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593B1 -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593B1
KR102478593B1 KR1020220028893A KR20220028893A KR102478593B1 KR 102478593 B1 KR102478593 B1 KR 102478593B1 KR 1020220028893 A KR1020220028893 A KR 1020220028893A KR 20220028893 A KR20220028893 A KR 20220028893A KR 102478593 B1 KR102478593 B1 KR 10247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otation
present
sound generating
rot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식
Original Assignee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2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에 관한 것으로,
소방배관(P)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관(11); 연결관(11)의 하측 좌우에 설치되는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와,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와,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12c)를 구비한 프레임(12); 하단이 지지부(12c)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연결관(11)을 폐쇄하는 감열체(13); 지지부(12c)의 하측에 설치되는 디플렉터(14)를 갖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연결관(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연결링부(21a)와, 상하 방향 및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2지지프레임부(12b')에 삽탈되는 삽입홈(21b1)을 구비하고 연결링부(21a)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방지부(21b)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빛통과홀(21c1)을 마련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고음발생판부(21c)를 갖춘 연결부재(21); 경고음발생판부(21c)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회전방지부(21b)에 설치되되,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표시램프설치대(25);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삽입홀(22a,22a')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2삽입홀(22a,22a')과 각각 연통되는 제1,2나사홀(22b,22b')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22);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1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날개판(23);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2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날개판(23'); 회전바(22)의 제1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1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하는 제1충격부재(24); 회전바(22)의 제2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2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하는 제2충격부재(24');로 구성된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의 표시램프설치대(25)에 설치되고, 별도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표시램프(30)와;
연결링부(21a)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별도의 관리센터로 소방수누수신호를 송출하는 습도감지센서(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Display Equipment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시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자동적으로 물이 분사되어 방사상으로 쏟아져 내리면서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 설비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로는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가 있는 데,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습식 스프링클러 헤드는 프레임과, 감열체(글라스벌브)와, 디플렉터를 갖추고서, 천장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야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또는 연기가 자욱할 경우), 시각적으로 대피방향을 알려 줄 수 없어,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소방수가 스프링클러 헤드와 소방배관의 연결부에서 조금씩 새어 나올 시 이를 확인할 수 없어, 소방수 누수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이에 더해, 종래의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소방관에게 화재발생 지점을 안내할 수 없어, 소방관이 화재진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87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빛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화재 대피방향을 알려 주고,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에서의 소방수 누수를 신속하게 감지하며, 소방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바(22)에 따른 충격음 발생을 통해 소방관에게 화재발생지점을 알리는 소방용 표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방배관(P)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관(11); 연결관(11)의 하측 좌우에 설치되는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와,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와,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12c)를 구비한 프레임(12); 하단이 지지부(12c)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연결관(11)을 폐쇄하는 감열체(13); 지지부(12c)의 하측에 설치되는 디플렉터(14)를 갖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연결관(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연결링부(21a)와, 상하 방향 및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2지지프레임부(12b')에 삽탈되는 삽입홈(21b1)을 구비하고 연결링부(21a)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방지부(21b)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빛통과홀(21c1)을 마련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고음발생판부(21c)를 갖춘 연결부재(21); 경고음발생판부(21c)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회전방지부(21b)에 설치되되,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표시램프설치대(25);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삽입홀(22a,22a')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2삽입홀(22a,22a')과 각각 연통되는 제1,2나사홀(22b,22b')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22);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1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날개판(23);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2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날개판(23'); 회전바(22)의 제1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1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하는 제1충격부재(24); 회전바(22)의 제2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2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하는 제2충격부재(24');로 구성된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의 표시램프설치대(25)에 설치되고, 별도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표시램프(30)와;
