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03Y1 - 대피 정보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대피 정보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03Y1
KR200462003Y1 KR2020120000890U KR20120000890U KR200462003Y1 KR 200462003 Y1 KR200462003 Y1 KR 200462003Y1 KR 2020120000890 U KR2020120000890 U KR 2020120000890U KR 20120000890 U KR20120000890 U KR 20120000890U KR 200462003 Y1 KR200462003 Y1 KR 200462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ire
evacuation
smok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순
Original Assignee
최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순 filed Critical 최두순
Priority to KR2020120000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피 정보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건물 내부에 연기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화재 정보와 안전한 대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별도의 메인 케이스를 통해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 사용 중인 비상구 유도등에 대한 교체 없이 추가적으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상하 일렬 배치된 3개의 램프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사람들에게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대피 정보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피 정보 안내 장치{Evacuation Information Guide Device}
본 고안은 대피 정보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건물 내부에 연기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화재 정보와 안전한 대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별도의 메인 케이스를 통해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 사용 중인 비상구 유도등에 대한 교체 없이 추가적으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상하 일렬 배치된 3개의 램프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사람들에게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대피 정보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 및 숙박 시설이나 지하철 및 지하 상가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의 경우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판이나 유도등이 해당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건물의 대형화와 고층화 및 복합화로 인해 다양한 화재 감지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운영 및 관리되고 있으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건물 내의 각 위치에 온도나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중앙 관제실 및 통제실에서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을 확인하여 화재 발생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CCTV 등의 감시 카메라를 각 위치에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해당 위치의 상태를 중앙 관제실 및 통제실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감지 및 그에 따른 경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건물 내의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화재가 발생된 것을 알리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지어진 건물에서 사람들이 좀 더 안전한 장소로 부상 없이 빠르게 대피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도 알림판이나 유도등은 단순히 비상구나 대피로만 알려주게 되므로, 해당 건축물에 다수의 비상구나 대피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곳에 대피자들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화재가 아닌 다른 요소들(충돌, 밀침 등)로 인해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특별한 구조를 갖는 건축물의 경우, 일반적인 대피 상식과는 다른 대피 방법을 선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건축물의 구조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대피자들이 유도등 만을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대피가 오히려 비상구를 찾는데 어려움을 주게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건축물에 설치된 비상 계단이 지상까지 이어져 설치되지 아니하고 중간의 층들까지만 있도록 구성된 경우, 이러한 구조를 모르는 대피자들은 해당 비상 계단을 이용하여 상층부로 대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하층부로 이동하게 되어 대피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옥상 등에 헬기 착륙장이 구비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상보다는 옥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수 있으나, 대피자들이 이러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없었다.
특정 시스템의 경우, 해당 건축물에 상주하는 사람들이 휴대하는 단말기나 안내 문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등을 통해, 다양한 비상구나 대피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화재 발생 등과 같이 자신의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서 대피자들이 이러한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건물 내부에 연기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안전한 대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별도의 메인 케이스를 통해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비상구 유도등에 대한 교체 없이 추가적으로 편리하게 비상구 유도등에 결합시킬 수 있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상하 일렬 배치된 3개의 램프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사람들에게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대피 정보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연기 또는 화재 발생시 비상구 위치를 표시하는 비상구 유도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피 정보를 안내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로서, 메인 케이스;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수에 대응하여 필요한 대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연기 또는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연기 또는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램프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램프 유닛은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램프 모듈; 및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수에 대응하여 현재 층에서 필요한 대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램프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렬로 배치되는 제 2 램프 모듈 및 제 3 램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램프 모듈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에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3 램프 모듈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에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램프 모듈은 각각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결합되는 램프 케이스; 및 상기 램프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조명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케이스는 상기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케이스는 상기 램프 유닛이 안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램프 유닛의 외부 공간을 일부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 또는 케이스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부 및 제어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별도의 중앙 관제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층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 출력부와, 대피 정보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청각 출력부가 장착되고, 상기 시각 출력부 및 청각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건물 내부에 연기 또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안전한 대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별도의 메인 케이스를 통해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비상구 유도등에 대한 교체 없이 추가적으로 편리하게 비상구 유도등에 결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유닛을 상하 일렬 배치된 3개의 