 문제들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는 자동식 소화기 및 스프링 쿨러가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상기 자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사람으로 하여금 설치가 어려워 전문가를 통해 설치시켜야 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장소가 협소한 일반 주거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스프링 쿨러의 경우에는 건물 천정의 열을 감지하게 되면 쿨러가 동작하여 물을 뿌려주게 되는데, 이는 화재가 확산된 후에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후에 쿨러가 작동되기 때문에 초기 진화와 같은 신속한 화재의 진화가 불가능한 문제와, 현대건물의 형태들은 유독성 물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되면 스프링 쿨러에 의해서만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시키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가스렌지의 후드등에 소화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화재의 위험성을 사용자가 알면서도 설치조건이나 가격등의 문제로 일반 사람이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의 소화기는 일정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시스템이 동작되어 분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온도에 의해서만 작동하고 불꽃이나 연기가 발생할 때에는 미리 화재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문제들로 인해 어느 정도 효율성의 한계가 있어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설치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들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화재의 원인을 사전에 감지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하게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예방시키고,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형화재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 신뢰도 및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소화기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소화기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와, 케이스 본체에는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하는 부저와, 센서부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동작 구동부와,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시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것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의 제작자 및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불꽃을 진화하기 위해 불꽃을 향하여 내장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소화기(10)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10)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2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소화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3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적정한 위치에는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40)와,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 부저(50)와,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10)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된 동작 구동부(100)와,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컴(60)을 포함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부에는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상태에서 비상시에 작동하는 비상전원의 공급으로 조명을 밝게 해주는 비상램프(21)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동작 구동부(100)는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1기어(1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어(10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103)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2기어(103a)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진 제2기어(10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3기어(104)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104)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3기어 (104a)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진 제3기어(104a)에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 (105)가 구비되고, 상기 캠기어(105)의 구동에 의해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수직운동으로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누름캠(106)이 구비되며, 상기 캠기어(105)의 일측 끝단에는 구동 완료된 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107)이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성부들을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는 브라켓트(10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캠(106)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단 (109)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소정의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직선기어(111)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기어(111)와 소화기(10)의 분사구 (12) 후단에 형성된 전환기어(12a)가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직선기어(111)가 일정한 길이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기어방지턱(112)이 상기 케이스 본체(20) 내부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직선기어(111)의 후단에는 구동 완료된 직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해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복귀단(1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성부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기에 의한 누전이나 불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겨울철에 화재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커짐은 주지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방지시키기 위해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인 자동 소화장치(1)는 대형화재의 원인을 초기에 알려주어 사용자가 신속히 대처하도록 하고 화재시 초기 발화지점을 신속히 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전기배전판, 보일러실, 주방, 숙박업소, 유흥업소, 물류창고, 공공기관 등과 같은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동시에 그 크기가 소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인 무인 자동 