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45B1 - 비상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45B1
KR101053645B1 KR1020090081901A KR20090081901A KR101053645B1 KR 101053645 B1 KR101053645 B1 KR 101053645B1 KR 1020090081901 A KR1020090081901 A KR 1020090081901A KR 20090081901 A KR20090081901 A KR 20090081901A KR 101053645 B1 KR101053645 B1 KR 10105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ower
emergency induction
induction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049A (ko
Inventor
이욱우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이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이욱우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09008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이나 지하철 등과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어 화재나 정전시 인명 대피를 위해서 설치되는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말단에 삽입턱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전계발광체의 표시부가 구비된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상기 비상유도부의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직렬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와 이중화 구성으로 연결되어 인가된 전원을 자체 충전하거나, 인가된 전원을 비상유도부로 공급하여 전계발광체를 구동하거나, 화재, 단전 등의 비상상태시 충전된 전원으로 연결된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표시하도록 비상유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유도장치{The apparatus of an emergency guidance}
본 발명은 건물이나 지하철 등과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어 화재나 정전시 인명 대피를 위해서 설치되는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된 비상유도선간 인가되는 AC 전원을 통해 해당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컨트롤장치를 각각 구성하고, 열감지, 연기감지, 경고음 등의 비상상태 발생시 AC 전원이 없이 자체에 충전된 축전지를 통해 비상유도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메인 전원차단시에도 유도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비상유도선 설치시 굴곡, 절곡 또는 모서리 부분을 손쉽게 연결 및 체결할 수 있는 비상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고층건물의 지하, 백화점의 주차장 등과 같이 외부와 광원이 차폐되고 사람들의 왕래가 매우 빈번한 곳에서 화재나 정전이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은 시야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외부로 신속하게 탈출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여 대형 참사가 일어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각종 인화성 소재가 연소되면서 많은 유독 가스와 연기를 발생시킨다. 더욱이 화재가 발생되면 정전이 되어 모든 전등기구들이 거의 대부분 차폐되기 때문에 바로 인접된 물체도 식별하기 힘든 상황에 놓여지게 된다. 이렇듯 위급한 상황에서 어떠한 유도 장치도 없이 탈출구를 찾아 밖으로 무사히 탈출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이 때문에 화재나 정전시 위험 지역에 고립된 사람들의 탈출을 유도하기 위한 여러가지 유도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현재 가장 일반화된 유도 장치는 회로기판, 축전지, 안정기 및 형광등이 내장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전면에 위치되는 커버와, 커버에 부착되는 표시판으로 이루어진 유도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광원으로 사용되는 형광등은 수명이 짧고 소비 전력이 높으면서 밝기가 높기 때문에 좁은시각 내에 가시광선으로 인한 선명도가 떨어지는 단점으로 인해 최근 들어 유도등의 표시판을 EL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유도등은 구조적인 특성상 탈출구까지 연속해서 설치되지 못하고 항상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위급 상황에서 효과적인 유도 기능을 수행하기란 매우 어려우며, 설치된 유도등 역시 대부분 탈출구 쪽에만 편중되어 있어 위급 상황시 실질적인 유도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에 매우 곤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도등은 전체로서 발광되지 않고 EL로 형성된 일부 표시부만이 발광되기 때문에 시인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EL 표시부는 거의 대부분이 유도등 밖으로 노출되어 있거나 열에 취약한 커버에 바로 부착되어 있어 발광도 되기 전에 화재에 의해 타거나 녹기 쉬워 유도 기능을 수행하기도 전에 작동이 되지 않는 상황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제안된 대부분의 유도장치로는 위급 상황시 유도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ㄷ"자형으로 절곡하여 그 절곡부 말단으로 삽입턱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1)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표시부(3)가 인쇄된 EL(2)을 부착하고, 표시부(3)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형이나 문자로 표시하고 도 2와 같이 인명 대피용 유도선으로 사용함으로 이 부분이 EL(2)에서 발광되는 빛을 차폐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음영을 형성하여 방향 표시부(화살표)로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은 "ㄷ" 형태로 절곡되어 평면의 부분에 구성은 용이하나 굴곡되거나, 모서리 부분의 연결시 해당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 제약이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은 EL(2)을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상유도선의 설치 및 사용상의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통상적으로 지하철, 공공건물은 화재 또는 비상시 인명의 보호를 위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유도선을 설치 사용하고 있는데, 비상유도선이 설치된 대부분의 장소는 도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를 통해 인가전원이 유입되면 비상유도선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비상유도선을 구동하는데 이때, 컨트롤박스를 통해 비상유도선을 제어하도록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긴급상황시 해당 컨트롤박스 고장 또는 망실시 비상유도선에 전원이 공급에 제약이 있어 원할한 비상유도선의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도 1 내지 도 2의 문제점과 같이 굴곡, 절곡 또는 모서리 부분의 연결시 설치상의 제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된 비상유도선간 인가되는 AC 전원을 통해 해당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컨트롤장치를 각각 구성하고, 열감지, 연기감지, 경고음 등의 비상상태 발생시 AC 전원이 없이 자체에 충전된 축전지를 통해 비상유도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원할한 비상유도선의 유도기능을 제공하는 