램프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사람들에게 화재 정보 및 대피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장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또 다른 장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작동 구조를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장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또 다른 장착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20)는 건물에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비상구 위치를 표시하는 비상구 유도등(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건물의 각 층에서 필요한 대피 정보를 안내하는 장치로서, 메인 케이스(100), 램프 유닛(200), 신호 수신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비상구 유도등(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비상구 유도등(10)에 결합 고정되거나 또는 비상구 유도등(10)과는 별개로 건물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가 비상구 유도등(10)과 별개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비상구 유도등(1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 유닛(200)은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장착되며,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수에 대응하여 현재 층에서 필요한 대피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램프 유닛(200)은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램프 모듈(210)과, 제 1 램프 모듈(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렬 배치되는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은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수에 대응하여 현재 층에서 필요한 대피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램프 모듈(210)은 단순히 온/오프 방식으로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1 램프 모듈(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램프 모듈(220)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에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램프 모듈(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3 램프 모듈(230)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에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층에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램프 모듈(210)이 점등되도록 제어되고, 이때, 건물의 구조상 현재 층에서 안전한 대피 방향이 하층 방향인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램프 모듈(230)이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 건물의 구조상 현재 층에서 안전한 대피 방향이 상층 방향인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램프 모듈(220)이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은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것으로, 각각 점멸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층이 아닌 상층 또는 하층에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램프 모듈(210)은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되는데,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에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라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램프 모듈(220)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되고, 제 3 램프 모듈(230)은 현재 층에서의 안전한 대피 방향이 하층 방향임을 표시하도록 점멸되는 방식 등으로 대피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에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라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램프 모듈(230)이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되고, 제 2 램프 모듈(220)은 안전한 대피 방향이 상층 방향임을 표시하도록 점멸되는 방식 등으로 대피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램프 모듈(210),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에 대한 작동 방식은 단순 점등하는 방식, 점멸하는 방식 등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에 의해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등 표시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램프 유닛(200)은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되는데, 제어부(400)는 신호 수신부(300)로부터 연기 또는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아 램프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일반적으로 건물의 각 층에는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30)가 장착되는데, 신호 수신부(300)는 이러한 감지 센서(30)로부터 연기 또는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로 인가한다. 제어부(400)는 신호 수신부(300)로부터 인가받은 감지 신호에 따라 램프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이때, 신호 수신부(300)는 감지 센서(30)로부터 직접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건물의 전체 화재 관리를 제어하는 중앙 관제실(4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감지 센서(30)의 감지 신호가 중앙 관제실(40)로 전송되고, 중앙 관제실(40)에서 신호 수신부(300)에 감지 신호를 전송하며, 신호 수신부(300)가 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때, 신호 수신부(300) 및 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각각 1개씩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신호 수신부(3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3개의 램프 모듈(210,220,230)을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20)는 건물 내부에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감지 센서(30) 또는 중앙 관제실(40)로부터 전송된 화재 감지 신호를 신호 수신부(300)를 통해 수신하고, 제어부(400)를 통해 램프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여 현재 화재 상황에 따른 안전한 대피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이를 통해 더욱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램프 유닛(200)을 구성하는 제 1 램프 모듈(210),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메인 케이스(100) 내부에 결합되는 램프 케이스(201)와, 램프 케이스(201)에 결합되어 메인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조명 램프(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수신부(300) 및 제어부(400)는 각각의 램프 케이스(201)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고, 각 램프 모듈(210,220,230)이 각각의 신호 수신부(300)를 통해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인가받아 제어부(400)가 해당 램프 모듈(210,220,230)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램프 모듈(210,220,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201)의 일측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203)가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203) 사이 공간을 통해 비상구 유도등(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메인 케이스(100) 없이도 램프 유닛(200)을 비상구 유도등(10)에 독립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케이스(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램프 유닛(200)이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비상구 유도등(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램프 유닛(200)이 안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램프 유닛(200)의 외부 공간을 일부 감싸도록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커버(120)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 돌기(111) 및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램프 유닛(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램프 안착부(112)가 형성되고, 램프 안착부(112)에는 램프 유닛(200)에 대한 고정 결합을 위해 별도의 고정 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11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201)가 끼워 맞춤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120)의 일측에는 메인 케이스(100)가 비상구 유도등(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0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 