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374B1 -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374B1
KR101684374B1 KR1020160061039A KR20160061039A KR101684374B1 KR 101684374 B1 KR101684374 B1 KR 101684374B1 KR 1020160061039 A KR1020160061039 A KR 1020160061039A KR 20160061039 A KR20160061039 A KR 20160061039A KR 101684374 B1 KR101684374 B1 KR 101684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control
modul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근
Original Assignee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6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간 및 화재 발생 장소를 개인용 정보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직접 전송하여 화재 장소를 회피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소방 관제가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간 및 화재 발생 장소를 개인용 정보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직접 전송하여 화재 장소를 회피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소방 관제가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건축물은 물론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화재시 이를 알리기 위한 자동 화재 탐지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재 탐지 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센서에 의하여 인식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화재 발생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이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보통, 소방 관리에 사용되는 화재 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 대상물의 관계자 또는 소방서측으로 경보하여 주는 것으로서,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M형 수신기, GP형 수신기, GR형 수신기 등이 있다.
한편, P형 복합식 수신기라 함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를 제외함)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외 소화설비, 스프링클러 설비, 물 분무 소화설비, 포 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물 소화설비, 분말 소화설비,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R형 복합식 수신기, GP형 복합식 수신기, GR형 복합식 수신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신기를 구성하는 전원 입력측의 양선 및 외부 부하에 직접 전원을 송출하도록 구성된 회로에는 퓨즈 또는 브레이커 등을 설치하여야 하고, 내부에는 예비 전원을 설치하여야 하며, 전면에는 이 예비 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장치가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취급 및 점검이 쉬워야 하고, 보수 및 부속품의 교체가 쉬워야 하며, 전기적기능에 영향이 있는 단자, 즉, 나사 및 와셔 등은 동합금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 성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소방 건물내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이들 수신기간의 상호 통신이 불가능하여 건물 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없고, 각 요소에 배치된 발신기의 수가 많아지게 되는 경우 각 회로의 동작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터리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점검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언제 각 화재장비의 점검이 있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장비 상태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장비를 점검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화재 발생시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를 알려주지 못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방건물의 이력을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 수신기는 화재 감지 및 단순 알림 서비스에 국한되며, 다른 관제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효과적인 상호 작용 구현에 있어서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일반적인 수신기는 수신기 주위에서 발생된 화재에 대해서는 온도 또는 불꽃을 감지할 수 없었으므로 수신기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이용자에게 경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 제어부에서는 주경종을 울리기 위한 스위치나 도통 시험을 위한 스위치 또는 동작이나 회로 시험을 위한 스위치 등 다수의 스위치와 연결된 다수의 포트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렇게 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고,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관제 시스템에서는 단일 관제 모듈은 단일 관제 모듈과 연결된 단일 관제 시스템에서만 제어 및 관제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여 다수 시설 및 지역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적인 시스템 구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다중 관제 시스템을 통한 소방 관제 관리 시스템의 시너지 효과를 얻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23800호(2011.03.14.)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인터넷 등록이 된 사용자에게 화재에 대한 실시간 정보 사항 및 경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방재 대응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온라인을 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등록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분산되어 있는 건물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원입력부, 파워서플라이부, 입력회로부, CPPI부,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회로부와 CPPI부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배치시켜 화재 발생 정보에 대한 입력 신호만이 아니라 방화 관리자에 의한 화재 관제 및 방재를 위한 제어 신호인 출력 신호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과; 상기 소방 복합 관제 모듈과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 및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소방 복합 관제 모듈에서 수신된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재분배를 관장하는 화재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고, 원격지인 관리사무소 및 소방서에서 즉각적인 방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치되고 있는 더미단말기(Dummy Terminal)(800)와, 상기 더미단말기(800)에 결합되어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감시유닛(810)과, 상기 더미단말기(800)와 와이파이로 무선통신하는 AP(Access Point)(820)와, 각 세대별로 소화전 위에 경보기를 포함한 유도등을 갖춘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AP(820)와 무선통신하면서 세대내 설치된 화재감지기(830)와는 유선으로 연결된 감시컨트롤러(8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시컨트롤러(840)는 각 동별로 1층 혹은 지층에 설치되는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시유닛(810)은 더미단말기(800)의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되어 AP(820)를 통해 상기 감시컨트롤러(840)의 제어하에 더미단말기(800)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영상은 AP(820)를 경유하여 감시컨트롤러(840)의 메모리부(848)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시유닛(810)은 사각블럭 형상의 유닛바디(811)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바디(811)의 