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255B1 -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255B1
KR101327255B1 KR1020120009052A KR20120009052A KR101327255B1 KR 101327255 B1 KR101327255 B1 KR 101327255B1 KR 1020120009052 A KR1020120009052 A KR 1020120009052A KR 20120009052 A KR20120009052 A KR 20120009052A KR 101327255 B1 KR101327255 B1 KR 10132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led
emergency
control unit
emergenc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844A (ko
Inventor
원철상
Original Assignee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2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조명장치는, 비상상황 시, 시야 확보를 위해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LED조명등 영상 또는 인쇄물을 표시하기 위해 조명장치케이스 전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에 대응되는 소리(Sound)의 제공 또는 비상상황에 대한 안내방송을 위해 조명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스피커 및 비상상황 시 LED조명등,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안전탈출을 유도하는 기능의 비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게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며, LED조명등은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한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LED조명등을 설치하여 발광함으로써, 탈출구 또는 탈출구로 향하는 통로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탈출구의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에 한정되어 있는 전광판을, 평상시 각종 영상(광고 동영상, 메세지, 인쇄물)을 통해 광고판 또는 알림판으로 사용하고, 비상상황 시 탈출구 안내, 상황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전광판의 사용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안내방송을 일반 안내방송(전광판 광고 효과음, 음성, 음악 등)과 비상상황에 대한 안내방송(탈출방법안내, 상황안내, 경고싸이렌 등)으로 안내방송종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LED EMERGENCY LIGHTING DEVICE WITH ADVERTISING FEATURE}
본 발명은 비상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상황 시 LED조명등을 이용해 탈출 시야를 확보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 지원을 받을 수 있게하며, 평상시에는 비상조명장치 전면부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판 또는 알림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상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으로 인해 많은 건물들이 도시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쳐 입점하고 있다. 특히 건축기술의 발전과 건축 대지 부족현상으로 초고층 건물들의 신축이 줄을 잇고 있다. 이런 건물들은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화재, 정전, 붕괴, 천재지변 같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위험은 건물에 생활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런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대부분의 건물들은 위험상황 발생시, 이를 벗어날 수 있는 비상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위험상황이 발생시 각종 화재로 인한 매연이나, 정전 상황 속에서 탈출구를 찾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탈출구 유도장치를 건물 내측에 설치하여 비상상황 시 자가전력으로 점등하여 탈출구의 위치, 방향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기존의 비상조명장치는 전면부에 탈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그림 또는 표식을 형성하고 비상조명장치 내측에 형광장치를 구비하여 발광함으로써, 내측에서 나오는 광원에 의해 전면부의 그림 또는 표식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도 1에서 설명하고 있는 한국 등록특허 제 10-0945857-0000호 "멀티 소방 피난 유도 장치"는 하측에 위치한 화재감지부를 이용해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화재발생 감지시 양측면에 위치한 스피커를 통해 경고싸이렌을 제공하고, 전면부에 형성된 LED전광판을 통해 탈출구의 위치를, 후면부에 광원을 가진 표식으로 탈출구를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유도 장치의 전광판은 평상시에도 같은 표식으로 고정된 모습을 유지함으로써, 전광판의 이용성이 한정된다는 문제점과, 탈출구 방향에 대한 안내만 가능하고, 탈출구로 가는 통로에 대한 시야 확보 기능이 제외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의 기능이 경고싸이렌에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조명장치 일측에 LED조명등을 설치하여 빛을 비춰줌으로써, 탈출구 또는 탈출구로 향하는 통로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비상시에만 탈출구 유도의 기능으로 이용되고 평상시에는 특별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전광판을, 평상시 각종 영상(광고 동영상, 메세지, 인쇄물)을 통해 광고판 또는 알림판으로 사용하고, 비상상황 시 탈출구 안내, 상황정보안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사용범위를 다양하게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안내방송을 전광판 광고 효과음, 음성, 음악, 또는 안내방송(일반 안내방송, 비상상황 안내방송)으로 종류를 다양하게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비상상황 시, 시야 확보를 위해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LED조명등 영상 또는 인쇄물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전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에 대응되는 소리(Sound)의 제공 또는 비상상황에 대한 안내방송을 위해 조명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스피커 및 비상상황 시 상기 LED조명등,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를 안전탈출을 유도하는 기능의 비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게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조명등은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한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를 제안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LED조명등은 교류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전으로 인식하여 자가발전하는 축전기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전기는 건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 또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해, 충전 후 발전하는 발전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전방식으로 자가발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LED조명등은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상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LED조명등은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전면에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플레이트의 