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475A -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475A
KR20160141475A KR1020150077189A KR20150077189A KR20160141475A KR 20160141475 A KR20160141475 A KR 20160141475A KR 1020150077189 A KR1020150077189 A KR 1020150077189A KR 20150077189 A KR20150077189 A KR 20150077189A KR 20160141475 A KR20160141475 A KR 2016014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extinguishing material
information
sit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연
Original Assignee
장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연 filed Critical 장선연
Priority to KR102015007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1475A/ko
Publication of KR2016014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01S5/0231Emergency, distress or locator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는 설치 장소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화재정보신호에 따라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화재 미발생시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로 송신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화재감시서버와 통신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화재 발생시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하는 비상용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FIRE SENSING APPARATUS, FIRE MONITORING SERVER, APPARATUS FOR EMITTING MATERIAL FOR EXTINGUISHING FIRE, CONNETION ADAPTOR AND SYSTEM FOR MONITORING FIRE}
본 발명은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의 내부 온도가 급속히 올라가고 유독 가스로 인하여 인명 피해가 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파손되거나 설비들이 영향을 받으면 화재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의 신호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의 발생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비상시에 설비들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462247 (공고일자 : 2014년11월2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비상시에 설비들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치 장소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화재정보신호에 따라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화재 미발생시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로 송신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화재감시서버와 통신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화재 발생시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하는 비상용 전원부를 포함하는 화재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는 상기 센싱부, 상기 콘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제1 통신모듈 및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은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RF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단말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재센싱장치는 화재 미발생시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용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재센싱장치는 비컨 식별자 정보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개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재감시서버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재센싱장치의 위치와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화재 미발생시 상기 화재센싱장치로부터 상기 화재센싱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상황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모니터링부; 화재 발생시 상기 위치와 상기 식별자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화재센싱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도면을 상기 위치및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서로 연관된 상기 건물의 도면, 상기 위치 및 상기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화재센싱장치가 비컨 식별자 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개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화재센싱장치로부터 상기 개인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비컨 식별자 정보를 상기 건물의 도면과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건물의 도면 및 상기 비컨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소화물질 방출장치는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소화노즐부; 분사되는 상기 소화물질이 부딪혀 회전하는 소화물질 분산부; 상기 소화물질 분산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물질의 분사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소화물질 방출장치는 온도 상승시 물리적으로 파손됨으로써 상기 소화노즐부를 통하여 상기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는 소화물질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소화물질이 이동되는 이송부에 탈착가능한 제1 연결부; 화재시 상기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와 탈착가능한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이동된 상기 소화물질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가 구비된 바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기를 통하여 동작하는 화재센싱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어댑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재센싱장치는, 설치 장소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화재정보신호에 따라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화재 미발생시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로 송신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화재감시서버와 통신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하는 비상용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은 화재 시 소화물질 방출에 따라 생성되는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도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은 화재 시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로 화재센싱장치의 화재상황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화재의 발생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를 나타낸다.
도 4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건물 도면과 화재센싱장치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시스템은 화재센싱장치(100) 및 화재감시서버(200)를 포함한다.
화재센싱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는 센싱부(110), 콘트롤러(120), 통신부(130) 및 비상용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센싱부(110)는 설치 장소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정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센싱부(110)는 온도센서(111), 습도센서(113) 및 가스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트롤러(120)는 화재정보신호에 따라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한다.