일측면에는 그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된 사각블럭 형상의 검출블럭(812)이 형성되며, 상기 검출블럭(812)의 둘레에는 4개의 온도감지센서(813)가 설치되고, 상기 유닛바디(811)의 둘레에는 4개의 연기감지홀(8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바디(811)의 타측면에는 고정돌기(815)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815)의 단부에는 볼죠인트부(816)가 형성되며, 상기 볼죠인트부(816)는 죠인트고정부재(817)에 볼죠인트되고, 상기 죠인트고정부재(817)의 단부에는 유에스비단자(818)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에스비단자(818)가 상기 더미단말기(800)에 접속되면, 상기 더미단말기(800)의 제어부가 인식하고, 인식되면 상기 더미단말기(800)의 제어부는 상기 AP(820)를 통해 감시컨트롤러(840)의 제어부(842)와 통신하여 구동이 제어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간 및 화재 발생 장소를 개인용 정보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직접 전송하여 화재 장소를 회피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소방 관제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파워서플라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입력회로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CPPI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메인 중앙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서브 중앙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이 적용된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향을 간략하게 표시한 도면
도 9는 다양한 화재 발생 정보가 개인용 정보 단말기로 송출되는 시스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에 접목된 세대내 감지설비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구성중 감시유닛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은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은 입력 회로부(120), CPPI부(130), 메인 중앙제어부(140), 서브 중앙처리부(150) 및 파워 서플라이부(1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워 서플라이부(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정류 브리지로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111)와, 상기 전원 입력부(111)에서 출력된 전원을 평활하여 직류 전압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제1,2 전원부(112, 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류 전원은 제1,2 전원부(112, 113)를 통과시켜 평활화된 전원을 직류 5V, 직류 3.3V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워서플라이부(110)의 출력 직류 전원은 입력회로부(120), CPPI부(130), 메인 중앙제어부(140)와 서브 중앙처리부(150)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입력회로부(120)는 도 4에서와 같이, 화재 감지기에 직접 연결되는 연결단(122)과,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 감지와 자기 진단 및 주기적인 화재 감시를 하기 위한 입력감시부(12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122)은 60개의 커넥터로 형성하고, 상기 입력감시부(121)는 60개의 칩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커넥터에서 인가된 데이터를 10개의 입력감시부로 분산하여 화재 감시를 하게 된다.
또한, 화재 발생시 상기 입력 감시부(121)의 칩을 통과하여 신호를 변화시켜 화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칩 내부 신호는 화재 미감지시 3V 내지 5V 를 유지하게 되고, 화재 감지기에서 6V 내지 10V 출력 신호가 입력감시부(121)에 인가되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한다.
아울러, 상기 CPPI부(13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3개의 씨모오스(CMOS)를 병렬로 연결한 CPPI단(131)과, 8개 LED의 온오프로 화재 신호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표시부(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CPPI단(131)에서는 입력회로부(120)의 입력감시부(121) 출력을 인가 받아 화재 감지 정보와 위치 신호를 결합하여 시간 및 공간상 화재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CPU 보드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표시부(132)에서는 현재 CPPI와 CPU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고, 8개 LED를 불규칙적으로 점등/소멸하여 화재 발생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CPPI(CMOS Programmable Process Interface)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 관제 모듈 구성에 있어서 핵심 모듈로써, 그 기능은 화재 발생 정보에 대한 다양한 신호를 씨모오스(CMOS)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화재 발생 시간 정보, 화재 발생 장소 및 최적 대피구의 위치 정보를 결합시켜 메인 중앙제어부(1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중앙제어부(140)에서는 상기 CPPI부(130)의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실시간 화재 감지 신호를 제어한다. 이때, 화재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입력회로부(120)와 CPPI부(13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즉, 상기 입력회로부(120)의 내부 60개 칩을 순차로 탐색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신호를 사용자의 PC로 전송한다.
상기 서브 중앙처리부(150)는 메인 중앙제어부(140)가 정상 작동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이때, 일정 주기로 상기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처리 용량을 조사하여 일정 범위보다 작거나 크면 서브 중앙처리부(150)가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게 하고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원복시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브 중앙처리부(150)는 감지된 화재 발생 신호를 연계된 이더넷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용 정보 단말기(미도시)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출력이 비정상 신호이면 상기 서브 중앙처리부(150)가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기능과 외부 이더넷망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은 화재 수신기 내부에 탑재하여 구성하며 화재 발생 정보를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에 근무하는 방화관리자에게 전송하게 함으로써 관리사무소내 관제 센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아파트 동별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이 구비되고, 이들은 모두 관리사무소내 관제 센터와 연결되며, 호수별로는 등록된 단말기(스마트폰)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등록할 수 있는 단말기의 대수는 4인 가족 기준으로 보고, 예비 대수를 포함하여 최대 5대까지가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은 관할구역내 최근접 소방서와 연결되어 통합 소방망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의 아파트 즉, 아파트별로 각각 구축되기 때문에 화재 관제 서버와 그룹웨어 허브를 IP Network 혹은 TCP IP를 통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그룹웨어 허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을 연결함으로써 구분 가능하게 구성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모듈(100)은 화재 수신기 내부로 탑재하여 구성하며, 모듈(100)을 통한 화재 발생 정보를 그룹웨어 허브를 연계시켜 송출하도록 한다. 즉, 관리사무소내 방화관리자, 각 세대별 등록 단말기로 화재 발생 위치 및 시간 정보를 PC 화면에 송출하거나 SMS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전송함으로써 화재 감지시 즉각적이고도 효율적인 방재 관리 업무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 화재 정보 송출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수신기에 60개의 커넥터를 결합시켜 파워서플라이부(110)를 통하여 외부 전원을 모듈에 공급한다.
