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760B1 - 비상구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760B1
KR101625760B1 KR1020140179746A KR20140179746A KR101625760B1 KR 101625760 B1 KR101625760 B1 KR 101625760B1 KR 1020140179746 A KR1020140179746 A KR 1020140179746A KR 20140179746 A KR20140179746 A KR 20140179746A KR 101625760 B1 KR101625760 B1 KR 10162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uilding
unit
light emit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석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구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열성 소재로 구성되고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 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함입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고 평상시 케이스에 안착되어 그 상면이 케이스의 최상면과 함께 건물 내부 통로의 바닥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구비되며 빛이 투과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비상구 측으로의 안내도형이 표시된 커버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커버에 빛을 투과시키는 발광부와,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이용하여 충전되고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와, 건물 내부의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감지센서와,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평상시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감지센서 및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정전신호 및 화재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정전신호가 감지되면 비상전원부의 전원으로 발광부를 점등시키고 화재발생신호가 감지되면 정전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외부전원 또는 비상전원부의 전원으로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비상구로 쉽게 대피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비상구 유도 장치 { GUIDING APPARATUS TO EMERGENCY EXIT }
본 발명은 비상구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에 정전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로 향하는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건물이용자가 비상구로 쉽게 대피할 수 있게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학교 등 각종 건물에는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건물에는 건물이용자를 비상구로 유도하는 비상구 알림판이 구비되어 있어, 건물이용자가 비상구 알림판에서 인지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비상구에 다다르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를 비상구로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7437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비상구 안내판에 관한 것으로, 제 1,2 안내판과, 제 1 안내판 또는 제2 안내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구비된 플랜지부로 구성되어지되, 제1,2 안내판의 인접부위는 회전축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 1,2 안내판이 힌지결합되어지되, 외측에 위치한 제2 안내판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L자형, T자형, 십자형의 통로나 벽면 코너부에 설치시 어느 방향에서나 안내판을 식별할 수 있어 비상시 안내판에 의한 비상구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비상구안내판이 건물의 벽이나 출입문 상측에 설치되므로, 특히 화재 발생시 연기가 발생하면 시각적으로 인식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비상구로 이동하기 위해 바닥에 밀착하여 이동하는 경우, 건물 내부의 각종 가구 등에 부딪쳐 비상구 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비상구까지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결국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하게 될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건물이용자가 쓰러지면 그 위치를 특정할 수 없어 소방관 등에 의한 구조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743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로 향하는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비상구로 쉽게 대피할 수 있게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휴대용 소화기, 휴대용 산소호흡기, 휴대용 랜턴 등의 비상용품을 구비하여 건물이용자 스스로 응급 조치를 할 수 있게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건물이용자가 대피하지 못한 경우 그 위치를 알림으로써 구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비상구 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내열성 소재로 구성되고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 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함입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고 평상시 케이스에 안착되어 그 상면이 케이스의 최상면과 함께 건물 내부 통로의 바닥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구비되며 빛이 투과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비상구 측으로의 안내도형이 표시된 커버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커버에 빛을 투과시키는 발광부와,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이용하여 충전되고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와, 건물 내부의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감지센서와,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평상시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감지센서와,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정전신호 및 화재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정전신호가 감지되면 비상전원부의 전원으로 발광부를 점등시키고 화재발생신호가 감지되면 정전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외부전원 또는 비상전원부의 전원으로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개방된 커버의 번호를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개폐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커버의 개방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출력부를 동작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는 그 일측에 가압에 의해 커버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커버개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커버는 그 일측에 커버개방홈의 주변부에 빛이 투과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도록 하는 표식도형이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발광부는 커버의 표식도형 측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제 