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467B1 -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467B1
KR101888467B1 KR1020180008842A KR20180008842A KR101888467B1 KR 101888467 B1 KR101888467 B1 KR 101888467B1 KR 1020180008842 A KR1020180008842 A KR 1020180008842A KR 20180008842 A KR20180008842 A KR 20180008842A KR 101888467 B1 KR101888467 B1 KR 10188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nit
human body
pow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영남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5B33/0842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를 비추는 부분과 비상구를 비추는 부분으로 조명을 이원화 하여 탈출 시야 확보 및 탈출 안내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비상상황 발생 시 점등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때와 정전 시 배터리로 작동할 때 서로 다르게 작동하여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장기화 시키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EMERGENCY LIGHT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상황 발생 시 점등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에서의 전기에너지는 인류사회에서는 소중한 인간의 필수 에너지로, 많은 기기에 전기 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는 전압과 전류값에 의한 각 상사이로 합선(쇼트) 시 대전류가 흘러 약한 선로에서는 전기 선이 떨어지거나(단선되거나) 화재가 발생한다.
그리고 전기설비 부하에 비해 전력량은 늘어나고 있어, 하루에도 몇 건씩 전기로 인한 화재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날씨가 건조하여 화재가 쉽게 발생한다.
화재는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발생되기 때문에 순식간에 인명피해 또는 재산피해가 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매일 생활하고 출입하는 익숙한 장소라도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와 정전으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출입문을 찾지 못한다.
화재로 야기되는 다양한 방해요소들로 인해 방향성을 잃고 탈출구를 찾지 못하여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85167]에서는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85167](등록일자: 2015.01.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를 비추는 부분과 비상구를 비추는 부분으로 조명을 이원화 하여 탈출 시야 확보 및 탈출 안내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비상상황 발생 시 점등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때와 정전 시 배터리로 작동할 때 서로 다르게 작동하여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장기화 시키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실내를 비추는 전반조명부(100), 특정 장소를 비추는 국부조명부(200);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900); 및 외부와 연결된 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정전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제어부(9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는 비상등기구의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0)가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는 비상상황입력 단계(S10); 외부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상기 제어부(900)가 확인하는 전원확인 단계(S20); 및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의 점등 유지 시간, 밝기, 색상, 점멸 주기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다르게 제어하는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등기구는 화재 또는 지진을 감지하는 재난감지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는 상기 재난감지기(300)로부터 화재 또는 지진이 감지된 신호를 비상상황 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상등기구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경보부(400)의 작동 유지 시간, 출력 세기, 작동 주기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등기구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부(500)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국부조명부(200)를 특정 주기로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전모드는 3500 K 이하의 색온도로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에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또는 인체가 감지된 상태에서의 점등 시,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를 3900 ~ 4100 K 색온도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상등기구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부(500)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경보부(4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고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경보부(400)만 작동시키거나,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경보부(400)만 특정 주기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하면, 실내를 비추는 부분과 비상구를 비추는 부분으로 조명을 이원화 하여 비상상황 발생 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탈출 시야 확보 및 탈출 안내를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안전하고 빠른 대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때와 정전 시 배터리로 작동할 때 서로 다르게 작동하여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늘림으로써, 대피안내 가능 시간을 늘리면서 효율적인 대피안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반조명부를 3900 ~ 4100 K 색온도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취침 중 동공 확장에 따른 시력을 보호함과 동시에, 비상 상황 시 발생되는 다양한 방해요소들로부터 시야를 확보하여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 줌렌즈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문손잡이 등 탈출에 용이한 곳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빠른 대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재난감지기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수신기 등과 연결하지 않고도, 단독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어디에나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불꽃감지기 또는 지진감지기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비상상황에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보부를 포함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을 인지하지 못하던 사람들에게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 골든타임 내에 비상상황에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인체감지부를 포함하고, 인체를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절전모드로 작동하고 인체를 감지한 경우 조명을 점등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켜 배터리로 작동하는 작동시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가 실내에 설치되어, 전반조명부가 실내를 비추고, 국부조명부가 출입문의 손잡이를 비추는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의 전반조명부에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투광부가 구비된 예를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의 국부조명부에 줌렌즈가 구비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재난감지기가 포함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에 재난감지기가 포함된 예를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경보부가 포함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인체감지부가 포함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인체감지부와 경보부가 포함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가 실내에 설치되어, 전반조명부가 실내를 비추고, 국부조명부가 출입문의 손잡이를 비추는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재난감지기가 포함된 예를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경보부가 포함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에 인체감지부가 포함된 예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주거용시설, 업무시설, 다중공연시설, 노래방 등의 구역화된 모든 공간에 누구나 설치가 용이하고, 비상통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재난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AC(교류전원), DC(직류전원) 등의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다. 배터리를 내장하는 것은, 일반 전원의 공급이 차단(정전)된 상황에서도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실내를 비추는 전반조명부(100), 특정 장소를 비추는 국부조명부(200);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900); 및 외부와 연결된 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정전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제어부(9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는 비상등기구의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비상상황입력 단계(S10), 전원확인 단계(S20) 및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실내를 비추는 부분과 비상구를 비추는 부분으로 조명을 이원화 하여 탈출 시야 확보 및 탈출 안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화재 시에도 높은 휘도로 시야확보가 가능하다.
