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896A -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896A
KR20170116896A KR1020160045149A KR20160045149A KR20170116896A KR 20170116896 A KR20170116896 A KR 20170116896A KR 1020160045149 A KR1020160045149 A KR 1020160045149A KR 20160045149 A KR20160045149 A KR 20160045149A KR 20170116896 A KR20170116896 A KR 20170116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emergency
direction display
signal
fi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득기
Original Assignee
(주)신원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원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신원에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04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6896A/ko
Publication of KR2017011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05B37/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유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상 유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fan)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이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 및 제 2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EMERGENCY EXIT GUIDE APPARATUS AND EMERGENCY EXIT GUIDE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 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대피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상 유도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비상 유도 장치는 비상구의 방향, 거리 등을 지시하는 문자, 도형 등이 인쇄된 표시창과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램프의 점등에 따라 표시창에 인쇄된 문자나 도형 등이 밝게 표출됨으로써, 외부 또는 지정된 대피공간으로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 유도 장치는 단일 표시창에 1 이상의 비상구의 방향, 거리 등을 단순 표출할 뿐이며,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화재 발생 위치, 연기 배출 방향 등에 따라 대피자들에게 가장 안전한 대피 방향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예를 들어,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로 인해 대피자들이 의식을 잃거나 질식사할 우려가 있어 발생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환기용 팬이 가동되게 되는데, 환기용 팬의 가동으로 인한 연기의 배출 방향과 대피자들의 대피 방향이 동일한 경우 더 큰 인명사고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 유도 장치는 이러한 연기 배출 방향에 적합한 대피 방향을 선택적으로 표출할 수 없기 때문에, 대피자가 잘못된 대피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오히려 위험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기용 팬의 동작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최적의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대피자들에게 제공하는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유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상 유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fan)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이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 및 제 2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환기용 팬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화재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의 선택적 점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수동으로 점등 및 소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유도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비상 유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 유도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용 팬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유도 장치에 전송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유도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 및 제 2 방향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하며,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환기용 팬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유도 장치에 전송하는 화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유도 장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의 선택적 점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부에 화재 발생 시, 하나의 대피 방향을 제공함으로써, 대피자들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고, 가장 안전한 대피 장소로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부에 화재 발생 시, 환기용 팬에 의해 이동되는 연기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대피 방향을 표시함으로써, 연기에 의한 추가적인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비상 유도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시스템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 유도 시스템(1000)은 화재 감지부(100), 환기 장치(200) 및 비상 유도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100)는 화재 발생 시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화재 감지 신호를 환기 장치(200) 및/또는 비상 유도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100)는 화재로 인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는 방식 등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식의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부(100)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터널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환기 장치(200)는 터널 내부의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fan)을 작동시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 장치(200)는 특정 방향으로 공기가 송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을 작동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의 회전 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기 장치(200)는 제어 모듈, 통신 모듈, 배전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의 동작과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란, 개별 환기용 팬의 구동 여부(즉, ON/OFF 여부) 및 구동 방향(즉, 회전 방향 또는 공기 송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신호는 비상 유도 장치(300)에 전송되어 환기용 팬의 구동과 연계하여 비상 유도 장치(300)가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기용 팬 중 적어도 일부와 비상 유도 장치(300)가 직접 또는 예를 들어, 배전반 등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 유도 장치(300)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그룹화된 복수의 환기용 팬이 하나의 비상 유도 장치(300)와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신호의 전송은 릴레이 접점(relay contact) 및 제어 케이블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300)로 직접 전송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비상 유도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가 터널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 신호 및 화재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구동 신호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방향 표시부(320-1, 