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612A - 화재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612A
KR20140073612A KR1020120135329A KR20120135329A KR20140073612A KR 20140073612 A KR20140073612 A KR 20140073612A KR 1020120135329 A KR1020120135329 A KR 1020120135329A KR 20120135329 A KR20120135329 A KR 20120135329A KR 20140073612 A KR20140073612 A KR 20140073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laser pointer
laser
point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
Original Assignee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에스엘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에스엘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612A/ko
Publication of KR2014007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4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with indicator element moving about a pivot, e.g. hinged flap or rotating vane
    • G08B5/3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with indicator element moving about a pivot, e.g. hinged flap or rotating vane with rot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va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하는 레이저포인터를 가지는 포인팅안내부;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화재센서; 및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화재시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레이저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안내부는 설치 장소에 고정되는 몸체에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가 설치되는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 사람들의 대피를 위한 비상구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의 대피가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화재시 안내 시스템{Guide system when the fire occurred}
본 발명은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사람들이 대피하기 위한 비상구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의 대피가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극장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에는 화재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기 위한 비상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비상등은 비상구의 상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충전지가 구비된 것으로, 화재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되어, 실내의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등은 형광등이 내부에 설치되어 점등되고, 그 밝기가 매우 약하므로, 실제 화재가 발생되어 사람들이 공황 상태에 빠진 상태에서는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화재가 발생되면 자동으로 음성방송을 하여, 사람들이 대피하도록 유도하는 음성 화재 경보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음성화재경보시스템은 방송실 등에 설치된 방송장비에 의해 실내의 다수개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방송을 하므로, 사람들이 방송만을 듣고서 비상구가 어디에 있는지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화재에 의해 방송장비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단선되는 경우, 제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시 사람들이 대피하기 위한 비상구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의 대피가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하는 레이저포인터를 가지는 포인팅안내부;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화재센서; 및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화재시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레이저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안내부는 설치 장소에 고정되는 몸체에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재시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포인팅안내부는 상기 몸체에 한 쌍의 힌지결합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레이저포인터의 양측에 마련되는 힌지축이 상기 힌지결합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상기 힌지결합부로부터 회전하여 대피를 위한 통로의 천정이나 바닥 또는 측벽에 레이저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화재센서가 상기 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도형,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패턴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재시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 화재시 사람들이 대피를 위한 비상구로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의 대피가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의 포인팅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의 포인팅안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의 레이저빔의 패턴을 예시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의 포인팅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100)은 포인팅안내부(110)와, 화재센서(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안내부(110)는 화재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하는 레이저포인터(112)를 가지는데, 설치 장소에 고정되는 몸체(111)에 레이저포인터(1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몸체(111)는 설치 장소, 예컨대 천정 등에 고정되기 위하여, 저면에 볼트공이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볼트공이 형성되는 경우, 천정 등에 체결되는 볼트나 스크루 등이 볼트공에 체결되도록 하여 천정 등에 고정될 수 있고, 체결부가 형성되는 경우, 천장 등에 미리 설치된 브라켓이 일측에 홈 또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에 끼워지거나 체결됨으로써 천정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1)는 레이저포인터(112)가 설치되기 위한 포인터설치부(111b)가 원형의 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을 이루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내측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포인터설치부(111b)의 회전에 의해 레이저포인터(112)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체(111)는 레이저포인터(112)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케이블이 인출되기 위한 인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1)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111a)가 서로 대향되도록 포인터설치부(111b)에 마련될 수 있고, 레이저포인터(112)의 양측에 마련되는 힌지축(112a)이 힌지결합부(111a)에 끼워짐으로써, 레이저포인터(112)가 힌지결합부(111a)로부터 힌지축(11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를 위한 통로의 천정이나 바닥면 또는 측벽에 레이저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힌지결합부(111a)는 힌지축(112a)이 끼워지기 위한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12)는 동작을 위한 전원을 케이블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1차적으로 공급받게 되고, 외부 전원 차단시 몸체(111)나 자신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포인터(112)는 동작의 온(on)/오프(off)를 위해 제어부(130)의 제어신호를 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나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12)는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도형,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패턴을 조사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끝단에 레이저빔이 상기한 광패턴을 이루면서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포인팅안내부(110)가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이저포인터(112)가 중심의 출입구를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우측 벽면에 비상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좌측 벽면에 비상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형 및 문자에 해당하는 광패턴을 조사하는 예들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레이저포인터(112)에 의해 바닥면의 화살표와 우측 벽면의 화살표, 그리고 좌측 벽면의 도형 및 문자 중 어느 하나가 조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포인터(112)는 다수의 레이저조사부가 단일의 모듈로서 설치됨으로써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다수의 광패턴을 조사할 수도 있다.
포인팅안내부(110)는 레이저포인터(112)를 덮도록 몸체(111)에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113)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13)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 반구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몸체(111)의 일측에 테두리부분이 끼워지거나 몸체(111)의 일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회전시 포인터설치부(111b)가 레이저포인터(112)와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포인터설치부(111b)의 가장자리에 테두리부분이 억지 끼워지거나, 포인터설치부(111b)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포인팅안내부(110)는 몸체(111)에 화재센서(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감지와 레이저 포인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포인팅안내부(110)는 일례로 몸체(111)의 내측에 화재센서(120)가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화재센서(120)가 화재 감지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몸체(111)에 화재센서(120)가 외기와 통하도록 홀이 형성되거나, 화재센서(120)가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화재센서(120)는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데, 예컨대,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화재시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 화재로 인해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도록 하는 화재이미지감지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어느 하나의 센서라도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신호로서 제어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재센서(120)는 화재를 직접 감지하거나, 수신반을 통해서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화재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화재시 레이저포인터(112)가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레이저포인터(112)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차단을 감지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시 배터리의 전원을 레이저포인터(112)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화재센서(120)가 화재를 감지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소화전(140)에 의한 경보 발생 및 스프링클러(150)에 의한 소화수나 소화약제의 분사를 위해 소화전(140) 및 스프링클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시 안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화재센서(120)가 화재를 감지하면, 제어부(130)가 화재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로부터 화재 발생을 판단하여, 포인팅안내부(110)의 레이저포인터(112)가 레이저빔을 미리 정해진 방향,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를 위한 통로의 바닥이나 좌측 벽면 또는 우측 벽면에 조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시 사람들이 대피하기 위한 비상구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의 대피가 원활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포인터(112)는 설치된 장소의 통로 구조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힌지결합부(111a)와 힌지축(112a)에 의해 조사방향을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포인팅안내부 111 : 몸체
111a : 힌지결합부 112 : 레이저포인터
112a : 힌지축 113 : 커버
120 : 화재센서 130 : 제어부
140 : 소화전 150 : 스프링클러

