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194B1 -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194B1
KR102619194B1 KR1020230087680A KR20230087680A KR102619194B1 KR 102619194 B1 KR102619194 B1 KR 102619194B1 KR 1020230087680 A KR1020230087680 A KR 1020230087680A KR 20230087680 A KR20230087680 A KR 20230087680A KR 102619194 B1 KR102619194 B1 KR 102619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fire
case
opening
sub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주)정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8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10)와 보호배전기기(20), 전환유닛(30), 소화기(40), 화재감지센서(50), 구동유닛(60), 타격기(70), 제어부(80), 경보기(90), 스피커(100), 마이크(110) 및 송수신기(120)로 구성된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케이스(10)의 내부 열을 쉽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에는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주변으로 알려줌은 물론 보다 확실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통신수단을 휴대하지 않아도 중앙통제실과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 체계적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Substation facility for 154KV or higher substation equipped with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배전반은 변전소에 설치된 각종 변전기기들을 직접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전설비로서,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자기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연결시키는 도체물들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전자기기들은 사각형의 철재 외함 내에 안전하게 절연 수납되어 있다.
변전소 내에서는 보호배전반을 통해 변전소 내의 다양한 주요 장비들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되며, 운용자는 전력공급 상태를 보호배전반에 설치된 계측기들에 의하여 계측된 데이터들을 통해 원격 확인할 수 있고, 보호배전반은 써지(Surge), 과전압 또는 과전류 등의 이상상태 발생 시 공급 전력을 차단시켜 보호배전반에 연결된 각종 전력설비들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154kv 급 변전소에 설치되는 보호배전반들은 변전소 내에서 그 보호대상에 따라 송전선로 보호반, 주변압기 보호반, 모선 보호반, 차단기 동작실패 보호반 등 다양한 종류의 보호배전반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보호배전반은 주변압기에 대한 감시, 제어 보호를 위하여 과전류, 과전압, 부족전류, 부족전압, 지락 등을 검출해 내는 각종 계전기들과 전류, 전압, 전력, 주파수, 위상 등을 측정하는 각종 계측기들을 실장하고 있으며 개폐기 등을 위한 전원 및 제어용 전선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전력수급규모와 안전성에 대한 요구에 따라 점차 복잡해지고 대형화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보호배전반은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9032호(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수배전설비/이하, 종래기술 1이라 칭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8409호(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이하, 종래 기술 2라 칭함)이 있으며, 여기에는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 1의 경우에는 수배전반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한 다음, 케이스 내에 투척식 소화기를 투척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하게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고, 종래 기술 2의 경우에는 보호배전기기를 배전반 하우징에 수용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 1에 비해 소형화되었다는 이점은 있으나, 소화시설이 배전반 하우징 내에 함께 설치되는 구조이기 보호배전반의 크기를 더 이상 작게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 1과 2의 경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도 않았다.
또한, 종래 기술 1과 2의 경우 현장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중앙통제실의 관리자의 연락관계를 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전기나 휴대전화를 항시 소지하고 다녀야 했으며, 만약 별도의 무전기나 휴대전화를 소지 않은 경우에는 중앙통제실과 연락을 주고받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장상황에 대한 보고가 늦어지거나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9032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8409호
본 발명은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전환유닛이 평상시에는 케이스의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다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화재발생시에는 구동유닛에 의해 전환되어 개구부를 폐쇄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최소화되도록 해 줌으로서 화재를 보다 확실하면서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에는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주변으로 알림하며, 별도의 통신수단을 휴대하지 않아도 중앙통제실과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 체계적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 상단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함체와,
함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함체의 측면에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스토퍼와,
함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판 상의 브라켓으로 구성된 케이스;
함체에 내설되어 변전소 주변압기의 감시 및 보호가 가능한 보호배전기기;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함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풍구를 구비하는 통풍판과,
통풍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통풍판과 서로 둔각을 이루며,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개구부를 폐쇄하는 차폐판과,
통풍판과 차폐판의 경계로부터 연장되어 함체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통풍판과 차폐판의 경계에 나란하게 설치되는‘C’자 형상의 클램프로 구성된 전환유닛;
클램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화약재가 충진된 유리재질의 소화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화재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브라켓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함체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성된 구동유닛;
