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185A -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185A
KR20170068185A KR1020150175085A KR20150175085A KR20170068185A KR 20170068185 A KR20170068185 A KR 20170068185A KR 1020150175085 A KR1020150175085 A KR 1020150175085A KR 20150175085 A KR20150175085 A KR 20150175085A KR 20170068185 A KR20170068185 A KR 2017006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re
sprinkler
sprinklers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구
배재경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장승구
배재경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구, 배재경, 김현수 filed Critical 장승구
Priority to KR102015017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185A/ko
Publication of KR2017006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H05B37/0209
    • H05B37/02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명 장치를 구비한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및, 상기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각각에 구비된 상기 조명 장치의 점멸을 제어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의 대피를 위한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조명 장치의 점멸 제어 기능을 접목함으로써, 화재시 건물 내부 사람들의 대피 안내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SYSTEM FOR GUIDING FIRE EVACUATION USING SPRINGKL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 등의 실내에서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및 이에 따른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인이 수용되거나 출입하는 건물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면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피난유도이다.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각 층마다 천장에 내설되어 화재 감지 시 살수를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 하지만, 화재 진압에 우선하여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연기에 질식하지 않도록 재빨리 피난등을 따라 피신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 건물 내부에 연기가 가득차면 이 피난등이 사람들에게는 잘 보이지 않는 것이 문제가 된다. 또한, 건물 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경우 단순히 화재시 물을 뿌리는 한 가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바, 그 활용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2122호 (2006. 10. 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 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의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명 장치를 구비한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및, 상기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각각에 구비된 상기 조명 장치의 점멸을 제어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의 대피를 위한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가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출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각각과 화재 발생 지점과의 거리에 따라 각 스프링클러에 구비된 조명 장치의 점멸 속도 및 점등 강도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건물의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복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제어하여 상기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화재 발생 구역에서 상기 건물의 출구 방향으로 인접한 하나 이상의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조명 장치의 점멸 제어 기능을 접목함으로써, 화재시 건물 내부 사람들의 대피 안내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에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102) 및 제어 장치(104)를 포함한다.
스프링클러(102)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며 건물 내의 화재 발생시 살수를 통해 화재를 진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스프링클러(102)는 상술한 살수 기능 이외에 별도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명 장치는 후술할 제어 장치(104)에 의하여 제어되어 건물 내의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사람들을 건물 밖으로 안내하기 위한 대피 안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클러(102)는 설치되는 건물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로 건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102)는 건물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한 설치 장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102)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102)는 본체(202) 및 조명 장치(204)를 포함한다.
본체(202)는 스프링클러(102)의 살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화재 감지 수단, 살수 개시 신호 수신 수단, 물 공급 수단, 살수 수단 등의 다양한 장치들이 본체(202)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조명 장치(204)는 스프링클러(102)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제어 장치(104)의 제어에 따라 점멸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204)가 스프링클러(102)의 하단에 부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 장치(204)는 외부에서 그 점멸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곳이라면 스프링클러(102)의 어느 부분에도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제어 장치(104)는 스프링클러(102)가 설치된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대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장치(104)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 될 수 있으며, 내부와 외부에 교차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4)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4)는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건물 내의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스프링클러(102)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으며, 스프링클러(102)와 별도로 건물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04)가 건물 내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 장치(104)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102) 각각에 구비된 조명 장치(204)의 점멸을 제어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의 대피를 위한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4)는, 상기 조명 장치(204)가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출입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에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건물(302) 내에 102-1 내지 102-8로 표시된 8개의 스프링클러(102)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102-3) 부근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 제어 장치(104)는 스프링클러(102-3), 스프링클러(102-2), 스프링클러(102-1), 및 스프링클러(102-5)를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4)는 상술한 순서에 따라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 건물의 출입구 사이에 있는 각각의 스프링클러들을 반복적으로 점멸함으로써 화재가 진압될 때 까지 계속하여 대피 방향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4)는,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102) 각각과 화재 발생 지점과의 거리에 따라 각 스프링클러(102)에 구비된 조명 장치(204)의 점멸 속도 및 점등 강도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 신호는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 구역과 타 구역의 거리 비례에 따라 근접 구역에서는 점멸 속도가 빠르거나 점등의 강도가 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점멸 속도가 빠르며 점등의 강도가 강하게 제어 할 수 있다. 점멸 속도와 점등의 강도 차이는 건물의 환경에 따라 임의적으로 제어 장치에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4)는 화재 발생 지점과 가까운 스프링클러(102)일수록 해당 스프링클러(102)에 부설된 조명 장치(204)의 점멸 속도가 빨라지거나, 또는 점등 강도가 세지도록 각 조명 장치(20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건물 내의 대피자는 조명 장치(204)의 점멸 상태를 보는 것 만으로도 화재 발생 지점과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장치(104)는, 건물의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복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제어하여 상기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면적이 매우 넓은 경우 제어 장치(104)는 건물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화재 발생시에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만의 스프링클러만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화재와 전혀 관계 없는 구역에도 불필요하게 대피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약 건물의 출입구가 화재 발생 구역이 아닌 다른 구역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 장치(104)는, 상기 화재 발생 구역에서 상기 건물의 출구 방향으로 인접한 하나 이상의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추가로 제어하여 대피자들을 안전하게 출입구까지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102: 스프링클러
104: 제어 장치
202: 본체
204: 조명 장치
302: 건물 내부

