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45B1 -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45B1
KR102084545B1 KR1020190069833A KR20190069833A KR102084545B1 KR 102084545 B1 KR102084545 B1 KR 102084545B1 KR 1020190069833 A KR1020190069833 A KR 1020190069833A KR 20190069833 A KR20190069833 A KR 20190069833A KR 102084545 B1 KR102084545 B1 KR 10208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spray nozzle
extinguishing water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김영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6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 진압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은,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이용하여 미분무를 분사하는 분사 제어장치;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에 의해 분사되는 미분부로 생성된 수막 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는 홀로그램 생성장치; 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를 수행하는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 중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키며,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홀로그램 영상의 내용을 결정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FIRE SUPPRESSION AND HOLOGRAM NOTIFICATION SYSTEM THROUGH FIRE DETECTION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포착하여 해당 위치와 근접하는 노즐을 작동시킴으로써 미분무를 통한 화재 진압을 도모하고,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미분무를 통한 수막에 투영되는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알리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실내에는 화재 발생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물을 분사되도록 설정된 스프링클러(SPRINKLER)와 같은 소화용 물 분사노즐이 건물 등의 천장면에 배설되어 있다.
다만, 터널과 같이 밀폐된 공간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화재 진압을 도모하여야 한다. 또한, 화재 진압뿐 아니라 화재를 통해 배출되는 유독가스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여야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외부의 사람들이 화재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하는 경우 또한 발생될 수 있으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출동한 소방관들이 화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종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해당 위치를 파악하여 화재 진압 및 연기 차단을 수행함에 있어 효율적인 분사노즐의 제어 방법이 필요하였으며,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외부의 사람들에게도 알리는 방법 또한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4316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 발생 위치를 포착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관련 정보를 주변 사람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리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중 하나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은,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이용하여 미분무를 분사하는 분사 제어장치;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에 의해 분사되는 미분부로 생성된 수막 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는 홀로그램 생성장치; 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를 수행하는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 중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키며,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홀로그램 영상의 내용을 결정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화재 발생시 홀로그램 생성장치가 설치된 구역에 위치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동작시켜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하고, 홀로그램 생성장치가 생성된 수막 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재 진압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와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가 터널의 내부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홀로그램 생성장치는 상기 터널의 양측 출입구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터널의 양측 출입구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홀로그램 생성장치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함에 있어, 각 출입구의 위치와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각 출입구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생성장치마다 상이한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 정보에 기반하여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재 진압 시스템 상에서,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는 선택적으로 제1 분사압력 또는 제2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관리서버는 화재 미발생시에는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가 제1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상기 소화 분사 노즐 구조체가 제2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는 미세먼지 수치에 대한 센싱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측정된 미세먼지 수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화재 진압 시스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는 실내의 천장면에 구비되는 레일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리서버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생성장치는, 2면 이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수막의 상이한 면에 서로 다른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진압 시스템이 화재 발생 위치와 규모에 따라 노즐의 미분무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경우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에 홀로그램을 표시함으로써 화재 관련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유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에 포함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위치가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개시되는 화재 진압 시스템은 건물 출입구, 터널 출입구, 건물 내부 또는 개방된 구조물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 외부에 위치한 구조물 상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 상에서 개시되는 화재 진압 시스템(1)은 설치되고 동작되는 위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진압 시스템(1)은 분사 제어장치(10), 관리서버(20) 및 홀로그램 생성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사 제어장치(10)는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1 분사압력 또는 제2 분사압력으로 소화수를 분출하여 수막(W)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제어부(200)는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제1 분사압력은 저압미분무가 분사되는 압력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 분출되는 압력이고, 제2 분사압력은 고압미분무가 분사되는 압력으로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 분출되는 압력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 상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도 제1 분사압력이 분사되지 않거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1 및 제2 분사압력이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분사압력은 약 1~60kgf/㎠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2 분사압력은 60~120kgf/㎠로 조절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사 제어장치(10)는 구조물의 실내 천장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천장면이 아닌 구조물의 내벽면 상단을 따라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분사 제어장치(10) 내에 포함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와 화재감지 센서부(210) 또한 구조물의 천장면,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이나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분사 제어장치(10) 및 홀로그램 생성장치(3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분사 제어장치(10) 내에 포함된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통해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에 따라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 및 홀로그램 생성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홀로그램 영상(D)을 특정 영역에 투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해당 광원부에서 광이 조사되어 홀로그램 영상(D)이 표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사람들이 보는 시선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홀로그램 형상이 표시될 수 있는 사면 홀로그램을 투영할 수 있다.