전반조명부(100)는 실내를 비춘다.(도 3 참조)
상기 전반조명부(100)는 실내를 비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탈출 시야를 확보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반조명부(100)는 3900 ~ 4100 K 색온도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스프링클러의 물 분사, 화재로 인한 연기, 예상치 못한 기상현상, 안개 등 비상 상황 시 발생되는 다양한 방해요소들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빛의 침투가 잘 되는 4000 K 부근의 색 온도를 발광함으로써, 취침 중 동공 확장에 따른 시력을 보호하고, 신속한 탈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반조명부(100)는 바닥을 향해 빛을 비출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전반조명부(100)는 직접조명, 반직접조명, 반간접조명, 간접조명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발광원으로는 LED(발광다이오드)램프, 백열램프, 형광램프, 수은램프, 나트륨램프, 네온램프, 메탈 핼라이드 램프, HID(고휘도방전)램프, 무전극 방전램프, 적외선램프, 자외선램프 등 조명 기능을 하는 다양한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은 LED(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부조명부(200)는 특정 장소를 비춘다.(도 3 참조)
상기 국부조명부(200)는 사선으로 빛을 방출하여 비상통로를 비출 수 있다.
특히, 국부조명부(200)에 의해 사선으로 비추는 방향은 문손잡이 등 탈출에 용이한 곳을 타겟팅하고 그 부분만 광량을 높게 비추어 어두운 장소에서 탈출구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의 전반조명부(100)는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화살표 형상 등) 또는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이 표현된 투광부(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투광부(110)는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이 표시된 것일 수도 있다.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이 표시된 경우, 탈출구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과 주변 형상의 색상을 다르게 하는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투광부(110)는 투명, 반투명 등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 할 수 있다.
도 4에서 탈출구의 방향을 표시하는 형상으로 화살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삼각형, '>' 형, '>>' 형 등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는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점검 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구시키는 점검/복구 스위치(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복구 스위치(700)를 누르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가 점등되어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점검/복구 스위치(700)를 떼면 복구되도록 하는 등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를 점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점검은 매월 1회 등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의 국부조명부(200)는 특정 영역에 빛을 집중시키는 줌렌즈(21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줌렌즈는 렌즈를 포함하며, 목표물을 비추는 빛의 광량이 높아지도록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줌렌즈는 초점거리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기구의 설치 높이에 따라, 빛을 모아주는 각도를 더욱 좁혀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국부조명부(200)는 레이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레이저(laser)는 유도 방출로 증폭된 빛(레이저 광선)을 내는 장치로, 레이저광선은 지향성이 있다(혹은 직진성이 좋다). 이 때문에 레이저 광선은 퍼지지 않고 가느다란 빛으로도 평행하게 대단히 멀리 나아간다.
직진성이 적은 전등 빛은 쉽게 퍼지기 때문에 전구에서 멀어지면 빛의 세기가 급격히 줄어든다. 반면 레이저광선은 거리가 아무리 멀어도 빛의 세기가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
따라서, 국부조명부(200)는 레이저를 포함함으로써, 문손잡이 등 탈출에 용이한 곳을 레이저 광선으로 비추어 탈출에 필요한 곳을 더욱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반조명부(100)는 바닥을 비추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함이고, 상기 국부조명부(200)는 비상통로를 쉽게 발견하도록 하여, 비상통로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900)는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킨다.