돌기(1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유도등(10)에 끼워 맞춤 삽입 결합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된 2개의 탄성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20)는 메인 케이스(100)의 가이드 돌기(101)를 통해 편리하게 비상구 유도등(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비상구 유도등(10)에 본 고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의 작동 구조를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정보 안내 장치(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을 화살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램프 모듈(220)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고, 제 3 램프 모듈(230)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을 화살표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점멸 방식이나 빛의 색상 등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사람들에게 대피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람들을 대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시각 출력부(500)와 청각 출력부(600)가 추가적으로 메인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다. 시각 출력부(500)는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층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액정 화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청각 출력부(600)는 단순 알람 벨을 울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시각 출력부(500)와 같이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층수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 장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시각 출력부(500) 및 청각 출력부(600)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램프 유닛(200)과 마찬가지로 신호 수신부(300)로부터 인가받은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대피 정보 안내 장치(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감지 센서(30)에 의해 감지된 화재 감지 신호를 신호 수신부(300)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제어부(400)가 제 1 램프 모듈(210), 제 2 램프 모듈(220) 및 제 3 램프 모듈(230)을 동작 제어하고, 또한, 시각 출력부(500) 및 청각 출력부(600)를 동작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수신부(300)는 감지 센서(30)로부터 직접 화재 감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감지 센서(30)의 화재 감시 신호가 중앙 관제실(40)로 전송되고, 중앙 관제실(40)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감지 신호를 신호 수신부(300)가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상구 유도등 20: 대피 정보 안내 장치
100: 메인 케이스 101: 가이드 돌기
110: 케이스 본체 120: 케이스 커버
200: 램프 유닛 201: 램프 케이스
202: 조명 램프 210: 제 1 램프 모듈
220: 제 2 램프 모듈 230: 제 3 램프 모듈
300: 신호 수신부 400: 제어부
500: 시각 출력부 600: 청각 출력부

Claims (8)

  1. 연기 또는 화재 발생시 비상구 위치를 표시하는 비상구 유도등에 결합되어 대피 정보를 안내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로서,
    메인 케이스;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와,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수에 대응하여 필요한 대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메인 케이스에 장착되는 램프 유닛;
    연기 또는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연기 또는 화재 발생에 대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램프 유닛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케이스는 상기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호 수신부 및 제어부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별도의 중앙 관제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현재 층에서의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램프 모듈; 및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한 층수에 대응하여 현재 층에서 필요한 대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램프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일렬로 배치되는 제 2 램프 모듈 및 제 3 램프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램프 모듈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에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층을 기준으로 상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3 램프 모듈은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에서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층을 기준으로 하층 방향으로 대피 유도하는 대피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램프 모듈은 각각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에 결합되는 램프 케이스; 및
    상기 램프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조명 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는
    상기 램프 유닛이 안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램프 유닛의 외부 공간을 일부 감싸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 또는 케이스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비상구 유도등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연기 또는 화재 발생 층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 출력부와, 대피 정보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청각 출력부가 장착되고,
    상기 시각 출력부 및 청각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정보 안내 장치.
KR2020120000890U 2012-02-06 2012-02-06 대피 정보 안내 장치 KR200462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90U KR200462003Y1 (ko) 2012-02-06 2012-02-06 대피 정보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890U KR200462003Y1 (ko) 2012-02-06 2012-02-06 대피 정보 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003Y1 true KR200462003Y1 (ko) 2012-08-22

Family

ID=5371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890U KR200462003Y1 (ko) 2012-02-06 2012-02-06 대피 정보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0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197A (ko) * 2018-01-06 2019-07-16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0523B1 (ko) 2018-12-12 2020-01-28 강현지 풍력 발전식 지하철 비상대피 안내 시스템
KR102360272B1 (ko) * 2020-09-29 2022-02-07 이금성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17B1 (ko) 2006-07-03 2007-12-06 주식회사 효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17B1 (ko) 2006-07-03 2007-12-06 주식회사 효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197A (ko) * 2018-01-06 2019-07-16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2055631B1 (ko) * 2018-01-06 2019-12-13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KR102070523B1 (ko) 2018-12-12 2020-01-28 강현지 풍력 발전식 지하철 비상대피 안내 시스템
KR102360272B1 (ko) * 2020-09-29 2022-02-07 이금성 음성 및 점멸형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0224T3 (es) Sistema de detección y notificación de eventos térmicos
EP2364573B1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KR101911371B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902888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62003Y1 (ko) 대피 정보 안내 장치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CN110807890A (zh) 一种逃生路线引导的智慧消防设备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220144642A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WO2017138543A1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80019107A (ko) 조명 기구 또는 그에 관련된 개선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160050552A (ko) 피난유도표시장치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KR20170071706A (ko)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