연결링부(21a)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별도의 관리센터로 소방수누수신호를 송출하는 습도감지센서(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표시램프(30)를 통해 화재 대피 방향을 표시하여, 대피자가 보다 신속하게 화재발생지점을 벗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에서 소방수 배출 시,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발생시켜, 전기가 아웃된 어두운 환경에서 소방관이 충격음을 따라가 화재발생지점에 신속하게 도착함으로써, 화재진압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플렉터(14)에 부딪혀 분사되는 소방수를 활용하여, 전기없이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를 연결관(11)에 나사산 체결할 시,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에 설치된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가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함께 회전하여,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가 연결관(11)에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램프(30)가 경고음발생판부(21c)의 상방에 위치하여 경고음발생판부(21c)에 의해 화재열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날개판(23,23')의 전후 위치가 서로 달라, 소방수가 디플렉터(14)에 부딪혀 분사될 시, 소방수가 넓은 영역으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한다. 즉 제1,2날개판(23,23')이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제1,2날개판(23,23')이 한쪽 방향에서 넓은 범위로 소방수와 부딪혀, 소방수의 분사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1,2날개판(23,23')의 전후 위치를 다르게 배치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날개판(23,23')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2날개판(23,23')의 길이조절을 통해 제1,2날개판(23,23')과 소방수의 접촉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회전바(22)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설치환경에 따라 화재발생 시의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은, 다수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 간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이 크게 발생되도록 하고, 다수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 간의 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이 작게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화재발생 경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뿐 아니라 제1,2충격부재(24,24')와 경고음발생판부(21c)의 충격력을 줄일 수 있어 제1,2충격부재(24,24')의 손상을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충격부재(24,24')를 회전바(22)에 설치할 시, 제1,2충격부재(24,24')의 설치와 함께 제1,2날개판(23,23')을 회전바(22)에 설치할 수 있어, 제1,2충격부재(24,24') 및 날개판(23,23')을 회전바(22)에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날개판(23,23') 및 제1,2충격부재(24,24')를 회전바(2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상이 쉬운 제1,2날개판(23,23') 및 제1,2충격부재(24,24')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11)과 소방배관(P)의 결속에 문제가 생겨 소방수가 누수될 시, 습도감지센서(40)로 이를 감지하여 이를 신속하게 관리센터로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소방배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습식스프링클러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화재발생음생성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경고음발생판부 및 회전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소방배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습식스프링클러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화재발생음생성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경고음발생판부 및 회전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도 3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도 3 상에서의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표시기구는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와, 표시램프(30) 및, 습도감지센서(40)를 포함한다.
상기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1)과, 프레임(12)과, 감열체(13) 및, 디플렉터(14)를 갖추고서, 건물에 배치되는 소방배관(P)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1)은 소방배관(P)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관(11)은 소방배관(P)과 연통된다.
상기 프레임(12)은, 연결관(11)의 하측 좌우에 설치되는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와,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와,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12c)를 갖춘다.
상기 감열체(13)는, 하단이 지지부(12c)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연결관(11)을 폐쇄한다. 본 발명에서 감열체(13)는 열이 가해지면 깨져, 연결관(11)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감열체(13)는 글라스벌브 타입이 적용된다.
상기 디플렉터(14)는, 지지부(12c)의 하측에 설치되어, 소방수가 퍼지도록 한다.
상기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는, 도 1, 도 2,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와, 표시램프설치대(25)와, 회전바(22)와, 제1,2날개판(23,23') 및, 제1,2충격부재(24,24')를 갖춘다.
상기 연결부재(21)는 연결관(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연결링부(21a)와, 상하 방향 및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2지지프레임부(12b')에 삽탈되는 삽입홈(21b1)을 구비하고 연결링부(21a)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방지부(21b)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빛통과홀(21c1)을 마련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고음발생판부(21c)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경고음발생판부(21c)는 얇은 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회전방지부(21b)는 제1지지프레임부(12b)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램프설치대(25)는, 경고음발생판부(21c)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회전방지부(21b)에 설치되되,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바(22)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삽입홀(22a,22a')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2삽입홀(22a,22a')과 각각 연통되는 제1,2나사홀(22b,22b')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바(2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방지부(21b)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날개판(23)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1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후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제1날개판(23)은 통상의 길이조절가능 안테나와 같은 방식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날개판(23)이 길이조절되면, 제1날개판(23)의 소방수 접촉 면적을 조절할 수 있어, 제1날개판(23)의 길이에 따라 회전바(22)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날개판(23')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2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제2날개판(23')은 통상의 길이조절가능 안테나와 같은 방식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날개판(23')이 길이조절되면, 제2날개판(23')의 소방수 접촉 면적을 조절할 수 있어, 제2날개판(23')의 길이에 따라 회전바(22)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충격부재(24)는, 회전바(22)의 제1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1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한다. 본 발명에서 제1충격부재(24)는 제1날개판(23)을 가압하여, 제1날개판(23)이 회전바(22)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충격부재(24)의 우단은 라운드진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충격부재(24)는, 회전바(22)의 회전에 따라 경고음발생판부(21c)에 동시에 충돌하도록, 제2충격부재(24')와 서로 길이가 다르게 구비된다.
상기 제2충격부재(24')는, 회전바(22)의 제2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2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한다. 본 발명에서 제2충격부재(24')는 제2날개판(23')을 가압하여, 제2날개판(23')이 회전바(22)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충격부재(24')의 우단은 라운드진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2날개판(23,23')을 구비하지 않고, 회전바(22)에 제1,2삽입홀(22a,22a')을 형성하지 않으며, 제,2충격부재(24,24')를 회전바(22)의 제1,2나사홀(22b,22b')에 각각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램프(30)는,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의 표시램프설치대(25)에 설치되고, 별도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램프(30)는 표시램프설치대(25)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표시램프(30)는 별도로 전원공급을 받거나 자체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구조물(건물)에 설치되어, 화재발생 시 이를 감지한다.