분사 제어장치(10), 관리서버(20) 및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되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재 진압 시스템(1)에서 활용되는 통신망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제어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사 제어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와 분사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사 제어부(200)는 화재감지 센서부(210), 제어부(220), 분사 압력조절부(230), 소화수 공급 연결부(240) 및 소화수 공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 센서부(210)는 분사 제어장치(10)의 주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감지 센서부(21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감지 센서부(210)는 화재발생 시 대기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보다 높은 대기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제1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211)와 불꽃 또는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제2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센서부(211)가 불꽃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센서부(212)가 높은 대기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불꽃, 연기 또는 높은 대기온도 외에 압력, 충격 또는 습도 등을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화재감지 센서부(210)가 생성하는 화재감지신호에는 감지된 온도 정보, 감지된 불꽃, 연기 또는 유독가스의 정도를 수치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감지 센서부(210)는 미세먼지 수치에 대한 센싱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 센서부(210)에 의해 측정되는 미세먼지 수치는 초미세먼지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 센서부(210)가 측정하여 생성한 정보는 관리서버(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는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통해 분사 제어장치(10) 및 홀로그램 생성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화재감지 센서부(210)의 화재감지신호의 유무 또는 관리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소화수 공급부(250)의 소화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소화수가 제2 분사압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소화수를 제어하고,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화수가 제1 분사압력으로 분출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230)는 소화수 공급 연결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제1 분사압력으로 조절하는 제1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1)와, 소화수 공급 연결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제2 분사압력으로 조절하는 제2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사 압력조절부(230)는 분사 노즐 구조체(100)에 소화수를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분사압력으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분사압력은 1~60kgf/㎠로 조절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분사압력을 갖는 소화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로 공급되어 저압미분무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도 6(a)의 작동대기 상태에서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를 도 6(b)의 저압미분무 분출 위치로 이동시켜, 저압미분무 분출을 위한 연결관로 즉, 소화수 공급유로-->제1 연결유로-->제1 가지유로-->제1 유로-->제1 압력분무부(110)를 경유하는 유로를 통해 소화수가 이동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선단 중앙부에서 제1 분사압력 즉, 저압미분무 형태로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사압력은 60~120kgf/㎠로 조절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분사압력을 갖는 소화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로 공급되어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도 6(a)의 작동대기 상태에서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를 도 6(c)의 고압미분무 분출 위치로 이동시켜, 고압미분무 분출을 위한 연결관로 즉, 소화수 공급유로-->제2 연결유로-->제2 가지유로-->제2 유로-->제2 압력분무부(120)을 경유하는 유로를 통해 소화수가 이동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에서 제2 분사압력 즉, 고압 미분무 형태로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소화수 공급 연결부(240)는 분사 압력조절부(230)에 소화수 공급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화수 공급 연결부(240)는 제1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1)와 연결되는 저압 라인 및 제2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2)와 연결되는 고압 라인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 구조체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저압 라인을 개방하여 제1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1)와 연결되어 소화수 공급부(250)로부터의 소화수를 제1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1)로 공급하거나 고압 라인을 개방하여 제2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2)와 연결되어 소화수 공급부(250)로부터의 소화수를 제2 분사압력레귤레이터(232)로 공급할 수 있다.
