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33B1 - 소방 피난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소방 피난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733B1
KR101864733B1 KR1020180026214A KR20180026214A KR101864733B1 KR 101864733 B1 KR101864733 B1 KR 101864733B1 KR 1020180026214 A KR1020180026214 A KR 1020180026214A KR 20180026214 A KR20180026214 A KR 20180026214A KR 101864733 B1 KR101864733 B1 KR 10186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re
evacuation
body portion
exhaus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훈
Original Assignee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filed Critical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Priority to KR102018002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피난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도에 연기가 가득해 시야 확보 및 대피방향을 잃어 버린 경우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흡기팬이 지속적으로 강제 유입하여 발열히터에서 열분해해 제거되도록 하고, 배기팬을 통해 외기가 강제 배출되면서 주변의 연기를 강제로 불어서 유동되도록 해줌에 따라 연기로 인해 LED전광판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여 신속한 대피를 도모토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 피난 유도장치{Indicator light equipement for guideing the escape in the event of fire}
본 발명은 연기로 인한 시야 확보 및 대피방향을 잃는 문제를 해소하여 피난유도기구의 식별력을 높여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고 피난물품을 분실을 줄이면서 안전한 피난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소방 피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출입하는 건물이나 지하철, 지하공간 등에는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법에 따라 비상구의 상측 그리고 복도(통로)의 벽면(또는 바닥)에 일정구간마다 대피방향이 출구방향으로 안내 표시된 소방표시기구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소방표시기구는 상용전원의 공급과 정전시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상시일정 밝기로 점등케 함으로서 화재시 대피방향이 표시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소방표시기구 중 복도의 벽체에 내설된 소방표시기구는 화재시 연기 등에 의해 가려져 시야 확보에 큰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소정의 목적을 다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소방표시기구의 주변으로 비상상황(화재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피난물품(예:손전등, 마스크)을 비치하고 있으나, 관리가 조금만 소홀해도 피난물품이 분실(망실)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며,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피난물품을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피난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9973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2483호
본 발명은 연기로 인한 시야 확보 및 대피방향을 잃는 문제를 해소하여 피난유도기구의 식별력을 높여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고 피난물품을 분실을 줄이면서 안전한 피난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소방 피난 유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서 벽체에 노출되게 매설되되, 전방 내측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홈의 후방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돌출된 장착대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피난물품이 수납되는 물품수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물품수납부의 상면에는 외부공기를 유입해 배출하는 덕트가 일체로 형성된 바디;
바디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제1고정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바디에 고정되는 투명재질의 제1본체부와, 바디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제2핀을 매개로 제1본체부의 타단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돌부를 매개로 바디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제2본체부와,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부와, 제2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링크부로 구성된 커버;
장착부에 설치되어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게 문자나 도안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플렉서블한 LED전광판;
일측이 장착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링크부에 제3고정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를 접거나 펼쳐 바디로부터 인·입출되도록 하는 리니어액추에이터;
바디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덕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흡입하는 흡기팬;
덕트의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외기를 강제배출하는 배기팬;
흡기팬과 배기팬 사이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에 의해 달궈져 유입된 외기를 열분해해 제거하는 발열체;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적인 문자나 도안이 표현되게 LED전광판을 동작제어하고, 물품수납부에 수납된 피난물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커버가 접히도록 리니어액추에이터를 동작제어하며, 흡기팬과 배기팬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발열이 일어나도록 발열체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바디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대피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
LED모듈과 리니어액추에이터, 감지센서, 제어부 및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복도에 연기가 가득해 시야 확보 및 대피방향을 잃어 버린 경우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흡기팬이 지속적으로 강제 유입하여 발열히터에서 열분해해 제거되도록 하고, 배기팬을 통해 외기가 강제 배출되면서 주변의 연기를 강제로 불어서 유동되도록 해줌에 따라 연기로 인해 LED전광판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여 신속한 대피를 도모토록 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커버가 벽체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지만, 화재발생시에는 복도의 벽체로부터 커버와 LED전광판이 접히면서 벽체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비상구 위치 표시 및 대피방향에 대한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쉽게 대피방향을 인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분실(망실)되기 쉬운 피난물품(손전등, 마스크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피난물품의 분실(망실)을 줄일 수 있으면서 대피활동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의 평상시 상태와 화재발생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의 평상시 상태와 화재발생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방피난유도기구는 바디(10)와 커버(20), LED전광판(30), 리니어액추에이터(40), 감지센서(50), 흡기팬(60), 배기팬(70), 발열히터(80), 제어부(90), 스피커(100) 및 축전지(11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커버(20)이 벽체(W)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커버(20)과 LED전광판(30)이 접히면서 벽체(W)로부터 돌출되어 비상구의 위치 표시에 대한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분실(망실)되기 쉬운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피난물품(M)의 분실(망실)을 줄일 수 있으면서 