상기 습도감지센서(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부(21a)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별도의 관리센터로 소방수누수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습도감지센서(40)는 연결링부(12a)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소방배관(P)과 연결관(11)의 결속에 문제가 생기면, 소방수가 조금씩 새어 나온다.
이때, 습도감지센서(40)가 상기 소방수를 감지하면, 습도감지센서(40)는 별도의 관리센터로 소방수누수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의 감열체(13)가 터지기 전에, 표시램프(30)는 주변의 화재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표시램프(30)는 도 7과 같이 하방으로 빛을 방출(조사)하고, 표시램프(30)에서 방출된 빛이 경고음발생판부(21c)의 빛통과홀(21c1)을 통과하면서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의 하방에 빛줄기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빛줄기가 생성되면, 주변이 어둡더라도 대피자가 상기 빛줄기를 확인하여 외부로 대피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에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의 연결부재(21)를 습식스프링클러(10)에 삽입한다. 이때 연결부재(21)의 회전방지부(21b)가 프레임(12)에 삽입되면서 연결링부(21a)가 연결관(1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습식스프링클러(10)의 연결관(11)을 소방배관(P)에 나사산 체결할 시,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가 습식스프링클러(10)와 함께 회전하여, 습식스프링클러(1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 간의 배치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재 발생 시 경고음 발생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재가 발생하면, 고열에 의해 감열체(13)가 파괴되고, 이와 동시에 도 8과 같이 소방배관(P)으로부터 소방수가 방출된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때, 상기 소방수는 디플렉터(14)에 부딪히면서 분사되고, 이중 일부의 소방수는 측상방으로 튀어오르면서 회전바(22) 및 제1,2날개판(23,23')과 부딪힌다.
그러면, 회전바(22)가 도 9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2충격부재(24,24')는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의 경고음발생판부(21c)에 충돌하여 충격음을 발생시키킨다. 이때 회전바(22)는, 소방수가 회전바(22) 및 제1,2날개판(23,23')에 부딪힐 때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소방수가 회전바(22) 및 제1,2날개판(23,23')에 부딪히지 않을 시에는 자중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충격음이 발생하면, 소방관이 현장에 충돌하였을 시, 전기가 아웃되어 어두운 환경에서 소방관에게 화재발생지점을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표시램프(30)를 통해 화재 대피 방향을 표시하여, 대피자가 보다 신속하게 화재발생지점을 벗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에서 소방수 배출 시,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발생시켜, 전기가 아웃된 어두운 환경에서 소방관이 충격음을 따라가 화재발생지점에 신속하게 도착함으로써, 화재진압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플렉터(14)에 부딪혀 분사되는 소방수를 활용하여, 전기없이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를 연결관(11)에 나사산 체결할 시,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에 설치된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가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함께 회전하여,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가 연결관(11)에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램프(30)가 경고음발생판부(21c)의 상방에 위치하여 경고음발생판부(21c)에 의해 화재열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날개판(23,23')의 전후 위치가 서로 달라, 소방수가 디플렉터(14)에 부딪혀 분사될 시, 소방수가 넓은 영역으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한다. 즉 제1,2날개판(23,23')이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제1,2날개판(23,23')이 한쪽 방향에서 넓은 범위로 소방수와 부딪혀, 소방수의 분사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1,2날개판(23,23')의 전후 위치를 다르게 배치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날개판(23,23')이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2날개판(23,23')의 길이조절을 통해 제1,2날개판(23,23')과 소방수의 접촉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회전바(22)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설치환경에 따라 화재발생 시의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은, 다수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 간의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이 크게 발생되도록 하고, 다수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 간의 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이 작게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충격음(화재발생 경고음)을 작게 하더라도 충분한 화재발생 경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뿐 아니라 제1,2충격부재(24,24')와 경고음발생판부(21c)의 충격력을 줄일 수 있어 제1,2충격부재(24,24')의 손상을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충격부재(24,24')를 회전바(22)에 설치할 시, 제1,2충격부재(24,24')의 설치와 함께 제1,2날개판(23,23')을 회전바(22)에 설치할 수 있어, 제1,2충격부재(24,24') 및 날개판(23,23')을 회전바(22)에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날개판(23,23') 및 제1,2충격부재(24,24')를 회전바(2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상이 쉬운 제1,2날개판(23,23') 및 제1,2충격부재(24,24')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11)과 소방배관(P)의 결속에 문제가 생겨 소방수가 누수될 시, 습도감지센서(40)로 이를 감지하여 이를 신속하게 관리센터로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표시램프(30)를 이용해 화재 대피를 유도하는 구조에, 소방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소방용 표시기구'로 정의한다.
