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077B1 -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077B1
KR100627077B1 KR1020060007276A KR20060007276A KR100627077B1 KR 100627077 B1 KR100627077 B1 KR 100627077B1 KR 1020060007276 A KR1020060007276 A KR 1020060007276A KR 20060007276 A KR20060007276 A KR 20060007276A KR 100627077 B1 KR100627077 B1 KR 10062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ube
cabinet body
power supply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기
Original Assignee
강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기 filed Critical 강춘기
Priority to KR102006000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국소적인 화재발생시 조기 진화하여 장비의 손실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장비의 보수를 신속하게 하여 열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 내부에서 설정된 온도이상의 열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방출시켜 줌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 메카니즘은 캐비넷본체(10)에 수용되며 소화약제(41)가 충전된 소화기(30)와, 소화기(30)와 연결되어 소화약제(41)가 일정압으로 공급유지되고 캐비넷본체에 수용되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의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서 파열되어 소화약제(41)를 분출시키는 소화튜브(40)와, 소화튜브(40)의 전체길이를 따라 내장되며 적어도 하나에 절연재(43)가 도포되며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42)와, 열에 의해서 소화튜브(40)가 파열되고 감지와이어(42)를 도포한 절연재(43)가 녹아 한쌍의 감지와이어(42)가 상호 접촉되었을때 합선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와, 발생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갖는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메카니즘은 전원공급기의 캐비넷본체 내부에 소화기(30) 및 이로부터 소화약제가 공급유지되는 소화튜브(40)를 기기내 각 부붐을 경유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각 부품에서의 화재 또는 내부의 과열시에 소화튜브(40)가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부분을 조기에 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이로써 기기의 전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소화튜브(40)의 파열과 함께 화재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의 절연재(43)가 녹아내림으로써 합선되어 경보기를 직동시킴으로써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따른 보수작업을 신속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보신호를 통신수단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자에게도 화재발생을 알리게 하여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전원공급기, 열차, 캐비넷, 소화튜브, 감지와이어

Description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A mechanism of power supply for train signal}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전원공급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채용된 소화기 및 소화튜브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소화튜브의 일부를 절제한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소화튜브의 파열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화재를 감지하여 원격지에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캐비넷본체 내부에 설치된 환풍팬 및 조명등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접지와이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보호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넷본체 20...도어
30...소화기 40...소화튜브
42...감지와이어 90...덕트
본 발명은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국소적인 화재발생시 조기 진화하여 장비의 손실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장비의 보수를 신속하게 하여 열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 내부에서 설정된 온도이상의 열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방출시켜 줌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열차의 안전운전을 담당하는 중요한 설비로서 시스템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신호용 단독 변압기를 사용하여 신호설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전반, 정류기 및 무정전 전원장치등이 캐비넷에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보수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통상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가동중에는 자체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되어 전기/전자회로부품등 내부기기가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특히 고열(高熱) 또는 전기합선등의 이유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원공급기 전체가 손실되어 복구시간이 길어지고 경제적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화재발생시 발화지점에서 즉시 화재를 진압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복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 복구를 가능하게 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는 경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깅의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검이나 기기조작등으로 캐비넷 도어를 개폐시키는 경우 도어의 과도한 열림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접지를 가능하게 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서 개폐가능한 캐비넷본체 내부공간에 배전반 및 정류기를 수용하여서 열차 신호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본체에 수용되며 소화약제가 충전된 소화기와,
상기 소화기와 연결되어 소화약제가 일정압으로 공급유지되고 상기 캐비넷본 체에 수용되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의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서 파열되어 소화약제를 분출시키는 소화튜브와,
상기 소화튜브와 함께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내장되며 적어도 하나에 절연재가 도포되며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와,
상기 열에 의해서 상기 감지와이어를 도포한 절연재가 녹아 한쌍의 감지와이어가 상호 접촉되었을때 합선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와,
일단이 상기 캐비넷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의 회전각도를 제한시키며 누설전류를 접지시키는 접지와이어와,
상기 캐비넷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내부를 조명시키는 조명등과,
상기 캐비넷본체 내부에 발생된 열을 감지하며 설정온도이상의 열이 발생되었을때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환풍팬과,
상기 캐비넷본체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캐비넷본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캐스터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메카니즘은 상기 발생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갖는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비넷본체 내부에 상기 감지와이어 및 소화튜브의 설치 경로를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덕트를 형성하여서, 상기 감지와이어 및 소화튜브가 안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메카니즘은 화재발생시 발화지점에서 즉시 화재를 진압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복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 복구를 가능하게 하고, 전원공급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되는 경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점검이나 기기조작등으로 캐비넷 도어를 개폐시키는 경우 도어의 과도한 열림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접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열차의 안전운전을 담당하는 중요한 설비로서 시스템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신호용 단독 변압기를 사용하여 신호설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전반, 정류기 및 무정전 전원장치등이 캐비넷에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보수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넷본체(10) 내부공간에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을 수용하여서 열차 신호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에 의해서 캐비넷본체(10)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본체(10)에는 소화약제(41)가 충전된 소화기(3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30)에는 소화튜브(40)가 연결되어 수용된 각 전기/전자부품을 경유하여 배선되도록 되어 있다.
