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450B1 -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450B1
KR101057450B1 KR1020110012861A KR20110012861A KR101057450B1 KR 101057450 B1 KR101057450 B1 KR 101057450B1 KR 1020110012861 A KR1020110012861 A KR 1020110012861A KR 20110012861 A KR20110012861 A KR 20110012861A KR 101057450 B1 KR101057450 B1 KR 10105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body
underground
fi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록
Original Assignee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1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관(100); 배전함본체(BC)에 설치된 배전반(D)으로부터 인출되는 지중전선과 지중배관(100)으로부터 인입되는 지중전선을 연결하는 접속기구(200); 접속기구(200)와 연동하여 지중배관(100)을 밀폐하는 밀폐장치(300); 지중배관(10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소방와이어(400); 화재시 지중배관(100)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유해가스배출장치(500); 지중배관(100)의 화재발생을 외부로 알리는 화재경보장치(600)를 포함하여, 지중배관(100)의 화재로부터 배전반(D)을 보호하며,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지중배관(100)의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Underground Line Protection Pipe having a 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은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는 지중전선이 배치되는 지중배관이 설치된다.
상기 지중배관은, 지중전선 또는 지중배관에 설치된 다른 부속시설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기 매우 어렵다.
한편 상기 지중배관은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의 하부에 위치하여 배전함과 연통되며, 지중배관을 통과하는 지중전선은 배전함으로 인입되어, 배전함에 설치된 배전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관과 배전함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지중전선 또는 지중배관의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지중배관을 따라 진행하여 배전함으로 이동한다. 특히 지중배관에 발생한 화염은 초기에 진압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 전달 속도가 더욱 빠르다.
따라서 상기 화염에 의해 배전함 및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하여, 배전함 및 배전반을 복구하기 위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배전반의 화재로 인해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지중배관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알 수 없어, 화재 진압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반 및 배전함으로의 화염 전달을 차단하여, 배전반 및 배전함의 화재를 방지하며, 화재발생을 신속하게 알려, 화재진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함과 연결되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홀과, 개구홀과 연통된 설치홈을 각각 갖춘 한 쌍의 수용홈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며,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전선보호관본체에 위치하는 인출지중전선의 단부에 삽입설치되는 본체; 측방으로 개구된 걸림홈과, 상하로 관통되어 커넥터 설치홈과 연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갖춘 커넥터와: 상방으로 개구되어 커넥터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삽입홈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연통홀과, 연통홀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설치홈과, 설치홈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과, 상하로 관통되어 삽입홈과 연통되는 관통홀을 갖춘 한 쌍의 수용홈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인출지중전선과 연결되는 인입지중전선에 삽입설치되는 어댑터와: 어댑터의 설치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하로 관통된 걸림홀을 갖추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터 돌출부의 걸림홈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를 갖춘 측방고정체; 커넥터 본체의 설치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본체의 개구홀 및 어댑터의 개구홀을 관통하여 측방고정체 걸림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를 갖춘 하방고정체; 어댑터 설치홈에 설치되어 측방고정체 본체를 외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 커넥터 설치홈에 설치되어 하방고정체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이 구비된 한 쌍의 고정체를 갖춘 접속기구,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홈과, 수용홈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개방된 개구홈을 갖추며, 지중전선보호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기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본체; 수용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지중전선의 외면과 맞닿는 이동체; 이동체를 인입지중전선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갖춘 밀폐기구와: 지중전선보호관본체에 설치되어 각각의 밀폐기구를 상하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갖춘 한 쌍의 밀폐장치,
지중전선보호관본체에 내설되며, 밀폐기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재시 화염에 의해 끊어지는 가연성 재질의 화재감지와이어와, 일단이 하방고정체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넥터 관통홀·어댑터 관통홀·밀폐기구 개구홀를 통과하여 화재감지와이어와 각각 연결되는 가연성 재질의 한 쌍의 연결와이어를 갖춘 소방와이어,