소화수 공급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소화수의 공급압력을 조절하여 소화수 공급 연결부(24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수 공급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펌프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부(251)과 이에 따라 소화수의 공급압력을 조정하여 공급하는 펌프(2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화수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소화수 저장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분사 제어부(200)의 동작을 살펴보면,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고압라인을 개방하여 소화수의 공급 압력을 상승시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2 분사압력으로 소화수를 분출하여 수막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저압라인의 개방을 유지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1 분사압력으로 소화수를 분출하여 수막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유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제1 압력분무부(110), 제2 압력분무부(120), 전면 커버부(130), 몸체부(140) 및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소화수 공급유로에 공급되는 소화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이물질 필터(160)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압력분무부(110)는 소화수를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선단 중앙부에 저압 미분무 형태로 분출하는 소화수의 제1 유로가 연결된 분사구(110a)와, 전면 커버부(130)의 유로와 연결된 제1 유로를 통해 소화수를 분사구(110a)를 통해 저압 미분무 형태로 분출하는 노즐부(111)와, 노즐부(111)의 제1 유로 내에 설치되어 제1 유로를 경유하여 분사구(110a)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수를 와류시키는 스월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출되는 저압 미분무 형태의 소화수가 와류를 형성하거나 미분무 형태화가 극대되어 수막(W)이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력분무부(120)는 소화수를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하는 소화수의 제2 유로가 연결된 복수의 분사 슬릿(120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압력분무부(120)는 전면 커버부(130)의 외측면 및 몸체부(140)의 내측면의 일부와 접하여 결합되고, 전면 커버부(130)의 외측면 및 몸체부(140)의 내측면의 일부와 접하는 결합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분사 슬릿(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압력분무부(120)는 복수의 분사 슬릿(120a)이 제2 경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경로를 경유하여 복수의 분사 슬릿(120a)을 통하여 소화수를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하여 분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방을 기준으로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져 전면 커버부(130)의 외측면 및 이에 접하는 제2 압력분무부(120)의 결합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분사 슬릿(120a)은 일정각도로 소화수를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하여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전면 커버부(130)의 외측면 및 이에 접하는 제2 압력분무부(120)의 결합면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원형 단면을 가지지는 결합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 슬릿(120a)은 원형 단면의 중심으로부터의 방사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 슬릿(120a)은 전방으로 수평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며,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되고, 전방 단부로 분사 슬릿(120a)의 일부가 전면 커버부(130)의 외측면 및 몸체부(140)의 내측면의 일부의 사이에 회오리 형상으로 배치된 분사구의 형태로 노출되어, 소화수를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하도록 형성되어 분출되는 소화수의 고압미분무는 분사 슬릿(120a)의 배치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분사되므로, 분출되는 고압미분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분출되어, 미분무 형태의 소화수의 확산폭을 보다 넓고 고르게 확보할 수 있다.
분사 전면 커버부(130)는 중앙에 제1 압력분무부(110)가 내부에 삽입 결합되고, 제1 압력분무부(110)의 삽입 부분과의 사이 공간에 소화수의 제2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40)는 중앙에 제2 압력분무부(120) 및 전면 커버부(130)가 결합되고, 소화수의 소화수 공급유로가 내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40)에는 공급되는 소화수의 분사압력에 따라 소화수 공급유로와 소화수의 제1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가지유로(141b) 및 소화수 공급유로와 소화수의 제2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가지유로(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는 소화수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분사압력에 따라, 제1 가지유로(141b)의 일단을 개방하여 소화수 공급유로와 소화수의 제1 유로를 연결하고, 제2 가지유로(141a)의 일단을 폐쇄하는 위치 또는 제2 가지유로(141a)의 일단을 개방하여 소화수 공급유로와 소화수의 제2 유로를 연결하고 제1 가지유로(141b)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는, 소화수의 제1 분사압력에 따라 제1 위치에서 제1 가지유로(141b)의 일단과 연결되어 소화수 공급유로와 제1 가지유로(141b)를 연결하는 제1 연결유로(151b) 및 소화수의 제2 분사압력에 따라 이동한 위치에서 제2 가지유로(141a)의 일단과 연결되어 소화수 공급유로와 제2 가지유로(141a)를 연결하는 제2 연결유로(151a)가 형성된 선택연결구(151) 및 소화수 공급유로를 통해 인가되는 소화액의 압력에 따라 수축하여 선택연결구(151)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압력조절스프링(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스프링(152)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형태 제1 분사압력 및 제2 분사압력의 설정값 등에 따라 그 탄성값 등 특징이 조절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소화수가 인가되지 않는 작동대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저압미분무 형태로 소화수가 분출될 때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6(c)는 고압미분무 형태로 소화수가 분출될 때의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일 수 있다. 이때, 도 6(a)는 소화수가 인가되지 않는 작동대기상태로서, 소화수 공급유로와 제1 연결유로 및 제2 연결유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소화수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의 분사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화수를 제1 분사압력을 갖는 저압미분무 형태로 분출하거나, 소화수를 제2 분사압력을 갖는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분사압력은 1~60kgf/㎠로 조절되어 인가되고, 제2 분사압력은 60~120kgf/㎠로 조절되어 인가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우선, 저압미분무 형태로 소화수가 분출되는 경우에서는, 제1 분사압력으로 소화수의 분사압력이 설정됨 따라,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도 6(a)의 작동대기 상태에서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가 도 6(b)의 저압미분무 분출 위치로 이동하여, 저압미분무 분출을 위한 연결관로 즉, 소화수 공급유로-->제1 연결유로-->제1 가지유로-->제1 유로-->제1 압력분무부(110)를 경유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소화수가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선단 중앙부에 저압미분무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고압미분무 형태로 소화수가 분출되는 경우에서는, 제2 분사압력으로 소화수의 분사압력이 설정됨에 따라, 소화수 선택입력 연결부(150)가 도 6(c)의 고압미분무 분출 위치로 이동하여, 고압미분무 분출을 위한 연결관로 즉, 소화수 공급유로-->제2 연결유로-->제2 가지유로-->제2 유로-->제2 압력분무부(120)을 경유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소화수가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에서 고압미분무 형태로 분출될 수 있다.