즉, 소화튜브(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본체(10)에 수용되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의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선되며, 소화기(30)로부터 소화약제(41)가 일정압력으로 공급되어 있게 되고, 캐비넷본체(10)내의 온도 또는 각 전기/전자부품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되게 되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인접한 소화튜브(4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되어 화재부분을 소화진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소화튜브(40)는 대략 80~100℃에서 녹아서 파열될 수 있도록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소화튜브(40)내부에는 소화튜브(40)의 전체길이를 따라 내장되며 절연재(43)가 도포되고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감지와이어(42)는 화재발생이나 설정온도이상의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화튜브(40)의 파열로 소화약제(41)의 분출과 함께 절연재(43)가 녹아서 상호 합선되어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즉, 통전되는 두 감지와이어(42)가 상호 합선에 의해서 전기적신호가 발생되어 과열이나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경보발생기를 통하여 알리게 한다.
이와 같은 경보발생신호는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상의 통신수단을 통하여 원격지에 알릴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와이어(42)는 상기 소화튜브(40)와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함께 배치된다. 이 경우 화재발생시 열에 의하여 감지와이어(42)와 소화튜브(40)가 동시에 녹아 감지와이어(42)가 합선되고 소화튜브(40)가 파열된다.
이때 상기 감지와이어(42)의 합선은 스위치기능을 하여 경보발생기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캐비넷본체(10)의 내부를 경유토록 배선되는 감지와이어(42) 및 소화튜브(40)가 굽어지는 구간에서 꺽이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관(70)을 결합시켰는 바, 보호관(70)으로는 코일스프링관을 사용하였다. 이에따라서 고압의 소화액이 충전된 소화튜브(40)가 굽어지는 구간에서 꺽임 또는 균열등의 손상으로 화재에 의한 파열이 아니 자체 손상으로 파열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캐비넷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20)에 연결되어 도어(20)의 회전각도를 제한시키며 누설전류를 접지시키는 접지와이어(70)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지와이어(70)는 피복되어서 인체 접촉에 따른 전기적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도어(20)를 오픈할 경우 누설전류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과도한 도어(20)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내부(10) 상측에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내부를 조명시키는 조명등(12)과, 상기 캐비넷본체(10) 내부에 발생된 열을 감지하며 설정온도이상의 열이 발생되었을때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환풍팬(11)과, 상기 캐비넷본체(1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캐비넷본체(10)를 지지하는 복수의 캐스터(80)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서, 도어(20) 또는 캐비넷본체(10)에는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되어서 도어(20)의 개폐시에 on/off 작동되어 조명등(12)이 점등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캐비넷본체(10)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되어서 설정온도이상으로 캐비넷본체(10)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환풍팬(11)에 전원이 공급되어 내부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은 전원공급기의 가동중에 정류기등의 일부 부품에서 과열등에 의한 화재발생시에 그 주위를 경유하는 소화튜브(4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되어 소화약제(41)가 분출됨으로써 화재부분을 소화진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소화튜브(40)의 파열과 함께 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의 전열체(43)가 녹아내림으로써 합선되어 경보발생기(미도시)가 작동되게 된다. 이러한 경보신호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통보되고 화재부분의 수리등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공급기의 가동중에 캐비넷본체(10)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 환풍팬(11)이 작동되어 과열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야간에 전원공급기의 수조작이 요구되는 경우 도어(20) 오픈시에 조명등(12)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접지와이어(70)를 마련함으로써 낙뢰시에 전원공급기를 보호하여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도어(20)를 오픈하는 경우 누설전류등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비넷본체(10)에 캐스터(80)를 마련함으로써 전원공급기의 위치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는 캐비넷본체(10) 내부에 덕트(90)를 형성하여서 상기 감지와이어(42) 및 소화튜브(40)가 안내되도록 한 것으로써, 정류기와 같은 수용된 전기/전자부품들을 수리 또는 설치시에 감지와이어(42) 및 소화튜브(4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덕트(9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91)을 형성하여서, 화재발생시 소화약제(41)가 통과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감지와이어(42)에 의해 감지된 화재경보신호는 원격지의 관리자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게 하여 관리사무소의 관리자가 사무중에도 즉시 알수 있게 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할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전원공급기의 캐비넷본체 내부에 소화기(30) 및 이로부터 소화약제가 공급유지되는 소화튜브(40)를 기기내 각 부붐을 경유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각 부품에서의 화재 또는 내부의 과열시에 소화튜브(40)가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부분을 조기에 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이로써 기기의 전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소화튜브(40)의 파열과 함께 화재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의 절연재(43)가 녹아내림으로써 합선되어 경보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따른 보수작업을 신속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보신호를 통신수단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자에게도 화재발생을 알리게 하여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세째, 캐비넷본체(10)와 도어(20)에 접지와이어(70)를 연결설치함으로써, 낙뢰 또는 누설전류로부터 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도어(20)의 오픈시 도어(20)의 개폐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충격을 최소화한다.