비상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비상유도선 설치시 비상유도선과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성하여 굴곡, 절곡 또는 모서리 부분의 손쉬운 연결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비상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하철, 건물지하, 공공건물,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 발생시,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말단에 삽입턱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전계발광체의 표시부가 구비된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상기 비상유도부의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직렬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와 이중 화 구성으로 연결되어 인가된 전원을 자체 충전하거나, 인가된 전원을 비상유도부로 공급하여 전계발광체를 구동하거나, 화재, 단전 등의 비상상태시 충전된 전원으로 연결된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표시하도록 비상유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상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비상유도부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충전, 긴급상황 감지, 긴급상황에 따른 경고음 송출, 비상유도부의 조도를 조절, 비상유도부에 인가되는 전류량 조절 등 상기 컨트롤박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열, 연기, 긴급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유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AC 전원을 DC로, DC 전원을 AC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긴급상황 등의 비상상태시 자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의 충전절차에 따라 자체 전원 충전을 위해 해당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센서부의 열, 연기, 긴급상황 감지신호에 따라 외부로 벨, 안내방송 등의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부와, 상기 비상유도부의 전계발광체의 발광정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환경에 따라 전계발광체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도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도변환부의 전계발광체의 밝기 조절신호에 따라 해당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전원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연기량, 온도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정상상태이며 ON으로 동작하여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비정상 상태로 감지되면 OFF의 기능으로 동작하여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계발광체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상유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그 내부에 전계발광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체결홈을 통해 타 메인프레임과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원형, 좌우측 굴곡형, 모서리형, 절곡형으로 구성된 체결부을 더 포함형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계발광체의 2개의 연결핀과 삽입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연결핀과 체결될 때 도통될 수 있도록 원형의 나선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연결핀과 각각 체결되는 제 1 동선부와, 상기 제 1 동선부가 안착되는 요부홈이 형성되고, 요부홈과 연장되고 일측에 상기 연결핀이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ㄷ"자형 절곡부위와 체결구조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타 단부에서 상기 타 메인프레임의 전계발광체의 연결핀과 체결될 때 도통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된 제 2 동선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체결될 때 양끝을 고정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원형, 좌측 굴곡형, 우측 굴곡형, 모서리형, 절곡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유도장치는 설치된 비상유도선간 인가되는 AC 전원을 통해 해당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컨트롤장치를 각각 구성하고, 열감지, 연기감지, 경고음 등의 비상상태 발생시 AC 전원이 없이 자체에 충전된 축전지를 통해 비상유도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메인 전원차단시에도 원할한 비상유도선의 유도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유도선 설치시 비상유도선과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물을 구성하여 굴곡, 절곡 또는 모서리 부분의 손쉽게 연결 및 체결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유도장치는 AC 전원 또는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긴급상황시 비상유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고, 또한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비상유도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컨트롤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메인프레임과 전계발광체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메인프레임 연결을 위한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체결부 세부구조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원형, 좌우측 굴곡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AC 전원 인가시 구동 및 동작의 흐름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DC 전원 인가시 구동 및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를 연장 체결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종단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절곡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고,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모서리형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의 구성에서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유도장치의 구성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은 지하철, 건물지하, 공공건물, 터널 등의 시설물에서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등의 재난 발생시,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유도선의 발광체에 공급되는 AC 전원을 전원을 자체 충전하여, 열감지, 연기감지, 경고음 등의 비상상태 발생시 AC 전원이 없이 자체에 충전된 축전지를 통해 비상유도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비상유도선 설치시 비상유도선과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굴곡, 절곡 또는 모서리 부분의 손쉬운 체결구조를 가지고 있다.