1 발광부, 및 커버의 안내도형 측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 1 발광부를 제 2 발광부보다 밝게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발광부를 점멸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반복적으로 발광부를 비상구 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소화기를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랜턴을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3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 장치는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로 향하는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비상구로 쉽게 대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 장치는 휴대용 소화기, 휴대용 산소호흡기, 휴대용 랜턴 등의 비상용품을 구비하여 건물이용자 스스로 응급 조치를 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 장치는 건물이용자가 대피하지 못한 경우 그 위치를 알림으로써 구조의 가능성을 높인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유도 장치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유도 장치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유도 장치의 개략적인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유도 장치의 개략적인 일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 유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10)와, 커버(20)와, 발광부(30)와, 비상전원부(40)와, 정전감지센서(50)와, 화재감지센서(60)와,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내열성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내열성을 지닌 강화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1)에 비상구 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함입 설치된다. 즉, 케이스(10)가 각 건물의 통로에 적합한 구성으로 그 바닥(1)에 복수개 배치되어 설치되면, 건물이용자가 건물 내부의 정전 또는 화재에 따른 어둠이나 연기에도 불구하고 연속되어 바닥(1)에 배치된 복수개 케이스(10)의 표시 및 배열을 따라 이동하여 가구 등에 부딪치지 않고 비상구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케이스(10)는 내부에 후술할 발광부(30) 등이 설치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케이스(10)는 그 최상면(10a)이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1)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평상시 또는 화재발생시 건물이용자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10)는 바닥(1)에 설치시 인테리어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그 규격이 바닥(1)을 이루는 하나의 타일 크기에 맞추어 그 전체적인 외곽 둘레의 크기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0)에는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력으로 삼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의 전력과 연결되는 전선(2)이 통과할 수 있는 전선관통홀(12)이 구비될 수 있다. 전선관통홀(12)은 전선(2)을 통해 서로 인접한 케이스(10)의 내부구성 간의 전기적 연결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의 일측에는, 평상시 커버(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커버(20)와 접촉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1 자석부()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20)는 케이스(10)와 힌지핀(26)을 통해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된다. 힌지결합을 위해, 케이스(10)에는 핀수용홈(11) 또는 핀수용홀(미도시)이 구비되고, 커버(20)에는 핀관통홀(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구성요소를 설치 또는 수리 시 케이스(10)를 바닥(1)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커버(20)를 개방함으로써 구성요소를 설치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20)는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내열성을 지닌 강화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재 발생시 고온의 불길에 커버(20)가 녹으면, 후술할 휴대용 비상용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커버(20)는 평상시 케이스(10)에 안착되어 그 상면(20a)이 케이스(10)의 최상면(10a)과 함께 건물 내부 통로의 바닥(1)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이용자가 이동시 커버(20)에 걸려 넘어지지 않기 위함이다.
아울러, 커버(20)는 그 일측에 빛이 투과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비상구 측으로의 안내도형(23)이 표시된다.
안내도형(23)은 화살표, 사람이 뛰어 가는 모양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는 화살표가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모양으로 표시되어 빛을 투과하고, 그 주변부는 빛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짙은 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20)는 그 일측에 가압에 의해 커버(2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커버개방홈(22)이 구비될 수 있다. 건물이용자가 정전이나 화재 발생시, 바닥(1)에 밀착하여 이동하다가 연기 등에 의해 더 이상 이동이 어렵거나 질식의 위험에 직면한 경우, 후술할 휴대용 비상용품을 케이스(10)에서 꺼내어 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케이스(10) 내부의 구성요소를 설치 또는 수리하는 경우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개방홈(22)은 대형 건물의 이용자들이 아이디카드를 사용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아이디카드의 측면이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단순히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커버개방홈(22)의 가압 여부에 따라 커버(20)가 화살표 방향으로 개폐된다.
이 때, 커버(20)는 그 일측에 커버개방홈(22)의 주변부에 빛이 투과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도록 하는 표식도형(24)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즉, 건물 이용자가 엎드려서 이동시 커버개방홈(22)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커버개방홈(22)의 인접부만 투명하게 구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빛을 투과하지 못하도록 짙은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20)의 일측에는, 평상시 커버(2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케이스(10)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 1 자석부(13)와 대향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2 자석부(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자석부(13) 또는 제 2 자석부(25) 중 어느 하나는 그와 동일한 규격의 단순한 철재질의 플레이트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부(30)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고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이용하거나 후술할 비상전원부(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커버(20)에 빛을 투과시킨다.
