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903B1 - 비상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903B1
KR101684903B1 KR1020150141953A KR20150141953A KR101684903B1 KR 101684903 B1 KR101684903 B1 KR 101684903B1 KR 1020150141953 A KR1020150141953 A KR 1020150141953A KR 20150141953 A KR20150141953 A KR 20150141953A KR 101684903 B1 KR101684903 B1 KR 10168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led lamp
turned
emergenc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주
Original Assignee
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주 filed Critical 박용주
Priority to KR102015014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H05B33/0815
    • H05B37/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강판으로 이루어진 선체 내부 어느위치든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치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도중에도 LED 램프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장치의 후단에 제어회로를 구비하여, 정전 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릴레이를 작동시켜 스위치의 ON/OFF에 관계없이 LED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양측에 윙카호스 커넥터를 구비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윙카호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윙카호스의 빛을 따라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조명 장치{Emergency electric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선박 건조시의 내부 작업이나 터널이나 지하 작업 등과 같이 태양광을 직접 받을 수 없는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비상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LED 램프와 윙카호스를 작동하도록 하고, 전원 공급이 끊어지는 경우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여 LED 램프와 윙카호스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작업 조명을 겸하는 비상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작업시 선체 내부로는 빛이 유입되가 어려우므로 조명장치 없이는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깜깜해 질 수 밖에 없다. 또한 터널이나 지하의 작업장 또한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태양광을 받을 수 없는 현장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조명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장치 외에 전원이 차단될 경우 배터리를 이용하는 자동 작동하는 비상조명 장치를 구비하여 전원 공급이 끊어진 경우에도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조명 장치는 전원공급이 끊어진 경우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용 조명등과 비상용 조명등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은 유지된 채 접촉불량 또는 파손 등의 이유로 조명장치만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조명장치와 비상조명 장치 둘 다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 공급이 끊어진 경우 비상조명 장치는 작동하지만, 일정 범위까지 밖에 밝히지 못하는 비상조명 장치가 선체와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어, 비상조명 장치 사이에 공백범위가 발생하게되어 작업에 어려움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대피해야 하는 경우, 비상조명 장치에서 발생하는 빛 만으로는 복잡한 선체 내부에서 작업자를 빠르게 유도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서, 별도의 윙카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윙카 역시 전원이 차단되면 무용지물이 되므로 작업에 안전상의 문제로 연결되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27255호(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원 공급이 끊어지지 않더라도 스위치를 켜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일반 조명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선체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정전 시 원하는 위치에 조명장치를 부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건조용 비상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케이스의 양측에 윙카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긴급 상황시 작업자를 빠르게 외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건조용 비상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강판으로 이루어진 선체 내부 어느위치든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치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도중에도 LED 램프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장치의 후단에 제어회로를 구비하여, 정전 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릴레이를 작동시켜 스위치의 ON/OFF에 관계없이 LED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의 양측에 윙카호스 커넥터를 구비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윙카호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윙카호스의 빛을 따라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 건조용 비상조명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면서도 스위치를 켜면 배터리의 충전과 동시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비상조명 장치를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선체 내부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나 선체 내부의 조명장치가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비상조명 장치를 선체 내부의 원하는 곳에 부착한 뒤 일반 조명처럼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선박의 건조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건조용 비상조명 장치는 케이스의 양측에 윙카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LED 램프에서 발생하는 빛 외에도 선체 내부를 따라 길게 늘어진 윙카호스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굽어 있는 길목 등의 내부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를 빠르게 외부로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 건조용 비상조명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속이 비어있는 사각박스 형상을 이루고, 전면과 후면이 분할되며 그 일측면의 상·하부에 힌지가 부착되어 내부에 구성요소를 수용한 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1)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지지부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장치(2)를 구비하여 교류전압 220v로 입력되는 전원이 직류전압 12V로 변환되도록 하고, 출력단자의 후단에 비상조명 장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회로(13)를 구성하여 전원공급장치(2)로 부터 출력되는 12V의 직류전압을 제어회로(13)의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회로(13)에는 배터리(3)를 연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배터리(3)를 