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55B1 -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 Google Patents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55B1
KR102374455B1 KR1020210075538A KR20210075538A KR102374455B1 KR 102374455 B1 KR102374455 B1 KR 102374455B1 KR 1020210075538 A KR1020210075538 A KR 1020210075538A KR 20210075538 A KR20210075538 A KR 20210075538A KR 102374455 B1 KR102374455 B1 KR 10237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firefighting
branc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Priority to KR102021007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1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with means for regulating the jet relative to the horizontal angular position of the nozzle, e.g. for spraying non circular areas by changing the elevation of the nozzle or by varying the nozzle flow-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100)과 스프링클러(200), 분무노즐(300), 행거유닛(400), 화재감지센서(500), 회동유닛(600), 솔레노이드밸브(700), 핀스폿(800) 및 제어부(900)로 구성된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분무노즐로부터 배출된 안개형태의 소방수는 화재 진압시 발생된 연기를 신속하게 포집하며, 이에 따라 연기로 인한 시야 방해를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들의 방향성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분무노즐로부터 안개형태의 소방수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핀스폿을 동작시키게 되면, 핀스폿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안개형태의 소방수를 통과하는 과정에 산란되면서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이러한 도드라짐을 주변 사람들이 보고 대피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Fire evacuation guide device for fire evacuation}
본 발명은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분무형태로 배출되는 소방수를 매개로 화재 진압과정에 발생된 연기를 신속하게 포집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로 인한 연기 속에서도 식별력을 높여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해 신속한 탈출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을 위해 건축물 내에 소화기,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스프링클러는 현대사회의건물구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방설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살수하여, 화재가 초기에 진압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건축물의 천장에서 하방으로만 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축물의 천장 및 내부 벽면에서 진행하는 화염을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발생시 연기가 실내를 가득 메움에 따라 대피로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빠져나가지 못한 사람들은 유독가스에 질식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3116호
본 발명은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불길이 천정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분무형태로 배출되는 소방수를 매개로 화재 진압과정에 발생된 연기를 신속하게 포집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재로 인한 연기 속에서도 식별력을 높여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해 신속한 탈출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방수가 공급되는 공급부와,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는 분기부로 구성된 소방배관;
분기부를 따라 임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분기부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방사상 횡 방향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디플렉터를 갖춘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
스프링클러 사이에 배치되게 분기부에 설치되어 분기부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안개형태로 내뿜는 분무노즐;
분기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분기부를 감싸며, 내부에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를 갖춘 감착구와,
감착구의 수용부에 각각 끼워져 감착구가 분리를 제한하고, 분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요철형상의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부재와,
‘∩’자 형상을 이루며 천정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탄발부, 탄발부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의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행거로 구성된 행거유닛;
분기부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제어부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천정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분기부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된 회동유닛;
소방배관의 공급부에 설치되어 공급부의 내부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분무노즐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핀스폿;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를 동작제어하여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매개로 분기부를 회동시키고, 소방배관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스프링클러 및 분무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밸브를 동작제어하며, 핀스폿이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무노즐로부터 배출된 안개형태의 소방수는 화재 진압시 발생된 연기를 신속하게 포집하며, 이에 따라 연기로 인한 시야 방해를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들의 방향성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분무노즐로부터 안개형태의 소방수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핀스폿을 동작시키게 되면, 핀스폿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안개형태의 소방수를 통과하는 과정에 산란되면서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이러한 도드라짐을 주변 사람들이 보고 대피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핀스폿이 경사진 상태에서 빛이 조사될 경우 바닥에 조명 빛이 길게 표시되고, 이 표시를 보고 대피자들은 화재발생지점과 반대편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대피 경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소방수가 소정의 각도로 분사됨에 따라 실내공간이 소방수에 의해 구획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A”확대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의 각기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A”확대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는 소방배관(100)과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분무노즐(300), 행거유닛(400), 화재감지센서(500), 회동유닛(600), 솔레노이드밸브(700), 핀스폿(800) 및 제어부(9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화재를 감지해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불길이 천정으로 번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소방수가 분무형태로 배출됨에 따라 화재 진압과정에 발생된 연기를 신속하게 포집할 수 있어 시야 확보에 유리하며, 바닥을 향해 조사되는 조명이 분무형태의 소방수를 통과하는 과정에 산란되면서 도드라져 보임에 따라 주변 사람들이 불빛을 보고 대피할 경로 파악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배관(100)은 공급부(110)와 분기부(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행거유닛(400)을 매개로 천정(C)에 설치되어 소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공급부(110)는 3개의 지관을 갖으며, 각 지관에는 일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 분기부(12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회전된다. 이렇게 공급부(100)에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설치된 분기부(120)는 추후 회동유닛(600)에 의해 회동하게 되며, 분기부(120)의 회동에 의해 분기부(120)에 설치된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역시 함께 회동하게 된다.
