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73B1 -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73B1
KR102348873B1 KR1020210075805A KR20210075805A KR102348873B1 KR 102348873 B1 KR102348873 B1 KR 102348873B1 KR 1020210075805 A KR1020210075805 A KR 1020210075805A KR 20210075805 A KR20210075805 A KR 20210075805A KR 102348873 B1 KR102348873 B1 KR 10234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control unit
branch
injec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용
Original Assignee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배관(100)과 제1분사기구(200), 제2분사기구(300), 행거유닛(400), 화재감지센서(500), 회전유닛(600), 전자밸브(700), 피난유도기(800) 및 제어부(900)로 구성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제1분사기구의 하부에 설치된 피난유도기는 스프링클러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피난유도기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사선으로 조사되면서 바닥에 표시되며, 이 표시를 보고 대피자들은 화재발생지점과 반대편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대피 경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Fire sprinkler connection device for fire suppression}
본 발명은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불빛을 통해 대피할 경로 파악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고,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해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실외의 외벽으로도 소방수를 분사하여 불길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건물(예:공동주택)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되면서 고층건물의 중심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소방차를 이용한 화재진압이 순조롭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속한 화재 진화가 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고층건물의 각층별 천장에는 화재진압용 살수장치 즉,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소방차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이라도 화재진압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살수장치는 천장패널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화재발생으로 인한 고온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어 물을 살수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살수장치로 화재를 진화하는 과정에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연기로 인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들은 시야를 확보가 어렵고, 이로 인해 방향 감각을 잃어 버리게 되면서 대피로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상기 살수장치는 실내에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화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 외벽으로 번질 경우에는 외벽에 발생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3116호
본 발명은 불빛을 통해 대피할 경로 파악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고, 화재를 감지해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불길이 천정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해 진압할 수 있음은 물론 실외의 외벽으로도 소방수를 분사하여 불길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방수가 공급되는 공급부와, 일단이 공급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건물의 외벽을 관통해 노출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는 분기부로 구성된 소방배관;
분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소방수를 공급받아 횡 방향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기구;
분기부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기부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으며, 외면에 공급받은 소방수를 외벽을 향해 분사할 수 있도록 외벽을 향해 경사진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분사기구;
분기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분기부를 감싸며, 내부에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를 갖춘 감착구와,
감착구의 수용부에 각각 끼워져 감착구가 분리를 제한하고, 분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요철형상의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부재와,
‘∩’자 형상을 이루며 천정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탄발부, 탄발부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의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행거로 구성된 행거유닛;
분기부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제어부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천정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분기부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된 회전유닛;
소방배관(100)의 공급부(110)에 설치되어 공급부(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700);
제1분사기구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피난유도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를 동작제어하여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매개로 분기부를 선회시키고, 소방배관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제1분사기구 및 제2분사기구를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를 동작제어하며, 피난유도기가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하부에 설치된 피난유도기는 제1분사기구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피난유도기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사선으로 조사되면서 바닥에 표시되며, 이 표시를 보고 대피자들은 화재발생지점과 반대편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대피 경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방수가 소정의 각도로 분사됨에 따라 실내공간이 소방수에 의해 구획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분사기구의 배출구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되면서 외벽을 적셔 줌에 따라 화재발생시 불길이 위로 타고 올라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더욱이 외장재가 불에 취약한 경우에는 이를 보호해 주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저면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4는 도 3의“A”확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저면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A”확대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는 소방배관(100)과 제1분사기구(200), 제2분사기구(300), 행거유닛(400), 화재감지센서(500), 회전유닛(600), 전자밸브(700), 피난유도기(800) 및 제어부(9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실내에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해 진압할 수 있으면서도 불길이 천정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방지 및 진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외의 외벽으로도 소방수를 분사함에 따라 불길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불빛을 통해 대피할 경로를 제공함에 따라 신속한 탈출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소방배관(100)은 공급부(110)와 분기부(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행거유닛(400)을 매개로 천정(C)에 설치되어 소방수를 제1·2분사기구(200,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공급부(110)는 3개의 지관을 갖으며, 각 지관에는 일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 분기부(12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분기부(120)의 타단부는 외벽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렇게 공급부(100)에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설치된 분기부(120)는 추후 회전유닛(600)에 의해 제자리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분기부(120)의 회동에 의해 분기부(120)에 설치된 제1·2분사기구(200,300) 역시 함께 회동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분사기구(200)는 분기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분사기구(200)는 분기부(120)와 직교를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1분사기구(200)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는 수평으로 분사된다. 상기 제1분사기구(200)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분사기구(300)는 분기부(120)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아 외벽(W)을 향해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분사기구(300)는 내부가 일단으로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는 부재로, 일단부가 분기부(120)와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내부가 분기부(120)와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2분사기구(300)의 외면(외주면)에는 외벽을 향해 경사진 배출구(31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배출구(310)를 통해 분기부(120)로부터 공급된 소방수가 배출되면서 외벽을 적셔 줌에 따라 화재발생시 불길이 위로 타고 올라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더욱이 외장재가 불에 취약한 재질이라면 이를 보호해 주는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분사기구(300)는 분기부(120)의 회동시 제1분사기구(200)와 함께 회동된다.