이어서, 상기 커넥터의 출력을 인가 받는 입력감시부(121)를 통하여 화재 수신기의 오작동 감지와 자기 진단 및 주기적인 화재 감시를 한다.
그리고, 화재 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그 신호를 CPPI단(131)의 씨모오스(CMOS)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화재 발생 장소의 위치 정보와 발생 시간 정보를 결합시켜 메인 중앙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부(132)를 구성하는 8개의 LED를 불규칙적으로 점등/소멸하여 화재 발생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CPPI부(130)의 출력 신호를 인가 받는 메인 중앙제어부(140)에서는 화재 발생 정보의 변화를 실시간 업그레이드한다. 이때, 상기 메인 중앙제어부(140)에서는 발화 장소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화재 이동 궤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탈출구를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서브 중앙처리부(150)를 통해 이더넷망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건물 및 인근 구역 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출입 경고 문자 및 발화모습을 캡쳐한 화상을 개인용 정보 단말기로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서브 중앙처리부(150)에서는 상기 메인 중앙제어부(140)가 정상 작동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하거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탈출구 정보를 내장하여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 후 이와 연계된 이더넷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인용 정보 단말기(미도시)로 화재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출력이 비정상 신호이면 서브 중앙처리부(150)가 메인 중앙제어부(140)의 기능과 외부이더넷망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출력 전송하는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는, 내장된 실화에 대한 실시간 정보로 구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된 최적의 탈출구를 통하여 상기 실화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브 중앙처리부(150)에 사용자의 내역을 저장하고 있는 공간을 두어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 발생 지령이 출력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문자와 화상으로 개인용 정보 단말기인 휴대폰, PC, PDA 등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 송출은 1초 이내로, 문자 전송은 10초 이내로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정한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층별, 객실별로 위치 표시되는 건물을 구분하여 레이아웃된 도면을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른 방재 작업 및 최적의 화재 대피 위치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화재 경고 메시지에서 화재 대피 작업 완료시까지 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 및 실시간 정보 디스플레이 화면 송출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면 정보는 각 세대별 등록 단말기로 송출함은 물론 소방서에 등록된 소방관 단말기에도 표시되게 하고, 소방서의 메인 제어화면에도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방 관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유도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을 설명하면 도 2와 같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각 아파트의 각 동별로 설치된 다수의 소방 복합 관제모듈(100),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다수의 소방 관제용 모듈(300) 및 관리시스템(4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방 관제용 모듈(300)과 관리시스템(400)은 상기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 신호를 전송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 통신 접속여부 및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에 감지된 화재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재분배를 관장하는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과,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재분배되는 단일 관제 신호를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 및 데이터 베이스(350)와 연동하는 단일 관제 모듈(310)과, 상기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재분배되는 다중 관제 신호를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 및 데이터 베이스(350)와 연동하는 다중 관제 모듈(320)과, 상기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재분배되는 소방 신호 및 관리 시스템의 설정에 의한 신호를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베이스(350)와 연동하는 문자 전송 모듈(330) 및 상기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을 관리하며 관제 관련 데이터 베이스(350) 서버에 접속 가능한 관리 모듈(3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모듈(310 내지 35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다수 관리 시스템(410 내지 470)을 통하여 다수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및 감독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 사전 감지시부터 실 화재시까지 즉각적인 방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관제 시스템(400)은 단일관제모니터링 시스템(410), 다중관제모니터링 시스템(420), 문자전송 및 관리시스템(430), 설정 변경 시스템(440), 로그 모니터링 시스템(450), 관리자 등록 시스템(460) 및 사용자 등록시스템(470)으로 구성한다.
상기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은, 다수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를 체크 하고 이상유무를 항시 체크 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에서 보내온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재분배를 관장한다.
이 경우,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을 프로세서의 한계에 의한 접속 지연 유도와 다른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로의 재접속 유도와 라이센스에 의한 접속 감시 모듈을 활성화한다.
