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842B1 -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 Google Patents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842B1
KR100406842B1 KR10-2001-0016092A KR20010016092A KR100406842B1 KR 100406842 B1 KR100406842 B1 KR 100406842B1 KR 20010016092 A KR20010016092 A KR 20010016092A KR 100406842 B1 KR100406842 B1 KR 10040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mergency exit
fire
lamp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440A (ko
Inventor
김영철
김여진
Original Assignee
김여진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진,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여진
Priority to KR10-2001-001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8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재발생시에 연기 또는 화염에 의하여 방향 및 위치감각을 상실할 때 화재가 발생된 건물실내의 바닥면 또는 측벽면에 설치되어서 비상구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지시함으로서, 화재현장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구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은, 상부표면의 중앙부에 반투명재질의 방향지시용 화살표(102)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케이스(101)와, 케이스(101) 측면에 부착되는 단자부(103)를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105)와, 정류부(105)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의 단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검출부(106)와, 램프(109)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08)가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방전방지부(107)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10)와, 가스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감지부(111)와, 상기 정전검출부(106), 상기 온도감지부(110), 또는 가스감지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램프(109)를 점등시키는 제어부(10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A light indicating direction of an emergency exit, possible to assemble with tile type}
본 발명은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재발생시에 연기 또는 화염에 의하여 방향 및 위치감각을 상실할 때 화재가 발생된 건물실내의 바닥면 또는 측벽면에 설치되어서 비상구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지시함으로서 화재현장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구조에 도움이 되는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지하, 또는 지상층을 불문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를 위한 비상구가 고층건물마다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비상구는 계단을 통하여 실외로 이동하도록 건물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데, 화재발생시에 비상구 또는 출입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다가 질식하여 사망하고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건물의 지하에 주로 위치하는 유흥업소나 섬유가공위주의 가내수공업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비상구의 위치를 찾지 못하게 되어서 질식 사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비상구 또는 출입문에는 정전이나 화재를 대비하여 상용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자체 전원(축전지)를 이용한 비상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종래 사용되는 비상등(1)은 도 1에서와 같이 박스형태의 케이스를 가지며, 케이스의 전면에 비상구문자(exit)가 인쇄된 백색의 아크릴판이 고정되고 이의 후방에 조명램프(미도시됨)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조명램프는 별도 전원(비상전원)을 이용하여 24시간 운용함으로서 주, 야간으로 사람의 시야에 출입구를 인식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구 표시수단은 그 표시의 조명수단이 미약해서 건물 화재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에 가려질 경우에는 사람의 시야에 인식되지 못하거나, 인식정도가 시야집중에 의해 간신히 볼 수 있는 정도 이어서 화재와 같은 긴박한상황에 몰린 상태에서 대피자에게 연기에 의해 가려진 비상구 표시수단을 쉽게 인식시키질 못하여 결국 이성판단이 흐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충분히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출입구를 찾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특히 비상등의 설치위치가 비상구의 상부측에 설치됨에 따라서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인식이 어려웠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에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에 의하여 인명피해를 가져오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상등의 형태를 변경하고, 램프도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시킨 형태로서 할로겐램프등을 이용하여 제조하지만, 근본적으로 화재시에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비상등이 차단되어서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전혀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발생시에 연기 또는 화염에 의하여 방향감각을 상실할 때 바닥면에 설치되어서 비상구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서 화재현장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은, 상부표면의 중앙부에 반투명재질의 방향지시용 화살표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측면에 부착되는 단자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의 단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검출부와,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가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방전방지부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와, 가스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감지부와, 상기 정전검출부, 상기 온도감지부, 또는 가스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비상등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선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향지시등의 블록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향지시등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향지시등이 타일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비상등 10: 비상구 방향지시등
101: 케이스 102: (방향지시부용) 화살표
103: 단자부 104: 제어부
105: 정류부 106: 정전검출부
107: 과방전방지부 108: 축전지
108a: 온/오프스위치부 109: 램프
110: 온도감지부 111: 가스감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케이스(100)를 가지며 표면에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화살표(102)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살표(102) 부분은 비상구의 위치를 가리키기 위한 방향지시용으로서, 케이스(100) 전체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하고 화살표(102) 부분만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조한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램프(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시에 발생되는 단전, 화염, 및 가스의 존재상태유무를 제어부(미도시됨)에서 감지하고 소정조건에 의하여 램프가 온되면 화살표(102) 부분이 밝게 빛나게 되며, 이에 따라서 방향지시가 가능해진다. 물론 화살표(102)부분이 비상구가 위치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미리 위치시켜야 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한 쌍의 단자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103)는 본 발명의 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들이다. 단자부(103)를 통하여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은 자체적으로 정류장치를 내장하고 있어서 축전지를 충전시키며 또한 단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정류장치 대신에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효율면에서 약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케이스(100)는 또한 사각형의 타일형태를 가지는데, 이것은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을 다수 개 직렬연결함으로서 연속적으로 방향을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단자부(103)들은 연결용바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어서 연결된 모든 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 전원이 공급된다.
