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796B1 -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796B1
KR102102796B1 KR1020190122941A KR20190122941A KR102102796B1 KR 102102796 B1 KR102102796 B1 KR 102102796B1 KR 1020190122941 A KR1020190122941 A KR 1020190122941A KR 20190122941 A KR20190122941 A KR 20190122941A KR 102102796 B1 KR102102796 B1 KR 10210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emergency
housing
emergency ex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운
Original Assignee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피씨엠글로벌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2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상황 발생시 벽면에 내장된 비상구 표시구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통로측으로 돌출되게 이동시켜 불빛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유도함은 물론, 고압의 공기를 분출시켜 바람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고지하여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Exit display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상황 발생시 벽면에 내장된 비상구 표시구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통로측으로 돌출되게 이동시켜 불빛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유도함은 물론, 고압의 공기를 분출시켜 바람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고지하여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비상유도등이 설치되는바, 비상구에 인접한 벽체 또는 비상계단의 벽체에 매립하는 벽체 매립방식과 천장에 현수하여 설치하는 천장현수방식 비상유도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벽체매립방식 비상유도등은 설치 높이가 낮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서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장현수방식 비상유도등은 높이가 2미터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고 연기가 가득찬 상태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고개를 속이고 이동하는 점을 감안할 때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체매립방식 비상유도등과 천장현수방식 비상유도등은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과 연기가 가득찬 경우에는 비상유도등에서 나오는 불빛이 흐려지기 때문에 비상유도등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177호(2003.07.23. 공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는 비상등 케이스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부와, 비상등 케이스 외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발광체와,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레이저부와 발광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레이저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변각시킬 수 있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단순히 한쪽 비상등에서 다른 쪽 비상등에 대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수광하는 비상등에는 반사경을 구비하여 레이저빔을 변각시키는 것이므로 연기가 가득찬 상황에서 레이저빔을 식별할 수는 있으나 그 방향성을 일견하여 인지할 수 없어 우왕좌왕하면서 시간을 허비하게 되어 인명피해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레이저빔이 대피통로 중의 장애물이나 대피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한쪽 비상등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이 다른 쪽 비상등에 도달할 수 없게 되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397호(2014.04.11. 공개)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은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는 발광시트와, 발광시트 상부 및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어 비상대피도가 타공된 차광시트와, 차광시트 상부 및 프레임 전면에 장착되어 안내도가 인쇄된 안내도시트와, 축전지와, 주변조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발광시트, 축전지 및 감지부와 각각 연결되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축전지의 전력을 발광시트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인쇄된 안내도가 시인되고, 비상시에는 차광시트에 타공된 비상대피도가 시인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안내도에 의하여 비상구로 유도하는 것인바, 화재발생 등 긴급하고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대피하는 사람들이 안내도를 자세히 확인하고 대피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대피시간이 지연되어 인명피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177호(2003.07.23. 공개)"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397호(2014.04.11. 공개) [0013]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상 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벽면에 내장된 비상구 표시구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통로측으로 돌출되게 이동시켜 불빛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유도함은 물론, 고압의 공기를 분출시켜 바람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고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면에 매립 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축가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스크류축가 끼워지는 스크류관가 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이동부재의 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가이드관; 상기 이동부재의 내부에 내장되는 램프;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된 안내판;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판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되게 설치된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를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발생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어 비상상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구동모터, 램프, 공기발생기 및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에 의하면, 비상상황 발생시 벽면에 내장된 비상구 표시구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통로측으로 돌출되게 이동시켜 불빛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유도함은 물론, 고압의 공기를 분출시켜 바람에 의하여 대피 방향을 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시각 및 촉각을 통하여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의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의 제어수단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구 알림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W)에 매립되는 하우징(10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100)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2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200)에는 스크류축(20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이동부재(30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이동부재(300)의 후면에는 스크류축(201)에 결합되는 스크류관(30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40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00)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바(400)에 끼워지는 가이드관(40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300)의 내부에는 램프(60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00)의 전면에는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된 안내판(5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0)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안내판(500)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되게 분사노즐(8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사노즐(800)은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발생기(8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비상상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70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00), 램프(600), 공기발생기(810) 및 스피커(700)는 제어부(9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30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서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900)는 이동부재(300)가 돌출되게 구동모터(200)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00)가 작동되면 스크류축(201)이 회전되고, 상기 스크류축(201)에 끼워진 스크류관(301)은 상기 스크류축(201)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부재(300)에 설치된 가이드관(401)은 하우징(100)에 설치된 가이드바(40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300)는 안정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300)의 돌출이 완료되면, 제어부(900)는 안내판(500)에 표시된 비상구 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60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스피커(700)를 통하여 비상상황을 음성으로 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부재(300)가 돌출된 후 제어부(900)는 공기발생기(810)를 작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공기발생기(810)에서 발생되는 공기는 이동부재(300)의 후면에 설치된 분사노즐(800)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800)을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는 화재 발생시 연기에 의해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을 촉감으로 확인하면서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에 의한 시각 및 공기에 의한 촉각을 이용하여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W : 벽면 100 : 하우징
200 : 구동모터 201 : 스크류축
300 : 이동부재 301 : 스크류관
400 : 가이드바 401 : 가이드관
500 : 안내판 600 : 램프
700 : 스피커 800 : 분사노즐
810 : 공기발생기 900 : 제어부

