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27B1 - 건축물용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27B1
KR101342127B1 KR1020130045700A KR20130045700A KR101342127B1 KR 101342127 B1 KR101342127 B1 KR 101342127B1 KR 1020130045700 A KR1020130045700 A KR 1020130045700A KR 20130045700 A KR20130045700 A KR 20130045700A KR 101342127 B1 KR101342127 B1 KR 10134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pipe
insertion groov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진
정갑진
정해웅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주)우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우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4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는 소방함과, 공급관에 연결되고, 거치대에 걸려 소방함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와, 소방호스를 서로 연결하고, 소방호스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설치되고,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소방장치 {FIRE FIGHTING APPARATUS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불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문화재나 사찰과 같이 외진 곳에 위치하는 건축물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고, 소방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건축물용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에는 분말소화기(포말소화기 포함)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재를 화재 발생원(이하 '화원'이라 함)에 분사하거나 혹은 소화전에 소방호스를 연결한 후 소화전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물을 화원에 직접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였다.
근자에는 기술발달에 힘입어 화재 발생 시에 이를 즉시 검지하여 건물 등의 천정면에서 물이 분사되도록 배설된 스프링클러(SPRINKLER)와 같은 자동소화설비를 통해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한편, 화재발생시 일반적으로, 물이나 폼액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며, 이를 위한 장비로 스프링클러나 물분무장치 등을 사용하나, 물이나 폼액을 사용한 통상적인 진화방식은 그 분사범위가 한정적으로 국한될 수밖에 없어서, 대형 건물의 화재나 산불 등의 소화에 부적합하고 특히, 넓은 범위의 유류 및 가스화재 등을 진화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최근에는 안개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시킬 수 있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안개를 이용한 화재진화방식에 따르면, 미세한 물입자들을 안개형태로 화원을 향해 분출시켜, 질식작용과 병행하는 냉각작용으로 화원을 진화시킬 수 있는 원리를 응용한다.
즉, 미세한 물입자들이 화원과 외부공기 사이에 안개층을 형성하여 화원을 질식시키는 동시에 안개층 하부의 물입자들이 화원에 의해 순간적으로 증발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개분사식 소화방식은 이미 입증단계를 거쳐 몇몇 소방설비에 적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안개분사식 소화방식 또는 이를 적용한 소방설비에서는, 안개를 넓은 장소 혹은 먼 거리까지 분사시키는 능력이 미흡하여, 대부분 건물 내의 화재진화를 위한 목적으로 고정방식으로 채택되고, 또한, 미흡한 분사능력을 보완하기위해 필연적으로 다수의 강제송풍장치 및 드렌처 헤드들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국보급 사찰 문화재들은 통상 산속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소방시설을 갖춘 소방차라 하여도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소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른 산불방지책도 뚜렷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문화재는 보통 목재로 지어져 있기 때문에 산에서 나뭇잎 등을 타고 날아오는 불씨로 인하여 한번 불이 붙으면 빠른 속도로 소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 화재발생 5분 이내에 초기 불길을 잡는데 실패하면 막대한 화재피해가 발생하며 사찰문화재의 특성상 한번 불길에 휩싸이면 소방차로 불을 꺼도 많은 문화재가 소실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찰 문화재는 초기에 화재진압 및 화마로부터의 보호가 관건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0090호(2009년 7월 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상향방수형 소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배관과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소방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소방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기후 변화나 사용자의 부주위로 파손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 시에 소방작동을 행하기 위해 평상시에 유지 및 보수관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산불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문화재나 사찰과 같이 외진 곳에 위치하는 건축물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고, 소방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건축물용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는 소방함;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소방함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 상기 소방호스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소방호스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방호스의 단부에는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플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플러가 결합되어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고, 소방수를 안내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비교하여 바닥면이 넓게 형성되어 직립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방수가 비산될 때에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고정블록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연결관과 비교하여 무겁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는 소방함;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소방함에 수납되는 소방호스; 건축물의 테두리에 건축물을 감싸는 모양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는 연결커플러가 설치되는 살수배관; 및 상기 살수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살수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 및 이동롤러가 구비되는 소방함;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소방함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 상기 소방호스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소방호스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복수 개의 드렌처 헤드가 구비되는 소방호스가 소방함에 보관되므로 평상시에 소방장치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소방장치를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소방호스에 복수 개의 드렌처 헤드가 구비되므로 화재 발생 시에 작업자가 소방호스를 건축물의 주변에 위치시켜 소방작업을 행할 수 있어 소방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소방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소방호스에 복수 개의 드렌처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소방작업 중에 파손되는 소방호스 또는 드렌처 헤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소방장치의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건축물 주변에 설치되는 소방호스와 수원을 용이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수원에서 복수 개의 건축물에 선택적으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소방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소방호스에 복수 개의 드렌처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방호스가 수납되는 소방함이 이동 가능하므로 하나의 소방장치를 이동시키면서 다수 개의 건축물에 소방수를 살수 할 수 있어 하나의 소방장치를 사용하여 다수 개의 건축물에 소방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소방함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12)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16)가 구비되는 소방함(10)과, 공급관(12)에 연결되고, 거치대(16)에 걸려 소방함(10)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30)와, 소방호스(30)를 서로 연결하고, 소방호스(30)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70)와, 장착부(70)에 설치되고, 소방호스(30)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Drencher Head : 50)를 포함한다.