소화장치(1)의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케이스 본체(20)에 소화기(10)를 안정적으로 내장시킨 후에 보호덮개(30)을 닫힌 다음 사용자가 설치를 원하는 상기와 같은 장소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주전원인 상용전원을 케이스 본체(20)의 전원단에 연결시킨 다음 전원스위치(SW1)를 온(ON)하게 되면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케이스 본체(20)에 설치된 센서부(40)가 여러 상황을 계속적으로 체크 및 감지하게 되고, 이때 센서부(40)를 통해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무인 자동 소화장치(1)가 설치된 장소의 내부 온도가 약 70℃∼80℃ 정도로 온도 센서(41)를 통해 감지되면, 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5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부저(50)는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나 외부인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약90∼95㏈ 정도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온도 센서(41)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위하여 케이스 본체(20) 상에 다수개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42)는 설치된 장소의 내부 공기중에 0.06~0.45%의 LPG와 0.06~1.25%의 LNG의 가스 농도(통상 24시간 정도 감지한 농도)가 감지되면, 상기와 같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5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부저(50)는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나 외부인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약90∼95㏈ 정도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43)는 설치된 장소의 내부에서 화학반응에 의한 연소현상으로 발생된 연기가 감지되면, 상기와 같이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저(50)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부저(50)는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나 외부인이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약90∼95㏈ 정도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주간과 야간을 구분하기 위해서 빛을 감지하는 주야센서(44)에 의해 야간시에는 비상램프(21)가 켜지고, 주간시에는 비상램프(21)가 꺼지게 되며, 또한 상기 비상램프(21)는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비상시에 작동하는 비상전원의 공급으로 조명을 밝게 해주기 때문에 정전시 비상등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비상램프(21)는 고회도 백색 램프(LED) 3개가 삼각형태로 조합되어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재 및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연기로 인하여 방향 감각을 잃어 인명피해의 발생(특히 화재는 야간이나 새벽과 같이 수면을 취할 때 발생하게 되면 대부분 무방비 상태)을 최소화로 줄여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40)의 센서들 중에서 불꽃(화염)을 감지하는 센서(45)는 설치된 장소의 내부에서 불꽃(화염)이 발생되면 화염의 적외선과 자외선 파장영역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게 되고, 분석된 특성이 화재로 인식되면 이 인식된 신호는 마이컴(60)에 입력된 다음 상기 마이컴(6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구동부(100)를 구동시켜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상기 불꽃(화염)에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불꽃 감지센서(45)를 통해 화재의 불꽃이 인식되면, 상기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불꽃이 발생된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컴(60)의 신호가 출력되면 이 출력된 신호에 따라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고, 상기의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직선기어(111)가 구동하게 되며, 상기 직선기어 (111)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 후단에 형성된 전환기어(12a)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직선기어(111)의 구동으로 인해 전환기어(12a) 또한 구동되어 소화기 (10)의 분사구(12)를 원하는 방향인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불꽃이 발생된 방향으로 분사구(12)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분사구 (12)를 수직으로 가압시켜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작동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직선기어(111)가 약 1초간 구동하게 되면, 상기 분사구(12)는 전환기어 (12a)에 의해 45°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직선기어(111)는 기어방지턱 (112)에 의해 더 이상 이동 및 구동되지 않게 되며, 이때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는 약 20초간 연속하여 회동한 후에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축에는 회동한 후에도 모터의 손상을 발생시키기 않기 위해서, 원형의 사출성형물(미도시)을 삽입시키고, 외경 둘레에는 고무롤러(110a)을 구비시켜 상기 직선기어(111)와 접촉하게 한다.
상기 직선기어(111)의 후단에 형성된 복귀단(113)은 구동 완료된 직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해, 즉 상기 무인 소화장치(1)의 사용후 또는 시험 조작후에 분사구 (12)가 중앙 위치에 자동 복귀하도록 상기 직선기어(111)의 하부면에 홈을 내어 스프링판이나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소화기(10)의 분사구(12)가 발생된 불꽃 지점을 향하여 위치시킨 다음 상기 소화기(10)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분사구(12)를 통해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01)가 일정속도를 갖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101)에 의해 제1기어(10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10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맞물려 있는 제2기어(10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기어(103)의 축상에 구비된 단차진 제2기어(103a)는 맞물려 있는 제3기어(10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제3기어(104)의 축상에 구비된 단차진 제3기어(104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맞물려 있는 캠기어(105)를 구동시키고, 상기 캠기어 (105)의 구동에 의해 누름캠(106)이 작동되어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수직운동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캠(106)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단(109)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캠(106)이 수직 하강으로 작동하게 되면, 동시에 상기 보호단(109)은 상승되므로 소화기(10)의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이 분사구(12)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분사(소화기의 용량에 따라 약 8∼20초간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되는 것이고, 이는 불꽃이 발생된 지점을 향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화재가 초기에 진화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제2기어(103) 