참조번호 10은 비상유도부를 나타내는데, 이는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말단에 삽입턱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전계발광체의 표시부가 구비된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상기 비상유도부의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와,
30은 컨트롤박스로서, 상기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직렬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와 이중화 구성으로 연결되어 인가된 전원을 자체 충전하거나, 인가된 전원을 비상유도부로 공급하여 전계발광체를 구동하거나, 화재, 단전 등의 비상상태시 충전된 전원으로 연결된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표시하도록 비상유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장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30)의 세부구성 및 그 기능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31은 제어부를 나타내는데, 이는 상기 비상유도부(10)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충전, 긴급상황 감지, 긴급상황에 따른 경 고음 송출, 비상유도부의 조도를 조절, 비상유도부에 인가되는 전류량 조절 등 상기 컨트롤박스(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32는 본 발명의 비상유도장치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열감지, 연기감지, 긴급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나타낸다.
한편, 참조번호 33은 인버터로서,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유도부(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AC 전원을 DC로, DC 전원을 AC로 변환하며, 34는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유도장치(10) 외부에서 발생하는 화재, 긴급상황 등의 비상상태시 자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기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35는 축전지를 나타내는데, 이는 비상사태 발생시 자체 전원으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충전기(34)의 충전절차에 따라 자체 전원 충전을 위해 해당 전원을 저장하게 되며, 36은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32)에서 감지한 외부환경의 열, 연기, 긴급상황 신호에 따라 외부로 벨, 안내방송 등으로 경고음을 송출하는 경고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37은 조도변환부로서 외부의 빛 또는 조도 환경에 따라 해당 비상유도부(10)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비상유도부(10)의 전계발광체(12)의 발광정도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환경에 따라 전계발광체(12)의 밝기를 조절하며, 38은 상기 비상유도부(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조도변환부(37)의 전계발광체(12)의 밝기 조절신호에 따라 해당 인가되는 전원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전원조 절부를 나타낸다.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유도부(10)의 구성 및 기능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11은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데, 이는 전계발광체(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형태는 통상의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는 상부 및 하부가 걸림턱에 의해 삽입 체결되고 상부 및 하부의 일정 공간에 상기 전계발광체(12)가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계발광체(12)의 일측은 타 측의 비상유도부(10)과 체결시 도통될 수 있도록 2개의 연결핀(1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계발광체(12)가 삽입된 메인프레임(11)을 타 메인프레임(11)과 연결하기 위해 체결부(도면부호 미도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을 각각 연결할 때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체결홈을 통해 타 메인프레임과 각각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는 비상유도부의 구성에 따라 원형, 좌우측 굴곡형, 모서리형, 절곡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의 구성은 첨부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계발광체(12)의 2개의 연결핀(13)과 삽입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연결핀(13)과 체결될 때 도통될 수 있도록 원형의 나선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연결핀과 각각 체결되는 제 1 동선부(14)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동선부(14)가 안착되는 요 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부홈과 연장되고 일측에 상기 연결핀(13)이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ㄷ"자형 절곡부위와 체결구조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15)과, 상기 하부 하우징(15)과 체결되는 상부 하우징(16)이 있는데, 이는 타 단부에서 상기 타 메인프레임(11)의 전계발광체(12)의 연결핀(13)과 체결될 때 도통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된 제 2 동선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5) 및 하부 하우징(16)이 결합될 때 상부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양끝을 커버부(17)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상기의 비상유도부(10)의 구성과 같이 첨부된 도 9에서 원형, 좌측 굴곡형, 우측 굴곡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박스(10), 비상유도부(10)의 세부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상유도장치의 구동 및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비상유도장치는 AC 상용 전원 및 DC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하다. 