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25Y1 -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925Y1
KR200434925Y1 KR2020060022872U KR20060022872U KR200434925Y1 KR 200434925 Y1 KR200434925 Y1 KR 200434925Y1 KR 2020060022872 U KR2020060022872 U KR 2020060022872U KR 20060022872 U KR20060022872 U KR 20060022872U KR 200434925 Y1 KR200434925 Y1 KR 200434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dynamic image
emergency
display device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숙
송주영
Original Assignee
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숙 filed Critical 정정숙
Priority to KR2020060022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9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케이스, 그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동적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적 이미지 그림판을 포함하는 상부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렌티큘러렌즈판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비상구를 향해 뛰어가는 사람의 모습 또는 화살표의 동적 이미지를 통해 비상구로 사람들을 훨씬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여러 방향에서 잘 보이도록 함으로써 비상구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비상구, 동적 이미지 그림판, 렌티큘러렌즈판, 스티커식

Description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EMERGENCY EXIT INDUCTION DISPLA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전자 회로부의 블록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h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동적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동적 이미지 그림판의 평면도.
본 고안은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극장이나 지하철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또는 정전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비상구로의 대피를 유도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아파트, 백화점, 멀티플렉스 영화관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고층건물에는 사람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나 계단이 구비 되어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는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극히 적어 화재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많은 인원을 빠른 시간 내에 대피시키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아파트와 공공장소에는 비상구 즉, 비상계단이 필수적으로 시공되고 있고, 사람들이 상기 비상구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출입구 또는 비상구 근처의 위쪽 벽면에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최근에는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같이 다수의 출입구를 갖는 경우에 해당 영화관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벽 측면 또는 바닥면에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등을 부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그 내부에 일정한 전원을 입력받아 점등되는 광원(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광원을 하우징하고 비상구의 위치를 알리는 도형 또는 문자가 새겨진 비상구 안내 문자판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비상구의 위치를 알리는 도형 또는 문자 등이 항상 일정한 조도로 표시되기 때문에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식별이 잘되지 않아 비상구를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공간에 설치하여 비상구로 유도하는 경우, 노동력 및 비용 등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고, 전기배선 공사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평상시에 다수개 배치된 비상구 유도 표시 장치는 사람들을 오히려 피로하게 할 수 있었다.
또한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24시간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여 대낮과 같이 주변 조도가 높은 경우에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할 우려가 있었다.
반면에 극장과 같이 조도가 매우 낮은 곳에서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조도가 너무 높아 관객들의 시선을 피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제대로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종래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을 사람들에게 안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게 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의 도움을 받지 않고 하나의 기구만으로 비상구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게 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 사람들의 시선을 피로하게 하거나 공간 디자인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을 사람들에게 경고해 줄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상부 케이스, 그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동적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적 이미지 그림판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렌티큘러렌즈판을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상기 그림판의 배면에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유도하는 도광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길이가 변하는 화살표 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뛰어가는 사람의 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기다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그림판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그 하방에 구비하며, 상기 개구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천정 또는 벽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티귤러렌즈판은 시선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된 렌즈군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티큘러렌즈판은 시선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렌즈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렌티큘러렌즈판은 반원통형렌즈가 다수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반원통형렌즈들은 상기 그림판의 그림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빛이 투과하는 종이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스티커식으로 광원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벽면, 바닥면, 및 천정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천정에 현수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2 이상의 면에 동적 그림판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의 동적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3차원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비상 전원용 배터리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전원 공급부와, 비상시 전원 공급을 하는 보조 