재질은 내열성 및 투명성이 있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인쇄물을 표시할 경우 인쇄물은, 보호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삽입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영상을 표시할 경우 영상은, 중앙통제장치로부터 공급 및 제어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통제장치는 관리자의 무선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통제장치는 장치제어부와 연결 및 시스템적 연동하는 중앙서버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의 시스템연동은,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의 쌍방 간 데이터 송수신 또는 중앙통제장치의 장치제어부 제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는 장치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치연결부는 케이블 연결방식 또는 무선연결방식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피커의 안내방송은 음성안내 또는 경고싸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가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재감지센서는 온도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열감지방식 또는 연기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치제어부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시 LED조명등을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치제어부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시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탈출 안내 영상 또는 상황정보에 대한 메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치제어부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시 스피커는 상황정보안내, 탈출방법안내, 경고싸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안내방법으로 정보전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점멸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상시 방범을 목적으로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하측에 동작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조명장치 일측에 LED조명등을 설치하여 발광함으로써, 탈출구 또는 탈출구로 향하는 통로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탈출구의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에 한정되어 있는 전광판을, 평상시 각종 영상(광고 동영상, 메세지, 인쇄물)을 통해 광고판 또는 알림판으로 사용하고, 비상상황 시 탈출구 안내, 상황정보를 안내함으로써, 전광판의 사용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안내방송을 일반 안내방송(전광판 광고 효과음, 음성, 음악 등)과 비상상황에 대한 안내방송(탈출방법안내, 상황안내, 경고싸이렌 등)으로 방송종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상조명장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조명장치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비상조명장치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비상조명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 도 5, 도 6은 비상조명장치의 LED조명등의 위치 변경 실시예와, 디슬플레이부의 영상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는, 화재, 정전, 건물붕괴, 천재지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비상상황 시, 탈출 시야 확보를 위해 조명장치케이스(100) 일측에 형성되는 LED조명등(110)과, 영상 또는 인쇄물을 표시하기 위해 조명장치케이스(100) 전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에 대응되는 소리의 제공 또는 비상상황에 대한 안내방송을 위해 조명장치케이스(100)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130)와, 비상상황 시 LED조명등(110), 디스플레이부(120), 스피커(130)를, 안전탈출 유도기능의 비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게 제어하는 장치제어부(150)로 구성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조명장치케이스(100) 상측면에 LED조명등(110)이 구비되고, 조명장치케이스(100)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120)이 구비된다. 또한, 조명장치케이스(100) 일측에 스피커(130)가 설치되며, 조명장치케이스(100) 내측에 장치제어부(140)가 구비된다. 장치제어부(14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연결부(150)를 통해 중앙통제장치와 연결된다.
LED조명등(11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교류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전으로 인식하여 자가발전을 하는 축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축전기는 건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 또는 평상시 건물의 전력을 이용해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하여 충전하고, 교류전류 공급이 끊기면 충전된 전류로 발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전방식으로 자가발전할 수 있다.
그리고, LED조명등(110)은 설치장소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해야 함으로써, 조명장치케이스(100)의 상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LED조명등(110)은 방향조절이 가능하다. LED조명등(110) 하측에 형성된 LED조명등 조절부(111)가, 주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화장실, 싱크대의 자바라와 같이 상하좌우로 변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LED조명등 조절부(111)를 통해 LED조명등(110)의 방향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ED조명등(110)을 2개로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LED조명등(110)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면에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여기서, 보호플레이트는 내열성 및 투명성이 있는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화재로 인한 열 손상을 방지하고, 시각적으로 깨끗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 화면에 인쇄물을 표시할 경우, 인쇄물은 보호플레이트 일측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삽입 또는 교체할 수 있게 한다. 홈부(121)는 보호플레이트 후면부에 인쇄물을 삽입 및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홈부(121)를 통해 인쇄물 삽입시 사용자들이 조명장치케이스(100) 전면부를 통해 해당 인쇄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 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경우, 영상은 평상시 일반광고영상, 뮤직비디오, 공지사항, 메세지 등이 될 수 있고, 비상상황 시 탈출구 방향, 거리, 위치 안내, 상황설명, 탈출방법안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물 전체의 비상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서버격인 중앙통제장치로부터 공급 및 제어 받는다.