먼저,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AC 전원 인가시 구동 및 동작의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전원부(20)를 통해 AC 전원이 공급되는데(S10 단계참조), 이때, 상기 다수개의 컨트롤 박스(30)는 상기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해 인가된 전원은 상기 인버터(33)을 통해 DC 전류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32)에서 외부의 열, 연기 또는 비정상적인 상태 감지절차를 진행하 게 된다.(S20 단계참조) 상기 센서부의 감지절차 즉, 설정된 연기량, 온도 및 환경상태에 따라 ON/OFF 기능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부(32)의 감지신호가 정상상태로 인지되면, 상기 인버터(33)는 ON의 기능으로 구동되어(S30 단계참조)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33)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비상유도부(40)의 전계발광체(12)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하게 된다.(S40 단계참조)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센서부(32)의 감지신호가 정상상태이면,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기(34)를 통해 상기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게 되고,(S50 단계참조) 충전된 전원은 상기 축전지(35)에 저장되게 된다.(S60 단계참조)
한편, 상기 센서부(32)의 감지신호가 비정상상태로 인지되면 상기 센서부(32)는 OFF의 기능으로 작동되어 상기 전원부(20)의 전원을 차단하고 해당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부(31)로 전송하여 상기 경고부(36)을 통해 벨, 안내방송 등의 경고음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축전지(35)에 저장된 전원은 비정상상태시 상기 비상유도부(10)로 인가되는 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축전부(35)에 저장된 DC 전류는 상기 인버터(33)로 유도되고 상기 인버터(33)는 DC 전류를 공급받고 다시 AC 전류로 변환되어 상기 비상유도부(40)의 전계발광체(12)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하게 된다.(S40 단계참조)
즉, 상기의 과정중 비정상상태시(S70 단계참조) 경고음을 송출하고 상기 축 전지(35)에 저장된 전원은 다시 상기 인버터(33)로 전송되고 전송된 전원은 비상유도부(10)의 전계발광체(12)를 통해 발광되어 비상 유도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33)을 통해 정상/비정상상태에 따라 공급된 전원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도변환부(37)에서 조도를 변환하여 상기 전계발광체(12)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DC 전원 인가시 구동 및 동작의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AC 상용전원을 이용한 상태와 유사하며, 본 발명이 AC 상용전원 및 DC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전원부(20)를 통해 DC 전원이 공급되는데(S110 단계참조), 이때, 상기 다수개의 컨트롤 박스(30)는 상기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해 인가된 전원은 상기 인버터(33)을 통해 AC 전류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부(32)에서 외부의 열, 연기 또는 비정상적인 상태 감지절차를 진행하게 된다.(S120 단계참조) 상기 센서부의 감지절차 즉, 설정된 연기량, 온도 및 환경상태에 따라 ON/OFF 기능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부(32)의 감지신호가 정상상태로 인지되면, 상기 인버터(33)는 ON의 기능으로 구동되어(S130 단계참조)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버터(33)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비상유도부(40)의 전계발광체(12)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하게 된다.(S140 단계참조)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센서부(32)의 감지신호가 정상상태이면,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기(34)를 통해 상기 전원부(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하게 되고,(S150 단계참조) 충전된 전원은 상기 축전지(35)에 저장되게 된다.(S160 단계참조)
한편, 상기 센서부(32)의 감지신호가 비정상상태로 인지되면 상기 센서부(32)는 OFF의 기능으로 작동되어 상기 전원부(20)의 전원을 차단하고 해당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부(31)로 전송하여 상기 경고부(36)을 통해 벨, 안내방송 등의 경고음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축전지(35)에 저장된 전원은 비정상상태시 상기 비상유도부(10)로 인가되는 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축전부(35)에 저장된 AC 전류는 상기 인버터(33)로 유도되고 상기 인버터(33)는 AC 전류를 공급받고 다시 DC 전류로 변환되어 상기 비상유도부(40)의 전계발광체(12)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하게 된다.(S140 단계참조)
즉, 상기의 과정중 비정상상태시(S170 단계참조) 경고음을 송출하고 상기 축전지(35)에 저장된 전원은 다시 상기 인버터(33)로 전송되고 전송된 전원은 비상유도부(10)의 전계발광체(12)를 통해 발광되어 비상 유도를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33)을 통해 정상/비정상상태에 따라 공급된 전원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도변환부(37)에서 조도를 변환하여 상기 전계발광체(12)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의 구성 및 동작에 따라 전원부의 불필요한 보조수신기를 삭제하고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는 비상유도부를 적절한 길이를 선택하고 개별적으로 동작하게 하여서 일부분이 소실되었을 때도 남은 부분들이 지속적으로 비상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특징과 같이 종래의 보조수신기 내에 모든 것이 설치되어 어느 한 부부만 소실되어도 전체가 소실됨으로 비상유도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전계발광체가 포함된 비상유도부를 사용자의 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과 같이 메인프레임과 타 메인프레임을 연장하기 위해 사각형 형태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각각 연장할 수 있는데, 체결부의 일측은 전계발광체가 삽입된 메인프레임과 타측의 메인프레임이 체결부를 통해 삽입될 때 전계발광체의 2개의 연결핀(13)을 통해 각각 도통되도록 체결부를 구성함으로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의 구성은 원형의 구성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으며, 상.