제1 화재상황정보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 습도 및 가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콘트롤러(120) 및 통신부(130)는 정상적인 상황에서 센싱부(11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싱부(110)에 의하여 센싱된 정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T1)를 통하여 화재감시서버(200)로 접속시켜 웹(web)이나 앱(app)으로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T1)는 스마트폰,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는 화재 발생시 센싱부(110), 콘트롤러(120) 및 통신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화재상황정보는 상기 식별자 정보와 더불어 상기 공간의 온도, 습도 및 가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재감시서버(200)에 접속된 단말기(T1)를 통하여 현재 일어난 화재를 센싱하는 화재센싱장치(100)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200)로 송신하고, 화재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200)와 통신가능한 단말기(T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제1 통신모듈(131) 및 제2 통신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31)은 제1 화재상황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133)은 제2 화재상황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RF 신호로 변조하여 단말기(T1)로 전송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고온의 열이나 구조물의 붕괴 등으로 인하여 네트워크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센싱장치(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는 화재 발생 시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단말기(T1)로 제2 상황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의 경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이거나 블루투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는 제3 통신모듈(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135)은 비컨(beacon) 식별자 신호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신모듈(135)이 블루투스 4.0 규격에 따라 동작할 경우 제2 통신모듈(133)은 비컨 식별자 신호를 제3 통신모듈(135) 주변의 개인 단말기(T2)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인 단말기(T2)는 제3 통신모듈(135)과 통신가능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T2)는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렛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개인 단말기(T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 있을 수 있다. 개인 단말기(T2)는 비컨 식별자 정보와 더불어 개인 단말기(T2)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재감시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서버(200)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는 인터넷망, CDMA와 같은 이동통신망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콘트롤러(120)는 화재발생 여부에 따라 통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120)는 센싱부(110)로부터 입력된 화재정보신호가 화재발생임계치를 넘어서면 제2 화재상황정보를 제2 통신모듈(133)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정보신호에 따른 상기 공간의 온도가 임계온도를 넘어서면 콘트롤러(120)는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제2 화재상황정보를 제2 통신모듈(133)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T1)는 제2 화재상황정보를 전송한 화재센싱장치(100)의 식별자와 그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네트워크의 손상과 상관없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비상용 전원부(140)는 화재 발생시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30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컨트롤러 및 통신부(130)로 공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질 방출장치(300)는 소화노즐부(310), 소화물질 분산부(330) 및 발전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노즐부(310)를 통하여 소화물질이 분사될 수 있다. 소화노즐부(310)는 소화물질 이송관(미도시)과 연결되며, 소화물질은 액체나 기체일 수 있다. 소화물질의 분사는 화재의 발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소화물질 분산부(330)는 디플렉터와 같은 것으로 분사되는 소화물질이 부딪혀 회전할 수 있다. 소화노즐부(310)를 통하여 소화물질이 고속으로 분사되므로 이러한 소화물질의 에너지를 통하여 소화물질 분산부(33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화물질 분산부(330)는 바람개비와 같은 형상의 날개를 지닐 수 있으며, 상기 날개는 소화물질 분산부(330)의 회전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틸트되도록 소화물질 분산부(33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발전기(350)는 소화물질 분산부(3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소화물질의 분사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지 프레임(370)은 소화노즐부(310)와 연결되며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질 방출장치(300)는 온도 상승시 물리적으로 파손됨으로써 소화노즐부(310)를 통하여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는 소화물질 제어부(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화물질 제어부(390)는 벌브(bulb)나 퓨즈(fuse)일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소화노즐부(310)를 막고 있다가 화재에 따른 온도 상승으로 팽창하여 깨지거나 절단되면 소화물질이 소화노즐부(310)를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는 화재 미발생시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용 전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정상용 전원부(150)가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질 방출장치(300)는 화재 시 분사되는 소화물질의 에너지를 통하여 전기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에 공급함으로써 화재 여부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비상용 전원부(140)는 발전기(350)가 생성한 전기를 화재센싱장치(100)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는 전력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350)가 DC 발전기(350)인 경우, 전력변환부는 DC-DC 컨버터와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400)는 일반적인 소화물질 방출장치(30)와 소화물질이 이동되는 이송부(40)에 탈착될 수 있다.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물질 방출장치(30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를 구동할 수 있으나,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400)를 일반적인 소화물질 방출장치(30)에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소화물질 방출장치(30)는 파이프나 튜브와 같은 이송부(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송부(40)는 소화물질이 흐르는 이송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소화물질 방출장치(30)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이송부(40)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어댑터(400)는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10)는 이송부(40)에 탈착될 수 있고, 제2 연결부(420)는 소화물질 방출장치(30)에 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소화물질 방출장치(30)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나 소화물질 방출장치(30)를 설치할 곳에도 별도의 장비를 추가하거나, 이송부(40)나 소화물질 방출장치(30)의 구조변경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10)에는 이송부(40)와 체결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결부(420)에도 소화물질 방출장치(30)와 체결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400)가 이미 이송부(40)와 소화물질 방출장치(30)이 연결된 장소에 설치될 경우, 설치자는 소화물질 방출장치(30)를 이송부(40)로부터 분리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40)를 이송부(40) 및 소화물질 방출장치(30)와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400)를 소화물질 방출장치(30)가 연결되었던 이송부(40)에 연결하여야 하므로 제1 연결부(410)의 최대 직경과 나사산이 형성된 소화물질 방출장치(30) 일측의 최대 직경이 같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어댑터(400)의 바디(430)를 통하여 소화물질이 이송부(40)로부터 소화물질 방출장치(30)로 흐를 수 이 있다. 