네째, 캐비넷본체 내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될 경우 환풍팬의 가동으로 외부로 방열시킴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다섯째, 도어의 오픈시 점등되는 조명등을 채용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기기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여섯째, 캐스터의 채용으로 기기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일곱째, 감지와이어 및 소화튜브의 굽어지는 구간에 보호관을 결합시킴으로써, 손상을 최소화한다.
여덟째, 감지와이어와 소화튜브를 덕트에 안내시킴으로써 정류기와 같은 수용된 전기/전자부품들을 수리 또는 설치시에 감지와이어(42) 및 소화튜브(40)와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Claims (2)

  1. 도어에 의해서 개폐가능한 캐비넷본체 내부공간에 배전반 및 정류기를 수용하여서 열차 신호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본체(10)에 수용되며 소화약제(41)가 충전된 소화기(30)와,
    상기 소화기(30)와 연결되어 소화약제(41)가 일정압으로 공급유지되고 상기 캐비넷본체에 수용되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의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서 파열되어 소화약제(41)를 분출시키는 소화튜브(40)와,
    상기 소화튜브(40)와 함께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에 절연재(43)가 도포되며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42)와,
    상기 열에 의해서 상기 감지와이어(42)를 도포한 절연재(43)가 녹아 한쌍의 감지와이어(42)가 상호 접촉되었을때 합선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와,
    일단이 상기 캐비넷본체(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20)에 연결되어 도어(20)의 회전각도를 제한시키며 누설전류를 접지시키는 접지와이어(70)와,
    상기 캐비넷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20)의 개폐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내부를 조명시키는 조명등(12)과,
    상기 캐비넷본체(10) 내부에 발생된 열을 감지하며 설정온도이상의 열이 발생되었을때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환풍팬(11)과,
    상기 캐비넷본체(1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캐비넷본체(10)를 지 지하는 복수의 캐스터(8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캐비넷본체(10) 내부에 상기 감지와이어(42) 및 소화튜브(40)의 설치 경로를 따라 복수의 관통공(91)이 형성된 덕트(90)를 형성하여서, 상기 감지와이어(42) 및 소화튜브(40)가 안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KR1020060007276A 2006-01-24 2006-01-24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KR10062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276A KR100627077B1 (ko) 2006-01-24 2006-01-24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276A KR100627077B1 (ko) 2006-01-24 2006-01-24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077B1 true KR100627077B1 (ko) 2006-09-25

Family

ID=3762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276A KR100627077B1 (ko) 2006-01-24 2006-01-24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83B1 (ko) * 2012-08-09 2014-0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센서에 의한 전기 화재 소화 시스템 및 방법
CN104083842A (zh) * 2013-09-29 2014-10-08 上海温元电器制造有限公司 探火管式感温自启动灭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34A (ko) * 2004-02-10 2004-04-01 정재묵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200385989Y1 (ko) 2005-03-04 2005-06-07 김장섭 차량 및 선박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34A (ko) * 2004-02-10 2004-04-01 정재묵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200385989Y1 (ko) 2005-03-04 2005-06-07 김장섭 차량 및 선박 소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83B1 (ko) * 2012-08-09 2014-0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센서에 의한 전기 화재 소화 시스템 및 방법
CN104083842A (zh) * 2013-09-29 2014-10-08 上海温元电器制造有限公司 探火管式感温自启动灭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247B2 (ja) 電気設備火災抑制装置
KR102177562B1 (ko)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1825187B1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101833981B1 (ko) 수배전반의 스마트 소방방재 시스템
EA001072B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с системой тушения пожара
KR102177564B1 (ko)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US20100142103A1 (e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Comprising A Fault Protection System, A Method For Fault Protection In A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2538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KR1008254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확인용 소방알람장치
KR102339920B1 (ko) 화재 소화 모듈과 연동하는 배전선로 수배전반 제어 방법
NO338357B1 (no) Permanent forseglet kompakt sekundær understasjon
KR200402894Y1 (ko)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100627077B1 (ko)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KR20210060160A (ko) 자동 소화 장치를 갖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PL243169B1 (pl) Automatyczny system chłodzenia i gaszenia ognia
KR100509232B1 (ko) 전기 배전반 및 전기 판넬용 자동소화장치
KR20220116883A (ko) 배전반 또는 분전반용 자동소화장치
KR102174980B1 (ko) 전력 계통의 보호가 용이한 154kv 이상급 변전소 설비
CN212063193U (zh) 一种具有自动灭火功能的智能配电柜
KR102439182B1 (ko)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0414722Y1 (ko) 소화장치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WO2023059020A1 (ko)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KR102624477B1 (ko) 자체 화재 소화기능을 갖춘 제어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