하부 하우징은 커버부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도 12의 메인프레임과 타측의 메인프레임의 체결부는 비상유도부(10)의 연장 및 일측의 메인프레임(11)의 고온, 화재 등의 이상 발생시 타측의 메인프레임(11)에 해당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절연물로 구성할 수 있어 절연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13은 비상유도부의 종단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비상유도부(10)의 종단의 전선이 상기 컨트롤 박스(30)의 타 단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2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구동,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종단부의 체결상태도는 당업자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면에서 제시된 비상유도를 도시한 상태를 삭제하고 메인프레임(11)에 전계발광체(12)을 삽입하여 일정 길이를 조절하여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출구 등을 도시한 사진 또는 이미지는 상기 메인프레임(11) 내의 전계발광체(12) 상면에 위치하는데 이를 다른 이미지 또는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당업자가 원하는 조명으로 활용함으로 본 발명의 AC 전원 및 DC 전원의 구성과 비상상태에 따른 전원 구성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비상유도부(10)가 절곡부 및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구성을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되었는데, 기존의 절곡부 및 모서리 형태의 비상유도장치의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조와 같이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비상유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설치예
도 3은 종래의 비상유도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비상유도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컨트롤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메인프레임과 전계발광체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메인프레임 연결을 위한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체결부 세부구조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원형, 좌우측 굴곡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를 연장 체결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AC 전원 인가시 구동 및 동작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장치의 DC 전원 인가시 구동 및 동작의 흐 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종단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절곡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유도부의 모서리형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상유도부
11 : 메인프레임 12 : 전계발광체
13 : 전계발광체 연결핀 14 : 동선부
15 : 하부 하우징 16 : 상부 하우징
17 : 커버부 20 : 전원부
30 : 컨트롤박스
31 : 제어부 32 : 센서부
33 : 인버터 34 : 충전기
35 : 축전지 36 : 경고부
37 : 조도변환부 38 : 전원조절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하철, 건물지하, 공공건물,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 발생시,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말단에 삽입턱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전계발광체의 표시부가 구비된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상기 비상유도부의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비상유도를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다수개의 비상유도부와 직렬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와 병렬구조의 이중화 구성으로 인가된 전원을 자체 충전하거나, 인가된 전원을 비상유도부로 공급하여 전계발광체를 구동하거나, 화재, 단전 등의 비상상태시 충전된 전원으로 연결된 전계발광체를 구동하여 표시하도록 비상유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비상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유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그 내부에 전계발광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체결홈을 통해 타 메인프레임과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원형, 좌우측 굴곡형, 모서리형, 절곡형으로 구성된 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계발광체의 2개의 연결핀과 삽입구조를 가지며,
    일단이 상기 연결핀과 체결될 때 도통될 수 있도록 원형의 나선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연결핀과 각각 체결되는 제 1 동선부와,
    상기 동선부가 안착되는 요부홈이 형성되고, 요부홈과 연장되고 일측에 상기 연결핀이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ㄷ"자형 절곡부위와 체결구조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타 단부에서 상기 타 메인프레임의 전계발광체의 연결핀과 체결될 때 도통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된 제 2 동선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체결될 때 양끝을 고정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장치.