지중에 매설되며, 일단이 지중전선보호관본체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로 개구되되, 타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케이스가 구비된 유해가스배출관; 유해가스배출관의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해가스배출관을 개폐하는 커버를 갖춘 유해가스배출기구; 유해가스배출관에 설치되어 커버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일단이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해가스배출관을 통과하여 소방와이어의 화재감지와이어에 연결되는 가연성 재질의 개폐와이어을 갖춘 유해가스배출장치,
유해가스배출장치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 유해가스배출장치의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어, 커버가 회동시 스위치와 접촉하여, 스위치를 ON 시키는 터치바; 배전함에 설치되는 화재경보기; 배전함에 설치되어, 화재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 유해가스배출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스위치·화재경보기·송신기를 작동제하는 제어유닛을 갖추는 화재경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배관 내의 화염이 배전함본체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배전반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이와 더불어 화재시 지중전선 간을 단선시킴으로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한 지중배관 내의 유해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화재발생을 외부로 신속히 알림으로써, 화재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보호관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D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밀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 3의 A-A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밀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보호관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D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밀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 3의 A-A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밀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와, 지중전선 간을 연결하는 접속기구(200)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을 밀폐하는 밀폐장치(300)와, 화재를 감지하는 소방와이어(400)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의 유해가스를 배출하는 유해가스배출장치(500)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의 화재를 경보하기 위한 화재경보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는 지중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배전반(D)과 연결되는 지중전선이 배치되는 통상의 관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배전반(D)은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함(BC)에 내설되며, 배전함(BC)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와 연결된다.
상기 접속기구(200)는, 인출지중전선(L1)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210)와, 인출지중전선(L1)과 연결되는 인입지중전선(L2)의 단부에 설치되는 어댑터(220)와, 커넥터(210)와 어댑터(220)를 연결시키는 고정체(230)를 갖춘다. 이때 인출지중전선(L1)은 배전반(D)으로 인출되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배치되고, 인입지중선(L2)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를 따라 배치되어 배전반(D)을 향해 인입된다.
상기 커넥터(21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인출지중전선(L1)이 관통하는 본체(211)와, 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212)를 갖춘다.
상기 본체(211)는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홀(211a1)과, 개구홀(211a1)과 연통되는 설치홈(211a2)을 갖춘 한 쌍의 수용홈(211a)이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2)는 외측방으로 개구된 걸림홈(212a1)과, 상하로 관통되어 커넥터 설치홈(211a2)과 연통되는 관통홀(212a2)을 갖춘 한 쌍의 수용홈(212a)이 커넥터 본체(211)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어댑터(22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방으로 개구되며 커넥터돌출부(212)가 삽입되는 삽입홈(221a)과, 삽입홈(221a)과 연통되며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연통홀(221b)과, 연통홀(221b)과 연통되며 외측방으로 개구된 설치홈(221c)과, 설치홈(221c)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커넥터(210)의 개구홀(211a1)과 연통되는 개구홀(221d)과, 상하로 관통되어 삽입홈(221a)과 연통되며 커넥터 돌출부(212) 삽입시 커넥터돌출부(212)의 관통홀(212b)과 연통되는 관통홀(221e)을 갖춘 한 쌍의 수용홈(221)이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인출지중전선(L1)과 연결되는 인입지중전선(L2)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고정체(23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넥터(210) 및 어댑터(220)의 상하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측방고정체(231)와, 커넥터(210) 및 어댑터(220))의 횡방향 이동을 고정하는 하방고정체(232)와, 어댑터(220)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3과, 커넥터(210)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34)를 갖춘다.
상기 측방고정체(231)는 어댑터(220)의 설치홈(22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형상의 본체(231a)와, 본체(231a)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터 돌출부(212)의 걸림홈(212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231b)를 갖춘다. 이때 돌출부(231b)는 상하로 관통되어 어댑터(220)의 개구홀(221d)과 연통되는 걸림홀(231b1)이 형성된다.