이 경우, 발광부(30)는 다수의 공지된 발광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적은 전력소비량으로 일정 이상의 밝기를 유지함으로써 최근 각광받는 LED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부(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어부(80)에 의한 순차적인 점멸 제어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LED램프를 커버(20)의 안내도형(23) 및 표시도형(24)의 투명 부분에 빛을 투과하게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30)는 커버(20)의 표식도형(24) 측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제 1 발광부(30a), 및 커버(20)의 안내도형(23) 측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제 2 발광부(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정전이나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안내도형(23)을 통해 비상구 측으로 향하는 것과 별개로, 상황이 더욱 악화되어 케이스(10) 내부의 비상용품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더욱 짙어진 연기 속에서 커버개방홈(22)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 1 발광부(30a)를 제 2 발광부(30b)와 구분하여 다른 강도의 밝기로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발광부(30)는 지지대(31)에 의해 지지되어, 제어부(80), 비상전원부(40), 건물 내부의 전력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0)의 하측에는 커버(20) 측을 향하여 빛을 집중적으로 투과할 수 있도록 반사경(32)이 구비될 수 있다.
비상전원부(40)는 평상시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이용하여 충전되고 정전이 발생한 경우 발광부(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비상전원부(40)는 축전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비상전원부(40)는 케이스(10)의 내부뿐만 아니라 건물 설계상 건물의 전력을 이용 가능하며 케이스(10)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공간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정전감지센서(50)는 건물 내부의 정전 여부를 감지하고, 화재감지센서(60)는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정전감지센서(50)와 화재감지센서(60)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각각 부의 전력 공급부와 스프링쿨러 등과 인접되어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커버(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센서(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개방된 커버(20)의 번호를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출력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술한 제어부(80)가 음성출력부(90)에 음성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해당 케이스(10)의 번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가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에 의해 건물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 장치를 따라 비상구 측으로 이동하다가 상황이 악화되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해진 경우, 케이스(10) 내부의 비상용품을 이용하기 위해 커버(20)를 개방하면,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음성출력부(90)는, "2번 위치" 등의 기억된 메시지를 큰 음성으로 반복 출력하게 된다. 이를 통해, 건물이용자가 비상용품 등으로 구조를 기다리면, 추후 소방관 등의 구조자가 진입하여 구조 활동 시 구조 위치를 쉽게 식별하게 되어 구조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커버(20)의 일측에는 커버(20)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음성출력부(90)의 음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음성전달홀(27)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신호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각종 제어를 실행하는 부분이다.
제어부(80)는 평상시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감지센서(50) 및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 정전신호 및 화재발생신호를 전달받는다.
이 경우, 제어부(80)는 정전신호가 감지되면 건물 내부의 전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기충전된 비상전원부(40)의 전원으로 발광부(30)를 점등시킨다.
건물 내부가 어두워진 상황에서 발광부(30)를 점등시킴으로써, 건물이용자가 안내도형(23)을 식별하여 비상구 측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되고, 표시도형()을 식별하여 커버(20)를 열어 케이스(10)에 구비된 랜턴(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80)는 화재발생신호가 감지되면, 정전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외부전원 또는 비상전원부(40)의 전원으로 발광부(30)를 점등시킨다.
즉, 화재 발생시에는 정전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미정전시에는 건물의 전력으로 발광부(30)를 점등시키고, 정전시에는 기충전된 비상전원부(40)의 전원으로 발광부(30)를 점등시킨다.