및 제3기어(104)는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역활외에 원할한 작동을 위해서 회전력을 감소시키고 출력을 증가시키는 역활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며, 상기 누름캠(106)은 분사구(12)의 분사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중력을 증가시키는 이중 캠 구조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소화액 분사가 완료되면, 상기 캠기어(105)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07)에 의해 구동 완료된 캠기어(105)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를 이루는 구성부들은 케이스 본체(20)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트(108)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트(108)의 측부에는 마이컴(60)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인 자동 소화장치(1)의 케이스 본체(20)에는 전원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시키는 아답터 잭(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에는 LCD모니터창(22)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밧데리 사용량의 표시, 시간 및 온도 등과 같은 각종 작동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후면 좌우측에는 공기의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통풍구(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호덮개(30)의 전면 중앙에는 소화기 (10)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하단에는 비상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재충전 건전지가 내장된 밧데리 단자(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밧데리 단자(25)에 내장된 재충전 건전지의 용량이 떨어지면 상기 LCD모니터창(22)을 통해 교환시기 및 충전시기를 표시하게 되고, 이에 별도로 상기의 부저를 활용하게 되면 경보음(예를 들어, 삐리릭 삐리릭)을 출력하여 재충전 건전지의 교환시기 및 충전시기를 알려줄 수가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에는 전원 스위치(SW1)외에도 비상램프 스위치(SW2)와, 비상시의 상황이 끝날 경우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 스위치(SW3)가 구비되고, 이에 별도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전원램프 (LED1) 및 정상동작램프(LED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무인 자동 소화장치(1)를 이용하여 실시할 경우 소화기(10)에 저장된 소화액의 분사거리는 분사구(12)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0.6m∼3m정도의 거리를 분사하게 되고, 분사된 소화액은 반경 약 30°정도로 형성됨을 알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첨부도면 도 7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인 자동 소화장치(1)를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구(12)의 높이에 따라 소화액이 분사되는 반경을 보여주는 실시예로서, 이는 케이스 본체(20)의 정면을 향한 지점에서 분사구(12)의 회전각은 반경 좌우측으로 약 45°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 (20)를 기준으로 하는 진화 반경은 분사구(20)의 회전 반경 90°와 소화액의 분사 반경 30°를 합한 약 120°정도되기 때문에 상기의 약 120°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화재의 발화지점을 진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무인 자동 소화장치(1)는 설치 높이에 따라 분사 반경 및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의 주방이나 배전판 주변등과 같은 화재의 위험이 항상 내포하고 있는 장소의 적정한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시켜 사용하게 되면,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화재경보시스템보다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도 화재의 원인을 미리 알려주어 화재를 신속히 예방할 뿐만 아니라 화재시에는 대형화재를 미리 방지시키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된 장소에서 온도, 연기 및 가스에 대한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알려주도록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화재 발생시 화염 및 불꽃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화재의 발화점을 추적하여 진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의 원인이 사전에 감지될 수 있어 화재사고가 미연에 예방되는 효과와, 화재의 발화점이 센서에 의해 추적됨으로 화재 발생시의 초기 진화가 가능하게 되어 대형화재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재충전 건전지와 비상램프가 구비되어 있어 정전시에도 원할한 전원 공급과 이로 인한 비상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효과등으로 인해 전체적인 소화장치의 성능이 향상되어 이를 배치 및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소화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캠을 보여주기 위한 소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동작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7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인 무인 자동 소화장치를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구의 높이에 따라 소화액이 분사되는 각도 및 반경을 보여주는 각각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인 자동 소화장치 10 : 소화기
20 : 케이스 본체 30 : 보호덮개
40 : 센서부 50 : 부저
60 : 마이컴 100 : 동작 구동부

Claims (5)

  1.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불꽃을 진화하기 위해 불꽃을 향하여 내장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하는 소화기(10)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10)를 안정적으로 내장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케이스 본체(20);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소화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보호덮개(30);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적정한 위치에는 주야(晝夜) 감지, 온도 감지, 가스 감지, 불꽃 감지 및 연기 감지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40);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외부에 신속히 알려주기 위해서 경보음을 출력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 부저(50);
    상기 센서부(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기(10)를 작동시켜 소화액을 분사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된 동작 구동부(100); 및
    상기 구성부들의 신호를 제어하여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구동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컴(60);
