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722Y1 -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722Y1
KR200414722Y1 KR2020060002161U KR20060002161U KR200414722Y1 KR 200414722 Y1 KR200414722 Y1 KR 200414722Y1 KR 2020060002161 U KR2020060002161 U KR 2020060002161U KR 20060002161 U KR20060002161 U KR 20060002161U KR 200414722 Y1 KR200414722 Y1 KR 200414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tube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기
Original Assignee
강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기 filed Critical 강춘기
Priority to KR2020060002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국소적인 화재발생시 조기 진화하여 장비의 손실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장비의 보수를 신속하게 하여 열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소화장치는 캐비넷본체(10)에 수용되며 소화약제(41)가 충전된 소화기(30)와, 소화기(30)와 연결되어 소화약제(41)가 일정압으로 공급유지되고 캐비넷본체에 수용되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의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서 파열되어 소화약제(41)를 분출시키는 소화튜브(40)와, 소화튜브(40)와 함께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에 절연재(43)가 도포되며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42)와, 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를 도포한 절연재(43)가 녹아 한쌍의 감지와이어(42)가 상호 접촉되었을때 합선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와, 발생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소화장치는 전원공급기의 캐비넷본체 내부에 소화기(30) 및 이로부터 소화약제가 공급유지되는 소화튜브(40)를 기기내 각 부붐을 경유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각 부품에서의 화재 또는 내부의 과열시에 소화튜브(40)가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부분을 조기에 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이로써 기기의 전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소화튜브(40)의 파열과 함께 화재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의 절연 재(43)가 녹아내림으로써 합선되어 경보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따른 보수작업을 신속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보신호를 통신수단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자에게도 화재발생을 알리게 하여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열차신호, 전원공급기, 소화튜브, 감지와이어

Description

소화장치{A fire extinguisher of power supply for train signal}
도 1은 본 고안 소화장치가 채용된 전원공급기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채용된 소화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소화튜브 및 감지와이어의 화재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화재발생을 원격지에 알리는 통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넷본체 30...소화기
40...소화튜브 42...감지와이어
50...송신부 60...수신부
본 고안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국소적인 화재발생시 조기 진화하여 장비의 손실을 방지하고,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장비의 보수를 신속하게 하여 열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열차의 안전운전을 담당하는 중요한 설비 로서 시스템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신호용 단독 변압기를 사용하여 신호설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전반, 정류기 및 무정전 전원장치등이 캐비넷에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보수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통상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가동중에는 자체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되어 전기/전자회로부품등 내부기기가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특히 고열(高熱) 또는 전기합선등의 이유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전원공급기 전체가 손실되어 복구시간이 길어지고 경제적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화재발생시 발화지점에서 즉시 화재를 진압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복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 복구를 가능하게 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발생된 화염을 소화시키는 소화장치에 있어서,
소화약제가 충전된 소화기와,
상기 소화기와 연결되어 소화약제가 일정압으로 공급유지되고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서 파열되어 소화약제를 분출시키는 소화튜브와,
상기 소화튜브와 함께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에 절연재가 도포되며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와,
상기 열에 의해서 상기 감지와이어를 도포한 절연재가 녹아 한쌍의 감지와이어가 상호 접촉되었을때 합선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소화장치에는 상기 발생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갖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소화장치는 화재발생시 발화지점에서 즉시 화재를 진압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화재발생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복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 복구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소화장치가 채용되는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열차의 안전운전을 담당하는 중요한 설비로서 시스템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는 신호용 단독 변압기를 사용하여 신호설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전반, 정류기 및 무정전 전원장치등이 캐비넷에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보수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본 고안 소화장치가 채용된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를 나타낸 도 1 및 소화장치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소화장치에는 도시의 간편을 위하여 도 2에서의 감지와이어(42)가 누락되어 있다.
캐비넷본체(10) 내부공간에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 전기/전자부품들이 수용되어서 열차 신호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캐비넷본체(10)에는 소화약제(41)(도 3 참조)가 충전된 소화기(3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30)에는 소화튜브(40)가 연결되어 수용된 각 전기/전자부품을 경유하여 배선되도록 되어 있다.
즉, 소화튜브(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본체(10)에 수용되는 배전반 및 정류기등의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선되며, 소화기(30)로부터 소화약제(41)가 일정압력으로 공급되어 있게 되고, 캐비넷본체(10)내의 온도 또는 각 전기/전자부품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되게 되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인접한 소화튜브(40)가 파열되어 화재부분을 소화진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소화튜브(40)는 대략 80~100℃에서 녹아서 파열될 수 있도록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소화튜브(40)와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마련되며 절연재(43)가 도포되고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감지와이어(42)는 화재발생이나 설정온도이상의 과열이 발생되는 경우 절연재(43)가 녹아서 상호 합선되어 감지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즉, 통전되는 두 감지와이어(42)가 상호 합선에 의해서 전기적신호가 발생되 어 과열이나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경보발생기(미도시)를 통하여 알리게 한다.
이와 같은 경보발생신호는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상의 통신수단을 통하여 원격지에 알릴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감지와이어(42)의 합선은 스위치기능을 하여 경보발생기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소화튜브(40) 및 감지와이어(42)는 캐비넷본체(10) 내부에 형성된 덕트(90)에 안내된다. 덕트(90)에는 복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서 소화약제(41)가 통과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1은 환풍기, 12는 조명등, 80은 캐스터이다.
이와 같은 열차 신호 전원공급기의 소화장치는 전원공급기의 가동중에 정류기등의 일부 부품에서 과열등에 의한 화재발생시에 그 주위를 경유하는 소화튜브(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열되어 소화약제(41)가 분출됨으로써 화재부분을 소화진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소화튜브(40)의 파열과 함께 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의 전열제(43)가 녹아내림으로써 합선되어 경보발생기(미도시)가 작동되게 된다. 이러한 경보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통보되고 화재부분의 수리등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소화기(30) 및 이로부터 소화약제가 공급유지되는 소화튜브(40)를 기기내 각 부품을 경유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각 부품에서의 화재 또는 내부의 과열시에 소화튜브(40)가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부분을 조기에 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이로써 기기의 전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소화튜브(40)의 파열과 함께 화재열에 의해서 감지와이어(42)의 절연재(43)가 녹아내림으로써 합선되어 경보기를 작동시킴으로써 화재발생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따른 보수작업을 신속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보신호를 통신수단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자에게도 화재발생을 알리게 하여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