소화기에 인접되게 차폐판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소화기를 타격해 깨뜨리는 타격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전환유닛이 회전되도록 모터를 동작제어하고, 소화기를 타격해 깨뜨리도록 타격기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 및 경광을 방출하는 경보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케이스에 설치되며, 중앙통제실로부터의 상대방 음성을 수신받아 스피커로 전달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중앙통제실로 송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환유닛이 평상시 케이스의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다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화재발생시 개구부가 전환유닛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재를 보다 확실하면서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진압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로 인한 피해발생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통신수단을 휴대하지 않아도 스피커와 마이크 및 송수신기를 통해 중앙통제실과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 체계적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은 케이스(10)와 보호배전기기(20), 전환유닛(30), 소화기(40), 화재감지센서(50), 구동유닛(60), 타격기(70), 제어부(80), 경보기(90), 스피커(100), 마이크(110) 및 송수신기(12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케이스(10)의 내부 열을 쉽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에는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주변으로 알려줌은 물론 보다 확실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통신수단을 휴대하지 않아도 중앙통제실과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 체계적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술적이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는 함체(11)와 도어(12), 스토퍼(13) 및 브라켓(14)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부에 설치되는 보호배전기기(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다.
상기 함체(11)는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되고, 개구된 전면에는 도어(1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함체(11)의 후면에는 판상의 브라켓(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11)의 측면 상단부에는 사각형상의 개구부(11a)가 마련되고, 개구부(11a)의 하측에는 전면에서 본 모양이 삼각형상을 이루며 개구부(11a)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스토퍼(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함체(11)의 안쪽에 배치된 차폐판(13)은 통풍판(31)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함체(11)의 바깥쪽에 배치된 스토퍼(13)는 차폐판(32)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11a)의 하단부 내면 양측에는 회전축(33)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구멍(도 3 참조)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배전기기(20)는 케이스(10)에 내설되어 변전소 주변압기(TR)의 감시 및 보호가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보호배전기기(20)는 주변압기(TR) 이외의 다양한 변전용 기기를 감시 및 보호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배전기기(20)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환유닛(30)은 통풍판(31)과 차폐판(32), 회전축(33) 및 클램프(34)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개구부(11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개구부(11a)를 폐쇄하여 외기가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풍판(31)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다수의 통풍구(31a)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통풍구(31a)는 개구부(11a)에 배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 열과 외기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역할과 더불어서 회전되어 스토퍼(13)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액상의 소화약재가 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역할을 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판(32)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통풍판(31)의 일단(하단)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통풍판(31)과 서로 둔각(100˚∼ 11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풍판(31)과 차폐판(32)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게 되면, 통풍판(31)이 회전되어 뉘어졌을 때, 자연스럽게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소화약재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상기 차폐판(32)은 회전되어 함체(11)의 개구부(11a)를 폐쇄해 줌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재진압에 보다 효율적이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차폐판(32)의 상면(타격기가 설치된 면의 가장자리) 가장자리를 따라 소프트한 재질의 실링재(실리콘 또는 스펀지)를 설치해주게 되면, 차폐판(32)이 개구부(11a)에 배치되었을 때, 차폐판(32)과 개구부(11a) 사이에 틈을 보다 확실하게 매울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더욱더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은 통풍판(31)과 차폐판(32)이 만나는 경계(도 3 참조)방향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함체(11)에 형성된 구멍(도 3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회전축(33)은 함체(11)의 구멍(도 3 참조)을 관통해 함체(11)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회전축(33)에는 종동기어(63)가 고정되어 회전축(33)과 일체형을 이룬다.
상기 클램프(34)는‘C’자 형상을 갖는 탄성체로, 통풍판(31)과 차폐판(32)의 경계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소화기(4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화기(40)는 유리재질의 탱크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액이 충진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클램프(3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타격기(70)에 의해 파괴되며, 파괴시 소화액을 유출하여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화액은 해당분야(투척식 소화기에 충진된 액체)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센서(50)는 케이스(10)에 내설되어 화재(열, 연기 등)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유닛(60)은 모터(61)와 구동기어(62) 및 종동기어(6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전환유닛(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61)는 모터축(61a)을 갖춘 공지의 서보모터(Servomotor)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브라켓(14)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동작제어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터축(61a)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기어(62)는 모터축(61a)에 고정되어 모터축(61a)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63)는 함체(11)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33)에 고정되어 구동기어(62)와 맞물려 회전한다.