충전하도록 하고, 전원 공급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배터리(3)에 충전된 전력을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13)에 스위치(4)를 연결하고, 스위치(4)는 선실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하는 LED 램프(5)와 연결하여 스위치(4)의 작동에 의해 LED 램프(5)가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LED 램프(5)는 외부에서 전원이 끊어지지 않고 공급되고 있더라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의 전면에는 비상조명 장치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전원표시등(6), 상태표시등(7), 충전표시등(8) 및 전압경고 스피커(9)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램프들과 스피커는 제어회로(13)와 연결되어 제어회로(13)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알려주는 전원표시등(6)은 전원공급장치(2)로부터 제어회로(13)에 출력이 전달될 경우 점등하도록 구성되고, LED 램프(5)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음을 알려주는 상태표시등(7)은 LED 램프(5)의 '+'와 '-'단자사이에 LED 램프(5)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전압이 걸려있을 경우 점등하도록 구성하며, 배터리(3)가 충전중임을 알려주는 충전표시등(8)은 전원공급장치(2)로 부터 인가된 전원이 배터리(3)를 충전하는 경우 점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전압이 충분하지 못함을 소리로 알려주는 전압경고 스피커(9)는 외부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3)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비상조명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3)에 충전된 전압이 낮아져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전압경고 스피커(9)를 통해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어두운 선체의 내부를 LED를 점등함으로써 밝힐 수 있도록 하는 LED 램프(5)는 케이스(1)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LED 램프(5)를 켜고 끌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4)는 케이스(1)의 한쪽 측면에 설치 된다. 상기 LED 램프(5)는 비상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빛의 방향을 조절하여 선체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도록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하로 구부릴 수 있도록 관절을 형성하여 집중적으로 비추고 싶은 부분을 간편하게 비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LED 램프(5)의 사이에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비상조명 장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1)의 후면에는 자석(12)을 구비하여 강판으로 형성된 선체의 벽면 어디든 작업자가 원하는 곳이면 부착하여 보조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양측으로 윙카호스(1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윙카호스 커넥터(10)를 외부로 돌출하고 있어, 윙카호스 커넥터(10)에 윙카호스(11)를 연결하여 긴급상황 발생 시 선체 내부를 따라 길게 늘어진 윙카호스(11)에서 발생하는 빛을 통해 작업자가 굽어 있는 길목 등의 내부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르게 외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윙카호스(11)는 LED 램프(5)와 동일하게 점등 및 소등 될 수 있록 구성되고, 작업자가 필요한 경우 어느때든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긴급상황 시 작업자를 유도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윙카호스(11)를 선체 내부를 따라 미리 설치한다. 상기 윙카호스(11)는 비상조명 장치와 미리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비상조명 장치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치(4)를 켜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220v의 교류전압이 전원공급장치(2)에 인가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2)는 220v의 교류전압을 12V의 직류전압으로 바꾸어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장치(2)를 통하여 12V의 직류전압이 출력되면 전원공급장치(2)의 후단에 구비된 제어회로(13)는 상기 12V의 직류전압을 전원으로 입력받아 동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회로(13)는 전원공급장치(2)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있으므로 정전 시 전력원으로 사용될 배터리(3)에 전류를 흘려보내 배터리(3)가 충전되도록 하고, 스위치(4)가 켜져있는 상태이므로 케이스(1)의 상부에 양측으로 설치된 LED 램프(5)로 전류를 흘려보내 LED 램프(5)가 점등되도록 한다. 상기 LED 램프(5)는 상·하로 구부릴 수 있도록 관절이 구성되고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케이스(1)의 후면에 구비된 자석(12)을 이용해 선체 내부면에 비상조명 장치를 부착하고 원하는 위치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비상조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제어회로(13)는 전원공급장치(2)로 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것을 감지하여 전원표시등(6)을 점등하고, LED 램프(5)가 도통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감지하여 상태표시등(7)을 소등하며, 배터리(3)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충전표시등(8)을 점등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비상조명 장치의 스위치를 끄면, LED 램프(5)로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LED 램프(5)가 소등된다. 이 때, LED 램프(5)의 양극간 LED 램프(5)를 점등할 수 있는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태표시등(7)이 점등된다.
정전으로 인하여 비상조명 장치로 공급되던 외부전원이 끊어지게 되면 제어회로(13)는 전원공급장치(2)로 부터 공급받던 전원을 배터리(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환하고, 배터리(3)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는 신호를 내부에 구비된 릴레이로 전달해 릴레이의 접촉으로 스위치(4)의 ON/OFF에 관계 없이 LED 램프(5)가 도통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게하여 LED 램프(5)가 점등되어 깜깜한 선체 내부를 밝힐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전원공급장치(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제어회로(13)는 전원표시등(6)을 소등시키고, LED 램프(5)가 동작하고 있으므로 상태표시등(7)을 소등시키며, 배터리(3)는 방전이 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충전표시등(8) 또한 소등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3)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비상조명 장치를 오랜시간 작동하게 되면 배터리(3)의 전압은 점점 떨어지게 되는데, 배터리(3)의 전압이 일정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회로(13)는 전압경고 스피커(9)에 신호를 보내 작업자가 비상조명 장치의 배터리(3)의 잔량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외부로 대피해야 하는 경우, 미리 설치해두었던 윙카호스(11)를 케이스(1)의 양측으로 돌출된 윙카호스 커넥터(10)와 결합하면 윙카호스(11)가 점등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선체 내부의 형상을 따라 설치된 윙카호스(11)에서 발생하는 빛을 따라 빠르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케이스 2 : 전원공급장치
3 : 배터리 4 : 스위치
5 : LED 램프 6 : 전원표시등
7 : 상태표시등 8 : 충전표시등
9 : 전압경고 스피커 10 : 윙카호스 커넥터
11 : 윙카호스 12 : 자석
13 : 제어회로