이때, 보안 및 관리의 용의성을 위해 관리 모듈에 의해 등록 되어진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만의 접속을 제한하도록 하고,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의 동작 방식이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인지 서버 동작 방식 인지를 감지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에 대해서는 실시간 통신 수신 대기상태로 항시 유지하다가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의 접속 요구시 실시간으로 연결을 확립, 유지, 관리 하여 실시간 화재 정보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 관리 모듈(340)에 화재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재 분배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버 동작 방식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에 대해서는 서버 동작 방식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통신이 연결 되어질 때까지 주기적으로 접속을 시도하여 서버 동작 방식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접속시 연결을 확립, 유지, 관리하여 실시간 화재 정보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 관리 모듈(340)에 화재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재분배하며, 외부 네트워크망의 트래픽 사항을 고려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의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신호의 미감지신호에 대하여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 관리 모듈(340) 등에 데이터 전송 싸이클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송 싸이클이 조정되어 있더라도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의 화재 신호 시는 무조건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 관리 모듈(340)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일 관제 모듈(310)은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에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를 체크 하고 이상유무를 항시 체크하고,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보내온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과 관리 모듈(340)에 재분배한다.
이 경우, 단일 관제 모듈(310)의 프로세서 한계에 의한 접속 지연 유도와 다른 단일 관제 모듈(310)로의 재접속유도와 라이센스에 의한 접속 감시 모듈을 활성화하며, 보안 및 관리의 용의함을 위하여 관리 모듈에 의해 등록된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의 접속을 제한하도록 한다.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의 동작 방식이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인지 서버 동작 방식 인지를 감지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의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에 대해서는 실시간 통신 수신 대기상태로 항시 유지하다가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의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의 접속 요구시 실시간으로 연결을 확립, 유지, 관리하여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받은 실시간 화재 정보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과 관리 모듈(340)에 화재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재분배한다.
그리고, 서버 동작 방식의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에 대해서는 서버 동작 방식의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과 통신이 연결 되어질 때까지 주기적으로 접속을 시도하여 서버 동작 방식의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과 접속시 연결을 확립, 유지, 관리하여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받은 실시간 화재 정보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 과 관리 모듈(340)에 화재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재분배한다.
이 경우, 외부 네트워크 망의 트래픽 사항을 고려 하여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의 각종 이벤트 신호의 미감지신호에 대하여 관리 모듈(340)과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등에 데이터 전송 싸이클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송 싸이클이 조정 되어 있더라도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의 화재 신호시는 모조건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과 관리 모듈(34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중 관제 모듈(320)은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에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를 체크 하고 이상유무를 항시 체크 하고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보내온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 하여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과 관리 모듈(340)에 재분배 한다.
단일 관제 모듈(310)의 프로세서의 한계에 의한 접속 지연 유도와 다른 다중 관제 모듈(320)로의 재 접속유도와 라이센스에 의한 접속 감시 모듈을 활성화하며, 보안 및 관리의 용의함을 위하여 관리 모듈에 의해 등록 되어진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의 접속을 제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의 동작 방식이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인지 서버 동작 방식 인지를 감지하여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의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에 대해서는 실시간 통신 수신 대기상태로 항시 유지하다가 클라이언트 동작 방식의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의 접속 요구시 실시간으로 연결을 확립, 유지, 관리하여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받은 실시간 화재 정보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과 관리 모듈(340)에 화재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재분배한다.
서버 동작 방식의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에 대해서는 서버 동작 방식의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과 통신이 연결되어질 때까지 주기적으로 접속을 시도하여 서버 동작 방식의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과 접속시 연결을 확립, 유지, 관리 하여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받은 실시간 화재 정보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과 관리 모듈(340)에 화재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재분배하도록 한다.
이 경우, 외부 네트워크 망의 트래픽 사항을 고려 하여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의 각종 이벤트 신호의 미감지신호에 대하여 관리 모듈(340)과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등에 데이터 전송 싸이클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송 싸이클 조정 되어 있더라도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의 화재 신호시는 무조건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과 관리 모듈(340)에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문자 전송 모듈(330)은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430)에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430)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를 체크 하고 이상유무를 항시 체크 하고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보내온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 하여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430) 과 관리 모듈(340)에 재분배한다.