바디(430) 내부에는 소화물질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44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체(440)는 회전축과 연결되며 회전축은 앞서 설명된 발전기(3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물질이 흐르게 되면 회전체(440)가 회전하게 되며 발전기(350)는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는 발전기(350)의 전기를 통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센싱장치(100)에 대해서는 앞서 도 2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일반적인 소화물질 방출장치(30)는 스프링쿨러와 같은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모니터링부(230), 및 데이터 전송부(2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210), 모니터링부(230), 및 데이터 전송부(250)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서버(200)는 단말기(T1)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데이터베이스(210)는 화재센싱장치(100)의 위치와 식별자를 저장한다. 화재센싱장치(100)의 위치는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건물의 도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10)는 상기 건물 도면을 저장할 수 있다. 화재센싱장치(100)의 식별자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모니터링부(230)는 화재 미발생시 화재센싱장치(100)로부터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상황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화재상황정보는 앞서 설명된 제1 화재상황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데이터 전송부(250)는 화재 발생시 상기 위치와 상기 식별자를 단말기(T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210)는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건물의 도면을 상기 위치 및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데이터 전송부(250)는 서로 연관된 건물의 도면, 상기 위치 및 상기 식별자를 단말기(T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T1)는 화재 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전송받는데, 제2 화재상황정보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T1)는 건물의 도면 상에 화재가 발생한 공간을 센싱하는 화재센싱장치(100)를 도 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서 S1 내지 S12는 화재센싱장치(100)의 식별자일 수 있으며, 301 내지 312는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되는 사무실이나 룸(room)의 번호일 수 있다.
도 4의 점선원 안에 있는 화재센싱장치(100) S1, S2, S12가 제2 화재상황정보를 단말기(T1)로 전송했으며, 단말기(T1)는 화재감지서버(200)로부터 나머지 화재센싱장치(100)에 대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소방관이 화재 신고를 받고 화재 건물에 도착할 경우 소방관은 단말기(T1)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서버(200)는 개인 단말기(T2)로부터 비컨 식별자 정보와 더불어 개인 단말기(T2)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개인 단말기(T2)가 비컨 식별자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개인 단말기(T2)의 위치는 화재센싱장치(100)의 위치 근처에 있다고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는 화재센싱장치(100)가 설치된 건물의 도면을 비컨 식별자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데이터 전송부(250)는 서로 연관된 건물의 도면 및 상기 비컨 식별자를 단말기(T1)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건물의 도면과 비컨 식별자는 서로 매핑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고, 단말기(T1)은 화재감시서버(200)로부터 비컨 식별자와 매핑된 건물의 도면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관은 단말기(T1)을 통하여 개인 단말기(T2)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화재센싱장치 S2가 설치된 302호에 위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방관은 화재가 발생한 공간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인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화재센싱장치(100)
센싱부(110)
온도센서(111)
습도센서(113)
가스센서(115)
콘트롤러(120)
통신부(130)
제1 통신모듈(131)
제2 통신모듈(133)
제3 통신모듈(135)
비상용 전원부(140)
정상용 전원부(150)
화재감시서버(200)
데이터베이스(210)
모니터링부(230)
데이터 전송부(250)
소화물질 방출장치(300)
소화노즐부(310)
소화물질 분산부(330)
발전기(350)
지지 프레임(370)
소화물질 제어부(390)
연결 어댑터(400)
제1 연결부(410)
제2 연결부(420)
바디(430)
회전체(440)
단말기(T1)
개인 단말기(T2)

Claims (12)

  1. 설치 장소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화재정보신호에 따라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화재 미발생시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로 송신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화재감시서버와 통신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화재 발생시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하는 비상용 전원부
    를 포함하는 화재센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는 상기 센싱부, 상기 콘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센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1 통신모듈 및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모듈은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모듈은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RF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센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미발생시 전원을 공급하는 정상용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센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비컨 식별자 정보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개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센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재센싱장치의 위치와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화재 미발생시 상기 화재센싱장치로부터 상기 화재센싱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의 화재상황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모니터링부;
    화재 발생시 상기 위치와 상기 식별자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시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화재센싱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도면을 상기 위치 및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서로 연관된 상기 건물의 도면, 상기 위치 및 상기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시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센싱장치가 비컨 식별자 정보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개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화재센싱장치로부터 상기 개인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비컨 식별자 정보를 상기 건물의 도면과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건물의 도면 및 상기 비컨 식별자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시서버.