Claims (4)

  1. 화재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하는 레이저포인터를 가지는 포인팅안내부;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화재센서; 및
    상기 화재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화재시 상기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레이저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안내부는,
    설치 장소에 고정되는 몸체에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재시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안내부는,
    상기 몸체에 한 쌍의 힌지결합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레이저포인터의 양측에 마련되는 힌지축이 상기 힌지결합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레이저포인터가 상기 힌지결합부로부터 회전하여 대피를 위한 통로의 천정이나 바닥 또는 측벽에 레이저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레이저포인터를 덮도록 상기 몸체에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화재센서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화재시 안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도형,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패턴을 조사하는, 화재시 안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재시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를 제어하는,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1020120135329A 2012-11-27 2012-11-27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20140073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329A KR20140073612A (ko) 2012-11-27 2012-11-27 화재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329A KR20140073612A (ko) 2012-11-27 2012-11-27 화재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12A true KR20140073612A (ko) 2014-06-17

Family

ID=5112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329A KR20140073612A (ko) 2012-11-27 2012-11-27 화재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61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208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가온코스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WO2018097634A1 (ko) * 2016-11-24 2018-05-31 김명식 회절 광학 소자와 나노 기술이 적용된 연무 감지 시스템
KR20200114657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피난구 유도 장치
CN112950885A (zh) * 2021-02-06 2021-06-11 武汉恒安数联电子科技有限公司 复合式感烟感温火灾探测器
KR20210089312A (ko) * 2020-01-08 2021-07-16 김기성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53446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에스피앤이 비상탈출 유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208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가온코스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EP3190570A4 (en) * 2014-09-05 2018-05-02 Gaoncos Co. Ltd. Passenger evacuation direction guidance system
US10083580B2 (en) 2014-09-05 2018-09-25 Gotec Inc. Passenger evacuation direction guidance system
WO2018097634A1 (ko) * 2016-11-24 2018-05-31 김명식 회절 광학 소자와 나노 기술이 적용된 연무 감지 시스템
KR20200114657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상황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피난구 유도 장치
KR20210089312A (ko) * 2020-01-08 2021-07-16 김기성 센싱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2950885A (zh) * 2021-02-06 2021-06-11 武汉恒安数联电子科技有限公司 复合式感烟感温火灾探测器
KR20220153446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에스피앤이 비상탈출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298B1 (ko)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20140073612A (ko)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US9576459B2 (e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20110059161A (ko)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EP3295438B1 (en)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smoke detector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20140070940A (ko) 스마트 방재 서비스 플랫폼
KR101233463B1 (ko) 소화기 받침대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KR101806168B1 (ko)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20170079166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20150114246A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20210082580A (ko) 레이저피난유도장치 및 방법
KR20210000633A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200330752Y1 (ko) 피난구 유도 장치
KR101853098B1 (ko) 소방 피난 유도장치
JPH06325264A (ja) 避難誘導支援システム
JP4642429B2 (ja) 警報装置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