상기 하방고정체(232)는 커넥터 본체(211a)의 설치홈(211a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형상의 본체(232a)와, 본체(232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본체(211)의 개구홀(211a1) 및 어댑터(220)의 개구홀(221d)을 관통하여 측방고정체 걸림홀(231b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232b)를 갖춘다.
상기 제1스프링(233)은, 일단이 어댑터(220)의 설치홈(221c)에 설치되고, 타단이 측방고정체 본체(231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측방고정체(231)를 외측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제2스프링(234)은, 일단이 커넥터(210)의 설치홈(211a2)에 설치되고, 타단이 하방고정체 본체(232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하방고정체(232)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전반(D)으로부터 또 다른 인출지중전선(L1')이 인출되고, 인출지중전선(L1')에 또 다른 인입지중전선(L2')가 연결된다. 이때 인출지중전선(L1') 및 인입지중전선(L2')는 또 다른 접속기구(20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밀폐장치(300)는 접속기구(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난연재질의 밀폐기구(310)와, 밀폐기구(310)를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320)을 갖추며,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을 이뤄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을 밀폐한다.
상기 밀폐기구(310)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설치되는 본체(311)와, 본체(3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312)와, 이동체(312)를 탄발지지하는 지지스프링(313)을 갖춘다.
상기 본체(311)는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홈(311a)과, 수용홈(311a)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개방된 개구홈(311b)을 갖추고서,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축(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은 사각관 형상을 가지며, 본체(311)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사각패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이동체(312)는 사각패널 형상을 가지며, 수용홈(31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지중전선(L2)의 외면과 맞닿는다.
상기 지지스프링(313)은, 일단이 밀폐기구 본체(311)의 수용홈(31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동체(312)에 설치되어, 이동체(312)를 인입지중전선(L2) 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토션스프링(320)은 일단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설치되고 타단이 밀폐기구(310)에 설치되어, 밀폐기구(310)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을 가로질러 수평을 이루도록 탄발지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접속기구(200), 2개의 인출지중전선(L1), 및 2개의 인입지중전선(L2)에 대응되도록, 4개의 밀폐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위치하는 4개의 밀폐장치 중 가운데 2개의 밀폐장치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각각의 회전축(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2개의 밀폐장치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측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회전축(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이 밀폐된다.
상기 소방와이어(400)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내설되는 화재감지와이어(410)와, 화재감지와이어(410)에 설치되는 연결와이어(420)를 갖춘다.
상기 화재감지와이어(410)는, 가연성 재질을 가지며,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되, 밀폐기구(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화재시 화염에 의해 단선된다.
상기 연결와이어(420)는, 가연성 재질을 가지며, 일단이 하방고정체 본체(232a)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넥터 관통홀(212b)·어댑터 관통홀(221e)·밀폐기구 개구홈(311b)를 통과하여 화재감지와이어(410)와 연결된다. 이때 연결와이어(420)는 하방고정체(232)를 하방으로 당긴다.
상기 유해가스배출장치(500)는 지면에 설치되는 유해가스배출기구(510)와, 유해가스배출기구(510)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520)과, 화재감지와이어(410)와 연결되는 개폐와이어(530)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유해가스배출장치(500)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유해가스배출기구(510)는 지중에 매설되며, 일단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로 개구되는 유해가스배출관(511)과, 유해가스배출관(51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해가스배출관(511)을 개폐하는 커버(512)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해가스배출관(511)의 상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케이스(511a)가 삽입설치되고, 케이스(511a)에 커버(5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토션스프링(520)은 일단이 케이스(51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커버(512)에 설치되어, 커버(512)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개폐와이어(530)은,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커버(5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해가스배출관(511)을 통과하여 소방와이어(400)의 화재감지와이어(410)에 연결된다. 이때 개폐와이어(530)은 커버(520)를 하방으로 당긴다.