  9.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소화노즐부;
    분사되는 상기 소화물질이 부딪혀 회전하는 소화물질 분산부;
    상기 소화물질 분산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물질의 분사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온도 상승시 물리적으로 파손됨으로써 상기 소화노즐부를 통하여 상기 소화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는 소화물질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
  11. 소화물질이 이동되는 이송부에 탈착가능한 제1 연결부;
    화재시 상기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물질 방출장치와 탈착가능한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이동된 상기 소화물질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가 구비된 바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기를 통하여 동작하는 화재센싱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어댑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센싱장치는,
    설치 장소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여 화재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화재정보신호에 따라 화재 미발생시 제1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고, 화재 발생시 제2 화재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화재 미발생시 상기 제1 화재상황정보를 화재감시서버로 송신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제2 화재상황정보를 상기 화재감시서버와 통신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하는 비상용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댑터.
KR1020150077189A 2015-06-01 2015-06-01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KR20160141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89A KR20160141475A (ko) 2015-06-01 2015-06-01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89A KR20160141475A (ko) 2015-06-01 2015-06-01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475A true KR20160141475A (ko) 2016-12-09

Family

ID=5757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189A KR20160141475A (ko) 2015-06-01 2015-06-01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14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7274A1 (en) * 2018-07-16 2020-01-22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and sprink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643366A1 (en) * 2018-10-23 2020-04-29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having integrated antenna functionality
KR102478590B1 (ko) * 2022-03-04 2022-12-16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KR102478593B1 (ko) * 2022-03-07 2022-12-16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47B1 (ko) 2014-03-10 2014-11-21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적외선 열영상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47B1 (ko) 2014-03-10 2014-11-21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적외선 열영상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 및 자동소화장치 인터페이스 플랫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7274A1 (en) * 2018-07-16 2020-01-22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and sprink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0018261A1 (en) * 2018-07-16 2020-01-23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and sprink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190408A1 (en) * 2018-07-16 2023-06-07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and sprink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643366A1 (en) * 2018-10-23 2020-04-29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having integrated antenna functionality
WO2020083695A1 (en) * 2018-10-23 2020-04-30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having integrated antenna functionality
KR102478590B1 (ko) * 2022-03-04 2022-12-16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KR102478593B1 (ko) * 2022-03-07 2022-12-16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1475A (ko) 화재센싱장치, 화재감시서버, 소화물질 방출장치, 연결 어댑터 및 화재감시시스템
EP3359303B1 (en) Smoke detector tester
US8077026B2 (en) Technician communications for automated building protection systems
US20190314657A1 (en) Unmanned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Fire Extinguishing Action
JP2009515242A (ja) 電気装置のラックにおける火災検知装置
US20160107007A1 (en) Line connector having a lin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US20070241879A1 (en) Communications for Automated Building Protection Systems
US102322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leak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20040027534A (ko)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20180061602A (ko) IoT 기반 반고정식 이동형 화재 탐지 시스템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CN112351824A (zh) 喷洒器和包括该喷洒器的喷洒系统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CN104809852B (zh) 用于危险管理系统的总线的组合
US9202364B2 (en) Wireless alarm device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environment and system specific states using the internet
US20070241877A1 (en) Communications or Reporting for Automated Protection Systems
KR102132288B1 (ko) IoT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1083132B1 (ko) 비행시험 계측데이터 실시간 전송용 중계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501086A (zh) 檢測系統及方法
KR101005427B1 (ko)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EP2402919A1 (en) Intelligent fire extinguishing
KR20130121490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전원관리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20180138507A (ko) 소방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