그리고, 중앙통제장치는 인증된 관리자의 무선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어, 관리자가 야외에서도 중앙통제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중앙통제장치는 장치제어부(140)와 연결 및 시스템연동 하고, 상기 시스템연동은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140)의 쌍방 간 데이터 송수신 또는 중앙통제장치의 장치제어부(140) 제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140)는 장치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은 케이블 연결방식 또는 무선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중앙통제장치에서 이를 제어하여 장치연결부(150)를 통해 조명장치케이스(100)의 장치제어부(140)로 해당 데이터를 송신하고, 장치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를 통해 영상의 변경이 이루어지게 한다.
스피커(130)의 안내방송은 음성안내 또는 경고싸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성안내는 평상시 광고 효과음, 음악, 공지안내 등이 될 수 있으며, 비상상황 시 탈출방법, 탈출구 방향, 위치, 거리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나, 시각 장애인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130)를 2개로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개 수는 가감될 수 있다.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170)가 조명장치케이스(10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재감지센서(170)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열감지방식 또는 연기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방식 중 하나 이상의 감지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재감지센서(170)가 조명장치케이스(100) 하측에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타 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치제어부(140)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되면 LED조명등(110)은 점등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화면에 탈출 안내 영상 또는 상황정보에 대한 메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게 되고, 스피커(130)는 상황정보안내, 탈출방법안내, 경고싸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안내방법으로 정보전달을 하게 된다.
또한,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조명장치케이스(100) 일측에 점멸등(160)이 더 설치된다. 비상상황에 대한 알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추가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멸등(160)이 조명장치케이스(100) 하측에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면부 테두리 또는 양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 방범을 목적으로 조명장치케이스(100) 하측에 동작감지센서(180)가 설치된다. 방범모드에서 움직임이 포착되면, 스피커(130)를 통해 경고싸이렌을 울리고, 해당 정보를 중앙통제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방범장치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조명장치는 화재, 정전 등의 위험상황 발생시, 축전지 또는 화재감지센서(170) 또는 동작감지센서(180)를 통해 상황을 감지하고, 해당 정보를 장치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장치제어부(140)는 송신한 정보를 중앙통제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LED조명등(110), 디스플레이부(120), 스피커(130), 점멸등(160)을 비상모드로 전환하여, LED조명등(110)을 점등하고, 디스플레이부(120) 화면에 탈출방향 영상 또는 상황정보에 대한 메세지를 표시하고, 스피커(130)를 통해 상황정보안내 또는 경고싸이렌 또는 탈출방법을 안내하고, 점멸등(160)을 점멸발광함으로써,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저차이가 있는 계단 등에 비상조명장치를 설치할 경우 올라오는 계단과 내려가는 계단 모두를 비춰줄 수 있게 하기 위해 LED조명등(110)이 비상조명장치(100)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평상시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이 광고 동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TV 등의 전자매체에서 시각 및 청각적으로 청취 가능한 동영상으로서, 다수의 비상조명장치를 통해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상상황 시, 디스플레이부(120)의 영상이 탈출구 유도 표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탈출구의 방향을 발광하는 방향표시로 표시하고, 거리까지 표시할 수 있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조명장치케이스 140; 장치제어부
110; LED조명등 150; 장치연결부
111; LED조명등 조절부 160; 점멸등
120; 디스플레이부 170; 화재감지센서
121; 홈부 180; 동작감지센서부
130; 스피커

Claims (22)

  1. 비상상황 시, 시야 확보를 위해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LED조명등 영상 또는 인쇄물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전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에 대응되는 소리(Sound)의 제공 또는 비상상황에 대한 안내방송을 위해 조명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스피커
    비상상황 시 상기 LED조명등,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를 안전탈출을 유도하는 기능의 비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게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조명등은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은 교류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정전으로 인식하여 자가발전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는 건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 또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전환해 충전 후 발전하는 발전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전방식으로 자가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은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상측면 또는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면에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재질은 내열성 및 투명성이 있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영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영상은, 중앙통제장치로부터 공급 및 제어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장치는 관리자의 무선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장치는 상기 장치제어부와 연결 및 시스템연동하는 중앙서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의 시스템연동은, 상기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의 쌍방 간 데이터 송수신 또는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장치제어부 제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장치와 장치제어부는 장치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연결부는 케이블 연결방식 또는 무선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안내방송은 음성안내 또는 경고싸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가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온도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열감지방식 또는 연기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연기감지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시 상기 LED조명등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탈출안내 영상 또는 상황정보에 대한 메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에 의해 비상모드로 전환시 상기 스피커는 상황정보안내, 탈출방법안내, 경고싸이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안내방법으로 정보전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일측에 점멸등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평상시 방범을 목적으로 상기 조명장치케이스 하측에 동작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이 구비된 LED비상조명장치.