상기 화재경보장치(600)는 화재를 감지하는 스위치(610)와, 스위치(610)를 ON 시키는 터치바(620)와, 화재를 외부로 알리는 화재경보기(630)와, 화재경보신호를 중앙관리실로 송출하는 송신기(640)와,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50)을 갖춘다.
상기 스위치(610)는 유해가스배출장치 케이스(511a)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터치바(620)와 접촉할 시, 화재감지신호를 제어유닛(650)으로 출력한다. 이때 스위치(610)는 통상적인 ON-OFF 스위치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바(620)는 유해가스배출장치(500)의 커버(5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커버(512)가 회동시 스위치(610)와 접촉하여, 스위치(610)를 ON 시킨다. 이때 터치바(620)는 커버(512)와 회동시, 스위치(6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커버(512)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화재경보기(630)는, 화재경보를 알리는 통상의 것으로, 배전함(BC)에 설치되며, 제어유닛(650)으로부터 작동신호가 입력될 시, 주변으로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보음을 출력한다.
상기 송신기(640)는, 신호를 송출하는 통상의 것으로, 배전함(BC)에 설치되며, 제어유닛(650)으로부터의 화재경보신호를 중앙관리실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유닛(650)은 유해가스배출장치(500)의 케이스(511a)에 내설되어, 스위치(610)·화재경보기(630)·송신기(640)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제어유닛(650)는 스위치(6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기(630) 및 송신기(640)를 작동한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전선 보호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로서, 도 9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번져간다.
이때 상기 화염이 도 9과 같이 화재감지와이어(410)와 접촉하면, 화재감지와이어(410)는 도 10과 같이 단선되고, 이와 동시에 지속되는 화염에 의해 연결와이어(420), 개폐와이어(530) 또한 단선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화재감지와이어(410), 연결와이어(420), 및 개폐와이어(530)가 단선되면, 화재감지와이어(410), 연결와이어(420), 및 개폐와이어(530)의 인장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하방고정체(232)의 본체(232a)가 고정체(230)의 제2스프링(234)의 탄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방고정체(232)이 돌출부(232b)가 도 11과 같이 측방고정체(231)의 걸림홀(231b1)으로부터 빠진다.
이때 상기 측방고정체(231)는 고정체 제1스프링(233)의 탄발력에 의해 외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측방고정체(231)의 돌출부(231b)가 도 12와 같이 커넥터 돌출부(212)의 걸림홈(212a1)으로부터 빠진다.
그러면 상기 커넥터(210)와 어댑터(220)의 고정이 해제되고, 인입지중전선(L2)이 하중에 의해 인입지중전선(L2) 및 어댑터(220)가 도 13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어댑터(220)의 저면과 밀폐기구(310)의 상면이 맞닿는다.