산 속이나 외진 곳에 위치하는 문화재나 사찰과 같은 건축물 주변에 소방함(10)이 설치되고, 소방함(10)은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12)이 소방함(10)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공급관(12)에는 소방호스(30)가 연결되며, 소방호스(30)는 소방함(10) 내부에 수납되어 보관되므로 기후변화나 작업자의 부주위에 의해 소방호스(30), 장착부(70) 및 드렌처 헤드(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산불과 같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소방함(10)을 개방하여 소방호스(30)를 건축물 주변에 건축물을 감싸는 모양으로 배치시키고, 공급관(12)에 설치되는 밸브(14)를 개방하면 소방수가 소방호스(30)를 따라 건축물 주변으로 공급된다.
소방호스(30)를 따라 건축물 주변으로 공급되는 소방수는 드렌처 헤드(50)를 통해 건축물 방향으로 비산되므로 건축물 전체에 수막이 형성되면서 산불과 같은 화재로부터 건축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장착부(70)는 일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착부(70)에 설치되는 드렌처 헤드(50)는 건축물에 대향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소방수를 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소방호스(30)의 단부에는 공급관(12) 또는 장착부(70)에 결합되는 커플러(32)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소방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다수 개의 소방호스(30) 사이에 장착부(70)를 결합하고, 장착부(70)에 드렌처 헤드(50)를 결합한 후에 소방함(10)에 소방호스(30), 장착부(70) 및 수납하여 소방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본 실시예는 소방호스(30) 단부에 공급관(12) 또는 장착부(70)와 연결될 수 있는 커플러(32)가 설치되므로 건축물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소방함(10)에 본 실시예의 소방호스(30)를 연결하여 소방장치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산 속이나 외진 곳에 위치하는 문화재 또는 사찰과 같은 목조 건축물이 산불에 의해 전소되는 재해는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소방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소방호스(30)의 외측 단부에는 소방수를 일부분으로 집중하여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34)이 설치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일부분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분사노즐(34)을 조작하여 화재가 발생된 부분에 집중하여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장착부(70)는, 커플러(32)가 결합되어 소방호스(30)와 연결되고, 소방수를 안내하는 연결관(72)과, 연결관(72)이 안착되는 안착부(74a)가 상면에 형성되고, 안착부(74a)와 비교하여 바닥면이 넓게 형성되어 직립되는 고정블록(74)을 포함한다.
연결관(72)은 다수 개의 소방호스(30)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관(72)의 양단부에는 각각 다른 소방호스(30)의 단부가 커플러(32)에 의해 결합되므로 다수 개의 소방호스(30)는 연결관(72)에 의해 긴 호스 모양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연결관(72)의 둘레면에는 드렌처 헤드(50)가 결합되는 결합홀부(72a)가 형성되고, 결합홀부(72a)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드렌처 헤드(50)가 결합홀부(72a)에 볼트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결합홀부(72a)는, 연결관(72)이 고정블록(74)에 의해 지면에 유동되지 않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므로 결합홀부(72a)에 결합되는 드렌처 헤드(50)는 건축물 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드렌처 헤드(50)를 통해 비사되는 소방수는 건축물 주변에 수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산불과 같은 화재가 건축물 측으로 진행될 때에 건축물이 화재에 의해 전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블록(74)은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하측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이루도록 안착부(74a)가 형성되어 안착부(74a)에 연결관(72)이 용접된다.
고정블록(74)의 바닥면은 안착부(74a)와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고정블록(74)을 건축물 주변에 배치시킨 후에 소방수를 공급할 때에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연결관(72) 및 고정블록(74)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방수가 비산될 때에 연결관(72) 및 고정블록(74)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블록(74)은 연결관(72)과 비교하여 무겁게 이루어진다.