320-2)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점등하고, 다른 하나는 소등함으로써 대피자들에게 하나의 대피 방향만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유도 장치(300)는 통신부(310), 표시부(320) 및 수동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외부 장치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환기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에 대한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화재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감지 신호는, 예를 들어, 관리자가 화재 경보 스위치를 누르거나, 화재 감지부(100)로부터 생성되어 비상 유도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통신부(310)는 이를 수신하여 표시부(32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통신부(310)는 다양한 형태의 유,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표시부(320)는 복수의 방향 표시부(320-1, 320-2)를 통해 대피자에게 적절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20)는 상이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대피 방향, 출구까지 거리 등)를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3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3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방향 표시부(3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320-2)를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대피자에게 적합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표시부(320)의 제 1 방향 표시부(320-1)와 제 2 방향 표시부(320-2)에 대한 선택적 점등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에 대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유도 장치(300)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 환기용 팬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방향(예를 들어, 열차 진행 방향)으로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구동되는 경우, 표시부(320)는 이러한 환기용 팬의 구동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을 대피 경로로 지시하는 제 2 방향 표시부(320-2)만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방향으로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환기용 팬 중 적어도 일부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표시부(320)는 제 1 방향을 대피 경로로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320-1)만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등은 예를 들어, 제 1 방향 표시부(3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320-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하나의 전원을 OFF 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320)는 환기 장치(200)의 구동 신호와 화재 감지부(100)의 화재 감지 신호가 모두 수신되는 경우에만 이에 응답하여 선택적 점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환기용 팬의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방향 표시부(320-1, 320-2) 중 일부만이 점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예를 들어, 단순히 터널 내의 환기를 위해 환기용 팬이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 1 방향 표시부(3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320-2)를 모두 점등시키다가, 화재 발생으로 인한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복수의 방향 표시부(320-1, 320-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방향 표시부(3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320-2) 각각은 일면에 상이한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창(도 4의 421-1, 2)과 이러한 표시창(도 4의 421-1, 2)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도 4의 440)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수동 제어부(330)는 수동으로 복수의 방향 표시부(320-1, 2)에 대한 점등 및 소등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동 제어부(330)는 비상 유도 장치(3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방향 표시부(320-1, 2)에 대응하는 복수의 온/오프(ON/OFF)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수동 제어부(330)를 통해, 표시부(320)에 포함된 복수의 방향 표시부(320-1, 2) 각각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동 제어부(330)는 비상 유도 장치(300)와 따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수동 제어부(330)가 비상 유도 장치(300) 상에 구비되는 경우, 비상 유도 장치(300)의 설치 위치 및 화재 발생 지점에 따라 비상 유도 장치(300)에 대한 접근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수동 제어부(330)를 비상 유도 장치(300)와 분리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터널 내의 공간 등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동 제어부(330)는 비상 유도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을 비상 유도 장치(300)로 전달하게 되며, 비상 유도 장치(30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각의 표시창(도 4의 421-1, 2)을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한편, 수동 제어부(330)는, 예를 들어, 푸쉬 버튼, 다이얼 스위치, 터치식 버튼 등의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유도 장치(300)은 배터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는 화재 발생 등으로 인하여 비상 유도 장치(300)에 외부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비상 유도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부는 비상 유도 장치(300) 내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는 평상 시에는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부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비상 유도 장치(300)에 공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상 유도 장치(300)의 형상은 표시창(421-1, 2) 및 하우징부(42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표시창(421-1, 2)은 제 1 방향 표시부(420-1)와 제 2 방향 표시부(420-2)를 각각 구성하는 제 1 표시창(421-1) 및 제 2 표시창(4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표시창(421-1) 및 제 2 표시창(421-2)은 평면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부(425)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표시창(421-1) 및 제 2 표시창(421-2)은 각각 서로 다른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문자, 기호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대피 방향의 명확한 식별을 위해 제 1 표시창(421-1) 및 제 2 표시창(421-2)이 각각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창(421-1)에는 좌측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기호와 해당 방향의 출구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되고, 제 2 표시창(421-2)에는 우측 대피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기호와 해당 방향의 출구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호 및 문자는 축광 안료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축광 안료란, 자연광 및 인조광의 빛에너지를 흡수 및 저장한 후, 빛의 공급이 차단되면 저장된 빛을 방출하는 성질의 물질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표시창(421-1, 2)에 조명부(440)로부터의 빛 공급이 중단 되더라도, 표시창(421-1, 2)의 화살표 기호와 문자는 소정의 시간 동안 발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향 표시부(4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420-2)가 동시 점등되어 있다가 정전 등으로 인해 조명부(440)로부터 빛의 조사가 중단되는 경우, 제 1 표시창(421-1) 및 제 2 표시창(421-2)의 기호 및 문자는 모두 저장된 빛에너지를 이용해 소정의 시간 동안 스스로 발광하게 된다.