고압미분무 형태로 소화수가 분출되는 경우, 미분무 생성된 수막은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설치된 천장면에서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면에서 바닥면까지 형성된 수막(W)에 의해 실내의 영역이 양쪽으로 분할되고 각 영역의 산소 이동이 차단 함으로써 질식소화 작용은 물론 연기차단의 효과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즉, 고압으로 분산되는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W)은 방화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수막(W)은 물로 형성되므로 설치 장소에 위치한 사람, 차량 등의 별도 매개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수막(W) 상에 홀로그램이 투영될 수 있어 정보 제공을 위한 시각적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관리서버(20)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서버(20)는 화재 정보 처리부(21), 분사 결정부(22), 홀로그램 선택부(23), 통신부(24), 저장부(25) 및 제어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정보 처리부(21)가 화재감지 센서부(21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온도 정보, 연기 정보, 불꽃 정보, 미세먼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화재감지 센서부(210)로부터 수신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화재감지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는 화재 발생 / 화재 미발생으로 이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화재감지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는 화재 진압 시스템(1)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화재 발생과 관련된 수치 또는 정보가 수집된 화재감지 센서부(21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특정하고,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화재 발생 위치뿐 아니라, 유독가스 또는 연기가 확산되는 정도,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속력 및 방향) 등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실시간으로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210)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변화되는 정보를 토대로 화재의 진행 속도(속력 및 방향)에 대한 예측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정보 처리부(21)는 화재감지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발생 규모 정보는 온도, 화염, 연기 등의 심각도나 화재의 확산 속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분사 결정부(22)는 화재 정보 처리부(21)에 의해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화재 발생 규모 정보 등을 토대로 분사 제어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분사 결정부(22)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 중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분사 결정부(22)는 분사 제어장치(10)에 포함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 중 어느 위치에 설치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동작시킬 것인지, 제1 분사압력 또는 제2 분사압력 중 어떠한 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결정부(22)는 화재발생시 홀로그램 생성장치(30)가 설치된 구역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동작시켜 미분무로 이루어지는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터널의 출입구에 배치되며, 화재발생시 분사 결정부(22)가 출입구 근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동작시켜 수막이 형성되면, 형성된 수막 상에 홀로그램을 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20)는 화재 발생시에 홀로그램을 통해 화재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수막이 형성되도록 분사 제어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분사 결정부(22)의 분사 제어장치(10) 제어는, 분사 제어장치(10) 내에 포함되는 분사 제어부(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결정부(22)는 화재 정보 처리부(21)에 의해 계산된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에 기반하여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결정부(22)가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통해 미리 연기 또는 유독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밀폐된 실내에서 연기 또는 유독가스를 통해 발생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결정부(22)는 화재 미발생시에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1 분사압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2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1 분사압력으로 동작하여 저압미분무가 분사되는 경우 실내의 미세먼지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저압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W)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주변 영역에 생성되어 홀로그램 영상이 투영 되는 매개가 될 수도 있다.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2 분사압력으로 동작하여 고압미분무가 분사되는 경우 고압미분무가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도 발생할 수 있지만, 고압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W)이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여 화재의 확산 방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압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W)이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에서 홀로그램 영상이 투영되는 매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결정부(22)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 화재감지 센서부(210)로부터 미세먼지 수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측정된 미세먼지 수치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소화수를 분사하지 않는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분사 결정부(22)는 화재감지 센서부(210)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수치 또는 초미세먼지 수치가 기 정해진 일정 값을 초과한 경우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1 분사압력으로 저압미분무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 결정부(22)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 화재감지 센서부(210)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에 따라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위가 밀폐된 터널과 같은 공간은 여름철에 온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분사 결정부(22)는 화재 진압 시스템(1)이 설치된 공간의 온도 조절을 위해 온도가 일정 수치를 초과한 경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제1 분사압력으로 저압미분무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진압 시스템(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재 진압 시스템(1)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실내의 천장면에 구비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분사 제어장치(10)의 위치는 분사 결정부(22)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분사 결정부(22)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홀로그램 선택부(23)는 화재 진압 시스템(1)의 홀로그램 생성장치(30)가 투영하는 홀로그램 영상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선택부(23)는 홀로그램 생성장치(30)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날씨정보, 주차안내정보, 광고정보, 뉴스정보 등의 편의정보를 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화재발생 정보, 비상경로 정보 등을 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홀로그램 선택부(23)는 화재 정보 처리부(21)에 