한편, 제어부(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정 또는 화재 발생시 커버개방홈(22)을 가압하여 커버(20)를 개방한 후 케이스(10) 내부의 비상용품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 1 발광부(30a)를 제 2 발광부(30b)보다 밝게 점등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물이용자는 커버개방홈(22)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도형(24)을 보다 쉽게 인식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80)는 발광부(30)를 점멸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기 속에서도 건물이용자에게 지속적인 시각적 자극을 주어 안내도형(23) 또는 표식도형(24)의 인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80)는 특히 안내도형(23)을 효과적으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 2 발광부(30b)가 비상구 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하는 제어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80)는 제 2 발광부(30)를 이루는 복수개의 LED램프를 안내도형(23)의 화살표 방향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멸하여 건물이용자가 비상구 측으로의 방향성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80)는 커버개폐감지센서(7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커버(20)의 개방신호가 감지되면 음성출력부(90)를 동작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회로기판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1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으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 장치는 복수개의 케이스(10)와 그 내부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1)에 제어부(80)를 하나로 설치하여 중앙 제어식으로 각각의 케이스(10) 내부구성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비상용품, 즉, 휴대용 소화기(3), 휴대용 산소호흡기(4), 휴대용 랜턴(미도시)을 그 케이스(10) 내부에 비치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소화기(3)를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브라켓(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건물이용자가 커버(20)를 개방하여 케이스(10) 내부의 휴대용 소화기(3)를 이용하여 불길의 조기 진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이 악화되어 구조를 기다리는 경우에도 해당 케이스(10) 주변부를 진화하여 보다 안전한 상황에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산소호흡기(4)를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브라켓(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건물이용자가 커버(20)를 개방하여 케이스(10) 내부의 휴대용 산소호흡기(4)를 이용하여 유독가스에 질식되지 않고 보다 안전한 상황에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장치는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랜턴(미도시)을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3 지지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3 지지브라켓(미도시)은 제 1 지지브라켓(14) 및 제 2 지지브라켓(15)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0) 내부의 공간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 또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이용자가 커버(20)를 개방하여 케이스(10) 내부의 휴대용 랜턴(미도시)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주변의 상황 파악을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휴대용 랜턴(미도시)은, 건물이용자의 이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제 3 브라켓(미도시)에 비치시 전원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고, 제 3 브라켓()에서 분리시 바로 전원이 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 유도 장치는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로 향하는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정전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이용자가 비상구로 쉽게 대피할 수 있게 하고, 휴대용 소화기, 휴대용 산소호흡기, 휴대용 랜턴 등의 비상용품을 구비하여 건물이용자 스스로 응급 조치를 할 수 있게 하며, 건물이용자가 대피하지 못한 경우 그 위치를 알림으로써 구조의 가능성을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구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 안전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바닥 2: 전선
3: 휴대용 소화기 4: 휴대용 산소호흡기
10: 케이스 10a: 최상면
11: 핀수용홈 12: 전선관통홀
13: 제 1 자석부 14: 제 1 지지브라켓
15: 제 2 지지브라켓
20: 커버 20a: 상면
21: 핀관통홀 22: 커버개방홈
23: 안내도형 24: 표식도형
25: 제 2 자석부 26: 힌지핀
27: 음성전달홀
30: 발광부 31: 지지대
32: 반사경
40: 비상전원부
50: 정전감지센서
60: 화재감지센서
70: 커버개폐감지센서
80: 제어부
90: 음성출력부

Claims (12)

  1. 내열성 소재로 구성되고, 건물 내부의 통로 바닥에 비상구 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함입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고, 평상시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어 그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최상면과 함께 건물 내부 통로의 바닥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구비되며, 빛이 투과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비상구 측으로의 안내도형이 표시된 커버;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 빛을 투과시키는 발광부;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이용하여 충전되고,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
    건물 내부의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감지센서;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평상시 건물 내부의 전력을 외부전원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정전감지센서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정전신호 및 화재발생신호를 전달받고, 정전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비상전원부의 전원으로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고, 화재발생신호가 감지되면 정전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외부전원 또는 상기 비상전원부의 전원으로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개방된 커버의 번호를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개폐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커버의 개방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출력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일측에 가압에 의해 상기 커버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커버개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일측에 상기 커버개방홈의 주변부에 빛이 투과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도록 하는 표식도형이 더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커버의 표식도형 측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제 1 발광부; 및
    상기 커버의 안내도형 측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제 2 발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발광부를 제 2 발광부보다 밝게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점멸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반복적으로 상기 발광부를 비상구 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소화기를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휴대용 랜턴을 물어잡아 탈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3 지지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 장치.