일 예로, 상기 모터(61)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61a)이 회전하게 되고, 모터축(61a)의 회전으로 인해 모터축(61a)에 고정된 구동기어(62)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기어(62)의 회전으로 인해 구동기어(62)와 맞물린 종동기어(6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동기어(63)가 회전함에 따라 종동기어(63)와 일체형을 이루는 회전축(33)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33)의 회전으로 인해 개구부(11a)에 배치되어 있던 통풍판(31)은 함체(11)의 내부로 인입되고, 통풍판(31)과 일체를 이루는 차폐판(32)은 회전되어 개구부(11a)를 폐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타격기(70)는 타격봉(71)을 갖춘 공지의 솔레노이드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소화기(40)에 인접되게 차폐판(32)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인출되는 타격봉(71)을 매개로 소화기(40)를 타격해서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케이스(10)에 내설되어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경보기(90)를 동작제어하고, 이와 더불어서 구동유닛(60)과 타격기(70)를 각각 시간차를 두고 동작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먼저 경보기(90)가 작동되도록 동작제어하고, 이와 더불어서 구동유닛(60)을 동작제어하여 전환유닛(30)이 회전되도록 한 다음, 전환유닛(30)의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을 고려해 타격기(70)를 동작제어하여 소화기(40)가 타격에 의해 파괴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보기(90)는 케이스(10)를 구성하는 함체(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과 경광을 방출해 현재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산되는 빛과 경고음을 통해 현재 화재가 발생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스피커(100)와 마이크(110) 및 송수신기(1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피커(100)와 마이크(110)는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함체(11)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데, 스피커(100)는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마이크(110)는 사용자(작업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120)는 케이스(10)를 구성하는 함체(11)의 상면에 설치되어 중앙통제실로부터의 상대방 음성을 수신받아 스피커(100)로 전달하고,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중앙통제실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100)와 마이크(110) 및 송수신기(120)의 경우 통신분야에서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0)에 내설된 보호배전기기(20)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화재감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부(80)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80)는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기(90)를 작동제어하면서 구동유닛(60)과 타격기(70)를 각각 동작제어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는 구동유닛(60)의 모터(61)를 동작제어하게 되는데, 모터(61)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61a)이 회전하게 되고, 모터축(61a)의 회전으로 인해 모터축(61a)에 고정된 구동기어(62)가 회전하게 되며, 구동기어(62)의 회전으로 인해 구동기어(62)와 맞물린 종동기어(63)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63)의 회전으로 인해 종동기어(63)와 일체형을 이루는 회전축(33)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33)의 회전으로 인해 개구부(11a)에 배치되어 있던 통풍판(31)은 회전되어 함체(11)의 내부로 인입되고, 통풍판(31)과 일체를 이루는 차폐판(32)은 회전되어 개구부(11a)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풍판(31)은 회전되어 스토퍼(13) 상에 얹혀짐에 따라 더 이상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폐판(32)이 개구부(11a)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80)는 타격기(7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타격기(70)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타격봉(71)을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타격봉(71)이 인출되는 과정에 소화기(40)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면서 유리재질의 소화기(40)는 순간적으로 파괴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기(40)의 파괴로 인해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소화액은 통풍판(31)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이렇게 유동하는 과정에 통풍구(31a)를 통해 배출되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개구부(11a)가 차폐판(32)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재를 보다 확실하면서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진압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로 인한 피해발생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현장으로 출동한 작업자는 중앙통제실의 관리자와 스피커(100), 마이크(110) 및 송수신기(120)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상황을 생생하게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함체(11)의 일측면에 전환유닛(30)과 소화기(40), 구동유닛(60) 및 타격기(7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함체(11)의 타측면에도 상호 대향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케이스 11: 함체 11a: 개구부
12: 도어 13: 스토퍼 14: 브라켓
20: 보호배전기기 30: 전환유닛 31: 통풍판
31a: 통풍구 32: 차폐판 33: 회전축
34: 클램프 40: 소화기 50: 화재감지센서
60: 구동유닛 61: 모터 61a: 모터축
62: 구동기어 63: 종동기어 70: 타격기
71: 타격봉 80: 제어부 90: 경보기
100: 스피커 110: 마이크 120: 송수신기

Claims (1)

  1. 측면 상단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a)가 마련된 함체(11)와, 함체(11)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와,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함체(11)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형성되어 통풍판(31)과 차폐판(32)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면서 지지하는 스토퍼(13)와, 함체(11)의 후면에 형성되는 판 상의 브라켓(14)으로 구성된 케이스(10);