KR1020120009052A 2012-01-30 2012-01-30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KR10132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052A KR101327255B1 (ko) 2012-01-30 2012-01-30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052A KR101327255B1 (ko) 2012-01-30 2012-01-30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44A KR20130087844A (ko) 2013-08-07
KR101327255B1 true KR101327255B1 (ko) 2013-11-08

Family

ID=4921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052A KR101327255B1 (ko) 2012-01-30 2012-01-30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3027A1 (en) * 2014-02-11 2015-08-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mbient display for industrial operator consoles
KR101684903B1 (ko) 2015-10-12 2016-12-09 박용주 비상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67B1 (ko) * 2014-07-03 2016-07-29 이민주 화재 경보 장치
KR102153329B1 (ko) * 2018-10-08 2020-09-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션픽토그램을 이용하는 피난 유도등과 광고 장치
KR102153335B1 (ko) * 2018-10-08 2020-09-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션픽토그램을 이용하는 피난 유도등
KR102176932B1 (ko) * 2018-10-25 2020-11-13 하나이티에프주식회사 다기능 면발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752Y1 (ko) 2003-03-31 2003-10-22 인 국 김 피난구 유도 장치
KR20080087413A (ko) * 2007-03-27 2008-10-01 권병관 현수용 광고 패널 시스템
KR20100049777A (ko) * 2008-11-04 2010-05-13 디씨엑스(주) 인공지능형 엘이디 피난유도 시스템
KR20110117766A (ko) * 2010-04-22 2011-10-28 박종덕 비상조명 광고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752Y1 (ko) 2003-03-31 2003-10-22 인 국 김 피난구 유도 장치
KR20080087413A (ko) * 2007-03-27 2008-10-01 권병관 현수용 광고 패널 시스템
KR20100049777A (ko) * 2008-11-04 2010-05-13 디씨엑스(주) 인공지능형 엘이디 피난유도 시스템
KR20110117766A (ko) * 2010-04-22 2011-10-28 박종덕 비상조명 광고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3027A1 (en) * 2014-02-11 2015-08-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mbient display for industrial operator consoles
US9581993B2 (en) 2014-02-11 2017-0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mbient display for industrial operator consoles
KR101684903B1 (ko) 2015-10-12 2016-12-09 박용주 비상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44A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255B1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US9754466B2 (en) Guidance indicator and system for providing egress assistance
KR101672685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음성안내를 포함하는 안전 통합시스템이 구비된 지능형 볼라드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20160039397A (ko)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KR101672733B1 (ko) 누전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분전함
KR20160150558A (ko)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318283B1 (ko) 가로등주의 누전 및 램프상태 표시장치
JP2005234768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JP2006215703A (ja) 避難誘導指示システム
JP3184543U (ja) 総合災害対応避難誘導標識柱
JP2013083130A (ja) 総合災害対応避難誘導標識柱
KR101300099B1 (ko) 무전원 방향 유도등을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
KR20160017792A (ko) 노면표출형 디지털 사이니지모듈을 통한 상황별 컨텐츠 실시간 노면표출장치
KR20100000252A (ko) 멀티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20160012358A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KR20190045752A (ko) 범죄예방 기능의 스마트 표지판
JP6544682B2 (ja) 誘導灯及びそれを用いた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061204B1 (ko) 대피 방향 선택 표시기능을 갖는 피난 유도선 발광장치 및 피난 유도선
KR101053645B1 (ko) 비상유도장치
KR200314491Y1 (ko) 복합 경보기능이 탑재된 비상유도장치
KR101800451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2625803B1 (ko)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KR101616780B1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