도 1과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유닛(400)은 감착구(410)와 슬라이딩부재(420) 및 행거(4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정(C)에 설치되어 소방배관(10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착구(410)는‘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반원형의 부재로 분할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 분기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기부(1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부재(42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감착구(410)는 내부가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411)를 구비하며, 이 수용부(411)에는 슬라이딩부재(42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20)는 반원형의 부재로, 감착구(410)의 수용부(411)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슬라이딩부재(420)의 양단부에는 요철모양의 삽입부(4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삽입부(421)에는 행거(430)의 연결부(432)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분할된 슬라이딩부재(420)를 상호 연결해 감착구(410)가 벌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행거(430)는 탄발부(431)와 연결부(432)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정(C)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되어 슬라이딩부재(4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부재(420)를 상호 연결하고, 이와 더불어서 분기부(120)가 천정(C)에 설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발부(431)는‘∩’자 형상의 부재로,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천정(C)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발부(431)의 말단에는 삽입부(421)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4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발부(431)는 절곡된 부분(도 5b 참조)을 기준으로 해서 탄성변형 및 복원되는 구조이며, 이를 이용해 연결부(432)를 삽입부(421)하거나 연결부(43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서, 상기 감착구(410)의 경계선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경계선이 소정의 각도로 서로 어긋나 있을 때는 감착구(410)의 분리를 슬라이딩부재(420)로 제한할 수 있지만, 감착구(410)의 경계선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경계선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감착구(410)는 작업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부재(420)를 연결부(432)를 매개로 상호 연결해주게 되면 슬라이딩부재(420)가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됨에 따라 감착구(410)의 경계선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경계선이 일치하더라도 감착구(410)가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분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분기부(120)의 경우 분리된 부분이나 연결된 부분 없이 단일물로 제작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제1분사기구(2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제1분사기구(200)와의 간섭으로 인해 분기부(120)의 양단부에만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분리 가능한 행거유닛(400)을 적용해 주게 되면, 분기부(120)의 아무 위치에나 행거유닛(40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500)는 통상의 감지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각 분기부(120)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해 이를 제어부(900)로 각각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유닛(600)은 구동모터(610)와 구동기어(620) 및 종동기어(6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분기부(120)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터(610)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통상의 서보모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각 분기관(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천정(C)에 고정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상기 구동기어(620)는 구동모터(610)의 축에 고정되어 구동모터(61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630)는 구동기어(620)와 맞물려 연동될 수 있게 분기부(120)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종동기어(630)는 구동기어(620)와 상호 맞물려 연동한다. 그리고 종동기어(630)는 구동기어(620)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모터(610)로부터의 회전력을 구동기어(620)를 매개로 전달받아 분기관(120)에 전달하게 되며, 이에 의해 분기관(120)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밸브(700)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방배관(100)의 공급부(11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되어 공급부(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피난유도기(800)는 통상의 레이저포인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분사기구(2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되어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대피 경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일종의 컨트롤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610)를 동작제어하여 구동기어(620)와 종동기어(630)를 매개로 분기부(120)를 회동시킨다. 또한, 상기 소방배관(1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제1분사기구(200) 및 제2분사시구(300)를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700)를 동작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피난유도기(800)가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900)는 각각의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분기관(12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화재감지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900)로 입력되면, 제어부(900)는 좌측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분기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전유닛(60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한편, 좌측과 중간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는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었지만, 우측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는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900)는 우측에 분기관(120)을 제외한 나머지 좌측과 중간의 분기관(120)만 회동되도록 해당 회전유닛(60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각 분기부(120)에 화재감지센서(5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좌측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가 가장 먼저 감지하게 되고, 그 다음은 중간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가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900)로 출력하게 된다.