10: 습식스프링클러헤드 11: 연결관
12: 프레임 13: 감열체
14: 디플렉터 20: 화재발생음생성기구
21: 연결부재 22: 회전바
23,23': 제1,2날개판 24,24': 제1,2충격부재
25: 표시램프설치대 30: 표시램프
40: 습도감지센서

Claims (1)

  1. 소방배관(P)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연결관(11); 연결관(11)의 하측 좌우에 설치되는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와, 제1,2상측프레임부(12a,12a')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와, 제1,2지지프레임부(12b,12b')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부(12c)를 구비한 프레임(12); 하단이 지지부(12c)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단이 연결관(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연결관(11)을 폐쇄하는 감열체(13); 지지부(12c)의 하측에 설치되는 디플렉터(14)를 갖춘 습식스프링클러헤드(10)와;
    연결관(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연결링부(21a)와, 상하 방향 및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2지지프레임부(12b')에 삽탈되는 삽입홈(21b1)을 구비하고 연결링부(21a)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방지부(21b)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빛통과홀(21c1)을 마련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고음발생판부(21c)를 갖춘 연결부재(21); 경고음발생판부(21c)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회전방지부(21b)에 설치되되, 우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표시램프설치대(25);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삽입홀(22a,22a')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2삽입홀(22a,22a')과 각각 연통되는 제1,2나사홀(22b,22b')을 구비하여, 회전방지부(21b)의 하측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22);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1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날개판(23);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바(22)의 제2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날개판(23'); 회전바(22)의 제1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1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하는 제1충격부재(24); 회전바(22)의 제2나사홀(22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어 제2날개판(23')의 위치를 고정하고, 회전바(22)에서 우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회전바(22) 회전시 경고음발생판부(21c)와 충돌하는 제2충격부재(24');로 구성된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와;
    화재발생음생성기구(20)의 표시램프설치대(25)에 설치되고, 별도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표시램프(30)와;
    연결링부(21a)에 설치되어 기준값 이상의 습도가 감지되면 별도의 관리센터로 소방수누수신호를 송출하는 습도감지센서(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표시기구.
KR1020220028893A 2022-03-07 2022-03-07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KR10247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93A KR102478593B1 (ko) 2022-03-07 2022-03-07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93A KR102478593B1 (ko) 2022-03-07 2022-03-07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593B1 true KR102478593B1 (ko) 2022-12-16

Family

ID=8453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93A KR102478593B1 (ko) 2022-03-07 2022-03-07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116B1 (ko) 2023-05-17 2024-05-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4Y1 (ko) * 2003-03-18 2003-06-27 이영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클러헤드
KR200357404Y1 (ko) * 2004-03-18 2004-07-23 이영우 소화액의 토출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구를 갖는 화재경보음발생용 스프링클러헤드
KR20160141475A (ko) * 2015-06-01 2016-12-09 장선연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KR101812133B1 (ko) * 2017-09-20 2017-12-26 류진환 주소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158703B1 (ko) 2019-01-17 2020-09-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4Y1 (ko) * 2003-03-18 2003-06-27 이영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프링클러헤드
KR200357404Y1 (ko) * 2004-03-18 2004-07-23 이영우 소화액의 토출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구를 갖는 화재경보음발생용 스프링클러헤드
KR20160141475A (ko) * 2015-06-01 2016-12-09 장선연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KR101812133B1 (ko) * 2017-09-20 2017-12-26 류진환 주소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158703B1 (ko) 2019-01-17 2020-09-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116B1 (ko) 2023-05-17 2024-05-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60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CN112891768B (zh) 一种基于物联网的监测及应急灭火系统
KR101111159B1 (ko) 소화기 거치대
US20210069538A1 (en) Automated self-targeting fire suppression systems and methods
US20210299498A1 (en) A Fire Fighting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 Room of a Building, A Method Thereof and Use of an Array Sensor Therein
KR102346594B1 (ko)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KR101806168B1 (ko)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2478593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KR102445453B1 (ko) 신속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1807864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347198B1 (ko) 안전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장치
JP5757808B2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設備
KR102478590B1 (ko)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JP6395300B2 (ja) 消火システム及び放水銃装置
KR20190121579A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3248B1 (ko)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2374455B1 (ko)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JP2015037457A (ja) 泡消火設備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KR20210114195A (ko)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누수감지 장치 및 그 누수감지 장치의 작동방법
JP2005536320A (ja) 特にトンネル及び類似構造物用に設計された消火装置及び火災誘導システム
JPH09154969A (ja) 植物屋根の防災装置
KR102346753B1 (ko) 와이드 분사형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소방화재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