이때,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430) 프로세서의 한계에 의한 다중 문자 전송 로드 밸런싱 모듈을 내장하여, 문자 전송 지연에 대한 시간을 최소 하였으며, 수신자의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체크 하여, 수신자의 수신 실패시 재전송을 실행하여, 관리 모듈에 등록되어진 모든 수신자가 문자를 모두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등의 각종 신호들에 따른 관리 모듈(340)에 의한 설정에 맡게 문자를 유연성 있게 발송 하도록 하며,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서 보내온 화재 신호는 관리 모듈(340)에 입력 되어진 수신자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메시지 형식이, [소방수신기상태] + [감지된 지역명] + [신호감지내용]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메시지 생성시 이전 신호와 비교하여 새롭게 추가된 내용만을 생성 하므로 수신자의 혼란을 막을 수 있으며, 소방수신기의 상태가 변화하였을 시, 즉 신호감지이벤트 신호 -> 화재 감지 신호로 변경,에는 감지되어진 모든 신호의 내용을 전송하며, 화재 진압에 대한 신호(예:복구버튼을 눌렀을 경우 해당 관계자가 감지 신호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하였으므로 ‘복구 버튼 눌림’이라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새로운 신호 입력시 문자전송을 하지 않음) 입력 진압 메시지만을 전송하며, 모든 신호가 미감지되면 ‘모든 신호가 복구되었음’이란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런한 모든 신호 및 메시지를 관리모듈(340)에 전송하여 데이터 베이스 모듈(350)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 모듈(340)은 관제 시스템(400)에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관제 시스템(400)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를 체크 하고 이상유무를 항시 체크하고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에서 보내온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350)화 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과 관리 시스템의 설정 값을 비교 분석하여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에 관리 신호를 재분배하며, 관제 관리시스템(400)에서의 관리 설정 변경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관제시스템(400)의 관리 설정 값의 변경시 실시간으로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 단일 관제 모듈(310), 다중 관제 모듈(320), 문자 전송 모듈(330)에 관리 설정 값을 적용하여 유연성 있는 프로세서 운영을 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일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10)은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 한 곳의 화재 감지 지역을 개인용 컴퓨터에 지도 형태로 도식화 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화재 감지시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으로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재 구역을 표시하며, 스피커로 청각 경보를 알려주고, 오동작이나 각종 스위치부 신호 및 다른 이벤트 발생시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으로 지도를 화면에 출력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오동작 구역 및 각종 스위치부나 다른 이벤트 신호를 표시하며, 화재 신호와 다른 각각의 청각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알려주며,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과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화재 감지 시 및 기타 신호 감지시 모든 진행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한다.
이러한 모든 신호 감지시 도면에 출력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고, 사용자 환경의 모니터에 맞는 해상도와 크래픽의 크기 등을 자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설정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단일 관제 모듈(310)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 하였으며, 사용자 환경의 변경의 있을시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상기 다중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420)은 복합 관제 모듈(100)의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하여 화재 감지 지역을 개인용 컴퓨터 또는 고성능의 컴퓨터에서 지도 형태로 도식화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화재 감지시 개인용 컴퓨터 또는 고성능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재 구역을 표시하며, 스피커로 청각 경보를 알려주고, 오동작이나 각종 스위치부 신호 및 다른 이벤트 발생시 개인용 컴퓨터 또는 고성능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지도를 화면에 출력하고 오동작 구역 및 각종 스위치부나 다른 이벤트 신호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화재 신호와 다른 각각의 청각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알려주며, 소방 복합 관제 모듈과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결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 주고, 화재 감지 시 및 기타 신호 감지 시 모든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며, 이러한 모든 신호 감지시 도면에 출력 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고, 사용자 환경의 모니터에 맞는 해상도와 크래픽의 크기 등을 자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설정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다중 관제 모듈과 자동으로 접속 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 하였으며, 사용자 환경의 변경의 있을 시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기타 시스템 구성으로는 관리 모듈(340)과 연결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의 접속 및 신호 체계에 대한 명령을 화재 모니터링 모듈(200)에 전송하여 화재 모니터링의 설정 값을 변경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시키며, 관리 모듈(340)과 연결하여 단일 관제 시스템(410) 및 단일 관제 모듈(310)을 제어 하고 데이터 베이스화시키며, 관리 모듈(340)과 연결하여 다중 관제 시스템(420) 및 다중 관제 모듈(320)을 제어하고 데이터 베이스화시키며, 문자 전송 모듈(330)에 사용자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문자 전송관리 시스템(430)을 제어하고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며, 사용자의 로그 분석 등의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즉, 관리 모듈(340)과 연결되는 설정변경시스템(440), 로그 모니터링 시스템(450), 관리자 등록시스템(460), 사용자 등록시스템(470)을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관제 모듈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의 제어 방향을 간략하게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에서는 건물 곳곳에 설치된 화재감지 센서와 엘리베이터 동작 감지 센서, 방화셔터 등으로부터 들어온 데이터를 토대로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수신기에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을 부착함으로써, 이후 화재 정보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수신기에 등록된 모든 단말기에 지도와 함께 표시해주는 것은 물론, SMS알림, 전화 등을 통해 화재 사실을 통보한다.
화재 발생 정보제공 내용은 이미 상술하였는 바, 이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모듈 및 이에 따른 제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회로부(120)와 CPPI부(130)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배치시켜 입력만이 아닌 출력 신호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입력회로부(120)와 CPPI부(130)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배치시켜 화재 발생 정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정보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공된 정보에 따라서 효율적인 방재가 가능하도록 방화 관리자에 의한 화재 관제 및 방재를 위한 제어 신호인 출력 신호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소방 복합관제 모듈(100)을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회로부(120)와 CPPI부(130) 사이에 통신 모듈인 RSC 485를 구성시킨다.