대피활동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10)는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직육면체형상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벽체(W)에 노출되게 매설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전방 내측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호 대향되게(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커버(20)의 돌부(22a)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1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1)의 후방에는 내부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돌출되어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전방 외측의 상면 일측에는 커버(20)의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고정핀(P1)이 끼워지는 핀홀(H)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격판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이 수납되는 물품수납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물품수납부(13)의 상면에는 덕트(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덕트(14)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이고,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관으로서, 일단에는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부(14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유입된 외부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14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14)의 흡기부(14a)에는 흡기팬(70)이 설치되고, 배기부(14b)에는 배기팬(80)이 설치되며, 덕트(14)의 내부에는 흡기팬(70)과 배기팬(80) 사이에 배치되는 발열히터(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전면에는 감지센서(50) 및 스피커(10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은 제1·2본체부(21,22)와 모듈설치부(23) 및 링크부(24)로 구성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0)의 개구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어 LED전광판(30)을 보호하면서 바디(10)의 물품수납부(13)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본체부(21,22)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투명재질의 판으로서, 일단에 각각 형성된 요철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2핀(P2)을 매개로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와 같이 상호 연결된 제1·2본체부(21,22)는 경첩과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부(22)의 타단부 상면과 하면에는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된 돌부(22a)가 일체로 형성되며, 돌부(22a)는 바디(10)의 가이드홈(1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장착부(23)는‘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가 제1·2본체부(21,22)의 후면(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으로, 내측에는 LED전광판(30)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링크부(24)는 제2본체부(22)의 후면(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로드(41)와 제3고정핀(P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서, 평상시에는 커버(20)가 바디(10)의 개구부를 막고 있기 때문에 물품수납부(13)에 수납된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분실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커버(20)가 절첩되어 물품수납부(13)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피난자가 손쉽게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을 획득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의 분실 위험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 대피활동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LED전광판(30)은 LED(발광다이오드)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문자나 도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공지의 화상표시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부(23)에 거치되게 설치되며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문자나 도안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정보(예:비상구 위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제1·2본체부(21,22)의 접철시 함께 접히거나 펼쳐져야 하므로 LED전광판(30)은 플렉서블(유연)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전광판(30)은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0)는 왕복이송되는 로드(41)를 갖추고서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제1·2본체부(21,22)를 접철시켜주는 기구이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일단부는 장착대(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로드(41)의 선단부는 커버(20)의 링크부(24)와 제3고정핀(P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로드(41)가 인입되면, 이에 의해 제2본체부(22)가 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2핀(P2)을 기준으로 제1·2본체부(21,22)가 접혀지면서 벽체(W)로부터 돌출(도 4 참조)되며, 평면에서 본 모양은 대략 삼각형태를 이룬다.
반대로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로드(41)가 인출되면, 이에 의해 제2본체부(22)가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핀(P2)을 기준으로 제1·2본체부(21,22)가 펼쳐지면서 벽체(W)로 인입(도 4 참조)되어 바디(10)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21)의 구조는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감지센서(50)와 흡기팬(60), 배기팬(70), 발열히터(80), 제어부(90), 스피커(100) 및 축전지(11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센서(50)는 바디(10)의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예:화재감지, 연기감지 등)을 감지해 신호를 제어부(90)로 출력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팬(60)은 덕트(14)의 흡기부(14a)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덕트(14)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강제로 흡입한다.
상기 배기팬(70)은 덕트(14)의 배기부(14b)에 설치되어 덕트(14)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강제로 배출한다.
상기 발열히터(80)는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발열하며 빨갛게 달궈진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는 철-크롬(Fe-Cr)계의 매쉬플레이트로서, 덕트(14)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강제로 열분해해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외부공기는 화재로 인한 연기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90)는 바디(10)의 내설되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감지센서(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적인 문자나 도안이 표현되게 LED전광판(30)을 동작제어하고, 물품수납부(13)에 수납된 피난물품(M)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커버(20)가 접히도록 리니어액추에이터(40)를 동작제어하며, 흡기팬(60)과 배기팬(7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발열이 일어나도록 발열체(80)를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외부로 대피음향(예:화재발생이라는 음향이 지속적으로 출력됨)을 방출하도록 스피커(100)를 동작제어한다.
일 예로서, 평상시 LED전광판(30)에는 제어부(90)에 의해 비상구 대피 방향 도안과 문자가 정적인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가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제어부(90)에 의해 LED전광판(30)에는 동적인 비상구 대피 방향 도안 및 문자가 표시된다.