이후 상기 인입지중전선(L2) 및 어댑터(2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계속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면, 어댑터(220)가 밀폐기구(310)를 밀어내고, 밀페기구(310)는 도 14와 같이 회동한다. 이때 밀폐기구(310)의 이동체(312)는 지지스프링(313)의 탄발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계속해서 상기 어댑터(220)가 밀폐기구(310)와의 접촉범위를 벗어나면, 밀폐기구(310)는 토션스프링(320)의 탄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고, 밀폐기구(310)의 이동체(312)가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호 맞닿는다. 이때 밀폐기구(310)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발생한 화염이 배전함(BC)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밀폐기구(310)의 이동체(312)가 밀폐기구(312)의 개구홈(311b)을 완전 폐쇄하여, 조금의 화염도 배전함(BC)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개폐와이어(530)가 단선되면, 유해가스배출장치 토션스프링(520)의 탄발력에 의해 커버(512)가 도 17과 같이 상방으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커버(512)는 유해가스배출기구(510)를 외부로 개방하여,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존재하는 유해가스가 유해가스배출관(511)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해가스배출장치(500)의 커버(512)가 회동할 시, 화재경보장치(600)의 터치바(620)는 도 18과 같이 스위치(610)와 접촉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610)는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650)이 화재경보기(630)를 작동한다. 따라서 화재경보기(630)가 배전함(BC) 주변으로 경보음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50)은 송신기(640)를 매개로 별도의 중앙관리실에 화재경보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중앙관리실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화재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의 화재발생과 동시에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의 내부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의 화염이 배전함(BC)으로 계속적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내의 화재발생과 동시에 지중전선간의 연결을 단선하여 배전반으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지중전선은 화염이 배전함(BC)로 이동하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중전선의 연결이 단선됨으로 인해 화염의 진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의 화재발생과 동시에 신속하게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화재 진압 후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하러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진입할 시, 작업자가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이물질이 유해가스 배출로를 통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로 인입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함(BC) 주변으로 화재위험을 알릴 수 있어, 배전함(BC) 주변의 사람들이 신속히 대피하도록 하며, 중앙관리실에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어, 관리자가 화재발생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100; 배전함 본체 200; 접속기구
300; 밀폐장치 400; 소방와이어
500; 유해가스배출장치 600; 화재경보장치

Claims (1)

  1. 지중에 매설되어,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함(BC)과 연결되는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홀(211a1)과, 개구홀(211a1)과 연통된 설치홈(211a2)을 각각 갖춘 한 쌍의 수용홈(211a)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며, 배전반(D)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위치하는 인출지중전선(L1)의 단부에 삽입설치되는 본체(211); 측방으로 개구된 걸림홈(212a)과, 상하로 관통되어 커넥터 설치홈(211a2)과 연통되는 관통홀(212b)을 구비하여, 본체(211)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212)를 갖춘 커넥터(210)와: 상방으로 개구되어 커넥터돌출부(212)가 삽입되는 삽입홈(221a)과, 삽입홈(221a)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되는 연통홀(221b)과, 연통홀(221b)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설치홈(221c)과, 설치홈(221c)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홀(221d)과, 상하로 관통되어 삽입홈(221a)과 연통되는 관통홀(221e)을 갖춘 한 쌍의 수용홈(221)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인출지중전선(L1)과 연결되는 인입지중전선(L2)에 삽입설치되는 어댑터(220)와: 어댑터(220)의 설치홈(22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231a)와, 상하로 관통된 걸림홀(231b1)을 갖추며 본체(231a)로부터 돌출되어 커넥터 돌출부(212)의 걸림홈(212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231b)를 갖춘 측방고정체(231); 커넥터 본체(211a)의 설치홈(211a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232a)와, 본체(232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커넥터 본체(211)의 개구홀(211a1) 및 어댑터(220)의 개구홀(221d)을 관통하여 측방고정체 걸림홀(231b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돌출부(232b)를 갖춘 하방고정체(232); 어댑터 설치홈(221c)에 설치되어 측방고정체 본체(231a)를 외측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233); 커넥터(210) 설치홈(211a2)에 설치되어 하방고정체(232)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234)이 구비된 한 쌍의 고정체(230)를 갖춘 접속기구(200),