전원부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와,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와 보조 전원부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부는 긴급 상황 감지 시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동작을 보다 빠르게 작동하게 하는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전송하는 비상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 치(10)는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표시장치로서 일면에 동적 이미지 그림판(12)이 장착된 케이스(11)와, 형광등일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예열등일 수도 있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적 그림판(12)은 사람의 두 눈의 시차에 의하여 입체화상을 구현하는 렌티큘러렌즈판(121)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림판(12)의 각 영역별로 주사선의 배열위치를 달리하는 연속된 동작 그림을 구비하며, 각각의 주사선들이 각각의 그림들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초점이 맞춰짐으로써 선명한 입체화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을 통과한 광선의 평균이동거리가 초점의 위치에 따라 미세한 원근의 차이를 가지므로, 이 원근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조각 그림판이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이동하는 화살표 또는 비상구를 향해 뛰는 사람의 모양이 순차적으로 변환되는 구분동작을 나타내는 동적 이미지 그림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림판 상의 동적 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 일 수도 있으며, 3차원 이미지 일 수도 있다. 또한, 그림이 사방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2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을 다수개의 반원통형 렌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을 저가로 공급하기 위하여 빛을 투과할 수 있다면 종이재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동적 이미지의 배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양안시차의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림판은 시선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상기 그림판은 광원이 투과할 수 있는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지만, 부직포 또는 종이에 그림이 그려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1)는 상하 케이스(11a, 11b)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1a)는 상기 그림판(12)이 배치되는 일 개구부(111)와, 일 개구부 둘레의 테두리부(113)와, 상기 그림판(12)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돌기부(115)를 그 측면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1a)는 상기 그림판(12)을 용이하게 수납하면서 외부 디자인을 심플하게 할 수 있도록 하방에 개구부(17)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개구부(17)를 통해 그림판(12)들이 상기 돌기부(115)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a)의 일 개구부(111)에 그림판(12)이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고안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그림판(12)은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어 광원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며, 스티커식으로 광원(14)을 사용함 없이 벽면 등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14)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도광판(123)을 통해 상기 그림판(12)을 조명하게 되는데, 상기 광원(14)은 비상 전원용 배터리(13)에도 연결되어 있고 일반전원에도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평상시에는 일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그림판(12)을 조명하고 비상시에 일반전원이 차 단되어도 비상 전원용 배터리(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 전원용 배터리(13)는 상기 하부 케이스(11a)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1)내부로 설치되어 건물 내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시에 상기 광원(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용 전원이다.
이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h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전자 회로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동적 이미지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동적 이미지 그림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케이스(11)의 하부 케이스(11b)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00)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110)는 조도감지부(1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조도 감지부(130)가 대낮과 같이 높은 조도를 감지한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이 광원(14)에 전달되지 않도록 연산제어부(150)가 스위칭부(160)를 제어하여 광원이 off된 상태에서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
반대로, 조도 감지부(130)가 극장안과 같이 조도가 낮은 경우를 감지한 경우에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전원이 광원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산제어부(150)가 상기 스위칭부(160)를 on 시켜 광원(14)을 on시킨 상태에서 비상 구 유도 표시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
건물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 전원부(120)가 작동되어 전원공급부(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상 감지부(140)가 상기 연산제어부(150)에 연결 배치되어있다. 이 비상 감지부(140)는 건물의 화재경보기 또는 건물의 전원차단기와 연결되어 화재경보기에 화재 경보 신호를 보내고, 전원차단기에 전기신호를 보내어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상 감지부(140)는 비상시에 전기적 신호를 연산제어부(150)에 전송하여 상기 스위칭부(160)가 자주 on/off 동작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광원(14)이 on/off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그림판(12)상의 그림이 신속하게 뛰어가도록 하거나, 동작을 빠르게 반복함으로써 위험을 인식시킬 수 있어서 비상예보기로서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을 통해서 원근감을 더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천정 또는 벽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은 시선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된 렌즈군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티귤러렌즈판은 시선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비상 유도 표시장치를 천장 또는 벽측면 가까이 배치하는 경우와 바닥면에 배치하는 경우를 나누어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의 렌즈를 배열함으로써 사람의 눈과 비스듬히 배치하기 때문에, 별도의 그림판(1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필요 없이 어디서나 선명한 동적 이미지를 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의 동작을 도 4a 내지 4h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4h는 그림판(12)을 통해 대피자가 볼 수 있는 연속적으로 뛰어가는 사람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구표시장치(10)를 건물 내의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고, 광원(14)에 전원을 인가하면, 도 4a 내지 도 4h는 그림판(12)상의 그림들이 조합되어 순차적으로 뛰어가는 사람의 모양 또는 순차적으로 길이가 변하는 화살표를 나타낸다.