도 1,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디플렉터를 갖추고서 분기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분기부(120)와 직교를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는 방사상 횡 방향으로 분사된다. 한편,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무노즐(300)은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사이에 배치되게 분기부(120)에 설치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안개형태로 내뿜는다. 상기 분무노즐(300) 역시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와 마찬가지로 분기부(120)와 직교를 이루도록 분기부(120)에 설치된다. 일 예로서, 상기 분무노즐(300)로부터 배출된 안개형태의 소방수는 화재 진압시 발생된 연기를 신속하게 포집하며, 이에 따라 연기로 인한 시야 방해를 조금이라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들의 방향성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안개형태의 소방수가 핀스폿(80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과 만나게 되면, 산란되면서 도드라져 보임에 따라 주변 사람들이 불빛을 보고 대피할 경로 파악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대피자는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및 분무노즐(300)이 기울어진 상태를 보고 대피 경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분무노즐(300)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유닛(400)은 감착구(410)와 슬라이딩부재(420) 및 행거(4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정(C)에 설치되어 소방배관(10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착구(410)는‘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반원형의 부재로 분할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 분기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기부(1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부재(42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감착구(410)는 내부가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411)를 구비하며, 이 수용부(411)에는 슬라이딩부재(42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20)는 반원형의 부재로, 감착구(410)의 수용부(411)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슬라이딩부재(420)의 양단부에는 요철모양의 삽입부(4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삽입부(421)에는 행거(430)의 연결부(432)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분할된 슬라이딩부재(420)를 상호 연결해 감착구(410)가 벌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행거(430)는 탄발부(431)와 연결부(432)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정(C)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되어 슬라이딩부재(4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부재(420)를 상호 연결하고, 이와 더불어서 분기부(120)가 천정(C)에 설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발부(431)는‘∩’자 형상의 부재로,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천정(C)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발부(431)의 말단에는 삽입부(421)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4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발부(431)는 절곡된 부분(도 4b 참조)을 기준으로 해서 탄성변형 및 복원되는 구조이며, 이를 이용해 연결부(432)를 삽입부(421)하거나 연결부(43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서, 상기 감착구(410)의 경계선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경계선이 소정의 각도로 서로 어긋나 있을 때는 감착구(410)의 분리를 슬라이딩부재(420)로 제한할 수 있지만, 감착구(410)의 경계선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경계선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감착구(410)는 작업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슬라이딩부재(420)를 연결부(432)를 매개로 상호 연결해주게 되면 슬라이딩부재(420)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됨에 따라 감착구(410)의 경계선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경계선이 일치하더라도 감착구(410)가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분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분기부(120)의 경우 분리된 부분이나 연결된 부분 없이 단일물로 제작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와의 간섭으로 인해 분기부(120)의 양단부에만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분리 가능한 행거유닛(400)을 적용해 주게 되면, 분기부(120)의 아무 위치에나 행거유닛(40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500)는 통상의 감지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각 분기부(120)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해 이를 제어부(900)로 각각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동유닛(600)은 구동모터(610)와 구동기어(620) 및 종동기어(6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분기부(120)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터(610)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통상의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각 분기관(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천정(C)에 고정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상기 구동기어(620)는 구동모터(610)의 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61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630)는 분기부(120)의 말단에 고정되어 구동기어(620)와 치합한다. 이렇게 치합된 종동기어(630)는 구동모터(610)로부터의 회전력을 구동기어(620)를 매개로 전달받아 분기관(120)에 전달하게 되며, 이에 의해 분기관(120)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00)는 통상의 전자밸브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방배관(100)의 공급부(11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되어 공급부(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핀스폿(800)은 통상의 조명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분무노즐(30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분무노즐(300)로부터 안개형태의 소방수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핀스폿(800)을 동작시키게 되면, 핀스폿(80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안개형태의 소방수를 통과하는 과정에 산란되면서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이러한 도드라짐을 주변 사람들이 보고 대피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00)는 일종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610)를 동작제어하여 구동기어(620)와 종동기어(630)를 매개로 분기부(120)를 회동시킨다. 또한, 소방배관(1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및 분무노즐(3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밸브(700)를 동작제어한다. 또한, 핀스폿(800)이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900)는 각각의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분기관(12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화재감지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900)로 입력되면, 제어부(900)는 좌측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분기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전유닛(60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좌측과 중간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는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었지만, 우측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는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900)는 우측에 분기관(120)을 제외한 나머지 좌측과 중간의 분기관(120)만 회동되도록 해당 회전유닛(60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의 각기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각 분기부(120)에 화재감지센서(5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좌측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가 가장 먼저 감지하게 되고, 그 다음은 중간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가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900)로 출력하게 된다.