  12. 삭제
KR1020140179746A 2014-12-12 2014-12-12 비상구 유도 장치 KR10162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46A KR101625760B1 (ko) 2014-12-12 2014-12-12 비상구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46A KR101625760B1 (ko) 2014-12-12 2014-12-12 비상구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760B1 true KR101625760B1 (ko) 2016-05-30

Family

ID=5712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46A KR101625760B1 (ko) 2014-12-12 2014-12-12 비상구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76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35B1 (ko) * 2018-03-06 2018-06-07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기구
KR101864733B1 (ko) * 2018-03-06 2018-06-07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81358B1 (ko) * 2018-02-08 2018-07-25 김석원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101881360B1 (ko) * 2018-02-08 2018-07-25 김석원 안전한 대피를 위한 소방표시기구
KR101996949B1 (ko) * 2019-03-04 2019-07-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KR102025382B1 (ko) * 2018-07-13 2019-09-25 이하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20200015217A (ko) * 2018-08-03 2020-02-12 이정하 비상유도등 점등 장치
KR102143451B1 (ko) 2020-01-15 2020-08-11 주식회사 해밀씨엠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기능이 강화된 비상구장치
KR102176735B1 (ko) * 2019-09-27 2020-11-09 강동현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KR102475726B1 (ko) * 2022-03-10 2022-12-08 오션개발 주식회사 매립형 해양구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22Y1 (ko) * 2004-05-25 2004-08-21 전경철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22Y1 (ko) * 2004-05-25 2004-08-21 전경철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358B1 (ko) * 2018-02-08 2018-07-25 김석원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기구
KR101881360B1 (ko) * 2018-02-08 2018-07-25 김석원 안전한 대피를 위한 소방표시기구
KR101864735B1 (ko) * 2018-03-06 2018-06-07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기구
KR101864733B1 (ko) * 2018-03-06 2018-06-07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2025382B1 (ko) * 2018-07-13 2019-09-25 이하나 능동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20200015217A (ko) * 2018-08-03 2020-02-12 이정하 비상유도등 점등 장치
KR102085627B1 (ko) * 2018-08-03 2020-03-06 이정하 비상유도등 점등 장치
KR101996949B1 (ko) * 2019-03-04 2019-07-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KR102176735B1 (ko) * 2019-09-27 2020-11-09 강동현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KR102143451B1 (ko) 2020-01-15 2020-08-11 주식회사 해밀씨엠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기능이 강화된 비상구장치
KR102475726B1 (ko) * 2022-03-10 2022-12-08 오션개발 주식회사 매립형 해양구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10078241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TWM543519U (zh) 多功能智能型家庭燈控及保安遙控訊號接收器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101814658B1 (ko) 휴대형 화재 감지기
KR200378294Y1 (ko)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JP6132265B2 (ja) 照明付ドアセット
TWM484769U (zh) 具地面式方向指示避難系統
KR10214345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기능이 강화된 비상구장치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WO2022043650A1 (en) Safety device, door, fire safety systems, and method of indicating the status of a door, and improving fire safety
KR20160095359A (ko) 화재 발생시 대피로를 알려주는 비상 안내등
KR100909803B1 (ko) 비상 대처요령 지시 장치
KR102628793B1 (ko) 배전반 함체용 램프
CN219680108U (zh) 应急物品储物柜
KR101063807B1 (ko) 초기 화재 목격자 유도조명장치
KR20040040415A (ko)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356944Y1 (ko) 지능형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