도 1 내지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100)는 바디(10)에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90)에 의해 동작되어서 외부로 대피음향을 방출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지(110)는 바디(10)에 내설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저장하면서 LED모듈(30), 리니어액추에이터(40), 감지센서(50), 흡기팬(60), 배기팬(70), 발열체(80), 제어부(90) 및 스피커(100)로 전원(전기)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화재로 인해 연기가 복도로 유입된 경우 이를 감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90)는 감지센서(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LED모듈(30)과 리니어액추에이터(40), 흡기팬(60), 배기팬(70), 발열체(80) 및 스피커(1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상시 LED전광판(30)에는 제어부(90)에 의해 비상구 대피 방향 도안과 문자가 정적인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가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제어부(90)에 의해 LED전광판(30)에는 동적인 비상구 대피 방향 도안 및 문자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0)는 제어부(90)에 의해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로드(41)가 인입되고, 이에 의해 제2본체부(22)가 당겨지며, 이에 따라 제2핀(P2)을 기준으로 제1·2본체부(21,22)가 접혀지면서 벽체(W)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상기 흡기팬(60)과 배기팬(70) 및 발열체(80)가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흡기팬(60)은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덕트(14)의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되고, 배기팬(70)은 덕트(14) 내부의 외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며, 발열체(80)는 덕트(14)를 따라 유동하는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강제로 열분해해 제거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100)는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대피음향(예:화재발생이라는 음향이 지속적으로 출력됨)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물 전체로 퍼지는 연기를 감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부(9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90)는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LED전광판(30)과 리니어액추에이터(40), 흡기팬(60), 배기팬(70), 발열체(80) 및 스피커(1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된 리니어액추에이터(40)는 로드(41)가 인입되면서 이에 의해 제2본체부(22)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핀(P2)을 기준으로 제1·2본체부(21,22)가 접혀지면서 벽체(W)로부터 돌출(도 4 참조)되며, 제1·2본체부(21,22)가 접혀질 때에 플렉서블한 LED전광판(30) 역시 이에 상응하게 휘어지면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본체부(21,22)가 접혀짐으로 인해 바디(10)의 물품수납부(13)가 외부로 노출되고, 피난자들은 물품수납부(13)에 수납된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피하면 된다.
또한, 상기 흡기팬(60)과 배기팬(70) 및 발열체(80)가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흡기팬(60)은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덕트(14)의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되고, 배기팬(70)은 덕트(14) 내부의 외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며, 발열체(80)는 덕트(14)를 따라 유동하는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강제로 열분해해 제거한다.
상기 배기팬(70)으로부터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LED전광판(30)을 가리고 있는 연기를 지속적으로 제거해 줄 수 있으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피난자들의 신속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연기가 사라져 감지센서(50)로부터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어부(90)는 리니어액추에이터(40)를 동작제어하여 커버(20)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게 되고, 흡기팬(60)과 배기팬(70), 발열체(80) 및 스피커(100) 역시 제어부(90)에 의해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리니어액추에이터(40)의 로드(41)가 인출되면, 이에 의해 제2본체부(22)가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핀(P2)을 기준으로 제1·2본체부(21,22)가 펼쳐지면서 벽체(W)로 인입(도 4 참조)되어 바디(10)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커버(20)가 벽체(W)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지만, 상기와 같이 화재발생시에는 복도의 벽체(W)로부터 커버(20)와 LED전광판(30)이 접히면서 벽체(W)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비상구 위치 표시 및 대피방향에 대한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복도에 연기가 가득해 시야 확보 및 대피방향을 잃은 경우라도 벽체(W)로부터 돌출된 커버(20)를 통해 쉽게 대피방향을 인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특히, 연기를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흡기팬(6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강제 유입되어 발열히터(90)에 의해 열분해되어 제거되고, 배기팬(70)을 통해 외기가 강제 배출되면서 주변의 연기를 강제로 불어서 유동되도록 해줌에 따라 복도의 연기로 인해 LED전광판(30)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여 신속한 대피를 도모토록 할 수 있다.