즉, 관제용 컴퓨터 또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원격에서 관리자에 의한 소방 수신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재 감지와 오동작에 대한 모든 정보는 저장되어 소방 유지 및 보수, 관제 정보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다양한 화재 발생 정보가 개인용 정보 단말기로 송출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정보 단말기(미도시)로는 화재 발생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구조의 지리적 도면과 실화 장소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하여, 관제 시스템에서 원격으로 화재 감지 시 최적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개인용 정보 단말기 혹은 개인용 PC의 의미는 전용 제어시스템을 갖추지 않고도 소방서에 구비된 간단한 퍼스널컴퓨터만을 가지고도 소방 방제시스템,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어떤 특정한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에 더하여, 각 세대중 어느 한 곳에서 발화시 발화영상을 실시간으로 확보하여 조기에 대응수위를 높여 방재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의 감지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감시장비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각 세대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치되고 있는 더미단말기(Dummy Terminal)(800)와, 상기 더미단말기(800)에 결합되어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감시유닛(810)과, 상기 더미단말기(800)와 와이파이로 무선통신하는 AP(Access Point)(820)와, 각 세대별로 소화전 위에 경보기를 포함한 유도등을 갖춘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AP(820)와 무선통신하며, 세대내 설치된 화재감지기(830)와는 유선으로 연결된 감시컨트롤러(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시컨트롤러(840)는 각 동별로 1층 혹은 지층에 설치되는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더미단말기(800)는 보통 휴대폰, 특히 스마트폰을 새로운 모델로 바꾸거나 혹은 기기변경 등을 이유로 기존 폰은 그대로 둔 채 새 폰을 구매한 경우 기존 폰은 더미 폰, 즉 더미단말기가 된다.
그런데, 더미 폰이라고 할지라도 와이파이 존에서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카메라를 통한 촬영 기능은 그대로 살아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간단하면서도 큰 비용을 지출하지 않고 각 세대별 화재 감시장비를 만들 수 있다.
특히, 각 세대에는 대부분 AP(82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더미단말기(800)에는 감시유닛(810)이 접속된다.
상기 감시유닛(810)은 더미단말기(800)의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되어 AP(820)를 통해 특정신호가 전송되면 감시유닛(810)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영상은 AP(820)를 경유하여 감시컨트롤러(840)의 메모리부(848)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감시유닛(810)은 도 11의 예시와 같이, 사각블럭 형상의 유닛바디(811)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바디(811)의 일측면에는 그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된 사각블럭 형상의 검출블럭(812)이 형성되며, 상기 검출블럭(812)의 둘레에는 4개의 온도감지센서(813)가 설치되고, 상기 유닛바디(811)의 둘레에는 4개의 연기감지홀(8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바디(811)의 타측면에는 고정돌기(815)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815)의 단부에는 볼죠인트부(816)가 형성되며, 상기 볼죠인트부(816)는 죠인트고정부재(817)에 볼죠인트되고, 상기 죠인트고정부재(817)의 단부에는 유에스비단자(818)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에스비단자(818)를 상기 더미단말기(800)에 접속하면, 상기 더미단말기(800)의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고, 인식되면 상기 더미단말기(800)의 제어부는 상기 AP(820)를 통해 감시컨트롤러(840)의 제어부(842)와 통신하여 구동이 제어되도록 설계된다.
더구나, 더미단말기(8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는 촬영하기 좋은 위치로 배치되게 벽면 혹은 천정에 더미단말기(8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거치대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더미단말기(800)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도감지센서(813)는 검출한 온도값을 주기적으로 감시컨트롤러(840)로 송신하며, 이의 구동전원은 더미단말기(800)로부터 공급받는다.
아울러, 상기 연기감지홀(814)은 도 12의 도시와 같이, 유닛바디(811)의 내부 중앙에 구형 챔버(CH)가 형성되고, 상기 구형 챔버(CH)에는 연기검출기(GD)가 설치되어 검출신호를 상기 유에스비단자(818)를 통해 더미단말기(800)로 전송하고, 더미단말기(800)는 AP(820)와 무선통신하여 해당 정보를 다시 감시컨트롤러(840)로 송신하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온도감지센서(813)의 송수신 경로도 상기 연기감지홀(814)의 감지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기감지홀(814)은 도시와 같이, 도입부가 확경된 상태로 반구형상을 이루도록 하면 연기 도입효율이 우수하여 감지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각 세대에 정규적으로 설치된 화재감지기(830)는 연기감지기일 수도 있고, 온도감지기일 수도 있으며, 열 감지기 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화재감지기(830)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선을 통해 감시컨트롤러(840)에 직접 연결된다.
물론, 기존에는 감시컨트롤러(840)가 없었기 때문에 직접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까지 연결 배선되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감시컨트롤러(840)가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화재감지기(830)는 상기 감시컨트롤러(840)까지만 유선연결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컨트롤러(840)는 상기 AP(820)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844)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42)와, 상기 제어부(84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신호, 이를 테면 영상신호를 절체하여 필요한 영상 신호만 송신하도록 하는 신호절체부(846)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8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842)는 화재감지기(830)가 감지신호를 송신한 경우, 즉시 더미단말기(800)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주변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 후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을 통해 관제본부, 이를 테면 소방서 및 관리사무소로 송신한다.