  1. 발생된 화염을 소화시키는 소화장치에 있어서,
    소화약제(41)가 충전된 소화기(30)와,
    상기 소화기(30)와 연결되어 소화약제(41)가 일정압으로 공급유지되고 화재가 발생될수 있는 부품들을 경유하여 배치되며 일정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서 파열되어 소화약제(41)를 분출시키는 소화튜브(40)와,
    상기 소화튜브(40)와 함께 나란히 전체길이를 따라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에 절연재(43)가 도포되며 통전되는 한쌍의 감지와이어(42)와,
    상기 열에 의해서 상기 감지와이어(42)를 도포한 절연재(43)가 녹아 한쌍의 감지와이어(42)가 상호 접촉되었을때 합선되어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경보신호를 원격지의 관리소에 통신하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를 갖는 통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KR2020060002161U 2006-01-24 2006-01-24 소화장치 KR200414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1U KR200414722Y1 (ko) 2006-01-24 2006-01-24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161U KR200414722Y1 (ko) 2006-01-24 2006-01-24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722Y1 true KR200414722Y1 (ko) 2006-04-24

Family

ID=4448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161U KR200414722Y1 (ko) 2006-01-24 2006-01-24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7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3B1 (ko) * 2008-09-19 2011-01-04 (주)포트텍 화재감지튜브 부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1170083B1 (ko) 2012-06-27 2012-07-31 상원엔지니어링(주)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3B1 (ko) * 2008-09-19 2011-01-04 (주)포트텍 화재감지튜브 부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1170083B1 (ko) 2012-06-27 2012-07-31 상원엔지니어링(주)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981B1 (ko) 수배전반의 스마트 소방방재 시스템
KR10162538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0714998B1 (ko)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KR200414722Y1 (ko) 소화장치
FI13108Y1 (fi) Automaattinen jäähdytys- ja sammutusjärjestelmä
SE2151172A1 (en) Compact cooling and extinguishing system
CN205127247U (zh) 一种感温自启动式气溶胶灭火装置
CN105449655B (zh) 一种电流互感器二次开路保护方法及装置
KR102439182B1 (ko)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CN206524622U (zh) 一种快速灭弧装置
KR100627077B1 (ko) 열차 신호용 전원공급기의 메카니즘
WO2023059020A1 (ko)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자동소화장치
CN104269811B (zh) 一种用于电力保护与消防的系统
CN204407887U (zh) 手车式开关柜内部电弧保护装置
US201801151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a power grid
JP2001061986A (ja) ガス系消火設備の信号伝送システム
CN111068229A (zh) 一种电力系统智慧消防管控系统
RU2781781C1 (ru) Силов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генератором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варианты)
CN114447804B (zh) 一种适用于隔离开关的消防保护系统及保护方法
RU2783501C1 (ru)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генератором огнетушащего аэрозоля (варианты)
CN212491227U (zh) 一种消防装置、蓄电池及轨道列车
RU27947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ри дуговом пробое (УЗДП) с аэрозолеобразующей или газообразующей системой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инициированием с помощью самовозгорающегося термовоспламенителя (варианты)
RU27974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ри дуговом пробое (УЗДП) с аэрозолеобразующей или газообразующей системой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инициированием с помощью термо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KR870002140Y1 (ko) 가스기기의 집중 감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