참고로, 우측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는 화재를 전혀 감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900)는 좌측과 중간에 위치된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게 신호의 접수 순서를 근거로 좌측이 발화지점이라는 것으로 판단해 좌측 분기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전유닛(600)을 동작제어하여 해당 화재감지센서(500)가 설치된 분기부(120)를 회동시키게 되며, 분기부(120)의 회전에 의해 제1분사기구(200)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제2분사기구(300)는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전자밸브(700)와 피난유도기(800)를 각각 동작제어하게 되는데, 전자밸브(700)는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공급부(110)를 개방하게 되고, 공급부(110)가 개방됨에 따라 소방수는 분기부(120)를 거쳐 제1분사기구(200)를 통해 배출되면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분사기구(20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방수가 배출됨에 따라 배출되는 소방수에 의해 실내공간이 구획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피난유도기(800)는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대피 경로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는 도 6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부(120)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400)가 화재를 모두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900)로 출력하게 되면, 제어부(900)는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분기부(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지 아니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지를 결정하게 된다. 일 예로 분기부(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900)는 모든 분기부(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각 회전유닛(500)을 동작제어하게 되고, 분기부(120)의 회전에 의해 제1분사기구(200)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방수를 배출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소방수가 소정의 각도로 분사됨에 따라 실내공간이 소방수에 의해 구획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벽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불길의 확산을 저지하면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대피자를 조금이나마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분사기구(200)로부터 배출된 소방수가 천정(C)에도 분사됨에 따라 불길이 천정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분사기구(200)의 하부에 설치된 피난유도기(800)는 제1분사기구(200)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피난유도기(8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사선으로 조사되면서 바닥에 표시(P1, P2, P3)되며, 이 표시(P1, P2, P3)를 보고 대피자들은 화재발생지점과 반대편이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대피 경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사기구(300)의 배출구(310)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되면서 외벽을 적셔 줌에 따라 화재발생시 불길이 위로 타고 올라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특히 외장재가 불에 취약한 경우에는 이를 보호해 주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소방배관 110: 공급부 120: 분기부
200: 제1분사기구 300: 제2분사기구 310: 배출구
400: 행거유닛 410: 감착구 411: 수용부
420: 슬라이딩부재 421: 삽입부 430: 행거
431: 탄발부 432: 연결부 500: 화재감지센서
600: 회전유닛 610: 구동모터 620: 구동기어
630: 종동기어 700: 전자밸브 800: 피난유도기
900: 제어부 C: 천정 W: 외벽

Claims (1)

  1. 소방수가 공급되는 공급부(110)와, 일단이 공급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건물의 외벽(W)을 관통해 노출되어 소방수를 공급받는 분기부(120)로 구성된 소방배관(100);
    분기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소방수를 공급받아 횡 방향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기구(200);
    분기부(120)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기부(120)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으며, 외면에 공급받은 소방수를 외벽(W)을 향해 분사할 수 있도록 외벽(W)을 향해 경사진 배출구(310)를 구비하는 제2분사기구(300);
    분기부(1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분기부(120)를 감싸며, 내부에 양단과 외주면으로 개구된 수용부(411)를 갖춘 감착구(410)와,
    감착구(410)의 수용부(411)에 각각 끼워져 감착구(410)가 분리를 제한하고,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요철형상의 삽입부(421)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부재(420)와,
    ‘∩’자 형상을 이루며 천정(C)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탄발부(431), 탄발부(431)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부재(420)의 삽입부(42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딩부재(4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2)로 이루어진 행거(430)로 구성된 행거유닛(400);
    분기부(120)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해 제어부(900)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0);
    천정(C)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구동모터(610)와, 구동모터(6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620)와, 분기부(120)에 고정되며 구동기어(6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630)로 구성된 회전유닛(600);
    소방배관(100)의 공급부(110)에 설치되어 공급부(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700);
    제1분사기구(200)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동작되어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피난유도기(800);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610)를 동작제어하여 구동기어(620)와 종동기어(630)를 매개로 분기부(120)를 선회시키고, 소방배관(100)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제1분사기구(200) 및 제2분사기구(300)를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700)를 동작제어하며, 피난유도기(800)가 점등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0210075805A 2021-06-11 2021-06-11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234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805A KR102348873B1 (ko) 2021-06-11 2021-06-11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805A KR102348873B1 (ko) 2021-06-11 2021-06-11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873B1 true KR102348873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805A KR102348873B1 (ko) 2021-06-11 2021-06-11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8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94B1 (ko) * 2023-07-06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KR102619189B1 (ko) * 2023-07-06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이상체크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보호배전반
KR102619190B1 (ko) * 2023-07-06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안전형 보호배전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06Y1 (ko) * 2006-09-21 2006-12-15 김복환 먼지 제거 분무장치
KR101279525B1 (ko) * 2012-02-01 2013-07-09 세웅기계 주식회사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KR20170068185A (ko) * 2015-12-09 2017-06-19 장승구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753116B1 (ko)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06Y1 (ko) * 2006-09-21 2006-12-15 김복환 먼지 제거 분무장치
KR101279525B1 (ko) * 2012-02-01 2013-07-09 세웅기계 주식회사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KR20170068185A (ko) * 2015-12-09 2017-06-19 장승구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753116B1 (ko)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94B1 (ko) * 2023-07-06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KR102619189B1 (ko) * 2023-07-06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이상체크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보호배전반
KR102619190B1 (ko) * 2023-07-06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안전형 보호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873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374455B1 (ko) 화재대피를 위한 소방용 피난유도기구
KR102324854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US20050252989A1 (en) Water driven fire hose spinning nozzle
KR101669808B1 (ko) 공동주택의 화염확산 방지를 위한 밀폐식 제연도어
KR102348875B1 (ko) 안전대피를 위한 소방표시기구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74561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382631B1 (ko) 자동소화장치
KR101700216B1 (ko) 건물 발코니에 구비된 방화 장치
KR101772025B1 (ko) 공동주택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1050483B1 (ko)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US20180144595A1 (en) Retrofit Self-Annunciating Sprinkler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382632B1 (ko) 연동형 자동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