Claims (2)

  1. 태양광을 직접 받을 수 없는 작업현장에 사용되고, 속이 비어있는 사각박스 형상을 이루고 전면과 후면이 분할되며, 전면과 후면 일측면의 상·하부에 힌지가 부착되어 내부에 구성요소를 수용한 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1)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양측 상부에 좌우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구부릴 수 있는 LED 램프(5)를 설치한 비상조명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장치(2)로부터 제어회로(13)에 출력이 전달될 경우 점등하도록 하여 외부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알려주는 전원표시등(6)과, LED 램프(5)의 '+'와 '-'단자 사이에 LED 램프(5)를 동작시킬 수 있는 충분한 전압이 걸려있을 경우 점등하도록 구성하여 LED 램프(5)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음을 알려주는 상태표시등(7)과, 전원공급장치(2)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배터리(3)를 충전하는 경우 점등하여 배터리(3)가 충전중임을 알려주는 충전표시등(8)과, 외부전원이 차단되어 배터리(3)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비상조명 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3)에 충전된 전압이 낮아져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전압경고 스피커(9)를 통해 전압이 충분하지 못함을 소리로 알려주는 전압경고 스피커(9)를 구성하며,

    케이스(1)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작업장 내부의 강판으로 이루어진 위치에 비상조명장치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이 필요한 위치에 부착하여 효과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회로(13)는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전원이 입력되면, LED 램프(5)를 점등하여 평상시에도 작업등으로 사용하게 하며, 이때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수준 이하이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작과 충전표시등을 점등하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며, LED 램프를 점등 중 전원공급장치를 통한 전원이 차단되면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LED 램프를 점등하도록 하여 외부전원의 차단 여부에 관계없이 LED 램프(5)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작업등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배터리의 전원으로 LED 램프를 점등하는 중에 배터리(3)의 전압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회로(13)는 전압경고 스피커(9)에 신호를 보내 작업자가 비상조명 장치의 배터리(3)의 잔량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케이스(1)의 양측으로 윙카호스 커넥터(10)를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 윙카호스(11)를 결합하여 윙카호스(11)의 빛을 따라 작업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윙카는 LED 램프와 동일하게 제어되어 외부전원의 차단 여부에 관계없이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 장치.
  2. 삭제
KR1020150141953A 2015-10-12 2015-10-12 비상조명 장치 KR10168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53A KR101684903B1 (ko) 2015-10-12 2015-10-12 비상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953A KR101684903B1 (ko) 2015-10-12 2015-10-12 비상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903B1 true KR101684903B1 (ko) 2016-12-09

Family

ID=5757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953A KR101684903B1 (ko) 2015-10-12 2015-10-12 비상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574B1 (ko) 2022-03-16 2023-02-17 (주)엠텍정보기술 조명기구용 비상 작동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028A (ja) * 1989-08-21 1991-04-04 Honshu Paper Co Ltd マルチング用ボード
JPH0635377B2 (ja) * 1984-07-30 1994-05-11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内組成物
KR20130034406A (ko) * 2011-09-28 2013-04-05 염선주 태양전지 충전식 휴대용 엘이디 랜턴
KR101327255B1 (ko) 2012-01-30 2013-11-08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KR20140053066A (ko) * 2014-03-28 2014-05-07 박재성 탈부착이 가능한 감지 기능을 가진 자동 점멸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377B2 (ja) * 1984-07-30 1994-05-11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内組成物
JPH0380028A (ja) * 1989-08-21 1991-04-04 Honshu Paper Co Ltd マルチング用ボード
KR20130034406A (ko) * 2011-09-28 2013-04-05 염선주 태양전지 충전식 휴대용 엘이디 랜턴
KR101327255B1 (ko) 2012-01-30 2013-11-08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KR20140053066A (ko) * 2014-03-28 2014-05-07 박재성 탈부착이 가능한 감지 기능을 가진 자동 점멸 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574B1 (ko) 2022-03-16 2023-02-17 (주)엠텍정보기술 조명기구용 비상 작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623B2 (en) Multiple beam light source
JP6132011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20090026959A1 (en) Non-contact light emitting display for vehicle
WO2013027108A1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motor vehicles
JP2014128042A (ja) 車両
KR101684903B1 (ko) 비상조명 장치
JP6631918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9027058A (ja) 表示装置
WO2014162882A1 (ja) 車両用電源装置
JP6245640B2 (ja) 信号制御機および手動操作ユニット
TWI486272B (zh) 電動車輛用充電裝置
KR200432784Y1 (ko) Led램프를 겸비한 휴대용 제논 탐조등
CN204748537U (zh) 一种具有照明和警示功能的太阳能汽车安全锤
CN202145575U (zh) 应急照明充电座
CN209500054U (zh) 自动变光焊接面罩
KR101708766B1 (ko) 휴대용 램프 겸용 비상등
KR20140003164U (ko) 탈부착식 중장비차량의 실내조명등
CN109745173A (zh) 自动变光焊接面罩
CN104875160A (zh) 操作工具
JP6342656B2 (ja) 外部給電ユニットおよび信号制御機
RU2133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поджига термитной смеси
CN211880675U (zh) 一种激光切割机备用应急照明电路
KR101292471B1 (ko) 차량의 플래시 겸용 룸램프 장치
JP2006012440A (ja) 非常用照明装置
JP2022082942A (ja) 電波センサ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