고정블록(74)은 납과 같이 비중이 무거운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연결관(72)을 통과하는 소방수에 의해 외력이 발생되어도 고정블록(74)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72)에 설치되는 드렌처 헤드(50)는 건축물에 대향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건축물 측으로 소방수를 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용 소방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다수 개의 소방호스(30)에 사이에 고정블록(74)이 용접된 연결관(72)을 설치하고, 연결관(72)에 드렌처 헤드(50)를 결합한다.
이후에, 건축물 주변에 설치되는 소방함(10)을 개방하여 공급관(12)에 소방호스(30)를 연결하고, 소방함(10) 내부에 구비되는 거치대(16)에 소방호스(30)를 걸어 소방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연결관(72) 및 고정블록(74)은 소방함(10)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소방호스(30)를 거치대(16)에 걸어 연결관(72) 및 고정블록(74)이 안전하게 소방함(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화재가 발생되면 작업자는 소방함(10)을 개방하여 소방호수를 건축물 테두리에 건축물을 감싸는 모양으로 배치하고, 밸브(14)를 개방하여 소방호스(30)를 통해 소방수를 공급한다.
공급관(12) 및 소방호스(30)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는 연결관(72)을 통과하면서 드렌처 헤드(50)를 통해 건축물 측으로 비산되므로 화재가 건축물에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는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산불과 같은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 산 중에 위치한 문화재나 사찰 등의 목조 건축물이 산불로 전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드렌처 헤드 및 장착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안착부(174a)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삽입홈부(174b)가 형성되고, 연결관(172)에는 삽입홈부(174a)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고정돌기(172a)가 형성된다.
삽입홈부(174b)의 단면형상은 'ㅗ'모양으로 형상되고, 삽입홈부(174b)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고정돌기(172a)의 단면형상도 'ㅗ'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관(172)을 안착부(174a)의 일측 단부로부터 안착부(174a)의 타측 단부까지 슬라이딩시키면 삽입홈부(174b)의 일측 단부로부터 고정돌기(172a)가 삽입되면서 연결관(172)과 고정블록(174)이 결합된다.
고정블록(174)의 측면에는 삽입홈부(174b)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홀부(176)가 형성되므로 고정돌기(172a)가 삽입홈부(174b)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홀부(176)에 체결부재(176a)를 결합하면 삽입홈부(174b) 내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삽입홈부(174b)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176a)의 단부는 고정돌기(172a)가 삽입홈부(174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이루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212)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216)가 구비되는 소방함(210)과, 공급관(212)에 연결되고, 거치대(216)에 걸려 소방함(210)에 수납되는 소방호스(230)와, 건축물의 테두리에 건축물을 감싸는 모양으로 설치되고, 소방호스(230)와 연결되는 연결커플러(282)가 설치되는 살수배관(280)과, 살수배관(280)에 설치되고, 살수배관(280)을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건축물의 테두리에 건축물을 감싸는 모양으로 살수배관(280)이 매설되고, 살수배관(280)에 다수 개의 드렌처 헤드(250)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살수배관(280) 일측에 연결커플러(282)가 설치된다.
소방함(210)에는 연결커플러(282)와 결합되는 소방호스(230)가 수납되고, 소방호스(230)의 일측 단부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212)과 연결되고, 소방호스(230)의 타측 단부에는 연결커플러(282)와 결합되는 커플러(232)가 설치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면 작업자는 소방함(210)을 개방하고, 소방함(210)으로부터 소방호스(230)를 꺼내어 연결커플러(282)에 커플러(232)를 결합한 후에 공급관(212)에 설치되는 밸브(214)를 개방하면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수가 소방호스(230)를 따라 살수배관(28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공급관(212)으로 다수 개의 건축물에 선택적으로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호스(230)가 다수 개롤 분기되면 다수 개의 건축물에 소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의 소방함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소방장치는,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31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312a)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316) 및 이동롤러(318)가 구비되는 소방함(310)과, 연결배관(312a)에 연결되고, 거치대(316)에 걸려 소방함(310)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330)와, 소방호스(330)를 서로 연결하고, 소방호스(330)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370)와, 장착부(370)에 설치되고, 소방호스(330)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다수 개의 수원에 인접하도록 소방함(310)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배관(312a)과 공급관(312)을 분리시키면 화재에 발생된 지점으로 소방함(310)을 옮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소방함(310)에는 이동롤러(318)가 구비되므로 연결배관(312a)과 공급관(312)을 분리시키면 이동롤러(318)의 작동에 의해 작업자는 소방함(310)을 밀면서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소방함(3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 소방함(310)을 옮긴 후에 작업자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312)에 연결배관(312a)을 결합하고, 소방함(310)으로부터 소방호스(330) 및 장착부(370)를 인출하여 건축물의 테두리에 건축물을 감싸도록 소방호스(330)를 배치시키고, 밸브(312b)를 개방시켜 소방수가 건축물 측으로 비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을 통해 산불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문화재나 사찰과 같이 외진 곳에 위치하는 건축물에 화재가 번지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고, 소방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건축물용 소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물용 소방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물용 소방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소방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소방함 12 : 공급관
14 : 밸브 16 : 거치대
30 : 소방호스 32 : 커플러
34 : 분사노즐 50 : 드렌처 헤드
70 : 장착부 72 : 연결관
72a : 결합홀부 74 : 고정블록
74a : 안착부

Claims (7)

  1.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는 소방함;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소방함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
    상기 소방호스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소방호스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호스의 단부에는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플러가 결합되어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고, 소방수를 안내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비교하여 바닥면이 넓게 형성되어 직립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의 단면형상은 'ㅗ'모양으로 형상되고, 상기 삽입홈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단면형상도 'ㅗ'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는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소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소방수가 비산될 때에 상기 연결관 및 상기 고정블록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연결관과 비교하여 무겁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소방장치.