한편, 화재 시 제 1 방향 표시부(4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420-2) 중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점등된 상태에서, 화재로 인한 단선 등으로 인해 조명부(440)로부터의 빛의 조사가 중단되면, 하나의 표시창(421-1, 2)의 기호 및 문자에 집중적으로 빛에너지가 축적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에너지가 축적된 하나의 표시창(421-1, 2)의 기호 및 문자만 발광하게 되거나, 다른 표시창(421-1, 2)의 기호 및 문자보다 더 밝게 발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방향 표시부(420-1) 및 제 2 방향 표시부(420-2) 중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점등된 것과 유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대피자에게 적절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일정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부(425)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공간에 도 3에서 상술한 통신부(310), 조명부(44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440)는 도광판(441-1, 2) 및 발광 모듈(44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광판(441-1, 2)은 제 1 표시창(421-1)과 제 2 표시창(421-2)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도광판(441-1) 및 제 2 도광판(44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도광판(441-1) 및 제 2 도광판(441-2)은 제 1 표시창(421-1)과 제 2 표시창(421-2)의 각각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모듈(442)로부터 수용된 빛을 제 1 표시창(421-1)과 제 2 표시창(421-2) 중 적어도 하나에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도광판(441-1)의 하부면에는 수용된 빛을 상측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소정의 반사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광판(441-1, 2)의 상부면에는, 도광판(441-1, 2)을 통과한 빛이 표시창(421-1, 2)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빛을 분산하는 확산판(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발광 모듈(442)은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부(425)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광판(441-1, 2)의 일 측면 및 이에 대응하는 타 측면에 근접하도록 하우징부(42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442)은 LED 소자 등 당해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440)는 복수의 발광 모듈(442) 중 일부의 점, 소등을 개별 제어함으로써, 제 1 도광판(441-1) 및 제 2 도광판(441-2)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 유도 장치(300)는, 환기팬의 구동 신호에 따라, 제 1 표시창(421-1)과 제 2 표시창(421-2)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대피자에게 점등된 하나의 표시창(421-1, 2)에 포함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식별이 용이하도록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상 유도 장치(500)의 형상은 제 1 표시창(521-1) 및 제 2 표시창(521-2)이 좌우를 향해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결합 형태로 인하여 비상 유도 장치(500)의 형상은 중앙 영역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에서 비상 유도 장치의 형상(500)을 바라보아도 제 1 표시창(521-1) 또는 제 2 표시창(521-2)에 표시되는 대피 방향 및 대피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비상 유도 장치(300, 5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300, 5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표시창(421-1, 421-2, 521-1, 521-2) 및 발광 모듈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시스템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비상 유도 시스템(1000)의 예시적 동작을 살펴보면, A방향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 감지부(100)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환기 장치(200) 및/또는 비상 유도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한 환기 장치(200)는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환기용 팬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환기용 팬의 구동 시, 환기용 구동 신호가 생성되어, 비상 유도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구동 신호는 연기가 A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어느 환기용 팬이 구동되는지, 구동되는 환기용 팬의 회전 방향은 어느 방향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비상 유도 장치(300)는 연기의 배출 방향(A방향)과 반대되는 B방향을 지시하는 제 2 방향 표시부(320-2) 만을 점등시킴으로써, 대피자들에게 가장 안전한 대피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환기 장치(200)가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300)를 직접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환기 장치(200)는 제어 신호를 통해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300)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300)의 표시부(320)가 동시 점등되도록 하거나, 각각의 표시부(320)가 시간차를 두고 점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비상 유도 시스템 100 화재 감지부
200 환기 장치 300 비상 유도 장치
310 통신부 320 표시부
320-1 제 1 방향 표시부 320-2 제 2 방향 표시부
330 수동 제어부 400 비상 유도 장치
421-1 제 1 표시창 421-2 제 2 표시창
425 하우징부 440 조명부
441 도광판 441-1 제 1 도광판
441-2 제 2 도광판 442 발광 모듈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fan)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이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 및 제 2 방향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하는, 비상 유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환기용 팬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화재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의 선택적 점등을 수행하는, 비상 유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수동으로 점등 및 소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 유도 장치.
  5. 비상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비상 유도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환기용 팬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용 팬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유도 장치에 전송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 유도 장치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대피 경로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1 방향 표시부 및 제 2 방향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점등하며,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환기용 팬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 유도 장치에 전송하는 화재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유도 장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에 따른 상기 제 1 방향 표시부 및 상기 제 2 방향 표시부의 선택적 점등을 수행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KR1020160045149A 2016-04-12 2016-04-12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KR20170116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49A KR20170116896A (ko) 2016-04-12 2016-04-12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149A KR20170116896A (ko) 2016-04-12 2016-04-12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896A true KR20170116896A (ko) 2017-10-20

Family

ID=6029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149A KR20170116896A (ko) 2016-04-12 2016-04-12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68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89B1 (ko) * 2018-11-16 2019-06-07 신호원 스마트 비상등
KR102321474B1 (ko) * 2021-03-11 2021-11-03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소방용 비상 안내등 장치
KR102321475B1 (ko) * 2021-03-11 2021-11-03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소방용 비상 유도 램프 장치
KR102489289B1 (ko) * 2022-06-10 2023-01-18 (주) 남진설비 철도터널의 제연 및 대피 유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89B1 (ko) * 2018-11-16 2019-06-07 신호원 스마트 비상등
KR102321474B1 (ko) * 2021-03-11 2021-11-03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소방용 비상 안내등 장치
KR102321475B1 (ko) * 2021-03-11 2021-11-03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소방용 비상 유도 램프 장치
KR102489289B1 (ko) * 2022-06-10 2023-01-18 (주) 남진설비 철도터널의 제연 및 대피 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20170116896A (ko) 비상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상 유도 시스템
KR101485115B1 (ko)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KR101059612B1 (ko) 저전력 무선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led 비상구 표시등을 구비한 화재 비상표시 유도 시스템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1261448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070098109A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KR100998997B1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200462003Y1 (ko) 대피 정보 안내 장치
KR20080102559A (ko) 연기감지 및 제연기능이 포함된 비상조명등
KR20150002983U (ko) 비상유도 등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582303B1 (ko) 비상구 방향 안내 기능을 가지는 유도등 시스템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JP2014213987A (ja) ホールランタン装置
KR101950745B1 (ko)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101807262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53098B1 (ko)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200432454Y1 (ko) 휴대용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