  6. 삭제
KR1020090081901A 2009-09-01 2009-09-01 비상유도장치 KR10105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901A KR101053645B1 (ko) 2009-09-01 2009-09-01 비상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901A KR101053645B1 (ko) 2009-09-01 2009-09-01 비상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049A KR20110024049A (ko) 2011-03-09
KR101053645B1 true KR101053645B1 (ko) 2011-08-03

Family

ID=4393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901A KR101053645B1 (ko) 2009-09-01 2009-09-01 비상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363B1 (ko) 2023-05-17 2023-09-14 주식회사 경안이엔지 전원공급장치의 2중화와 전원공급장치의 고장감지기능을 가진 스마트형 터널 유도등
KR102592526B1 (ko) 2023-06-13 2023-10-23 주식회사 경안이엔지 전원공급장치의 2중화와 전원공급장치의 고장감지기능을 가진 스마트형 터널 유도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30Y1 (ko) * 2006-06-09 2006-09-12 엄현덕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KR20080018578A (ko) * 2006-08-25 2008-02-28 디씨엑스(주) 다기능 비상 대피 유도용 라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30Y1 (ko) * 2006-06-09 2006-09-12 엄현덕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KR20080018578A (ko) * 2006-08-25 2008-02-28 디씨엑스(주) 다기능 비상 대피 유도용 라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363B1 (ko) 2023-05-17 2023-09-14 주식회사 경안이엔지 전원공급장치의 2중화와 전원공급장치의 고장감지기능을 가진 스마트형 터널 유도등
KR102592526B1 (ko) 2023-06-13 2023-10-23 주식회사 경안이엔지 전원공급장치의 2중화와 전원공급장치의 고장감지기능을 가진 스마트형 터널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049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3584B2 (en) Electrical outlet cover plate with signage feature
JP5330705B2 (ja) 非常用照明装置
US99908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gress and monitoring system
US20120124873A1 (en) Emergency-light indicator
EP4215809A1 (en) Lamp assembly, lamp system, method for assembling lamp system,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lamp system
KR101327255B1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엘이디비상조명장치
KR101053645B1 (ko) 비상유도장치
JP5124088B2 (ja) 非常用照明器具および防災用照明器具自動点検システム
JP4683214B2 (ja) 誘導灯装置
TW201441987A (zh) 智慧型消防方向指引裝置
KR100817919B1 (ko) 가변유도등 및 가변유도등 제어시스템
KR20080001355U (ko) 비상 대피 안내 광고판
JP2007250267A (ja) 誘導灯器具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JP5647866B2 (ja) トンネル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0690402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KR20120124888A (ko) 비상유도기능을 가진 방향표시판
KR20050005146A (ko) 공공 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
KR200329453Y1 (ko) 공공 시설물 화재 탈출 유도장치
KR100406842B1 (ko)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KR200432455Y1 (ko)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KR100739873B1 (ko)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KR102362292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0340696Y1 (ko) 비상 유도등 장치
KR100690403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