의해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기초하여 홀로그램 영상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홀로그램 선택부(23)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토대로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홀로그램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토대로 일반 시민은 어느 위치가 위험한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전 요원이나 소방관들 또한 화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화재에 대한 신속한 후속 조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선택부(23)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홀로그램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화재의 위험도나 불꽃의 확산 속도, 연기의 확산 속도 등을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1)은 터널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와 화재감지 센서부(210)는 터널의 내부에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터널의 양측 출입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로그램 선택부(23)는 각 출입구의 위치와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각 출입구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생성장치(30)마다 상이한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선택부(23)는 각 출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화재가 발생된 곳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므로 상이한 거리 정보를 각 출입구에서 투영되는 홀로그램 영상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양 출입구에 표시되는 비상경로 정보 또한 출입구 별로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선택부(23)는 2면 이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수막의 상이한 면에 각각 서로 다른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은 홀로그램 선택부(23)가 사면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2면 이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수막에 홀로그램이 투영되는 예시를 살펴보면, 터널 또는 실내에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미분무 분사를 통해 생성되는 수막은 화재가 발생한 공간을 분리하는 방화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화벽과 같은 형태로 생성된 수막은 화재가 발생한 편의 제1면 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편의 제2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수막의 앞면과 뒷면이 제1면과 제2면으로 지칭되어 구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선택부(23)는 제1면과 제2면에 서로 다른 홀로그램 영상이 투영되도록 홀로그램 생성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에 화재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영역 쪽에 위치한 수막의 제1면에는, '화재발생! 반대편으로 건너가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포함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고, 제1면과 반대편에 위치한 수막의 제2면에는 '반대편에서 화재 발생! 들어가지 마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포함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통신부(24)는 관리서버(20)가 분사 제어장치(10), 홀로그램 생성장치(40) 및 기타 외부 서버등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24)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5)는 관리서버(20)의 각종 구성부 내에서 수집되고, 생성되고, 운용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저장부(25)에는 화재 발생 위치 및 규모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 다양한 종류의 홀로그램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5)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6)는 화재 정보 처리부(21), 분사 결정부(22), 홀로그램 선택부(23), 통신부(24) 및 저장부(25)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는 화재 정보 처리부(21), 분사 결정부(22), 홀로그램 선택부(23), 통신부(24) 및 저장부(25)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 화재 정보 처리부(21), 분사 결정부(22), 홀로그램 선택부(23) 및 통신부(24)는 제어부(26)를 기능적으로 분류한 구성이므로 하나의 제어부(26)로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1)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내에는 복수의 분사 제어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사 제어장치(10)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 및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내의 천장면에는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설치 위치는 천장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내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에는 화재감지 센서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감지 센서부(210)는 온도, 불꽃, 연기, 유독 가스,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측정치를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실내의 바닥면 중 일부 영역에서 화재가 난 상황이 예시 상황으로서 도시되고 있다. 이 경우, 화재 발생 영역에 인접한 화재감지 센서부(210)가 감지하는 측정치가 관리서버(20)로 전송되어 관리서버(20)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와 근접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미분무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된 4개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 중 좌측에서부터 두번째로 위치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가 동작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20)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 화재 발생 규모 정보,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 등을 기반으로 하여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서버(20)는 천장면에 설치된 4개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 중 좌측에서부터 첫번째로 위치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와 우측에서부터 첫번째로 위치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동작시켜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방화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수막이 생성됨으로써, 화재의 확산속도를 늦출 수 있으며 유독가스나 연기의 확산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막은 홀로그램 생성장치(30)에 의해 투영되는 홀로그램 영상이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1)에 포함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위치가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재 진압 시스템(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재 진압 시스템(1) 내에 포함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실내의 천장면에 구비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화재 발생 규모 및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들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는 화재 발생 규모가 클수록 더 많은 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화재 인접 영역으로 이동시켜 미분무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는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 정보에 기반하여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하고 해당 위치로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들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도시되는 각 과정의 순서는 나타난 것과 다르게 서로 변경되어 수행될 수 있다.