상기 제어부(900)는 전기전자적인 제어가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의 점등, 소등, 밝기, 색상, 점멸, 점멸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900)는 비상상황을 외부 감지기, 수신기 등과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신기는 화재수신기, 중앙감시반 등의 수신기를 말하는 것으로,
방제실, 중앙관리실 등에 수신기가 설치되고, 수신기에 연결된 감지기에 의해 확인된 정보를 근거로 비상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상황 신호를 상기 제어부(9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600)는 외부와 연결된 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정전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제어부(9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기구는 상용전원 등 외부와 연결된 전원(외부전원) 차단(정전) 시 내장된 배터리(600)로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기구는 비상상황 발생 시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작동 되다가, 외부전원 차단 시 상기 배터리(600)의 전원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등기구는 상기 전반조명부(100)의 바닥면과 상기 국부조명부(200)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가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반조명부(100)와 상기 국부조명부(200)가 빛을 방출하는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특정 각도는 30~6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탈출에 필요한 도구나 문의 손잡이 등 특정 부분을 더욱 밝게 비추어 어두운 장소에서도 빠르게 필요로 하는 것들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탈출에 필요로 하는 것들은 대부분 손이 닿기 용이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상상황입력 단계(S10)는 상기 제어부(900)가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비상상황 신호는 화재 감지 신호, 지진 감지 신호 등 대피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상기 비상상황 신호는 외부 감지기, 외부 수신기 등으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전원확인 단계(S20)는 외부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상기 제어부(900)가 확인한다.
즉,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는 정전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는, 정전이 아닌 상태와 정전인 상태에서 에서는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의 제어를 달리하여,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는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하도록 제어하고, 정전인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제어하여, 혹시라도 대피가 늦은 사람에게도 최소한의 대피 안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평상시에는 전력소모를 최소화 한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원확인 단계(S20)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의 점등 유지 시간, 밝기, 색상, 점멸 주기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다르게 제어한다.
즉, 상기 비상상황알림단계(S90)는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는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하고,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정전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화재 또는 지진을 감지하는 재난감지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재난감지기(300)를 구비하여, 재난을 즉시 감지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화재 수신기 등과 연결하지 않고도, 단독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난감지기(300)는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불꽃감지기 또는 지진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기는 온도를 근거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온도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차동식 열감지기,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정온식 열감지기 등이 있다.
상기 연기감지기는 연기의 농도를 근거로 화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일정 연기농도 이상일 경우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이온식 연기감지기, 광전식 연기감지기 등이 있다.
상기 불꽃감지기는 불꽃에서 발생하는 자외선(UV) 파장과 적외선(IR)파장, 펄럭임(Flickering) 등의 광학적 특징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불꽃감지기는 불꽃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연기 또는 열 감지기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열감지기 또는 연기감지기로써는 감지 할 수 없는 장소에 주로 설치한다.
상기 지진감지기는 진동의 크기를 근거로 지진을 감지하는 것으로, 특정 세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감지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의 비상상황입력 단계(S10)는 상기 재난감지기(300)로부터 화재 또는 지진이 감지된 신호를 비상상황 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400)는 버저(Buzzer), 벨(Bell), 경종, 사이렌,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의 경우 녹화된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를 통한 비상방송의 송출도 가능할 수 있다.