  5. 삭제
  6. 삭제
  7. 소방수를 공급하는 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치대 및 이동롤러가 구비되는 소방함;
    상기 연결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소방함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소방호스;
    상기 소방호스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소방호스를 지면에 놓으면 일 방향으로 직립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방호스를 따라 공급되는 소방수를 건축물 측으로 비산시키는 드렌처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호스의 단부에는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플러가 결합되어 상기 소방호스와 연결되고, 소방수를 안내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비교하여 바닥면이 넓게 형성되어 직립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의 단면형상은 'ㅗ'모양으로 형상되고, 상기 삽입홈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기의 단면형상도 'ㅗ'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는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부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20130045700A 2013-04-24 2013-04-24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134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700A KR101342127B1 (ko) 2013-04-24 2013-04-24 건축물용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700A KR101342127B1 (ko) 2013-04-24 2013-04-24 건축물용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127B1 true KR101342127B1 (ko) 2013-12-18

Family

ID=4998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700A KR101342127B1 (ko) 2013-04-24 2013-04-24 건축물용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48B1 (ko) * 2015-05-22 2016-11-23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워터 커튼 소방 호스
JP2019205530A (ja) * 2018-05-28 2019-12-05 株式会社モリタ 水膜形成装置
KR102077296B1 (ko) 2019-10-17 2020-04-07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230010926A (ko) * 2021-07-13 2023-01-20 정주일 소방 호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928A (ja) * 2001-03-30 2002-10-08 Nohmi Bosai Ltd 消火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928A (ja) * 2001-03-30 2002-10-08 Nohmi Bosai Ltd 消火栓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48B1 (ko) * 2015-05-22 2016-11-23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워터 커튼 소방 호스
JP2019205530A (ja) * 2018-05-28 2019-12-05 株式会社モリタ 水膜形成装置
JP7156599B2 (ja) 2018-05-28 2022-10-19 株式会社モリタ 水幕形成装置
TWI798442B (zh) * 2018-05-28 2023-04-11 日商森田股份有限公司 水幕形成裝置
KR102077296B1 (ko) 2019-10-17 2020-04-07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230010926A (ko) * 2021-07-13 2023-01-20 정주일 소방 호스 조립체
KR102641995B1 (ko) * 2021-07-13 2024-02-28 정주일 소방 호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127B1 (ko)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2429197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NZ290821A (en) Flexible hose fire extinguishing agent reservoir with agent atomising explosive
KR101343779B1 (ko)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EP2600943B1 (en) Dual mode agent discharge system with multiple agent discharge capability
KR102051630B1 (ko) 산불 진화용 이동 확장식 호스릴 소방시스템
CN110237472A (zh) 一种楼宇消防安全用自动化灭火装置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US7431100B2 (en) Fire fighting tool
RU25213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жарного от тепл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US6719214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KR20090070090A (ko)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한 상향방수형 소방장치
KR20020051476A (ko) 전력공동구용 소화시스템
KR20110119157A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KR102641995B1 (ko) 소방 호스 조립체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2630703B1 (ko) 수벽 노즐장치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KR102508165B1 (ko) 산불 초기 진압이 가능한 등산로 가이드레일 구조
JP2005503216A (ja) 消火方法及び装置
KR20210082666A (ko)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CN220175937U (zh) 一种楼宇消防安全用自动化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