분사 제어장치(10)는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관리서버(20)로 전달할 수 있다(S101). 전달되는 정보는 온도, 불꽃, 연기, 유독 가스, 미세먼지와 관련된 수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3). 예를 들어, 관리서버(20)는 기 정해진 임계치 이상의 수치가 감지된 화재감지 센서부(210)의 위치를 통해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210)를 통해 획득되는 각종 수치를 통해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이후 미분무를 분사할 위치 및 분사할 규모를 결정하고(S105), 결정된 사항을 통해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07).
분사 제어장치(10)는 관리서버(20)의 제어를 받아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를 통해 미분무를 분사할 수 있다(S1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100)는 레일부 등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관리서버(20)의 제어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미분무를 분사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기 위한 미분무 분사를 제외하고, 홀로그램 투영 또는 화재/연기 확산 방지를 위한 수막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11). 이와 같이 결정된 수막 생성 위치 정보는 분사 제어장치(10)로 전달될 수 있으며(S113), 그에 따라 미분무 분사를 통한 수막이 생성될 수 있다(S115).
관리서버(20)는 수막이 생성되는 위치에 투영할 홀로그램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S117). 이와 같은 관리서버(20)의 홀로그램 영상 선택은 기존에 관리서버(20) 내에서 저장되어 있던 영상들 중 선택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화재 발생 위치 등과 같은 정보에 따라 새롭게 관리서버(20) 내에서 생성되는 영상/텍스트/이미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관리서버(20)는 선택된 홀로그램 영상을 홀로그램 생성장치(30)로 전송할 수 있으며(S119), 홀로그램 생성장치(30)는 미리 생성되어 있는 수막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S12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널의 일 영역에 화재가 발생하였고, 터널의 양측 출입구에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이 생성되어 있으며 각 수막에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 중 하나에는 '500m 전방에 화재 발생!'과 같은 문구가, 출입구 중 다른 하나에는 '3km 전방에 화재 발생!'과 같은 상이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가 수막 상에 표시됨으로써, 터널을 이용하는 사용자 또는 소방관에게 신속한 정보 전달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막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내용의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함에 따라 맞춤형 정보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화재 진압 시스템
10: 분사 제어장치
20: 관리서버
30: 홀로그램 생성장치

Claims (10)

  1.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이용하여 미분무를 분사하는 분사 제어장치;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에 의해 분사되는 미분부로 생성된 수막 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는 홀로그램 생성장치;
    온도, 연기 또는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를 수행하는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 발생 규모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 중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키며,
    생성된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또는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홀로그램 영상의 내용을 결정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발생 정보 또는 비상경로 정보를 상기 홀로그램 영상에 포함시키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날씨정보, 주차안내정보, 광고정보 또는 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의정보를 상기 홀로그램 영상에 포함시키도록 상기 홀로그램 생성장치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통해 변화되는 정보를 토대로 화재의 진행 속도에 대한 예측치를 생성하며, 온도, 화염 또는 연기의 심각도 및 화재의 진행 속도 예측치를 기초로 상기 화재 발생 규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 및 화재 발생 규모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 중 적어도 일부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화재 발생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시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독가스 또는 연기의 확산 속도 정보에 기반하여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할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화재 발생시 홀로그램 생성장치가 설치된 구역에 위치하는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를 동작시켜 미분무로 형성되는 수막을 생성하고, 홀로그램 생성장치가 생성된 수막 상에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와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는 터널의 내부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홀로그램 생성장치는 상기 터널의 양측 출입구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터널의 양측 출입구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홀로그램 생성장치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함에 있어, 각 출입구의 위치와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각 출입구에 배치되는 홀로그램 생성장치마다 상이한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는 선택적으로 제1 분사압력 또는 제2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는 화재 미발생시에는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가 제1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가 제2 분사압력으로 미분무의 분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 센서부는 미세먼지 수치에 대한 센싱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측정된 미세먼지 수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는 실내의 천장면에 구비되는 레일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리서버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소화수 분사 노즐 구조체들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생성장치는,