Claims (1)

  1.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면(W)에 매립 되게 설치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고 선단부에는 스크류축(20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터(200);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면에는 상기 스크류축(201)이 끼워지는 스크류관(301)이 설치된 이동부재(3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양측에 구동모터(200)의 양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400);
    상기 가이드바(40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이동부재(300)의 후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관(401);
    상기 이동부재(300)의 내부에 내장되는 램프(600);
    상기 이동부재(300)의 전면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표시된 안내판(500);
    상기 이동부재(30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안내판(500)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분출되게 설치된 분사노즐(800);
    상기 분사노즐(800)을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발생기(81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비상상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700);
    상기 구동모터(200), 램프(600), 공기발생기(810) 및 스피커(7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1020190122941A 2019-10-04 2019-10-04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10210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941A KR102102796B1 (ko) 2019-10-04 2019-10-04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941A KR102102796B1 (ko) 2019-10-04 2019-10-04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796B1 true KR102102796B1 (ko) 2020-04-22

Family

ID=7047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941A KR102102796B1 (ko) 2019-10-04 2019-10-04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40B1 (ko) * 2021-01-07 2021-04-26 (주)부흥이앤씨 소방용 실내 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102568302B1 (ko) 2022-12-22 2023-08-21 인천광역시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77A (ko) 2002-01-16 2003-07-23 김윤석 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
KR20040051872A (ko) * 2002-12-13 2004-06-19 이경산전 주식회사 슬라이딩 방식의 조명장치와 일출 방식에 따른 이조명장치의 운영방법
KR20160039397A (ko)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이음파트너스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KR101876168B1 (ko) * 2018-01-30 2018-07-09 김명호 지능형 유도등을 이용한 종합 피난 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77A (ko) 2002-01-16 2003-07-23 김윤석 레이저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 장치
KR20040051872A (ko) * 2002-12-13 2004-06-19 이경산전 주식회사 슬라이딩 방식의 조명장치와 일출 방식에 따른 이조명장치의 운영방법
KR20160039397A (ko)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이음파트너스 비상구 유도 기능을 갖는 안내표지판
KR101876168B1 (ko) * 2018-01-30 2018-07-09 김명호 지능형 유도등을 이용한 종합 피난 유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540B1 (ko) * 2021-01-07 2021-04-26 (주)부흥이앤씨 소방용 실내 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102568302B1 (ko) 2022-12-22 2023-08-21 인천광역시 지능형 다목적 대피 유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대피 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KR100381608B1 (ko) 비상구표시장치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US20090096630A1 (en) Laser lighted guidance exit indicator
KR20110059161A (ko)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US20110007280A1 (en) Lighting device for a route guidance system
KR100602371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070008794A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KR100972793B1 (ko) 비상구 안내장치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US20070120699A1 (en) Threshold having safety lights
KR101883781B1 (ko) 실내소방용 광축전지 비상유도장치
KR10212120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1806168B1 (ko)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40073612A (ko) 화재시 안내 시스템
JP2003290379A (ja) 消火栓装置
EP4085223A1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JP2018128846A (ja) 作業現場用警報装置
KR102462453B1 (ko) 화재 또는 비상시에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기능성 피난구 유도지시장치
KR200330752Y1 (ko) 피난구 유도 장치
JP6375196B2 (ja) 防災用表示灯
US20240085000A1 (en) Wall mounted laser proj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