그러면, 어느 아파트의 어느 동, 어느 세대, 어느 방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화재 형태는 어떤 것인지를 영상을 통해 즉시 확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대처 능력이 급격히 향상된다.
이것은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에 코드 값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아파트, 어느 동, 어느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아주 빠른 시간내에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지도 정보와 연계된 경우 해당 아파트의 도면이 제공되어 소방관의 접근을 더욱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기타 등록 단말기로 안내하는 등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아울러, 화재감지기(830)의 감지신호에 의한 경우는 설치된 다수개의 더미단말기(800) 전부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촬영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재감지기(830)가 아닌 더미단말기(800)에 접속되어 있는 감시유닛(810)에 의해 검출된 경우라면 해당 더미단말기(800)의 카메라만 활성화시켜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수신하여 대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호절체부(846)는 촬영 영상의 분량이 많아 용량이 클 경우 전송 실패 또는 전송 오류가 발생하므로 제어부(842)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길이 혹은 일정시간별도 절체하여 적정 크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오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덧붙여, 상기 감시컨트롤러(840)는 매우 중요한 함체이기 때문에 상기 감시컨트롤러(840)를 구성하는 함체는 모두 내화재로 코팅된다.
바람직한 내화재로는 폴리스티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팽창흑연 12중량부; 지르코늄 4중량부; 백유(white spirit) 6중량부, 메틸펜텐 폴리머(MPP:methyl pentene polymer)수지 4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2중량부, 나프텐 증류액 5중량부, 지방산 그리시딜 에스테르(fatty acid glycidyl esters) 10중량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5중량부; 아크릴모노머 10중량부; 규산나트륨 5중량부; 에틸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 3중량부로 조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스티렌수지는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혼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은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난연 플라스틱, 난연 EPS, 난연 우레탄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지르코늄은 화재발생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 또는 질소화물로 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내화성과 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백유는 유화성을 갖추고 있으므로 산소와 습기에 저항하여 녹 발생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첨가되고, 나프텐 증류액은 일종의 용제이며, 지방산 그리시딜 에스테르와 무수프탈산은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모노머는 상온안정성을 증대시켜 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코팅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규산나트륨은 주로 물유리(Water Glass)로 통칭되는 것으로 화재 등에 의해 발열시 주변에 본 발명 조성물에 함유된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겔화되면서 필름을 형성하게 되고, 이 필름에 의해 불연성이 증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틸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는 염기성 가수분해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메틸펜텐 폴리머수지는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좋아 도포하기 용이한 수지재료이며, 특히 융점이 235℃로서 매우 높고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가 PP나 PC 보다 우수하며, 내열안정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경화제로 첨가되며,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는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접착력 향상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액이 코팅된 코팅층의 내화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술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내화액을 철판에 5mm의 두께로 코팅한 후 경화시켰다.
그런 다음, 내화도 테스트 방법인 KS F2271에 의해 검측하였으며, 검측 결과 내화 2등급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00 : 소방 복합 관제 모듈 110: 파워서플라이부
111 : 제2 전원부 120 : 입력회로부
121 : 입력감시부 122 : 연결단
130 : CPPI부 131 : CPPI단
132 : 상태표시부 140 : 메인 중앙제어부
150 : 서브 중앙처리부 200 : 화재 모니터링 모듈
310 : 단일관제 모듈 320 : 다중관제 모듈
330 : 문자전송 모듈 340 : 관리모듈

Claims (1)

  1. 전원입력부, 파워서플라이부, 입력회로부, CPPI부,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회로부와 CPPI부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배치시켜 화재 발생 정보에 대한 입력 신호만이 아니라 방화 관리자에 의한 화재 관제 및 방재를 위한 제어 신호인 출력 신호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소방 복합 관제 모듈과; 상기 소방 복합 관제 모듈과 주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소방 복합 관제 모듈의 원격 통신 접속여부 및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소방 복합 관제 모듈에서 수신된 화재 신호 및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집 분석하여 재분배를 관장하는 화재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고, 원격지인 관리사무소 및 소방서에서 즉각적인 방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방치되고 있는 더미단말기(Dummy Terminal)(800)와, 상기 더미단말기(800)에 결합되어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감시유닛(810)과, 상기 더미단말기(800)와 와이파이로 무선통신하는 AP(Access Point)(820)와, 각 세대별로 소화전 위에 경보기를 포함한 유도등을 갖춘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AP(820)와 무선통신하면서 세대내 설치된 화재감지기(830)와는 유선으로 연결된 감시컨트롤러(8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시컨트롤러(840)는 각 동별로 1층 혹은 지층에 설치되는 소방 복합 관제 모듈(100)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시유닛(810)은 더미단말기(800)의 유에스비포트에 접속되어 AP(820)를 통해 상기 감시컨트롤러(840)의 제어하에 더미단말기(800)의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하게 하고, 촬영된 영상은 AP(820)를 경유하여 감시컨트롤러(840)의 메모리부(848)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시유닛(810)은 사각블럭 형상의 유닛바디(811)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바디(811)의 일측면에는 