경고음은 취침자 또는 생활자에게 비상상황을 감지하게 함으로써, 골든타임 내에 비상상황에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의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경보부(400)의 작동 유지 시간, 출력 세기, 작동 주기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는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하고,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은 후 정전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경보부(400)를 제어한다.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는 소리를 정전이 아닌 상태보다 작게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일정 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부(500)는 적외선(열선) 등을 감지하여 인체를 감지하는 기기를 말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부(500)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비상상황 발생 후 정전 시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키고, 비상상황 발생 후 정전 시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국부조명부(200)를 특정 주기로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초 사이에 한번 씩 상기 국부조명부(2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혹시라도 멀리서 불빛을 보고 해당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등대 같은 역할)을 하며, 대피자가 해당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절전모드는 3500 K 이하의 색온도로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에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또는 인체가 감지된 상태에서의 점등 시,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를 3900 ~ 4100 K 색온도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역시, 혹시라도 멀리서 불빛을 보고 해당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등대 같은 역할)을 하며, 대피자가 해당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3900 ~ 4100 K 색온도로 발광하도록 점등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비상등기구는 비상등기구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400) 및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5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부(500)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단계(S30)를 포함하고,(도 11 참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경보부(4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고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비상상황 발생 후 정전 시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경보부(4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켜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키고, 비상상황 발생 후 정전 시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경보부(400)만 작동시키거나,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경보부(400)만 특정 주기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초 사이에 한번 씩 상기 경보부(4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혹시라도 멀리서 소리를 듣고 해당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대피자가 해당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켜 대피 안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전반조명부
200: 국부조명부
300: 재난감지기
400: 경보부
500: 인체감지부
600: 배터리
900: 제어부
S10: 비상상황입력 단계
S20: 전원확인 단계
S30: 인체감지 단계
S90: 비상상황알림 단계

Claims (10)

  1. 실내를 비추는 전반조명부(100), 특정 장소를 비추는 국부조명부(200); 비상상황 발생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900); 및 외부와 연결된 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정전 시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제어부(9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0);를 포함하는 비상등기구의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0)가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는 비상상황입력 단계(S10);
    외부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상기 제어부(900)가 확인하는 전원확인 단계(S20); 및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의 점등 유지 시간, 밝기, 색상, 점멸 주기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다르게 제어하는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로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등기구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부(500)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단계(S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기구는
    화재 또는 지진을 감지하는 재난감지기(300);
    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는
    상기 재난감지기(300)로부터 화재 또는 지진이 감지된 신호를 비상상황 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기구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경보부(400)의 작동 유지 시간, 출력 세기, 작동 주기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를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와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국부조명부(200)를 특정 주기로 점멸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3500 K 이하의 색온도로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에서 상기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또는 인체가 감지된 상태에서의 점등 시,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를 3900 ~ 4100 K 색온도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기구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은
    상기 인체감지부(500)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단계(S30);
    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알림 단계(S90)는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 및 경보부(400)를 절전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비상상황입력 단계(S10)에서 비상상황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원확인 단계(S20)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확인되며 상기 인체감지 단계(S3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00)가 상기 전반조명부(100) 및 국부조명부(200)를 점등시키고 상기 경보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경보부(400)만 작동시키거나, 상기 전반조명부(100), 국부조명부(200)를 소등한 상태에서 상기 경보부(400)만 특정 주기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80008842A 2018-01-24 2018-01-24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188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42A KR101888467B1 (ko) 2018-01-24 2018-01-24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42A KR101888467B1 (ko) 2018-01-24 2018-01-24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467B1 true KR101888467B1 (ko) 2018-09-20

Family

ID=6371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42A KR101888467B1 (ko) 2018-01-24 2018-01-24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642A (ko) 2021-04-20 2022-10-27 황희석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06Y1 (ko) 2004-03-17 2004-08-27 한우용 비상상태 알림기능을 포함한 led 비상유도등 장치
KR200368410Y1 (ko) * 2004-08-16 2004-11-26 루멘전광 주식회사 비상작동시 다단으로 조도가 경감되는 비상등
JP2017084817A (ja) 2017-01-11 2017-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206Y1 (ko) 2004-03-17 2004-08-27 한우용 비상상태 알림기능을 포함한 led 비상유도등 장치
KR200368410Y1 (ko) * 2004-08-16 2004-11-26 루멘전광 주식회사 비상작동시 다단으로 조도가 경감되는 비상등
JP2017084817A (ja) 2017-01-11 2017-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642A (ko) 2021-04-20 2022-10-27 황희석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102580356B1 (ko) * 2021-04-20 2023-09-19 황희석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879B2 (en) Self-powered rechargeable smoke/carbon monoxide detector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JP2006268132A (ja) 火災警報器
KR200454250Y1 (ko) 비상구 안내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87656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KR20160096303A (ko) 소방용 비상 경보 및 조명장치
KR101888467B1 (ko)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JP5124088B2 (ja) 非常用照明器具および防災用照明器具自動点検システム
KR101950743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200432159Y1 (ko) 센서등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KR101950745B1 (ko)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101950742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 장치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0332123Y1 (ko) 통로 유도등
KR100690402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KR20160076402A (ko) 대피로 방향안내 조명등 장치
KR101950744B1 (ko) 화재시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아파트의 비상 조명 장치
JP2006302203A (ja) 火災報知器
KR200266079Y1 (ko) 비상구 표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