또한, 분실(망실)되기 쉬운 피난물품(M:손전등, 마스크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비상상황 시에만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피난물품(M)의 분실(망실)을 줄일 수 있으면서 대피활동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가이드홈 12: 지지구
13: 물품수납부 20: 안내판 21: 제1바디부
22: 제2바디부 23: 수용부 24: 연결구
30: LED전광판 40: 리니어액추에이터 50: 화재감지센서
60: 흡기팬 70: 배기팬 80: 발열히터
90: 제어부 100: 스피커 110: 축전지
M: 피난물품

Claims (1)

  1.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서 벽체(W)에 노출되게 매설되되, 전방 내측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가이드홈(11)이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홈(11)의 후방에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돌출된 장착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피난물품(M)이 수납되는 물품수납부(13)가 일체로 형성되며, 물품수납부(13)의 상면에는 외부공기를 유입해 배출하는 덕트(14)가 일체로 형성된 바디(10);
    바디(10)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제1고정핀(P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바디(10)에 고정되는 투명재질의 제1본체부(21)와, 바디(10)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제2핀(P2)을 매개로 제1본체부(21)의 타단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홈(11)에 대응되는 돌부(22a)를 매개로 바디(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제2본체부(22)와,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부(23)와, 제2본체부(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링크부(24)로 구성된 커버(20);
    장착부(23)에 설치되어 제1본체부(21)와 제2본체부(22)를 통해 노출될 수 있게 문자나 도안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플렉서블한 LED전광판(30);
    일측이 장착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링크부(24)에 제3고정핀(P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20)를 접거나 펼쳐 바디(10)로부터 인·입출되도록 하는 리니어액추에이터(40);
    바디(10)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
    덕트(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흡입하는 흡기팬(60);
    덕트(14)의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외기를 강제배출하는 배기팬(70);
    흡기팬(60)과 배기팬(70) 사이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에 의해 달궈져 유입된 외기를 열분해해 제거하는 발열체(80);
    감지센서(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적인 문자나 도안이 표현되게 LED전광판(30)을 동작제어하고, 물품수납부(13)에 수납된 피난물품(M)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커버(20)가 접히도록 리니어액추에이터(40)를 동작제어하며, 흡기팬(60)과 배기팬(7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발열이 일어나도록 발열체(8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90);
    바디(10)에 설치되며 제어부(90)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대피음향을 방출하는 스피커(100);
    LED모듈(30)과 리니어액추에이터(40), 감지센서(50), 제어부(90) 및 스피커(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20180026214A 2018-03-06 2018-03-06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6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14A KR101864733B1 (ko) 2018-03-06 2018-03-06 소방 피난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14A KR101864733B1 (ko) 2018-03-06 2018-03-06 소방 피난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33B1 true KR101864733B1 (ko) 2018-06-07

Family

ID=6262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14A KR101864733B1 (ko) 2018-03-06 2018-03-06 소방 피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949B1 (ko) * 2019-03-04 2019-07-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KR102053701B1 (ko) * 2019-03-07 2019-12-09 이광흠 분리가능한 피난구 유도장치
KR102589172B1 (ko) 2022-06-15 2023-10-13 주식회사 이앤에스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피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36Y1 (ko) * 2005-02-01 2005-05-11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대피통로 및 배연풍도를 구비한 터널
KR100763823B1 (ko) * 2006-04-05 2007-10-05 주식회사 리트코 승객 대피경로 안내기능을 갖는 지하철 역사 및 터널화재방재 시스템
KR101319973B1 (ko) 2012-03-27 2013-10-21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468792B1 (ko) * 2013-01-02 2014-12-09 전용균 비상구 유도 시스템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483B1 (ko) 2013-07-29 2015-03-13 임우철 피난구 유도등
KR101625760B1 (ko) * 2014-12-12 2016-05-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36Y1 (ko) * 2005-02-01 2005-05-11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대피통로 및 배연풍도를 구비한 터널
KR100763823B1 (ko) * 2006-04-05 2007-10-05 주식회사 리트코 승객 대피경로 안내기능을 갖는 지하철 역사 및 터널화재방재 시스템
KR101319973B1 (ko) 2012-03-27 2013-10-21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468792B1 (ko) * 2013-01-02 2014-12-09 전용균 비상구 유도 시스템
KR101502483B1 (ko) 2013-07-29 2015-03-13 임우철 피난구 유도등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25760B1 (ko) * 2014-12-12 2016-05-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949B1 (ko) * 2019-03-04 2019-07-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KR102053701B1 (ko) * 2019-03-07 2019-12-09 이광흠 분리가능한 피난구 유도장치
KR102589172B1 (ko) 2022-06-15 2023-10-13 주식회사 이앤에스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피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733B1 (ko)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64735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기구
KR10078241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806168B1 (ko)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JP2001100678A (ja) 誘導灯システム
KR1006993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학 랜즈를 이용한 문자 및 기호 투영방식의 비상통로 유도등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20080018682A (ko)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KR100902930B1 (ko) 공기조화기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US20050007754A1 (en) Lighted image display
KR20090003873A (ko) 공기조화기
KR101853098B1 (ko)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102074206B1 (ko) 소형 태양광 구동형 건물정보표시장치
KR100640692B1 (ko) 바닥 조명 광고장치
KR20220076871A (ko) 비상유도등
JP2012247845A (ja) 誘導灯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KR101061204B1 (ko) 대피 방향 선택 표시기능을 갖는 피난 유도선 발광장치 및 피난 유도선
KR200434925Y1 (ko)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