그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된 사각블럭 형상의 검출블럭(812)이 형성되며, 상기 검출블럭(812)의 둘레에는 4개의 온도감지센서(813)가 설치되고, 상기 유닛바디(811)의 둘레에는 4개의 연기감지홀(814)가 형성되며, 상기 유닛바디(811)의 타측면에는 고정돌기(815)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815)의 단부에는 볼죠인트부(816)가 형성되며, 상기 볼죠인트부(816)는 죠인트고정부재(817)에 볼죠인트되고, 상기 죠인트고정부재(817)의 단부에는 유에스비단자(818)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에스비단자(818)가 상기 더미단말기(800)에 접속되면, 상기 더미단말기(800)의 제어부가 인식하고, 인식되면 상기 더미단말기(800)의 제어부는 상기 AP(820)를 통해 감시컨트롤러(840)의 제어부(842)와 통신하여 구동이 제어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60061039A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1684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39A KR101684374B1 (ko)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39A KR101684374B1 (ko)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374B1 true KR101684374B1 (ko) 2016-12-08

Family

ID=5757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039A KR101684374B1 (ko)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37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79B1 (ko) * 2018-02-14 2019-05-09 이태훈 폐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대피 시스템
KR102247884B1 (ko) * 2021-03-17 2021-05-06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KR20210107947A (ko) 2020-02-24 2021-09-02 김경수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KR102336287B1 (ko) * 2021-04-20 2021-12-07 (주)유진씨엔이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비상탈출 대피 구호 시스템
KR102336288B1 (ko) * 2021-04-20 2021-12-08 (주)유진씨엔이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방호시스템
KR102369693B1 (ko) * 2021-04-26 2022-03-08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 제연 자동 제어시스템
KR102384551B1 (ko) * 2021-07-19 2022-04-11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KR20220097721A (ko) * 2020-12-31 2022-07-08 에이앤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화재경보 및 공기순환장치
KR102426278B1 (ko) 2021-11-15 2022-07-29 (주)부영이엔지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KR102467251B1 (ko) * 2022-06-15 2022-11-16 주식회사 이앤에스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600B1 (ko) * 2007-04-06 2007-11-08 김한준 통합센싱장치 및 그 센싱 방법
KR20100129504A (ko) * 2009-06-01 2010-12-09 주식회사 케이엘정보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1220092B1 (ko) * 2011-09-23 2013-01-11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화재탐지기 관리 장치
KR101223680B1 (ko) * 2012-06-18 2013-01-22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600B1 (ko) * 2007-04-06 2007-11-08 김한준 통합센싱장치 및 그 센싱 방법
KR20100129504A (ko) * 2009-06-01 2010-12-09 주식회사 케이엘정보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1023800B1 (ko) 2009-06-01 2011-03-21 주식회사 케이엘정보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1220092B1 (ko) * 2011-09-23 2013-01-11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화재탐지기 관리 장치
KR101223680B1 (ko) * 2012-06-18 2013-01-22 주식회사 다스 코리아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79B1 (ko) * 2018-02-14 2019-05-09 이태훈 폐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대피 시스템
KR20210107947A (ko) 2020-02-24 2021-09-02 김경수 공동주택용 무선 화재 감시로봇
KR20220097721A (ko) * 2020-12-31 2022-07-08 에이앤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화재경보 및 공기순환장치
KR102474950B1 (ko) 2020-12-31 2022-12-07 에이앤엘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화재경보 및 공기순환장치
KR102247884B1 (ko) * 2021-03-17 2021-05-06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KR102336287B1 (ko) * 2021-04-20 2021-12-07 (주)유진씨엔이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비상탈출 대피 구호 시스템
KR102336288B1 (ko) * 2021-04-20 2021-12-08 (주)유진씨엔이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방호시스템
KR102369693B1 (ko) * 2021-04-26 2022-03-08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 제연 자동 제어시스템
KR102384551B1 (ko) * 2021-07-19 2022-04-11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KR102426278B1 (ko) 2021-11-15 2022-07-29 (주)부영이엔지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KR102467251B1 (ko) * 2022-06-15 2022-11-16 주식회사 이앤에스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신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775463B1 (ko) 건물 내에 설치되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시스템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8665668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系统
KR101297087B1 (ko) 무선 영상을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통합속보기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101252570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합 속보기
KR200485463Y1 (ko)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용 화재발생 감지장치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20210010703A (ko)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023800B1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1341155B1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JP2019219844A (ja) 無線による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方法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9062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JP6641176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102486299B1 (ko) 비식별 안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