이러한 동적 이미지들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대피자가 정지상태일 때보다는 대피자들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 시선의 빠른 변화에 따라 조각 그림들이 보다 빠르게 움직여 비상 예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조도 감지부(130)에서 조도에 따라 전원공급부(110) 및 보조 전원부(120)로부터 광원(14)으로의 전원 인가를 스위칭부(160)에 의해서 조절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시선의 피로 없이 비상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상 감지부(140)에서 비상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그림판(12)상의 조각 그림들이 보다 빠르게 연결되어 보다 빨리 뛰어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따라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이 긴급 상황이라는 별도의 장치 없이도 알 수 있으며, 비상구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빌딩의 복도가 복잡한 경우라면 천정에 한 개의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1개의 도광판과 광원(14)을 이용하여 사방에 동적 이미지를 표시하여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각도조절장치 없이 렌티큘러렌즈판의 렌즈들을 사람의 시선방향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건물 내의 대피자들을 비상구로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티큘러렌즈판(121) 또는 상기 그림판(12)을 종래와 달리 플라스틱판을 이용하지 않고 종이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가의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사람들이 비상구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게 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의 도움을 받지 않고 하나의 기구만으로 비상구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게 할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평상시에 사람들의 시선을 피로하게 하거나 공간 디자인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재미난 동적 이미지로서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을 사람들에게 경고해 줄 수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 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그 크기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으며 정사각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직사각형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19)

  1. 상부 케이스,
    그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동적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적 이미지 그림판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동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렌티큘러렌즈판을 일체로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상기 그림판의 배면에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유도하는 도광판을 더 구비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비상 전원용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길이가 변하는 화살표 모양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뛰어가는 사람의 모양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시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기다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비상구 표시 유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림판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그 하방에 구비하며, 상기 개구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기부가 형성된 비상구 표시 유도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천정 또는 벽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티귤러렌즈판은 시선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된 렌즈군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렌티큘러렌즈판은 시선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 렌즈군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렌즈판은 반원통형렌즈가 다수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반원통형렌즈들은 상기 그림판의 그림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빛이 투과하는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빛이 투과하는 종이재질을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상기 광원 둘레에 직접 부착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은 벽면, 바닥면, 및 천정에 직접 부착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가 천정에 현수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2 이상의 면에 동적 이미지 그림판이 배치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이미지 그림판의 동적 이미지는 3차원 이미지를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는 전원 공급부와, 비상시 전원 공급을 하는 보조 전원부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와, 상기 조도 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와 보조 전원부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회로부를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부는 비상 감지시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동작을 보다 빠르게 작동하게 하는 신호를 상기 연산제어부에 전송하는 비상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KR2020060022872U 2006-08-25 2006-08-25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KR200434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72U KR200434925Y1 (ko) 2006-08-25 2006-08-25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72U KR200434925Y1 (ko) 2006-08-25 2006-08-25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76A Division KR20080018682A (ko) 2006-08-25 2006-08-25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925Y1 true KR200434925Y1 (ko) 2007-01-02

Family

ID=4155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872U KR200434925Y1 (ko) 2006-08-25 2006-08-25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9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99B1 (ko) * 2011-12-02 2013-11-13 유비링크(주) 다기능 프로젝션 유도등
KR200489948Y1 (ko) 2019-03-14 2019-08-3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99B1 (ko) * 2011-12-02 2013-11-13 유비링크(주) 다기능 프로젝션 유도등
KR200489948Y1 (ko) 2019-03-14 2019-08-3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068A (en) Guiding light system and lighting strip
KR10078241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KR20080018682A (ko)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US20160027266A1 (en) Emergency exit sign
JP2012516180A (ja) ミラー面と照明ユニットとを有するミラーユニット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CA2632074A1 (en) Utility outlets having dynamically changing emergency evacuation routing
KR200434925Y1 (ko) 비상구 유도 표시장치
KR101327255B1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AU2016262780B2 (en) Luminaire
KR20170116896A (ko)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KR101327899B1 (ko) 다기능 프로젝션 유도등
KR100945857B1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2462453B1 (ko) 화재 또는 비상시에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기능성 피난구 유도지시장치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JP2008171204A (ja) 誘導灯装置
JP2010037771A (ja) 建造物
JPH11175854A (ja) 誘導表示装置
KR20190045752A (ko) 범죄예방 기능의 스마트 표지판
KR101645220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대피경로 알림시스템
JP2014213987A (ja) ホールランタン装置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101061204B1 (ko) 대피 방향 선택 표시기능을 갖는 피난 유도선 발광장치 및 피난 유도선
KR200489948Y1 (ko) 비상탈출구 유도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