도 6에는 다수개가 직렬 연결되어서 동일방향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을 연결함으로서 방향지시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피시에 화살표방향을 따라감으로서 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각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은 자체적으로 축전지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된 다수의 비상구 방향지시등(10)중 하나의 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나머지 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 의하여 방향지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피가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직렬연결된 비상구 방향지시등(10)들은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이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식이 가능하다. 그러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화재발생시에 생성되는 연기에 의하여 비상구 방향지시등(10)들이 차단되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함은 명백하다.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은 비록 다수 개가 연결되어서 일련의 방향을 지시하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하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서 동일방향을 가리키는 비상구 방향지시등(10)중의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나머지 비상구 방향지시등(10)들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서 방향지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가 후에 설명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은, 케이스(101)의 내부에 단자부(103)와 램프(109) 및 PCB(100a)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PCB(100a)에는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회로의 블록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램프(109)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상태가 되며, 케이스(101)의 투명 또는 반투명상태인 화살표(102) 부분을 통하여 빛이 방출되어서 화살표(102) 부분만이 사람들에 의하여 인식이 된다.
상기 단자부(103)는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는 통로로서, PCB(100a)에 내장된 정류부(회로)를 통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또한 정전검출부(106)에 연결되어서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서 정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단자부(10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01)의 전면과 후면 양측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비상구 방향지시등(10)들을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직렬결합시키는 경우에 상응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로서, 연결용바(103a)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연결용바(103a)를 이용한 연결구조로 인하여 상용교류전원이 상호 연결되는 모든 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 공급된다. 즉 연결용바(103a)를 매개로 하여 2개의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을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상구 방향지시등의 블록회로도로서, 단자부(103)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105)와, 단자부(103)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정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검출부(106)와, 램프(109)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08)가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방전방지부(107)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10)와, 가스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감지부(111)와, 상기 정전검출부(106), 상기 온도감지부(110), 또는 가스감지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램프(109)를 점등시키는 제어부(1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정류부(105)는 단자부(103)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소정전압으로 강하한 후에 정류기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출력된 직류는 축전지(108)를 충전시킨다.
또한 상기 정전검출부(106)는 상용교류전원의 단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다가 화재등으로 인하여 단전상태가 되면 이것을검출하여 제어부(104)로 정전상태발생을 통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과방전방지부(107)는 정류부(105)에 의하여 공급되는 직류전압에 의하여 충전된 축전지(108)가 과방전되는 것을 감지하고 재충전을 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04)는 본 발명의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전검출부(106)로부터 정전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축전지(108)에 연결되어 있는 온/오프스위치부(108a)를 작동시켜서 램프(109)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램프(109)가 발광하고 이에 따라서 케이스(101)의 화살표(102)가 빛을 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정전뿐만 아니라, 온도감지부(110)와 가스감지부(111)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정전에 의한 사고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의 주변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초과하면 화재발생으로 인식하여 역시 램프(109)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스감지부(111)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시에 생성되는 유독가스를 검출하고, 화재발생 또는 비상사태발생으로 인식하여 램프(109)를 작동시킨다. 상기 온도감지부(110)와 가스감지부(111)는 케이스(101)의 상부표면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전선을 이용하여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외부의 설치시에는 화염발생요인이 많은 주방, 복도의 천정 또는 벽면에 부착시키고 전선을 통하여 비상구 방향지시등(10)에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의 작동상태를 도 5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상구 방향지시등(10)이 단독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직렬연결된 상태로 건물의 실내(지하, 지상층 모두에 적용됨)의 바닥 또는 벽면에 타일식으로 설치되고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04)에서는 정전검출부(106)로부터 상용교류전원의 단전상태를 검출한다. 정전검출부(106)는 단자부(103)를 통하여 상용교류전압의 입력을 감지하고 있다가 전압이 차단되면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발생방식 또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식등 다양한 방식의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또한 온도감지부(110)와 가스감지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온도감지부(110) 또는 가스검지부(111)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는 제어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신호의 크기와 비교된 후에 램프(109)의 작동여부가 결정된다.