    2면 이상의 면으로 형성되는 수막의 상이한 면에 서로 다른 홀로그램 영상을 투영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0190069833A 2019-06-13 2019-06-13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4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833A KR102084545B1 (ko) 2019-06-13 2019-06-13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833A KR102084545B1 (ko) 2019-06-13 2019-06-13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545B1 true KR102084545B1 (ko) 2020-05-15

Family

ID=7067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833A KR102084545B1 (ko) 2019-06-13 2019-06-13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09638A (zh) * 2021-08-24 2023-04-04 香港理工大学 基于对天花板的从地板向上查看感测的室内火灾监测
KR102633057B1 (ko) * 2023-07-10 2024-02-02 주식회사 디엠시스템 엔지니어링 지능형 레이저 피난 유도 장치
KR102680182B1 (ko) * 2023-07-04 2024-07-02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대심도지하차도 진입차단 친환경 워터스크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753A (ja) * 2003-04-04 2004-11-11 Kajima Corp 防火防煙区画形成設備
JP2006187432A (ja) * 2005-01-06 2006-07-20 Kubota Corp 特定空間の防災設備
KR20160032945A (ko) * 2014-09-17 2016-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세척 및 방음을 위해 수막을 형성하는 투명 방음벽 세척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88102A (ja) * 2014-10-29 2016-05-23 ホーチ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KR101944316B1 (ko) 2018-03-07 2019-01-31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753A (ja) * 2003-04-04 2004-11-11 Kajima Corp 防火防煙区画形成設備
JP2006187432A (ja) * 2005-01-06 2006-07-20 Kubota Corp 特定空間の防災設備
KR20160032945A (ko) * 2014-09-17 2016-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세척 및 방음을 위해 수막을 형성하는 투명 방음벽 세척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88102A (ja) * 2014-10-29 2016-05-23 ホーチ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KR101944316B1 (ko) 2018-03-07 2019-01-31 탱크테크 주식회사 고층빌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09638A (zh) * 2021-08-24 2023-04-04 香港理工大学 基于对天花板的从地板向上查看感测的室内火灾监测
CN115909638B (zh) * 2021-08-24 2024-05-03 香港理工大学 基于对天花板的从地板向上查看感测的室内火灾监测
KR102680182B1 (ko) * 2023-07-04 2024-07-02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대심도지하차도 진입차단 친환경 워터스크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3057B1 (ko) * 2023-07-10 2024-02-02 주식회사 디엠시스템 엔지니어링 지능형 레이저 피난 유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545B1 (ko)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032381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JP5323122B2 (ja) 高速低圧エミッタを使用する二重消火式火災鎮圧システム
TW200425929A (en) Fire/smoke protection zone formation system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KR20170026154A (ko) 스프링클러 배관의 유수제어기능이 있는 분기용 티 및 그것을 이용한 스키핑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방법
KR101628027B1 (ko) 소화 및 방화에 사용하는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워터셔터장치
KR102097875B1 (ko)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소화수 분사노즐 구조체
KR102048358B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325135A (zh) 一种主题公园环境监控及逃生系统
KR20200044213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시스템
KR20190121579A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4455B1 (ko)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20180128270A (ko)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RU2745641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системой коррекции струи
JPH10248954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20051476A (ko) 전력공동구용 소화시스템
JP4789981B2 (ja) 消火用ミスト放出装置
KR20200121951A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 상황 알림 시스템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KR102587867B1 (ko) 자동 소화 기능을 갖는 레일 시스템
KR102619703B1 (ko) 건축물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안전성 향상 신속소방방재장치
JPH0698947A (ja) 自動消火システムおよびその自動運転方法
KR102619702B1 (ko) 화재진압 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재기기
RU2808270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ми установками пожаротуш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