    을 포함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20)의 전면 상단부에는 주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상태에서 비상시에 작동하는 비상전원의 공급으로 조명을 밝게 해주는 비상램프(21)를 더 포함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구동부(100)는 소화기(10)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10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1기어(10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기어(10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10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103)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2기어(103a)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진 제2기어(10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3기어(104)가 구비되고, 상기 제3기어(104)의 축상에는 단차진 제3기어(104a)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진 제3기어(104a)에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105)가 구비되고, 상기 캠기어(105)의 구동에 의해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수직운동으로 가압하여 작동시키는 누름캠(106)이 구비되며,
    상기 캠기어(105)의 일측 끝단에는 구동 완료된 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107)이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성부들을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는 브라켓트(10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캠(106)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단 (109)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동작 구동부(100)에는 소화기(10)의 분사구(12)를 소정의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이컴(60)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구 방향전환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직선기어(111)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기어(111)와 소화기(10)의 분사구(12) 후단에 형성된 전환기어 (12a)가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직선기어(111)가 일정한 길이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기어방지턱(112)이 상기 케이스 본체(20) 내부의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직선기어(111)의 후단에는 구동 완료된 직선기어를 복귀시키기 위해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복귀단(1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KR1020030072543A 2003-10-17 2003-10-17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KR10057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43A KR100576807B1 (ko) 2003-10-17 2003-10-17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43A KR100576807B1 (ko) 2003-10-17 2003-10-17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08A true KR20050037108A (ko) 2005-04-21
KR100576807B1 KR100576807B1 (ko) 2006-05-10

Family

ID=3723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543A KR100576807B1 (ko) 2003-10-17 2003-10-17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8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73B1 (ko) * 2008-01-15 2010-06-14 한국과학기술원 자동분사 소화기 및 분사방법
KR101010110B1 (ko) * 2006-05-18 2011-01-24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CN107908256A (zh) * 2017-12-13 2018-04-13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便于拆卸的防火机箱
KR20200040413A (ko) * 2018-10-10 2020-04-20 문홍찬 소화물질의 집중분사가 가능한 소방용 간이 스프링쿨러
KR20230108948A (ko) * 2022-01-12 2023-07-19 문병철 Ai 화염 추적 소화형 소화기
CN116863674A (zh) * 2023-07-18 2023-10-10 山东引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642B1 (ko) 2011-05-12 2012-11-23 임경범 비상등 시스템
WO2013022251A1 (ko) * 2011-08-09 2013-02-14 (주)서한에프앤씨 자동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1887914B1 (ko) * 2016-12-14 2018-08-13 (주)두레샘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1857163B1 (ko) * 2017-03-10 2018-05-11 백민준 차량용 소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10B1 (ko) * 2006-05-18 2011-01-24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 및 재해경보 시스템
KR100962473B1 (ko) * 2008-01-15 2010-06-14 한국과학기술원 자동분사 소화기 및 분사방법
CN107908256A (zh) * 2017-12-13 2018-04-13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便于拆卸的防火机箱
KR20200040413A (ko) * 2018-10-10 2020-04-20 문홍찬 소화물질의 집중분사가 가능한 소방용 간이 스프링쿨러
KR20230108948A (ko) * 2022-01-12 2023-07-19 문병철 Ai 화염 추적 소화형 소화기
CN116863674A (zh) * 2023-07-18 2023-10-10 山东引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863674B (zh) * 2023-07-18 2024-04-05 北京太青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远程控制的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6807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1741B (zh) 一种智能充电柜及其使用方法
US6029751A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76807B1 (ko)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US7321301B2 (en) Wireless children's safety light in a security system
KR101029554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US5432500A (en) Overhead detector and light assembly with remote control
CN107863708A (zh) 一种具有灭火功能的防尘散热电力柜
CN207339031U (zh) 一种具有灭火功能的防尘散热电力柜
US8672045B2 (en) Fire suppression systems and methods
AU2011207114B2 (en) Beam protection system for a door operator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US8517117B2 (en) Range hood fire suppression system with visible status indication
KR20190093380A (ko) 안전 기구함
US7591322B2 (en) Fiber-optic based automatic fire-suppression controller
CN105627230A (zh) 一种多功能led家居灯
CN205412011U (zh) 一种智能消防箱
WO2009011562A2 (en) Emergency light adapter
CN116785618A (zh) 带消防功能的自动旋转式电池仓换电柜
JP2016072761A (ja) リモコン
CN212593620U (zh) 一种新型多功能家用灭火器
CN111853899A (zh) 一种排油烟气防火止回阀用警示装置及其警示方法
CN205354260U (zh) 智能安全照明装置
CN201482034U (zh) 一种独立智能化灭火装置
KR200335472Y1 (ko) 비상기구함
JP3566128B2 (ja) マイコンガスメータの遮断弁開弁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