Claims (5)

  1.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명 장치를 구비한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및,
    상기 건물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각각에 구비된 상기 조명 장치의 점멸을 제어하여 상기 건물 밖으로의 대피를 위한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가 화재 발생 지점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출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스프링클러 각각과 화재 발생 지점과의 거리에 따라 각 스프링클러에 구비된 조명 장치의 점멸 속도 및 점등 강도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도록 상기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건물의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복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제어하여 상기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화재 발생 구역에서 상기 건물의 출구 방향으로 인접한 하나 이상의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추가로 제어하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0150175085A 2015-12-09 2015-12-09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20170068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85A KR20170068185A (ko) 2015-12-09 2015-12-09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085A KR20170068185A (ko) 2015-12-09 2015-12-09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185A true KR20170068185A (ko) 2017-06-19

Family

ID=5927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85A KR20170068185A (ko) 2015-12-09 2015-12-09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18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8522A (zh) * 2019-04-03 2019-06-21 华平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救援线路指引方法及系统
KR102015942B1 (ko) * 2018-07-13 2019-08-29 장상욱 다기능 소화기
KR102348873B1 (ko) * 2021-06-11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348875B1 (ko) * 2021-06-10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안전대피를 위한 소방표시기구
KR102374455B1 (ko) * 2021-06-10 2022-03-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102421194B1 (ko) 2021-10-18 2022-07-15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KR102421195B1 (ko) 2021-10-18 2022-07-15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KR102456405B1 (ko) 2022-01-18 2022-10-19 주식회사 파이어텍 건물의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방법 및 소방 장치
KR20220153446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에스피앤이 비상탈출 유도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942B1 (ko) * 2018-07-13 2019-08-29 장상욱 다기능 소화기
CN109908522A (zh) * 2019-04-03 2019-06-21 华平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救援线路指引方法及系统
CN109908522B (zh) * 2019-04-03 2021-03-30 华平智慧信息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救援线路指引方法及系统
KR20220153446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에스피앤이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2348875B1 (ko) * 2021-06-10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안전대피를 위한 소방표시기구
KR102374455B1 (ko) * 2021-06-10 2022-03-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102348873B1 (ko) * 2021-06-11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421194B1 (ko) 2021-10-18 2022-07-15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연결형 안전성 향상 소방방재장치
KR102421195B1 (ko) 2021-10-18 2022-07-15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KR102456405B1 (ko) 2022-01-18 2022-10-19 주식회사 파이어텍 건물의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방법 및 소방 장치
KR20230111572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파이어텍 건물의 층별 화재 상황을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200475222Y1 (ko) 비상 대피 유도 장치
KR101783825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US20160275761A1 (en) Guidance system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40073612A (ko) 화재시 안내 시스템
KR102100411B1 (ko) 비상호출버튼과 화재감지센서와 주차표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WO2017138543A1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618605B1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20140075119A (ko) 화재 감지수단이 탑재된 led 조명 통합 관리시스템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102520289B1 (ko) 재난대피용 레이저유도기
KR101875106B1 (ko) 휴대용 비상 조명 장치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KR102014184B1 (ko) 대피로 통제 시스템
KR20130040372A (ko) 화재감지기 연동 유도등 시스템 및 유도등의 화재감지기 연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