검출결과 화재 또는 비상상태의 발생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4)는 축전지(108)의 충전상태를 검출한다. 축전지(108)의 검출상태는 화재 또는 비상사태 발생시에 축전지(108)의 사용가능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과방전방지부(107)에 의하여 축전지(108)에 자동적으로 충전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발생시에 연기 또는 화염에 의하여 방향감각을 상실할 때 바닥면 또는 측벽면에 설치되어서 비상구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화재현장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구조에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화재등의 비상발생시 비상구를 표시하기 위한 비상등에 있어서,
    상부표면의 중앙부에 반투명재질의 방향지시용 화살표(102)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케이스(101)와, 케이스(101) 측면에 부착되는 단자부(103)를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105)와, 정류부(105)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의 단전상태를 검출하는 정전검출부(106)와, 램프(109)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08)가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방전방지부(107)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10)와, 가스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감지부(111)와, 상기 정전검출부(106), 상기 온도감지부(110), 또는 가스감지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램프(109)를 점등시키는 제어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KR10-2001-0016092A 2001-03-22 2001-03-22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KR10040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092A KR100406842B1 (ko) 2001-03-22 2001-03-22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092A KR100406842B1 (ko) 2001-03-22 2001-03-22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440A KR20010069440A (ko) 2001-07-25
KR100406842B1 true KR100406842B1 (ko) 2003-11-21

Family

ID=1970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092A KR100406842B1 (ko) 2001-03-22 2001-03-22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97B1 (ko) * 2014-09-30 2016-09-22 (주)아톰포토 비상 대피로 안내 시스템 및 엘이디 점자 블록
KR200488327Y1 (ko) * 2018-03-27 2019-01-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화재 대피 유도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928A (en) * 1986-09-02 1989-01-31 Chloride Group Plc Egress direction indication system
JPH04309198A (ja) * 1991-04-08 1992-10-30 Sanyo Electric Co Ltd 非常用誘導灯
JPH05151479A (ja) * 1991-11-27 1993-06-18 Hitachi Cable Ltd 火災検知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JPH1060841A (ja) * 1996-08-23 1998-03-03 Sujiyaku:Kk 非常誘導装置
US5775016A (en) * 1995-07-03 1998-07-07 Chien; Tseng-Lu Illuminated safety guide
KR200206904Y1 (ko) * 2000-07-29 2000-12-15 아시안파츠주식회사 비상구등의 방향지시 유도장치
KR100321215B1 (ko) * 2000-03-07 2002-03-18 손재설 비상구 안내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928A (en) * 1986-09-02 1989-01-31 Chloride Group Plc Egress direction indication system
JPH04309198A (ja) * 1991-04-08 1992-10-30 Sanyo Electric Co Ltd 非常用誘導灯
JPH05151479A (ja) * 1991-11-27 1993-06-18 Hitachi Cable Ltd 火災検知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US5775016A (en) * 1995-07-03 1998-07-07 Chien; Tseng-Lu Illuminated safety guide
JPH1060841A (ja) * 1996-08-23 1998-03-03 Sujiyaku:Kk 非常誘導装置
KR100321215B1 (ko) * 2000-03-07 2002-03-18 손재설 비상구 안내용 표시장치
KR200206904Y1 (ko) * 2000-07-29 2000-12-15 아시안파츠주식회사 비상구등의 방향지시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440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KR101812293B1 (ko) 형광등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점소등 모드 전환 방법
KR100527369B1 (ko)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US20100013658A1 (en) Dynamic emergency escape indicator
KR100782417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내등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JP4817812B2 (ja) 開閉体装置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20160096303A (ko) 소방용 비상 경보 및 조명장치
KR200402264Y1 (ko) 복합 비상유도장치
KR100406842B1 (ko) 타일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비상구 방향지시등
KR100699361B1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학 랜즈를 이용한 문자 및 기호 투영방식의 비상통로 유도등
KR200359722Y1 (ko)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GB2516073A (en) Fire Safety Light
KR101887656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KR101950745B1 (ko)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101886700B1 (ko) 비상상황대처 기능을 갖는 led비상유도등기구
KR20080000897U (ko) 화재시 대피방향표시등
KR101888467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200387210Y1 (ko) 전원점검기능을 갖는 비상등
KR20160107959A (ko) 비상 조명시스템
KR101053645B1 (ko) 비상유도장치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JP7339606B2 (ja) 負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