참고로, 우측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는 화재를 전혀 감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0)는 좌측과 중간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게 신호의 접수 순서를 근거로 좌측이 발화지점이라는 것으로 판단해 좌측 분기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동유닛(600)을 동작제어하여 해당 화재감지센서(500)가 설치된 분기부(120)를 회동시키게 되며, 분기부(120)의 회전에 의해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솔레노이드밸브(700) 및 핀스폿(800)을 각각 동작제어하게 되는데, 솔레노이드밸브(700)는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공급부(110)를 개방하게 되고, 공급부(110)가 개방됨에 따라 소방수는 분기부(120)를 거쳐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를 통해 배출되면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방수가 배출됨에 따라 배출되는 소방수에 의해 실내공간이 구획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부(120)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500)가 화재를 모두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900)로 출력하게 되면, 제어부(900)는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분기부(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지 아니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지를 결정하게 된다. 일 예로 분기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900)는 모든 분기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각 회동유닛(600)을 동작제어하게 되고, 분기부(120)의 회전에 의해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방수를 배출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는 상기 소방수가 소정의 각도로 분사됨에 따라 실내공간이 소방수에 의해 구획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로부터 배출된 소방수가 천정(C)에도 분사됨에 따라 불길이 천정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분무노즐(300)로부터 안개형태의 소방수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핀스폿(800)을 동작시키게 되면, 핀스폿(80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안개형태의 소방수를 통과하는 과정에 산란되면서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이러한 도드라짐을 주변 사람들이 보고 대피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된다.
더군다나 상기 핀스폿(800)이 경사진 상태에서 빛이 조사될 경우 바닥에 조명 빛이 길게 표시되고, 이 표시를 보고 대피자들은 화재발생지점과 반대편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대피 경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소방배관 110: 공급부 120: 분기부
200: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
300: 분무노즐 400: 행거유닛
410: 감착구 411: 수용부 420: 슬라이딩부재
421: 삽입부 430: 행거 431: 탄발부
432: 연결부 500: 화재감지센서 600: 회전유닛
610: 구동모터 620: 구동기어 630: 종동기어
700: 솔레노이드밸브 800: 핀스폿 900: 제어부
C: 천정

Claims (1)

  1. 소방수가 공급되는 공급부(110)와, 공급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는 분기부(120)로 구성된 소방배관(100);
    분기부(120)를 따라 임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방사상 횡 방향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디플렉터를 갖춘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사이에 배치되게 분기부(120)에 설치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안개형태로 내뿜는 분무노즐(300);
    분기부(1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분기부(120)를 감싸며, 내부에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411)를 갖춘 감착구(410)와,
    감착구(410)의 수용부(411)에 각각 끼워져 감착구(410)가 분리를 제한하고,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요철형상의 삽입부(421)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20)와,
    ‘∩’자 형상을 이루며 천정(C)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탄발부(431), 탄발부(431)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420)의 삽입부(42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부재(4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2)로 이루어진 행거(430)로 구성된 행거유닛(400);
    분기부(120)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제어부(900)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0);
    천정(C)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구동모터(610)와, 구동모터(6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620)와, 분기부(120)에 고정되며 구동기어(6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630)로 구성된 회동유닛(600);
    소방배관(100)의 공급부(110)에 설치되어 공급부(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700);
    분무노즐(30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되어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핀스폿(800);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610)를 동작제어하여 구동기어(620)와 종동기어(630)를 매개로 분기부(120)를 회동시키고, 소방배관(1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소방용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200) 및 분무노즐(3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밸브(700)를 동작제어하며, 핀스폿(800)이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1020210075538A 2021-06-10 2021-06-10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10237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38A KR102374455B1 (ko) 2021-06-10 2021-06-10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38A KR102374455B1 (ko) 2021-06-10 2021-06-10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455B1 true KR102374455B1 (ko) 2022-03-15

Family

ID=8081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538A KR102374455B1 (ko) 2021-06-10 2021-06-10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285B1 (ko) * 2022-05-06 2023-02-17 김대우 긴급 비상 대피 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06Y1 (ko) * 2006-09-21 2006-12-15 김복환 먼지 제거 분무장치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KR20170068185A (ko) * 2015-12-09 2017-06-19 장승구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753116B1 (ko)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06Y1 (ko) * 2006-09-21 2006-12-15 김복환 먼지 제거 분무장치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KR20170068185A (ko) * 2015-12-09 2017-06-19 장승구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753116B1 (ko)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285B1 (ko) * 2022-05-06 2023-02-17 김대우 긴급 비상 대피 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873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30860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374455B1 (ko)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102346594B1 (ko)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361095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US20050252989A1 (en) Water driven fire hose spinning nozzle
KR102084545B1 (ko)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2127B1 (ko)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2348875B1 (ko) 안전대피를 위한 소방표시기구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2324854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00216B1 (ko)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2485464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2587867B1 (ko) 자동 소화 기능을 갖는 레일 시스템
JPH10248954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6406744B1 (ja) 消火用放水ノズル
JP2001000574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H0698947A (ja) 自動消火システムおよびその自動運転方法
KR102478593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JP2007252636A (ja) 消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