    측방으로 개구된 수용홈(311a)과, 수용홈(311a)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개방된 개구홈(311b)을 갖추며,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기구(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본체(311); 수용홈(31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입지중전선(L2)의 외면과 맞닿는 이동체(312); 이동체(312)를 인입지중전선(L2)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지지스프링(313)을 갖춘 밀폐기구(310)와: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설치되어 각각의 밀폐기구(310)를 상하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320)을 갖춘 한 쌍의 밀폐장치(300),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에 내설되며, 밀폐기구(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재시 화염에 의해 끊어지는 가연성 재질의 화재감지와이어(410)와, 일단이 하방고정체 본체(232a)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넥터 관통홀(212b)·어댑터 관통홀(221e)·밀폐기구 개구홀(312)를 통과하여 화재감지와이어(410)와 각각 연결되는 가연성 재질의 한 쌍의 연결와이어(420)를 갖춘 소방와이어(400),
    지중에 매설되며, 일단이 지중전선보호관본체(1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로 개구되되, 타단에 상방으로 개구된 케이스(511a)가 구비된 유해가스배출관(511); 유해가스배출관(511)의 케이스(511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해가스배출관(511)을 개폐하는 커버(512)를 갖춘 유해가스배출기구(510); 유해가스배출관(511)에 설치되어 커버(512)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520); 일단이 커버(5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유해가스배출관(511)을 통과하여 소방와이어(400)의 화재감지와이어(410)에 연결되는 가연성 재질의 개폐와이어(530)을 갖춘 유해가스배출장치(500),
    유해가스배출장치 케이스(511a)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스위치(610); 유해가스배출장치(500)의 커버(5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커버(512)가 회동시 스위치(610)와 접촉하여, 스위치(610)를 ON 시키는 터치바(620); 배전함(BC)에 설치되는 화재경보기(630); 배전함(BC)에 설치되어, 화재경보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640); 유해가스배출장치(500)의 케이스(511a)에 설치되어, 스위치(610)·화재경보기(630)·송신기(640)를 작동제하는 제어유닛(650)을 갖추는 화재경보장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1020110012861A 2011-02-14 2011-02-14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10105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61A KR101057450B1 (ko) 2011-02-14 2011-02-14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61A KR101057450B1 (ko) 2011-02-14 2011-02-14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450B1 true KR101057450B1 (ko) 2011-08-19

Family

ID=4493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61A KR101057450B1 (ko) 2011-02-14 2011-02-14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71B1 (ko)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KR101683769B1 (ko) * 2016-01-25 2016-12-09 (주)우진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CN108457298A (zh) * 2017-02-17 2018-08-2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华东电力设计院有限公司 用于地下管廊的防烟气扩散系统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23B1 (ko) 2008-10-21 2009-01-07 김점주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0908681B1 (ko) 2009-04-16 2009-07-29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배전용 인입전선 연결단자
KR100980839B1 (ko) 2010-03-15 2010-09-10 변석훈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레버타입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23B1 (ko) 2008-10-21 2009-01-07 김점주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KR100908681B1 (ko) 2009-04-16 2009-07-29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배전용 인입전선 연결단자
KR100980839B1 (ko) 2010-03-15 2010-09-10 변석훈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레버타입 스위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71B1 (ko)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KR101683769B1 (ko) * 2016-01-25 2016-12-09 (주)우진이엔지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CN108457298A (zh) * 2017-02-17 2018-08-28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华东电力设计院有限公司 用于地下管廊的防烟气扩散系统
CN108457298B (zh) * 2017-02-17 2024-03-19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华东电力设计院有限公司 用于地下管廊的防烟气扩散系统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703190B1 (ko) 구획 공간을 구비하는 건물 내 통합 화재 관리 방법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975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286756B1 (ko) 소화장치
CN104110582B (zh) 一种煤层气安全输送系统
KR102156833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통신 단자함
KR100875747B1 (ko)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CN203874330U (zh) 气体感温自动灭火系统
KR1020306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KR100807742B1 (ko) 배전선 및 소방설비를 탑재 보호하는 지중배관
KR20210060160A (ko) 자동 소화 장치를 갖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6095754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1057454B1 (ko) 소방기능이 보강된 지중전선 인입배전함
KR101678022B1 (ko) 건물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CN108939353B (zh) 箱变感温自启动灭火系统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CN104134935A (zh) 一种防爆配电盒
KR20220116883A (ko) 배전반 또는 분전반용 자동소화장치
KR101765036B1 (ko) 건축공간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 장치
CN211942997U (zh) 一种独立消防设置的智能充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