    함체(11)에 내설되어 변전소 주변압기(TR)의 감시 및 보호가 가능한 보호배전기기(20);
    개구부(11a)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함체(11)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풍구(31a)를 구비하는 통풍판(31)과, 통풍판(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통풍판(31)과 서로 둔각을 이루며, 개구부(11a)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개구부(11a)를 폐쇄하는 차폐판(32)과, 통풍판(31)과 차폐판(32)의 경계로부터 연장되어 함체(11)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함체(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과, 통풍판(31)과 차폐판(32)의 경계에 나란하게 설치되는‘C’자 형상의 클램프(34)로 구성된 전환유닛(30);
    클램프(3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내부에 액상의 소화약재가 충진된 유리재질의 소화기(40);
    케이스(10)에 내설되어 화재를 감지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50);
    브라켓(14)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61)와, 모터(6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62)와, 함체(11)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33)에 고정되며, 구동기어(62)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63)로 구성된 구동유닛(60);
    소화기(40)에 인접되게 차폐판(32)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소화기(40)를 타격해 깨뜨리는 타격기(70);
    화재감지센서(5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전환유닛(30)이 회전되도록 모터(61)를 동작제어하고, 소화기(40)를 타격해 깨뜨리도록 타격기(7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
    케이스(10)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 및 경광을 방출하는 경보기(90);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00);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10);
    케이스(10)에 설치되며, 중앙통제실로부터의 상대방 음성을 수신받아 스피커(100)로 전달하고, 마이크(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중앙통제실로 송신하는 송수신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KR1020230087680A 2023-07-06 2023-07-06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KR102619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680A KR102619194B1 (ko) 2023-07-06 2023-07-06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680A KR102619194B1 (ko) 2023-07-06 2023-07-06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194B1 true KR102619194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680A KR102619194B1 (ko) 2023-07-06 2023-07-06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1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7B1 (ko) * 2009-10-15 2010-04-28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공동주택의 절전형 스위치 배전함
KR102009032B1 (ko) 2017-03-13 2019-08-08 박찬임 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수배전 설비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228409B1 (ko)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48873B1 (ko) * 2021-06-11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7B1 (ko) * 2009-10-15 2010-04-28 (주)삼우전기컨설턴트 공동주택의 절전형 스위치 배전함
KR102009032B1 (ko) 2017-03-13 2019-08-08 박찬임 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수배전 설비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228409B1 (ko)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48873B1 (ko) * 2021-06-11 2022-01-12 남경이앤지 주식회사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409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1885834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US7889474B2 (en) Manually-controlled arc flash energ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 trip units
KR102177564B1 (ko)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KR100964544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177562B1 (ko)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1711435B1 (ko) 내진 기능 및 진동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KR102619194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변전설비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CN116457062A (zh) 电池灭火剂系统
CN201466474U (zh) 新型中置柜接地开关操作闭锁机构
KR102619189B1 (ko) 이상체크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보호배전반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CN209823175U (zh) 一种有消防装置的电柜
CN108939353B (zh) 箱变感温自启动灭火系统
KR102619190B1 (ko)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안전형 보호배전반
KR102174980B1 (ko) 전력 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설비
CN209217456U (zh) 一种sf6全绝缘断路器柜成套设备
CA1251850A (en) Protective device for preventing blowout of bushing in high-voltage switching installation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KR102074174B1 (ko) Ict 분전반 관리 시스템
CN213660911U (zh) 一种便于组装的污水处理电气控制柜
KR100627077B1 (ko)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